KR101982318B1 -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318B1
KR101982318B1 KR1020170090578A KR20170090578A KR101982318B1 KR 101982318 B1 KR101982318 B1 KR 101982318B1 KR 1020170090578 A KR1020170090578 A KR 1020170090578A KR 20170090578 A KR20170090578 A KR 20170090578A KR 101982318 B1 KR101982318 B1 KR 10198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chair
supports
knuckle
d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777A (ko
Inventor
이일열
Original Assignee
이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열 filed Critical 이일열
Priority to KR102017009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3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뛰어나면서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접이식 발판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 프레임에 장착을 위한 제1마운팅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너클과, 상기 너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휠체어의 양측 중 다른 한쪽 프레임에 장착을 위한 제2마운팅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도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너클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서포트와, 상기 제1서포트와 대칭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서포트와 반대쪽 끝부분이 상기 도크에 넣어 걸어서 채울 수 있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서포트 및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를 대칭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각각 핀 이음으로 연결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FOOT-REST ASSEMBLY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뛰어남은 물론이고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접이식 발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신체상의 기능장애로 보행이 곤란한 장애인 등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의 이동 시 편의 및 행동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보장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휠체어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바퀴의 구동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손으로 직접 바퀴를 돌리어 움직이거나 보호자나 간병인 등이 손잡이를 잡고 밀어서 움직이는 수동식과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전동식으로 분류되며, 특히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대개 차량 등에 탑재 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의 수동식 휠체어는 좌석과 등받이, 손잡이 및 팔걸이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와, 상기 바퀴의 외측에 구비된 바퀴손잡이(hand rim)와, 상기 프레임의 양쪽에 장착되어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캐스터와, 상기 프레임의 앞쪽 하부에 장치되는 풋레스트(footrest) 및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풋레스트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발을 올려놓는 부분으로 그 형태 및 장착 방식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프레임의 양쪽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양단연결식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프레임의 양쪽으로 각각 세워서 접을 수 있는 접이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양단연결식 풋레스트의 경우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은 뛰어나지만, 예컨대 식사 시 등에도 편안한 자세로 발을 내려놓을 수 없고, 용변 시에는 방해 및 간섭으로 변기에 바짝 다가갈 수 없어 사용상의 상당한 애로와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접이식 풋레스트의 경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촉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쪽으로 접어서 세울 수 있어 좌석에 바짝 붙어 앉기가 용이한 반면, 가운데 부분에 간격이 있는 구조여서 주행 중 자칫 사용자의 발이 그 벌어진 사이로 빠져서 크게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접이식 풋레스트는 단순히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해 강직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이 누르는 하중이 크면 쉽게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0849268 B1(2008.07.23) KR 10-0856998 B1(2008.08.29) KR 10-1244935 B1(2013.03.12) KR 20-0406017 Y1(2006.01.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휠체어용 풋레스트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뛰어남은 물론이고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아울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식사를 하기 위해 발을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고, 또 용변 시에는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하여 변기에 바짝 다가갈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는 새로운 구조의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사용자의 발 빠짐을 방지함과 함께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 프레임에 장착을 위한 제1마운팅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너클(knuckle)과, 상기 너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휠체어의 양측 중 다른 한쪽 프레임에 장착을 위한 제2마운팅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도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너클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서포트와, 상기 제1서포트와 대칭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서포트와 반대쪽 끝부분이 상기 도크에 넣어 걸어서 채울 수 있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서포트 및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접거나 일렬로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각각 핀 이음으로 연결된 커플러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 빠짐을 예방하고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상기 너클에 장착되고 상기 제1서포트의 회전 중심에서 그 가동 범위의 각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지구멍이 다수 형성된 인덱스 헤드 및 상기 제1서포트에 장착되어 그 회전 시 상기 정지구멍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너클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일정한 각도에서 멈추도록 억제하는 제1볼 플런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 및 제2서포트가 접거나 펴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지 않아 한층 더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서포트를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거나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으로 접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상기 도크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서포트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기 제2서포트가 상기 도크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볼 플런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1 및 제2서포트가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를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접은 상태에서의 대향 면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이 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서포트의 접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 시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스토퍼를 상기 커플러의 양쪽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가 서로 수평으로 펴진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 및 제2마운팅 파이프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높낮이조절구멍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휠체어의 프레임에 대한 설치 높낮이를 한결 간편하게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제1 및 제2서포트가 휠체어의 프레임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 빠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필요나 선택에 따라 제1 및 제2서포트를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으로 접어둘 수 있으므로 차량에 탑재 시 등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식사 시 등에는 발을 바닥에 내려놓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또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에 바짝 다가가서 서거나 휠체어에서 내려 변기로 옮겨 앉을 수 있다.
따라서 발 빠짐을 예방하는 안전성과 변형을 방지하는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데다 보관하기도 쉬워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휠체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의 작동 및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A)는 크게 너클(10), 도크(20), 제1서포트(30), 제2서포트(40), 커플러(50), 인덱스 헤드(60), 제1볼 플런저(70) 및 제2볼 플런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너클(10)은 제1서포트(30)의 좌우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을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사용자가 앉아서 발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1서포트(30)를 지지 및 지탱하는 왼쪽 프레임(F)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너클(10)과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제1샤프트핀(13)에 의해 핀 이음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너클(10)의 상측에는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왼쪽 프레임(F)의 구멍에 헐거운 끼워맞춤(fit) 방식으로 삽입 장착하기 위한 제1마운팅 파이프(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마운팅 파이프(1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휠체어의 프레임(F)에 장착 시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구멍(1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휠체어의 프레임(F)과 제1마운팅 파이프(11)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 체로 제작하여 휠체어의 프레임(F)의 하부 구멍으로 그보다 지름이 약간 작은 제1마운팅 파이프(11)를 삽입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휠체어의 프레임(F)의 중공과 제1마운팅 파이프(11)의 높낮이조절구멍(12)들 중 어느 하나를 별도의 체결용 핀으로 가로질러 채워서 너클(10)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도크(20)는 제2서포트(40)의 좌우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을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휠체어의 양측 중 다른 한쪽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사용자가 앉아서 발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2서포트(40)를 지지 및 지탱하는 오른쪽 프레임(F)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도크(20)는 너클(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휠체어의 양측 프레임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크(20)의 상측에는 휠체어의 양측 중 다른 한쪽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오른쪽 프레임(F)의 구멍에 헐거운 끼워맞춤(fit) 방식으로 삽입 장착하기 위한 제2마운팅 파이프(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마운팅 파이프(2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휠체어의 프레임(F)에 장착 시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구멍(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휠체어의 프레임(F)과 제2마운팅 파이프(21)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 체로 제작하여 휠체어의 프레임(F)의 하부 구멍으로 그보다 지름이 약간 작은 제2마운팅 파이프(21)를 삽입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휠체어의 프레임(F)의 중공과 제2마운팅 파이프(21)의 높낮이조절구멍(22)들 중 어느 하나를 별도의 체결용 핀으로 가로질러 채워서 도크(20)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크(20)의 상면 한쪽에는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 부분을 안정적으로 넣어 걸 수 있도록 안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서포트(30)는 휠체어 사용자가 발, 특히 왼발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로 발이 닿는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은 너클(10)과,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은 커플러(50)와 각각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중 왼쪽 끝부분은 제1샤프트핀(13)에 의해 너클(10)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오른쪽 끝부분은 제2샤프트핀(34)에 의해 커플러(50)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서포트(30)의 좌우 길이 방향 중 왼쪽 끝부분 부근의 제2서포트(40)와 평행하도록 접은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자석장착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장착부(31) 내에는 제2서포트(40)와 평행하게 접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자석(32)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서포트(3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 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리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공 체의 단면 형상도 일반적인 원형이나 사각형 외에도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서포트(40)는 휠체어 사용자가 발, 특히 오른발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로 발이 닿는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길이 방향의 한쪽(오른쪽) 끝부분은 도크(20) 안착홈(23) 속에 넣어 걸어서 채울 수 있고, 다른 한쪽(왼쪽) 끝부분은 커플러(50)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2서포트(40)의 좌우 길이 방향 중 왼쪽 끝부분은 제3샤프트핀(44)에 의해 커플러(50)와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오른쪽 끝부분은 자유단부로 형성되어 제1서포트(30)와 대칭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서포트(40)의 좌우 길이 방향 중 오른쪽 끝부분에는 도크의 안착홈(23) 속에 한결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끼워넣어 덜렁거리지 않게 걸 수 있도록 두께 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삽입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서포트(40)의 좌우 길이 방향 중 오른쪽 끝부분 부근의 제1서포트(30)와 평행하도록 접은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자석장착부(4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장착부(41) 내에는 제1서포트(30)와 평행하게 접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자석(42)이 부착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서로 평행하게 접은 상태에서 제1서포트의 자석장착부(31)와 제2서포트의 자석장착부(41)는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그 내부에 부착되는 제1서포트의 자석(32)과 제2서포트의 자석(42)은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서포트의 자석장착부(31)에는 N극을 갖는 영구자석이 부착되고, 제2서포트의 자석장착부(41)에는 S극을 갖는 영구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서포트(4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 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리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공 체의 단면 형상도 일반적인 원형이나 사각형 외에도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플러(50)는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접거나 일렬로 펼 수 있도록 제1 및 제2서포트(30)(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과 각각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커플러(50)는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유지 또는 상하로 평행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쪽은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중 한쪽 끝부분을 감싼 채로 제2샤프트핀(34)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쪽은 제2서포트(40)의 다른 한쪽 끝부분을 감싼 채로 제3샤프트핀(44)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커플러(50)의 상면 양쪽에는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 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서로 수평으로 펴진 상태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스토퍼(5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인덱스 헤드(60)는 제1서포트(30)가 제1샤프트핀(13)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회전하도록 그 자유로운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너클(1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인덱스 헤드(60)의 바깥쪽 측면에는 제1서포트(30)의 회전 중심에서 그 가동 범위의 각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지구멍(6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하면의 제2서포트(40)를 향하는 쪽 끝부분에는 제1서포트(30)가 제1샤프트핀(13)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는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버티고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볼 플런저(70)는 제1샤프트핀(13)을 중심으로 하는 제1서포트(30)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일정한 각도에서 멈추도록 억제하기 위해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들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 되도록 인덱스 헤드(60)의 정지구멍(61)과 마주하는 제1서포트(30)의 한쪽 면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볼 플런저(70)는 일정 위치, 즉 정지구멍(61)에서 멈춤 작용을 일으키도록 원통형의 한 끝에 볼(또는 핀)이 매입되어 있고 원통 속에는 볼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볼에 외부 상대물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원통 속으로 들어갔다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볼 플런저(70)와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 상호 간의 단속적인 간섭 작용에 의해 제1서포트(30)가 회전 시 일정한 각도마다 정지하는 클릭(click) 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제1 및 제2서포트(30)(40) 간의 접히고 펴지는 작동이 훨씬 수월하고 용이함은 물론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하중에 의해 한꺼번에 너무 빨리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 덜렁거리거나 다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볼 플런저(80)는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이 도크(20)의 안착홈(23)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2서포트(40)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한쪽 측면과 마주하는 도크의 안착홈(2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볼 플런저(80)는 제2서포트의 삽입부(43) 외주면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2볼 플런저(80)는 제2서포트(40)와 접촉 간섭으로 멈춤 작용을 일으키도록 원통형의 한 끝에 볼(또는 핀)이 매입되어 있고 원통 속에는 볼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볼에 외부 상대물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원통 속으로 들어갔다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볼 플런저(80)는 제2서포트(40)가 한꺼번에 너무 빨리 위쪽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막고, 아울러 제2서포트의 삽입부(43)가 도크의 안착홈(23)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A)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이루도록 고정함으로써 휠체어의 사용자가 제1 및 제2서포트(30)(40) 위에 발을 올려놓은 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인덱스 헤드의 받침부(62)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수평 상태로 지지하고,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은 커플러의 스토퍼(51)와 접촉 간섭으로 더 이상 상방으로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수평 상태로 지지한다.
이와 동시에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도크의 안착홈(23)이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수평 상태로 지지하고,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은 커플러의 스토퍼(51)와 접촉 간섭으로 더 이상 상방으로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수평 상태로 지지한다.
이때,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과 제1볼 플런저(70) 간의 접촉 간섭으로 외력에 의해 쉽게 접히는 것을 억제하고,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제2볼 플런저(80)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도크(20)의 안착홈(23) 내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또는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식사를 하기 위해 발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에 바짝 다가갈 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을 상방으로 쳐올리면, 제2서포트(40)는 도크(20)의 안착홈(23)에서 이탈되고, 제1서포트(30)는 제1샤프트핀(13)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약간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서포트(30)(40)는 제2 및 제3샤프트핀(34)(4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접을 수 있고, 계속해서 제1서포트(30)와 제2서포트(40) 사이의 각도가 일정한 범위 이내로 근접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포트(30)에 장착된 자석(32) 및 이와 다른 극성을 가지며 제2서포트(40)에 장착된 자석(42), 즉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32)(42)들 간의 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1서포트(30)와 제2서포트(40)가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완전히 접은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서포트(3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에 장착된 제1볼 플런저(70)는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정지구멍(61)과 접촉 간섭을 일으켜 외력에 의해 쉽게 펴지는 것을 억제한다.
즉, 제1볼 플런저(70)가 제1서포트(30)에 의해 제1샤프트핀(13)을 중심으로 회전하다가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과의 접촉 간섭으로, 즉 너클(10)에 대한 제1서포트(30)의 회전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여 자중에 의해 한꺼번에 너무 빨리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접거나 펴는 과정에서 자칫 휠체어 사용자나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이 부딪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인덱스 헤드의 정지구멍(61)과 제1볼 플런저(70)의 상호 단속적인 작용에 의해 일정한 각도마다 단계적으로 정지하는 클릭 감을 느낄 수 있어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접거나 펴는 조작이 한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6a와 같이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제1서포트(30)를 도크(20)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도 6c 및 도 6b와 같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순차적으로 벌어져서 제2서포트(4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을 도크(20)의 안착홈(23)에 넣어 걸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원래대로 견고하게 펴진 상태를 이루어 휠체어의 사용자가 올려놓는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A)는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휠체어의 양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렬로 쭉 펴진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주행 중 사용자의 발 빠짐을 예방함은 물론 발이 누르는 하중에 의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사용자의 필요나 선택에 따라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휠체어의 한쪽으로 접어둘 수 있으므로 차량에 탑재 시 등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휠체어를 탄 채로 발을 바닥에 내려놓고 편안한 자세로 식사를 할 수 있으며, 또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에 바짝 다가가서 서거나 휠체어에서 내려 변기로 한결 쉽게 옮겨 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너클 11: 제1마운팅 파이프
12: 높낮이조절구멍 13: 제1샤프트핀
20: 도크 21: 제2마운팅 파이프
30: 제1서포트 31: 자석장착부
32: 자석 34: 제2샤프트핀
40: 제2서포트 41: 자석장착부
42: 자석 44: 제3샤프트핀
50: 커플러 51: 스토퍼
60: 인덱스 헤드 61: 정지구멍
70: 제1볼 플런저 80: 제2볼 플런저

Claims (6)

  1. 휠체어의 양측 중 한쪽 프레임(F)에 장착을 위한 제1마운팅 파이프(11)가 일체로 형성된 너클(10);
    상기 너클(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휠체어의 양측 중 다른 한쪽 프레임(F)에 장착을 위한 제2마운팅 파이프(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향 개방된 안착홈(23)이 형성된 도크(20);
    한쪽 끝부분이 상기 너클(10)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서포트(30);
    상기 제1서포트(30)와 대칭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서포트(30)와 반대쪽 끝부분에 상기 도크(20)의 상기 안착홈(23)에 넣어 걸어서 채울 수 있고, 휠체어의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서포트(40);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접거나 일렬로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30)(40)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각각 핀 이음으로 연결된 커플러(50);
    상기 커플러(50)의 양쪽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 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30)(40)가 서로 수평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51);
    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서포트(30)의 회전 중심에서 그 가동 범위의 각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지구멍(61)이 다수 형성된 인덱스 헤드(60); 및
    상기 제1서포트(30)에 장착되어 그 회전 시 상기 정지구멍(61)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너클(10)에 대한 상기 제1서포트(30)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일정한 각도에서 멈추도록 억제하는 제1볼 플런저(70);
    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20)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서포트(40)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기 제2서포트(40)가 상기 도크(20)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볼 플런저(80);
    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서포트(30)(40)를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접은 상태에서의 대향 면에 그 접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부착된 자석(32)이 부착된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운팅 파이프(11)(21)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휠체어의 프레임(F)에 장착 시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높낮이조절구멍(12)이 다수 형성된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KR1020170090578A 2017-07-17 2017-07-17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KR101982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78A KR101982318B1 (ko) 2017-07-17 2017-07-17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78A KR101982318B1 (ko) 2017-07-17 2017-07-17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77A KR20190008777A (ko) 2019-01-25
KR101982318B1 true KR101982318B1 (ko) 2019-05-24

Family

ID=652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78A KR101982318B1 (ko) 2017-07-17 2017-07-17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820A (ja) * 2000-02-25 2001-08-28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構造
JP2006204707A (ja) 2005-01-31 2006-08-10 功 ▲高▼野 着脱式車椅子用フットレスト、車椅子用フットレストおよび車椅子
JP2008093411A (ja) * 2006-09-13 2008-04-24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17Y1 (ko) 2005-11-01 2006-01-11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발판 접철장치
JP3910624B1 (ja) * 2006-06-30 2007-04-25 孝次 藤原 車椅子のフットプレート操作装置
KR100849268B1 (ko) 2006-11-07 2008-07-29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풋레스트 어셈블리
KR101244935B1 (ko) 2011-02-10 2013-03-18 이호성 고정 및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휠체어용 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820A (ja) * 2000-02-25 2001-08-28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構造
JP2006204707A (ja) 2005-01-31 2006-08-10 功 ▲高▼野 着脱式車椅子用フットレスト、車椅子用フットレストおよび車椅子
JP2008093411A (ja) * 2006-09-13 2008-04-24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77A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0578B2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ITRM20060684A1 (it) Deambulatore con sedile e schienale regolabili
US10806311B2 (en) Portable commode aid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101982318B1 (ko) 휠체어용 발판 어셈블리
US6615420B1 (en) Bathing chair and method of using
US7316637B2 (en) Mechanical device for performing single, orthogonal, alternate, and independent movements applicable to a gym apparatus
KR200439793Y1 (ko) 이동 링겔대에 구비된 안전의자
US20060244231A1 (en) Walking scooter
PT104568A (pt) Andarilho com banco rebatível
JP5531344B2 (ja) 移乗器具
KR20150002467U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CN110812017B (zh) 一种多功能轮椅车及其使用方法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JP2008237583A (ja) 介助用車椅子並びにそれに用いるフットレストアッセンブリ
CN211355127U (zh) 老年人护理沐浴装置
CN216020089U (zh) 一种老年人防跌倒座椅
JP7434429B2 (ja) 手摺装置
JP2019092986A (ja) 移動補助椅子
CN216824091U (zh) 一种老年护理椅
TWM552347U (zh) 輔助身障人士行走的拐杖改良結構
JP3013759U (ja) 座浴イス
JP2011024689A (ja) 起立支援椅子
JP2023062852A (ja) 補助手摺
KR101918838B1 (ko) 자세 교정용 외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