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711B1 -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711B1
KR101903711B1 KR1020180001045A KR20180001045A KR101903711B1 KR 101903711 B1 KR101903711 B1 KR 101903711B1 KR 1020180001045 A KR1020180001045 A KR 1020180001045A KR 20180001045 A KR20180001045 A KR 20180001045A KR 101903711 B1 KR101903711 B1 KR 10190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ight
push
user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국
Original Assignee
백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국 filed Critical 백승국
Priority to KR102018000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및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받침부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이 됨과 함께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를 마련하여 하체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상체보다 하체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여 강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푸시업 운동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체가 적정 높이를 유지함에 따라 푸시업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Push-up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차가 하체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자유로이 조절함은 물론 푸시업 운동 시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현대인들은 각종 운동을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이 운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각종 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헬스클럽을 이용하고 있으며, 헬스클럽을 이용할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별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므로, 바쁜 일상 중에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것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야외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이 야외에 설치 된 경우에는 악천우시(눈, 비, 바람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가정에서 운동하기 위하여 각종 운동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는 운동할 수 있는 종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정용 운동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 원하는 운동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크게 구분하면 상체, 하체, 복근 및 허리 운동이 기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운동 중 허리 및 복근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허리 및 복근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정용 운동기구의 사용이 널리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푸쉬업 운동이란 양팔을 어깨 넓이로 벌린 후 바닥에 평행하게 놓고 다리를 뒤로 길게 뻗어 팔을 굽혔다 피는 과정을 반복하여 가슴의 근육을 수축 이완시키는 운동방법이다.
여기서 푸쉬업 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슴의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방법이긴 하나 운동방법에 대한 약간의 변화로 인하여 코어(척추) 또는 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방법이기도 하다.
한편,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에 있어서 종래에는 손목의 보호를 위하여 받침대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손잡이가 구성된 푸쉬업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푸쉬업 운동기구는 지면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고 팔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상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을 흡수하지 못함으로서 팔목에 무리한 힘이 전달되어 부상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팔로부터 가하여지는 힘의 불균형을 보정할 수 없어 균형 있는 가슴운동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푸쉬업 운동시 손 또는 팔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하여 완화시키는 기술로서 운동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운동기구이다.
그러나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것은 사실이나 강한 자극을 근육의 한 지점에 균일하게 주는 것은 스프링의 불규칙한 탄발력에 의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운동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4부분의 볼트체결과 스프링 작용으로 수직이동만이 작동되어 가슴근육의 자극에는 탁월할지 모르나 가슴외 다른 부위의 운동에는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형 푸쉬업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형 푸쉬업운동기구는 반복적으로 팔을 굽히거나 펴주는 것으로 정해진 부위의 근육을 수축 또는 이완시키는 푸쉬업운동기구로서,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중심면에 베어링이 안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안착부, 상기 베어링의 중심면에 삽입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다수회 단턱진 원통 형상의 회전구, 상기 회전구의 상면에 연결되는 환봉 형상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아치형상의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상체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상체운동기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 몸체를 구비하여 그 바닥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된 보스를 상향 돌출시키고, 보스를 중심으로 그 외곽 원주상의 일정한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몸체를 감싸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내경을 가지며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몸체를 구비하여 그 상부의 저면 중심에 상기 보스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결합구를 하향으로 돌출시키며, 이 결합구를 중심으로 그 외곽 원주상의 일정한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돌기와 수직으로 대응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한 승강부, 상기 승강부 몸체의 폐쇄된 상판 양측에 하향으로 요입되어 손잡이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2개 1조의 설치홈을 구비하고, 손잡이의 하부 양측에 상기 설치홈에 각각 삽입되는 2개 1조의 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홈의 바닥에서 스크류를 체결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20239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49845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0283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298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발을 운동기구에 올려 놓고서 강도 높은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발을 올려 놓는 푸시업 운동기구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높이에 맞게 조절하거나 푸시업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및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받침부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이 됨과 함께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침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구; 상기 회전결합구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받침판에 반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는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의 상면에 제2 프레임이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받침부재;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높이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 상기 걸침부재가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은 상기 받침부재의 이격된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구멍; 상기 받침부재의 제2 프레임에 형성된 높이조절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구멍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침부재는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구; 상기 회전결합구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받침판에 반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는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에 의하면, 하체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상체보다 하체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여 강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푸시업 운동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체가 적정 높이를 유지함에 따라 푸시업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12) 및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3)이 구비된 받침부재(10),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20),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이 됨과 함께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발을 걸침부재(30)에 안정되게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 또는 팔을 바닥면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푸시업(팔굽혀펴기)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발을 사용자의 상체 또는 팔보다 높게 위치시킴으로써 팔굽혀펴기에 따른 운동의 강도를 통상의 팔굽혀펴기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푸시업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재(20)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됨은 물론 원위치로 복귀되는 걸림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 상기 제1 프레임(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12),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4)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단에는 제1 프레임(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2 프레임(12)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하며,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13)이 설치된다.
또 상기 수직ㅍ레임(13)에는 상부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4)이 형성된다. 이들 높이조절구멍(14)은 수직프레임(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부재(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21)과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2)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20)를 받침부재(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4)을 포함한다.
아울러 수직프레임(22)에는 수직프레임(13)의 높이조절구멍(14)에 대응되는 높이조절구멍(23)이 형성된다. 이들 높이조절구멍(23)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높이조절부재(20)에는 높이조절구멍(14, 23)에 결합되는 고정핀(24)이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재(10) 및 높이조절부재(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수평프레임(21)에는 회전 가능하게 걸침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수평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구(32), 상기 회전결합구(32)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31),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받침판(31)에 반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는 복귀용 탄성체(33)를 포함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사용자가 발을 안정되게 올려놓는 것으로, 상기 걸침부재(30)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받침판(31)이 구비되며, 이러한 받침판(31)은 쿠션을 갖는 쿠션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경우, 발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함은 물론 푸시업 운동에 따른 눌림이나 통증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받침판(31)의 저면에는 수평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결합구(32)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결합구(32)는 수평프레임(2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1)과 받침판(31) 사이에는 받침판(31)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탄성체(33)가 설치된다. 이러한 복귀용 탄성체(33)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21)에는 복귀용 탄성체(33)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구(3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31)의 저면에는 복귀용 탄성체(33)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구(3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고정구(34) 및 제2 고정구(35)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귀용 탄성체(33)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제1 프레임(11)의 양단에 각각 제2 프레임(12)을 설치하며, 이들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대략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높이조절부재(20) 및 받침판(3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수직프레임(13)을 설치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4)을 형성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수직프레임(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양단에서 하부로 수직프레임(22)을 일체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23)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20)를 받침부재(10)에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핀(24)을 구비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사용자가 발을 편안하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진 받침판(31)이 마련되며, 상기 받침판(31)의 저면에는 수평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결합구(32)를 설치한다.
아울러 수평프레임(21)에는 복귀용 탄성체(33)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구(34)를 고정하며, 받침판(31)의 저면에는 제2 고정구(35)를 고정한다.
상기 제1 고정구(34)와 제2 고정구(35) 사이에는 받침판(31)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귀용 탄성체(33)를 설치한다.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헬스클럽 등에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수직프레임(13, 22)에 결합된 고정핀(24)을 분리시킨 다음 높이조절부재(20) 및 받침판(30)을 사용하고자 높이로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받침판(30)을 사용하고자 하는 높이로 조절한 다음 높이조절구멍(14, 23)에 고정핀(24)을 끼워 고정한다.
이에 높이조절부재(20) 및 받침판(30)은 적정 높이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강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강한 푸시업 운동을 하기 위하여 받침판(31)의 상면에 발을 올려놓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손 또는 팔을 바닥면에 올려 놓게 되면, 사용자의 하체가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사용자의 상체는 하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체가 하체보다 낮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게 되며, 이러한 푸시업 운동 시 상체의 하중이 팔에 가해지게 되어 강한 푸시업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 제2 프레임(12)이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받침부재(10),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 및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높이조절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30), 상기 걸침부재(30)가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침부재(30)는 저면에 회전결합구(32)가 설치되며, 받침판(31)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귀용 탄성체(33)를 구비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구(31), 상기 회전결합구(31)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31),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받침판(31)에 반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는 복귀용 탄성체(33)을 포함한다.
상기 걸침부재(3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0)은 걸침부재(30)가 안정되게 설치되게 하면서 걸침부재(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0)는 상기 받침부재(10)의 이격된 길이로 형성되는 프레임(41), 상기 프레임(4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구멍(42), 상기 받침부재(10)의 제2 프레임(12)에 형성된 높이조절구멍(14)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구멍(42)에 결합되는 고정핀(43)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0)의 프레임(41)은 이격된 한 쌍의 받침부재(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41)의 양면에는 각각 소정 깊이의 끼움구멍(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구멍(42)은 제2 프레임(12)의 높이조절구멍(14)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높이조절프레임(40)에는 프레임(41)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핀(43)이 구비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와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걸침부재(30) 및 상기 걸침부재(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대략 'ㅗ'자 형상으로 형성하며, 제2 프레임(1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걸침부재(30)는 소정의 크기로 받침판(31)을 형성하며, 받침판(31)의 저면에는 높이조절프레임(40)에 결합되는 회전결합구(32)를 설치한다.
아울러 받침부재(10) 사이에는 높이조절프레임(40)의 프레임(41)을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41)의 양면에는 각각 고정핀(43)이 결합되도록 끼움구멍(42)을 형성한다.
아울러 프레임(41)에는 제1 고정구(34)를 설치하고, 받침판(31)의 저면에는 제2 고정구(35)를 설치하며, 제1 고정구(34)와 제2 고정구(35) 사이에는 걸침부재(3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복귀용 탄성체(33)를 설치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헬스클럽 등에서 푸시업 운동을 할 수 하는 것으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높이조절프레임(40)의 고정핀(43)을 분리시킨 다음 받침판(30)을 사용하고자 높이로 조절한 다음 높이조절구멍(14) 및 끼움구멍(42)에 고정핀(43)을 끼워 고정한다.
사용자는 강한 푸시업 운동을 하기 위하여 받침판(31)의 상면에 발을 올려놓으며, 손 또는 팔을 바닥면에 올려 놓게 되면, 사용자의 하체가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사용자의 상체는 하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체가 하체보다 낮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게 되며, 이러한 푸시업 운동 시 상체의 하중이 팔에 가해지게 되어 강한 푸시업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받침판(31)은 하체의 움직임에 따라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받침판(31)은 양측에 설치된 복귀용 탄성체(33)의 탄력에 의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된다.
이에 사용자는 푸시업 운동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하체가 적정 높이를 유지함에 따라 푸시업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받침부재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3: 수직프레임
14: 높이조절구멍
20: 높이조절부재 21: 수평프레임
22: 수직프레임 23: 높이조절구멍
24: 고정핀
30: 걸침부재 31: 받침판
32: 회전결합구 33: 복귀용 탄성체
34: 제1 고정구 35: 제2 고정구져
40: 높이조절프레임 41: 프레임
42: 끼움구멍 43: 고정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및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받침부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
    사용자의 발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각도 조절이 됨과 함께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침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걸침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구;
    상기 회전결합구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상기 받침판에 반력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는 복귀용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쿠션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 또는 팔을 바닥에 대고 상기 받침판 위에 발을 올려 놓을 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눌림이나 통증을 예방하며,
    상기 복귀용 탄성체는 상기 받침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80001045A 2018-01-04 2018-01-04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KR10190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45A KR101903711B1 (ko) 2018-01-04 2018-01-04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045A KR101903711B1 (ko) 2018-01-04 2018-01-04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711B1 true KR101903711B1 (ko) 2018-10-04

Family

ID=6386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045A KR101903711B1 (ko) 2018-01-04 2018-01-04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674B1 (ko) * 2021-09-08 2024-07-01 주식회사 이고진 벤치 운동용 바벨 교체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564A (ja) * 2005-06-20 2007-01-11 Souta Tanaka 健康器具
US7367928B2 (en) 2006-08-28 2008-05-06 Shimon Storch Exercise device
US20170014666A1 (en) 2015-07-16 2017-01-19 Michael C. Sather Rotational Fitness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564A (ja) * 2005-06-20 2007-01-11 Souta Tanaka 健康器具
US7367928B2 (en) 2006-08-28 2008-05-06 Shimon Storch Exercise device
US20170014666A1 (en) 2015-07-16 2017-01-19 Michael C. Sather Rotational Fitness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674B1 (ko) * 2021-09-08 2024-07-01 주식회사 이고진 벤치 운동용 바벨 교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US7226402B1 (en)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the major muscle groups of the middle and lower torso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101166981B1 (ko) 멀티 다관절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KR200486552Y1 (ko) 철봉 운동기구
US11696864B2 (en)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US7121989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for inverted abdominal exercises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US5085429A (en) Musculature exercising method
KR20090094588A (ko)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US5462508A (en) Calf cruncher exercise equipment
KR101903711B1 (ko) 푸시업 보조용 운동기구
KR20130049488A (ko) 베드와 고무벨트를 이용한 다목적 헬스기구키트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570229B1 (ko) 뜀뛰기 운동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190001789U (ko)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CN209997106U (zh) 一种用于卷腹训练的辅助装置
CN114602132B (zh) 一种医用康复训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