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614Y1 -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614Y1
KR200342614Y1 KR20-2003-0037149U KR20030037149U KR200342614Y1 KR 200342614 Y1 KR200342614 Y1 KR 200342614Y1 KR 20030037149 U KR20030037149 U KR 20030037149U KR 200342614 Y1 KR200342614 Y1 KR 200342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ed
rotating member
support rod
body portion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이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복 filed Critical 이윤복
Priority to KR20-2003-0037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614Y1/ko
Priority to PCT/KR2004/002996 priority patent/WO2005052278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2011/1806Balcony guard with additional child safet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발코니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 상부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대향 고정된 원환상의 지지봉과, 상기 일측의 지지봉에 삽입되도록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역회전방지부로 구성된 일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타측의 지지봉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와 대향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에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양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일방, 양방향 회전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 횡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는 상부의 회전 횡대가 발코니 등의 내측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아파트 발코니, 계단 또는 일반 건물의 창문측의 난간에 조립식으로 간편히 설치됨으로서 반대편으로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Fall preventing guard railing}
본 고안은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린이 등이 발코니 하부의 횡대를 밟고 올라가 최상부의 횡대를 붙잡아 올라서 반대편으로 넘어 추락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경우에 발코니에는 최소한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 높이의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베란다 난간이 최소 높이로 설치되는 이유는 베란다는 탁트인 바깥쪽을 전망하면서 화초를 기르고 휴식을 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어른과 마찬가지로 어린이도 베란다에서 탁트인 바깥쪽을 전망하기 위하여 시야를 가린 베란다의 난간을 밟고 올라가 최상단의 횡대에 매달려 밖을 보다가 난간 바깥쪽으로 추락하는 위험이 자주 발생한다.
성인인 경우에도 발코니 난간에 기대고 있다가 발이 발코니 바닥에서 미끄러져 손 등 신체의 일부가 난간 최상부의 횡대에 닿아 발코니 바깥쪽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추락방지용 난간은 베란다 난간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 베란다 난간의 상부에 보조적으로 천정 높이까지 추락방지용 난간을 조립 설치하는 구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발코니의 본래의 기능인 탁트인 바깥쪽을 전망하면서 화초를 기르고 휴식을 하는 장소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고, 화재 등의 긴급 상황시 발코니 창문쪽으로는 대피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의 회전 횡대가 발코니의 내측으로만 회전되는 구조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를 아파트 발코니, 계단 또는 일반 건물의 창문측의 난간에 보조적으로 또는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발코니 난간 최상부의 회전 횡대를 붙잡고 반대편으로 넘어 추락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발코니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 상부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대향 고정된 원환상의 지지봉과, 상기 일측의 지지봉에 삽입되도록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역회전방지부로 구성된 일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타측의 지지봉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와 대향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에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양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일방, 양방향 회전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 횡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의 상단부를 쇠파이프로 완전히 막지 않으면서도 추락방지 기능을 충분히 하고, 넓은 시야를 유지할 수있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기존 발코니 난간에 대략 10cm의 높이로 설치된 최상부의 회전 횡대가 발코니 내측으로만 회전되어 발코니 바깥쪽으로 추락 될 수 없는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의 일예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의 일방향 회전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의 역회전방지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설치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의 일방향 회전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난간 2. 상부 횡대
10.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20. 지주대
21. 통공 22. 체결공
23. 지지봉 체결볼트 24. 클램프부
25. 개구부 26. 고정쇠
27. 난간 상부 체결볼트 30. 지지봉
40. 일방향 회전부재 41. 몸체부
43. 삽입공 44. 삽입홈
45. 역회전방지부 46. 롤러베어링
50. 양방향 회전부재 52. 몸체부
53. 삽입공 60. 회전 횡대
100. 일방향 회전부재 101. 몸체부
110. 역회전방지부 111. 톱니기어
112. 걸림턱 120. 지주대
121. 걸림편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는 발코니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 상부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대향 고정된 원환상의 지지봉과, 상기 일측의 지지봉에 삽입되도록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역회전방지부로 구성된 일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타측의 지지봉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와 대향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에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양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일방, 양방향 회전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 횡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10)는 발코니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1) 상부의 양끝단에 각각 입설되는 지주대(20)와,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대향 고정된 원환상의 지지봉(30)과, 상기 일측의 지지봉(30)에 삽입되도록 중공의 삽입공(43)이 형성된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역회전방지부(45)로 구성된 일방향 회전부재(40)와, 상기 타측의 지지봉(31)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와 대향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52)에 중공의 삽입공(53)이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양방향 회전부재(50)와, 상기 일방, 양방향 회전부재(40, 5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되어 일방으로만 회전되는 회전 횡대(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대(20)는 상부에 상기 지지봉(30)이 삽입되는 통공(21)이 형성되어 일측단면에 형성된 체결공(22)을 통해 상기 통공(21)에 삽입된 지지봉(30)이 체결볼트(23)로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20)의 하부에는 상기 난간(1)의 상부 횡대(2)의 일단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클램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24)의 개구부(25)측에는 고정쇠(26)가 체결볼트(27)로 나사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의 몸체부(41)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회전 횡대(60)의 중공의 일측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 횡대 체결턱(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는 상기 몸체부(41)의 삽입공(43)의 일측 내면에는 원환상의 삽입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4)에는 상기 삽입공(43)에 삽입된 지지봉(30)과 면접되도록 돌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롤러베어링(46)이 구비된 역회전방지부(45)가 고정된다.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롤러베어링(46)이 구비된 역회전방지부(45)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부품으로 많이 적용되는 일방향(one-way)클러치베어링(도시 않함)의 구조로 설명될 수 있어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역회전방지부(45)의 작동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의 몸체부(41)의 삽입공(43)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44)의 일측에 내삽 또는 일체로 고정된 역회전방지부(45)의 내측면(45a)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개구공(45b)에는 상기 롤러베어링(46)이 등간격으로 돌출 배치된다.
상기 롤러베어링(46)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베어링(46)이 상기 지지봉(30)과의 면접이 긴밀하게 되고 회전될 때에는 회동이 용이하도록 탄발력을 주는 스프링 등으로 된 탄성부재(47)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베어링(46)과 탄성부재(47)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베어링(46)의 회전에 따라 내부에서 밀려 이동되는 위치에는 상기 롤러베어링(46)이 일방향으로 회전이 될때는 큰 직경(48b)의 형상에 위치되고, 상기 롤러베어링(46)이 역방향으로 회전이 될 때에는 작은 직경(48a)의 형상에 위치되도록 원호형의 경사홈(48)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역방향 즉, 발코니 바깥쪽 방향으로 상기 롤러베어링(46)이 회전되면 롤러베어링 스톱퍼의 역할을 하는 상기 경사홈(48)의 작은 직경(48a)에 걸려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30)과 결합된 일방향 회전부재(40)의 역방향회전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회전부재(50)의 몸체부(52)의 삽입공(53)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4)에는 상기 타측 지지봉(31)과 면접되는 내측면에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코팅 처리된 링형 베어링(51)이 내삽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횡대(60)가 일방향 즉, 발코니 내측방향으로 회전되면 동시에 상기 회전 횡대(6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일측 지지봉(30)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일방향 회전부재(40)가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의 삽입홈(44)에 고정된 역회전방지부(45)의 롤러베어링(46)이 상기 일측의 지지봉(30)과 면접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동시에 상기 회전 횡대(50)의 타측에 체결된 양방향 회전부재(46)도 회전된다.
역으로, 상기 회전 횡대(60)를 발코니 바깥쪽 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상기 회전 횡대(60)의 일측에 고정된 일방향 회전부재(40)가 회전되려하고, 동시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40)의 삽입홈(44)에 고정된 역회전방지부(45)의 롤러베어링(46)이 상기 지지봉(30)과 면접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순간 상기 역회전방지부(45)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홈(48)의 작은 직경(49)에 걸려 역방향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 횡대(60)가 회전되지 않아 상기 타측 지지봉(31)에 결합된 양방향 회전부재(46)도 회전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10)는 다음과 같이 설치 및 작동된다.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난간(1)의 상부 양끝단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지주대(20)를 상기 발코니 난간(1)의 상부 양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회전 횡대(60)는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어린이가 베란다 난간(1)을 딛고 상기 회전 횡대(60)를 손으로 잡아 올라가려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발코니 난간(1)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횡대(60)는 발코니 내측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10)의 바깥쪽으로 넘어갈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최상부에 위치된 회전 횡대(60)에 상체를 기대고 있는 상태의 어른인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회전 횡대(60)는 베란다 바깥쪽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기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대고 있는 상태에서 두 발이 발코니 바닥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무게 중심이 베란다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넘어가려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와 같은 경우에 중심축역할을 하는 회전 횡대(60)에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닿는 동시에 상기 회전 횡대(60)는 발코니 내측의 아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어른도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10)의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추락되지 않는다.
즉, 베란다 바깥쪽으로 추락이 가능하려면 발이 발코니 바닥면에서 떨어진 후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상기와 같이 난간 최상부에 배치된 회전 횡대(60)에 닿지 않고 높이뛰기를 하듯이 난간 최상부의 회전 횡대(60)를 점프해서 넘어서야 가능하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의 일방향 회전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방향 회전부재(100)는 상기 몸체부(101)의 일측에 원환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져 일측에 걸림턱(112)이 형성된 톱니기어(111)를 갖는 역회전방지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톱니기어(111)가 역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일측의 걸림턱(112)이 상기 지주대(120)의 일측에 상기 톱니기어(111)의 걸림턱(112)과 인접배치되도록 힌지 고정된 걸림편(121)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다.
즉,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의 몸체부(101)가 발코니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역회전방지부(110)의 톱니기어(111) 일측의 걸림턱(112)이 상기 걸림편(121)의 끝단부(121a)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 구조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가 일방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110)는 상기 지주대(120)에 고정된 지지봉(130)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대(120)의 내측면에 면접되는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의 몸체부(101)의 일측 내부면에 원환상의 절삭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원환상의 절삭공(113)의 내측면에는 발코니 바깥쪽 방향으로 수직날 형상의 걸림턱(112)이 선 톱니기어(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톱니기어(111)는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의 일측면에 절삭공이 형성된 몸체부(101)의 내측면 일측 또는 상기 몸체부(101)의 외부면 일측에 원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의 몸체부(101)가 역방향 즉, 발코니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상기 톱니기어(111)의 걸림턱(112)이 걸려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주대(120)의 내측면의 상기 톱니기어(111)가 인접배치되는 위치에 돌출된 힌지축(122)이 고정되고, 상기 돌출된 힌지축(122)에 상기 걸림편(112)이 힌지 고정된다.
상기 걸림편(112)의 일측에는 상기 톱니기어(111)의 회전에 따른 탄발력이 유지되도록 인장스프링(1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123)의 타단은 상기 지주대(120)의 힌지축(122)의 인접된 위치에 돌출된 고정핀(123a)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112)과 인장스프링(123)은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100)의 몸체부(101)에 형성된 톱니기어(11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주대(120)에 고정된 지지봉(13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1)의 상부에 보조적으로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유치원의 놀이방, 건물 계단 또는 창문측 난간(도시 않함)의 상부에 보조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아파트 베란다의 시공시에 베란다 난간(1)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무단침입을 방지용으로 담장 또는 창문틀 난간(도시 않함)의 상단부에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 횡대가 담장 또는 창문틀의 바깥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하여 담장 또는 창문틀의 바깥쪽에서 담장 또는 창문틀 난간의 상부 회전 횡대를 딛고 넘어 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20) 사이의 회전 횡대(60)는 상기와 같이 이미 설치된 발코니 난간(1)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일측의 회전 횡대(도시 않함))가 타측의 회전 횡대(도시 않함)에 내삽 가이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는 상부의 회전 횡대가 발코니 등의 내측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아파트 발코니, 계단 또는 일반 건물의 창문측의 난간에 조립식으로 간편히 설치됨으로서 반대편으로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주택의 담장의 난간에 상부의 회전 횡대가 담장 바깥측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설치된 난간에 보조로 설치되는 높이가 대략 10cm면 충분하기 때문에 추락방지 기능을 충분히 하면서도 넓은 시야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 설치에 필요한 운송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발코니 또는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 상부의 양단에 각각 입설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대향 고정된 원환상의 지지봉과,
    상기 일측의 지지봉에 삽입되도록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 역회전방지부로 구성된 일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타측의 지지봉에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와 대향되게 삽입되도록 몸체부에 중공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양방향 회전부재와,
    상기 일방, 양방향 회전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된 회전 횡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삽입공의 일측 내면에는 원환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지지봉과 면접되도록 돌출 배치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롤러베어링이 구비된 역회전방지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원환상으로일방향으로 경사져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톱니기어를 갖는 역회전방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기어가 역방향 회전시에는 일측의 걸림턱이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상기 톱니기어의 걸림턱과 인접배치되도록 힌지 고정된 걸림편에 걸려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상부에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일측단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상기 통공에 삽입된 지지봉이 체결볼트로 나사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기 난간의 상부 횡대의 일단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클램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의 개구부측은 고정쇠를 체결볼트로 나사고정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2003-0037149U 2003-11-28 2003-11-28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0342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49U KR200342614Y1 (ko) 2003-11-28 2003-11-28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PCT/KR2004/002996 WO2005052278A1 (en) 2003-11-28 2004-11-19 Guardrail for preventing fall-o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49U KR200342614Y1 (ko) 2003-11-28 2003-11-28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614Y1 true KR200342614Y1 (ko) 2004-02-18

Family

ID=3463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149U KR200342614Y1 (ko) 2003-11-28 2003-11-28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42614Y1 (ko)
WO (1) WO20050522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190101530A (ko) * 2018-02-23 2019-09-02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419U (ja) * 1984-06-07 1985-12-26 山崎 慶市郎 笠木の連結装置
DE19500457A1 (de) * 1995-01-10 1996-07-11 Kreusel Magda Bauelementesatz zum Ausrichten und Befestigen eines Pfostens
DE19503543C2 (de) * 1995-02-03 1999-10-14 Wilfried Hamm Horizontales Geländersystem
JP3400202B2 (ja) * 1995-09-27 2003-04-28 東陶機器株式会社 手摺り
DE29711240U1 (de) * 1997-06-27 1997-08-28 Zimlich Kunststofftechnik Gmbh Griffhaltesystem
IT1309968B1 (it) * 1999-04-14 2002-02-05 Ferro Nicolo Ringhiera realizzata con elementi assemblabili, in particolare perbalconi e scale
DE19934192A1 (de) * 1999-07-21 2001-02-08 Eduard Aumer Handlauf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43B1 (ko) * 2004-05-27 2011-08-04 이윤복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0892496B1 (ko) *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KR20190101530A (ko) * 2018-02-23 2019-09-02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KR102105120B1 (ko) * 2018-02-23 2020-05-29 이관궁 자살방지 펜스용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2278A1 (en)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16B2 (en) Integrated safety rail protection system
KR100595482B1 (ko) 추락 방지용 베란다 건축용 난간 구조
US4556201A (en) Handrail for toddlers
KR20040069307A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105444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200342614Y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0580185B1 (ko) 추락 방지용 베란다 난간 구조
KR100513230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KR100715989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설치구조
KR200404760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JP2007315157A (ja) 鳥よけ装置の機能を持った手すり
KR1020138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코니 난간
KR200401932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JP4119445B2 (ja) 階段手摺の横桟材取付構造
TWI541056B (zh) Fixed slides
KR100514577B1 (ko) 아파트 발코니의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난간장치
JP3503507B2 (ja) フェンスの構造
KR200196562Y1 (ko) 어린이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KR100205635B1 (ko)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보호난간
JPS5935701Y2 (ja) 手摺の乗越え防止構造
JP3503508B2 (ja) フェンスの構造
JP7256695B2 (ja) 後付け手すり
KR20240008748A (ko) 대피 기능을 갖는 발코니 난간
KR20080110046A (ko) 안전지지대
KR20030025810A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