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73B1 -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73B1
KR102433173B1 KR1020210159012A KR20210159012A KR102433173B1 KR 102433173 B1 KR102433173 B1 KR 102433173B1 KR 1020210159012 A KR1020210159012 A KR 1020210159012A KR 20210159012 A KR20210159012 A KR 20210159012A KR 102433173 B1 KR102433173 B1 KR 10243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wire
unit
gu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충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21015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16Manually or spring operated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설치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인 지주부와, 지주부에 연결되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고, 설치물을 설치가능한 설치부와, 지주부에 설치되고, 설치부에 구비되는 제1와이어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강조작부 및 승하강조작부와 설치물을 연결하며, 설치물을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제1와이어부가 이동함에 따라 설치물이 설치부에 위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하강 장치{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영상 감시 장치 등은 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에 광원을 발생시키는 조명등이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등을 설치하고 주변 환경에 빛을 제공하거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조명등이나, 카메라 등의 설치물은 주기적으로 점검, 필요 시 수리 또는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 설치물의 점검을 위한 작업자가 지주를 타고 직접 위로 올라가 설치물을 해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 등의 전동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물을 지주부의 상단에서 지면으로 내리는 방법이 있으나, 이를 위한 전자 장비, 설치물의 이동을 위한 별도 구조 등이 요구되며 영상 감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5211호(2019.11.11 등록, 발명의 명칭: 카메라 승하강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터 등의 전동 장치 없이 수동으로 조명등, 카메라 등 설치물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한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에 설치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인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고, 설치물을 설치가능한 설치부;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는 제1와이어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강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조작부와 상기 설치물을 연결하며, 상기 설치물을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설치물이 상기 설치부에 위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는 설치베이스부; 상기 설치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물과 접촉이 가능한 홀더접촉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홀더접촉부에 접촉한 상기 설치물 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설치물과 접촉하여 상기 설치물의 위치 고정이 가능한 클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내부가 중공이며 지면에 설치가능하고, 상기 승하강조작부가 설치되는 지주본체;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지주본체와 상기 설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접촉가능한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물은, 상기 제2와이어부와 상기 제1와이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 장치는, 지면에 있는 작업자가 승하강조작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1와이어부를 이동시켜, 설치물을 설치부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위치 고정 해제시킬 수 있고, 제2와이어부를 이동시켜 설치부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물을 이동시킨 후 설치물의 점검, 수리, 교체 등을 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승하강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조작부, 제2조작부에 의해 제2와이어부, 제1와이어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모터 등의 전동 장치가 요구되지 않고, 승하강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이 설치부에 접촉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제1와이어부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이동하는 클램프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에 설치되는 승하강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이 지면을 향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이 설치부에 접촉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 및 설치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제1와이어부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이동하는 클램프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에 설치되는 승하강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이 지면을 향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 장치(1)는 지면(G)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G)으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높이에 그 목적에 따라 광원을 조사하는 조명등이나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모듈(module)과 같은 설치물 모듈(31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1)는, 지주부(100), 설치부(200), 설치물(300), 승하강조작부(400), 제2와이어부(500), 제2가이드부(600), 제어함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100)는 지면(G)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지주본체(110),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는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본체(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도 1 기준 하단부)는 지면(G)에 볼트(bolt) 등의 체결부재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제1와이어부(240), 제2와이어부(500), 케이블(350)이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는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높이에 따라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거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에는 뒤에 설명할 승하강조작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는 소정 영역이 절개되며 설치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설치홈부(111)에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조작하우징(41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가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를 조작하지 않을 때는 조작하우징(410)을 커버할 수 있는 조작하우징커버(도면 미도시)가 조작하우징(410)에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조작부(400)와 관련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에는 뒤에 설명할 제2가이드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60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와 접촉가능하며,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의 이동 경로를 각각 안내할 수 있는 것으로, 제2가이드하우징(610)과 복수 개의 제2가이드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하우징(610)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2가이드롤러(630)가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본체(110)는 소정 영역이 절개되며 제2가이드부(600),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하우징(610)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홈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가이드롤러(6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하우징(610)이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하우징(6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제2가이드롤러(630)가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지주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가이드부(600) 및 제2가이드부(600)에 접촉되며 이동가능한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를 보호하기 위한 제2가이드커버(도면 미도시)가 제2가이드하우징(610) 또는 설치홈부(113)가 형성되는 지주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 개폐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600)와 관련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이고, 지주본체(110)와 뒤에 설명할 설치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는 지주본체(11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지주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부가 중공이며,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횡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되거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는 지주본체(110)의 소정 높이에서 지주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지주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면(G)과 수직을 이루는 지주본체(110)와 수직을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치부(200)와 지주본체(110)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지주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50)는 설치부(200)와 지주본체(110)를 연결하고, 중공인 내부 영역에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이동가능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0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연결부(150)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면(G)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00)는 설치물(30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제1와이어부(240)가 이동됨에 따라 설치부(200)에 접촉되는 설치물(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접촉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 등의 전동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설치물(300), 예를 들어, 조명등이나 카메라와 같은 설치물 모듈(310)의 수리나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가 지면(G)에서 수동으로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를 조작하여 제1와이어부(240)를 이동시킴으로써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설치물(300)을 설치부(200)로부터 접촉 해제시키고, 지면(G)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 전원을 요구하는 모터 등의 전동 장치와 부수적인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승하강 장치(1)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의 이동과 같은 간단한 동작으로 설치물(300)을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지면(G) 측으로 설치물(3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부(200)와 설치물(300)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어 조명등, 카메라 등의 설치물(300)의 수리,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00)는 설치베이스부(210), 설치하우징부(220), 클램프부(230), 제1와이어부(240), 홀더접촉부(250), 제1가이드부(260),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21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연결부(150)와 연결되는 것으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부(15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210)에는 뒤에 설명할 클램프부(230), 홀더접촉부(250), 제1가이드부(260),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베이스부(210)에는 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부와 중심을 공유하는 홀더접촉부(250)가 설치베이스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210)에는 가이드홀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뒤에 설명할 클램프부(230), 구체적으로 걸침부(235)가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를 통과하여 설치베이스부(210)의 상면(도 2 기준)에 걸쳐짐으로 인하여 상기 걸침부(235) 및 걸침부(235)에 연결되는 클램프본체(231)가 가이드홀부(211)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 231A, 231B)가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에 접촉되는 설치물(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안정적으로 접촉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는 복수 개의 클램프본체(23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는 설치베이스부(210)를 커버하며 설치베이스부(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개구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는 내부가 중공이고, 설치하우징부(220)의 내부에는 제1가이드부(260),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에는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는 일측이 설치하우징부(220)의 내면에 체결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가 설치하우징부(220)에 체결됨으로 인하여,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 및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유도부(285)가 설치베이스부(210)로부터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뒤에 설명할 설치물(30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500)는 제2와이어 유도부(285)에 형성되는 통과홀부(286)를 통과하여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걸쳐지며,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회전 중심과 중심을 공유하고,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을 관통하는 배출홀부(280H)를 통해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측면으로 배출되고, 연결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의 상측(도 2 기준)에는 개폐가능하도록 설치하우징커버(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가 설치베이스부(210)를 커버하며 설치베이스부(210)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1가이드부(260),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 제1와이어부(240),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 등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하우징부(220)는 일측이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연결부(15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설치하우징부(220)의 일측에는 연결부(150)의 내부 영역과 연통될 수 있는 홀(hole)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230)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제1와이어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230)는 지면(G)에서 소정 높이에 배치되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를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2조작부(45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240)가 이동됨에 따라 제1와이어부(2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230)는 설치물(300), 예를 들어 조명등, 카메라와 같은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와 접촉가능하며, 클램프부(230)가 모듈홀더부(330)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클램프부(23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230)는, 클램프본체(231), 걸침부(235), 탄성부재(237), 이탈방지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본체(231)는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와 접촉이 가능한 것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이 구비되나,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이동하며 모듈홀더부(330)와 접촉 및 접촉 해제 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클램프본체(231)가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를 전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도 4,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본체(231)는 한 쌍(231A, 231B)이 구비되며, 각각 설치베이스부(2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칭으로 설치베이스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본체(231)는 일측이 설치베이스부(2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는 각각 제1축(AX1)과 제2축(AX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본체(231A)는 제1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제1클램프본체(231A)가 제1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10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2클램프본체(231B)가 제2축(AX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에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와 접촉될 수 있고,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10의 상태에서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237)의 탄성 복원력과 제1와이어부(240)가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1클램프본체(231A)는 제1축(AX1)을 회전 중심축으로 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클램프본체(231B)는 제2축(AX2)을 회전 중심축으로 반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와 클램프부(230),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와의 접촉이 해제되며,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로부터 상대 이동하며 멀어질 수 있다.
설치물(300)과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클램프부(230)에 구비되는 클램프본체(231)와 접촉 해제된 상태에서는 설치물(300)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설치부(200)로부터 지면(G)에 있는 작업자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조명등, 카메라 등과 같이 지면(G)으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높이에 설치된 설치물 모듈(310)의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 지주부(100)를 타고 높은 위치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이 지면(G)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설치물(300)을 지면(G)을 향해 이동시켜 쉽게 설치물 모듈(310)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작업자가 승하강조작부(400)에서 뒤에 설명할 제2조작부(450)를 수동으로 간단히 조작함으로 인하여 설치물(300)과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클램프부(230)와의 접촉으로 인한 위치 고정 상태를 설정 및 해제할 수 있고, 뒤에 설명할 제1조작부(430)를 수동으로 간단히 조작함으로 인하여 지면(G)에서 수리 및 점검이 끝난 설치물(300)을 다시 설치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작업자가 지면(G) 상에서 지주부(100)에 설치되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를 각각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모터와 같은 전동 장치가 필요 없고, 이러한 전동 장치 설치로 인한 과다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어 승하강 장치(1)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5,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본체(231), 구체적으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의 각 내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고정부(232)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의 각 내면에서 형성되는 고정부(232)는 클램프본체(231, 231A, 231B)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32)는 제1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방향을 따라 고정부(232)의 중심에서 양측(도 5 기준 상하측)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32)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며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모듈홀더부(330)의 둘레를 따라 고정부(23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안착홈부(33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32)가 모듈홀더부(330)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안착홈부(333)에 접촉되면 모듈홀더부(330)는 클램프본체(231)에 접촉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즉, 설치부(200)에 설치물(300)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설치부(200)에 설치물(300)이 위치 고정되는 상태는 지주부(100)의 상측에서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설치물 모듈(310)이 작동가능한 상태로, 예를 들어, 설치물(300)이 조명등인 경우에는 외부 환경에 광원을 제공할 수 있고, CCTV 카메라인 경우에는 외부 상황을 촬영 및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2, 도 3, 도 7,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침부(235)는 클램프본체(23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치베이스부(210)를 관통하며 상기 설치베이스부(2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 걸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침부(235)는 설치베이스부(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본체(231)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될 수 있고,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를 통과하여 설치베이스부(2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 걸쳐질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침부(235)는 클램프본체(231)가 회전됨에 따라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걸침부(235)의 일면은 설치베이스부(2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과 면접촉된 상태이므로 클램프본체(231)가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설치베이스부(210)와 면접촉하는 걸침부(235)의 일면의 폭은 가이드홀부(2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침부(235)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침부(235)에는 제1와이어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걸침부(235)에 각각 제1와이어부(240)가 연결될 수 있고, 지면(G)에 있는 작업자가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1와이어부(240)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걸침부(235) 및 걸침부(235)와 연결되는 클램프본체(231)를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는 걸침부(235)를 관통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와이어부(240)가 클램프부(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걸침부(235)에 별도의 링(ring)이 구비되고, 상기 링에 제1와이어부(240)가 묶임 방식으로 위치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5,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37)는 클램프본체(231)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37)의 양측은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각각 접촉 가능하며, 클램프본체(231)가 이동됨에 따라 압축 가능하고, 클램프본체(231)에 전달되는 제1와이어부(240)의 구동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37)는 스프링(spring)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연결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237)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제1와이어부(240)의 이동으로 인한 동력을 전달받아 제1축(AX1), 제2축(AX2)을 각각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될 수 있다.
도 7, 도 9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에 의해 클램프부(230)에 전달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37)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되고,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는 제1축(AX1), 제2축(AX2)을 각각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37)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각각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1와이어부(240)로부터 동력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미리 설정되는 간격을 가지며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를 이격 배치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239)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탈방지부(239)의 일면은 설치베이스부(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그 사이에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 탄성부재(23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클램프본체(231), 탄성부재(237)가 지면(G)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베이스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부(240)는 설치부(200)와,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와이어부(240)는 미리 설정되는 길이를 가지며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와이어부(240)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구비되는 걸침부(235)에 연결되며 클램프부(23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8,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제2조작부(450)에 외력을 가하여 제1와이어부(240)를 감을 수 있는데, 제1와이어부(240)가 제2조작부(450), 구체적으로 제2풀리부(453)에 감김에 따라 지주부(100)의 내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가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1축(AX1), 제2축(AX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고, 클램프본체(231)에 연결되는 걸침부(235)가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작업자는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홀더접촉부(2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를 조작하여 제1와이어부(240)에 외력을 가하여 상측에서 하측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클램프본체(23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 안착되며, 모듈홀더부(330)를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부(240)는 제1가이드부(260),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에 접촉되며,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 제2가이드부(6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부(240)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설치되는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와이어 가이드부(270)는 제1와이어 가이드본체(271), 제1와이어 가이드서브(2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 가이드본체(271)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제1와이어부(240)가 관통되며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는 제1와이어부(240)를 감싸며 제1와이어부(240)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 가이드서브(273)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롤러(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가 상기 롤러에 접촉됨으로 이하여 제1와이어부(2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부(240)는 뒤에 설명할 제2가이드부(600)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부(240)는 제2가이드부(600)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롤러(630)에 접촉되며,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1와이어부(240)가 제2가이드부(600)에 걸쳐지며 이동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1와이어부(240)가 지주부(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2가이드부(600)를 통과한 제1와이어부(24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램프부(230), 구체적으로 걸침부(235)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24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조작부(4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는 제2조작부(450), 구체적으로 제2풀리부(45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풀리부(453)가 회전됨에 따라 제2풀리부(45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도 2, 도 5,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접촉부(250)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와 접촉가능하다. 홀더접촉부(250)는 뒤에 설명할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접촉부(250)는 길이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 중심축에서 내주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홀더접촉부(250)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 형상도 홀더접촉부(25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모듈홀더부(330)가 홀더접촉부(25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삽입 안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5,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접촉부(250)는, 모듈홀더부(330)를 향하는 일면(도 5 기준 하면)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방지부(2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2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홀더접촉부(25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부(251)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횡단면적의 넓이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방지부(251)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삽입홈부(3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접촉부(250)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51)가 모듈홀더부(330)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부(331)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모듈홀더부(330)가 홀더접촉부(250)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전방지부(251)의 외주면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260)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가이드롤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롤러(26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가이드롤러(261)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각각 케이블(350)과 접촉되며 케이블(3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케이블(350)이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지주부(100)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350)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2와이어부(500), 제1와이어부(240)와 서로 접촉되며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가이드롤러(261)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부에 케이블(350)이 삽입 안착되며, 안정적으로 케이블(3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가이드롤러(261)는 풀리(pully)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는 제2와이어부(500)와 접촉가능한 것으로, 제2와이어부(50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는 설치하우징부(2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 제2와이어 유도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는 일측이 설치하우징부(220)의 내면에 연결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와 설치하우징부(220)는 별도의 체결부재(도면 부호 미설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가 설치하우징부(220)에 위치 고정되며 배치됨으로 인하여 설치베이스부(210)와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부(270)가 설치베이스부(210)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260)와 이격 배치되며, 제1가이드부(260)를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350)과 별도의 경로로 제2와이어부(500)가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2와이어부(500)와 케이블(350)이 독립적인 경로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는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가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와이어부(50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에는 배출홀부(280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부(280H)는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의 측면에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출홀부(280H)는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회전 중심과 중심을 공유하며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 상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제2와이어부(500)는 연결부(150)의 내부로 유입되고, 연결부(150)를 통과하여 제2가이드롤러(630)와 접촉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 유도부(285)는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281) 또는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치베이스부(210)와 마주보는 일면에 통과홀부(28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와이어 유도부(285)의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통과홀부(286)에 제2와이어부(500)가 통과할 수 있고, 통과홀부(286)의 내측에 제2와이어부(50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를 향해 이동하는 제2와이어부(500)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과홀부(286)의 내주면에는 제2와이어 유도부(28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촉롤러(도면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와이어부(500)가 접촉롤러에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롤러가 회전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제2와이어 유도부(285)에 형성되는 통과홀부(286)의 내주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마찰로 인해 제2와이어 유도부(28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7, 도 8,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300)은 설치부(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것으로,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치물(300)은 지면(G)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하강 장치(1)의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등이거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면(G)으로부터 미리 설정되는 높이까지 이동시킨 다음 설치, 구동되며 필요 시 지면(G) 상으로 하강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전자 물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300)은 그 구성이 주변 환경을 촬영하며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예로 하여 기재하였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물(300)이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300)은 설치물 모듈(310), 모듈홀더부(330), 케이블(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물 모듈(310)은 설치물(300)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외부 영상을 촬영 및 획득할 수 있는 CCTV 카메라 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치물 모듈(310)은 조명등일 수 있다.
설치물 모듈(310)은 뒤에 설명할 케이블(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블(350)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설치물 모듈(310)이 카메라 모듈인 경우에, 설치물 모듈(310)은 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는 공지된 바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물 모듈(310)은 모듈홀더부(330)와 연결될 수 있고, 모듈홀더부(33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도 7, 도 8,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는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것으로,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는 설치베이스부(210)에 연결되는 홀더접촉부(250)와 접촉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은 홀더접촉부(25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모듈홀더부(330)가 홀더접촉부(25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길이 방향 중심축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를 마주보는 모듈홀더부(33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는 삽입홈부(331)가 소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부(331)는 모듈홀더부(330)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51)가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부(331)는 복수 개의 회전방지부(251)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삽입홈부(331)는 모듈홀더부(33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홈부(33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홀더접촉부(250)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51)가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삽입홈부(331)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며 안착홈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부(333)는 모듈홀더부(33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는 클램프본체(23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부(232)가 안착홈부(333)의 내측에서 안착홈부(333)의 내주면과 접촉되면 모듈홀더부(330)가 클램프본체(231)에 의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하측 방향(도 5 기준)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를 통해 클램프부(230)에 가해지는 동력이 제거되고, 탄성부재(237)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제1축(AX1), 제2축(AX2)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부(232)가 모듈홀더부(330)의 안착홈부(333)과 접촉 해제되며, 이격되게 된다.
모듈홀더부(330)의 안착홈부(333)와 클램프본체(231)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접촉 해제되며 이격됨으로 인하여 설치물(300)은 지면(G)을 향해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부(333)는 상,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착홈부(333)와 마주보는 클램프본체(231), 구체적으로 고정부(23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이때 안착홈부(333)에 삽입되는 고정부(232)도 상,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홀더부(330)의 상측에는 와이어연결부(335)가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연결부(335)는 제2와이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연결부(335)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연결부(335)가 제2와이어부(500)와 연결됨으로 인하여 제2와이어부(500)에 의하여 모듈홀더부(330) 및 모듈홀더부(330)에 연결되는 설치물 모듈(310)이 설치부(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350)은 설치물 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치물 모듈(3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설치물 모듈(310)은 케이블(3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350)은 설치베이스부(210), 홀더접촉부(250), 모듈홀더부(330)를 통과하여 설치물 모듈(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350)은 설치베이스부(210)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60),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롤러(261)와 접촉가능하고, 제1가이드롤러(261)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케이블(350)은 제1가이드롤러(261) 상에서 이동하며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연결부(150)의 내부를 통과하고,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600)와 접촉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350)은 제2가이드부(600),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롤러(630)와 접촉가능하고, 제2가이드롤러(630)를 따라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가이드부(600)를 지난 케이블(350)은 지주본체(110)에 설치되는 제어함체부(700), 구체적으로 제어부(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지면(G)에서 제어함체부(700)에 구비되는 제어부(710)를 조작하여 설치물 모듈(310)의 전원 공급 여부, 구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함체부(700)에는 승하강조작부(400)에 구비되는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와 같은 조작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블(350)은 조작부 상에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제1와이어부(240), 제2와이어부(500)의 이동에 연동되어 지주부(1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조작부(40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지면(G)에 있는 상태에서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조작부(400)는 조작하우징(410),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하우징(410)은 지주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주본체(110)는 조작하우징(410)이 삽입되도록 소정 영역이 절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조작하우징(410)의 소정 영역이 지주본체(110)의 외측에 돌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지주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전 영역이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하우징(410)은 상측에 홀(도면부호 미설정)이 구비될 수 있고,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2와이어부(500), 제1와이어부(240)가 상기 홀을 통과하여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하우징(410)에는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하우징(410)은 개폐가능한 커버(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로 인하여 조작하우징(410)에 설치되는 제1조작부(430), 제2조작부(450)가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오염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작부(430)는 조작하우징(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와이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조작부(430)는 제1플레이트부(431), 제1풀리부(433), 제1회전제한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부(431)는 조작하우징(410)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제1풀리부(43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풀리부(433) 상에 제2와이어부(500)가 감김 또는 풀림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풀리부(433)에는 제1조작레버(도면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작업자는 제1조작레버를 반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풀리부(433)에 제2와이어부(500)가 감기도록 조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조작레버는 제1풀리부(433)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필요 시 제1풀리부(433)에 연결되었다가, 작업 완료 시 탈거되며 연결 해제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와이어부(500)가 제1풀리부(433)에 감기는 상태에서는, 제2와이어부(500)가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상측에서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되고, 즉 제2와이어부(500)에 연결되는 설치물(300)은 하측에서 상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제한부(435)는 제1플레이트부(431)와 제1풀리부(433)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제1회전부(436), 제1스토퍼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436)는 제1풀리부(433)와 연결되며, 제1풀리부(433)의 회전에 연동되며 회전될 수 있다. 제1스토퍼부(437)는 제1플레이트부(4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회전부(436)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부(437)는 제1회전부(43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스토퍼부(437)는 제1회전부(436)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스토퍼부(437)는 소정 위치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스토퍼부(437)는 제1회전부(436)와 접촉된 상태의 소정 위치에서 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만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며,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회전부(436)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풀리부(433)가 함께 회전하며 제2와이어부(500)를 감을 수 있고, 제1회전부(436) 및 제1회전부(436)와 연결되는 제1풀리부(433)가 이와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스토퍼부(437)가 차단하며, 제1풀리부(433)에 감긴 제2와이어부(5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부(437)는 작업자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제1회전부(43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고, 제2와이어부(500)에 연결되는 설치물(300)의 무게에 의해 제2와이어부(500)가 제1풀리부(433)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제1회전부(436)가 회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스토퍼부(437)는 제1플레이트부(43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작업자 등 외력에 의해 제1플레이트부(431)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며 제1회전부(43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작부(450)는 조작하우징(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와이어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조작부(450)는 제2플레이트부(451), 제2풀리부(453), 제2회전제한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부(451)는 조작하우징(410)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제2풀리부(45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풀리부(453) 상에 제1와이어부(240)가 감김 또는 풀림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풀리부(453)에는 제2조작레버(도면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작업자는 제2조작레버를 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2풀리부(453)에 제1와이어부(240)가 감기도록 조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조작레버는 제2풀리부(453)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필요 시 제2풀리부(453)에 연결되었다가, 작업 완료 시 탈거되며 연결 해제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와이어부(240)가 제2풀리부(453)에 감기는 상태에서는, 제1와이어부(240)가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상측에서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8, 도 10과 같이, 제1와이어부(240)가 이동됨에 따라 제1와이어부(240)와 연결되는 클램프부(230),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1축(AX1), 제2축(AX2)을 각각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설치베이스부(210) 상에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에 접촉된 상태의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 클램프본체(231)에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안착될 수 있다.
고정부(232)가 안착홈부(333)에 안착되며 접촉됨으로 인하여 클램프부(230)가 설치물 모듈(310)이 연결되는 모듈홀더부(3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도 1, 도 4, 도 5와 같이 승하강 장치(1)의 정상 구동 상태에서의 설치물(30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제한부(455)는 제2플레이트부(451)와 제2풀리부(453)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제2회전부(456), 제2스토퍼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456)는 제2풀리부(453)와 연결되며, 제2풀리부(453)의 회전에 연동되며 회전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457)는 제2플레이트부(45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부(456)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457)는 제2회전부(45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스토퍼부(457)는 제2회전부(456)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스토퍼부(457)는 소정 위치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스토퍼부(457)는 제2회전부(456)와 접촉된 상태의 소정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만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며,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회전부(456)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풀리부(453)가 함께 회전하며 제1와이어부(240)를 감을 수 있고, 제2회전부(456) 및 제2회전부(456)와 연결되는 제2풀리부(453)가 이와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도 11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2스토퍼부(457)가 차단하며, 제2풀리부(453)에 감긴 제1와이어부(2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부(457)로 제1와이어부(240)의 풀림이 방지됨으로 인하여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 접촉되며, 설치물(30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부(457)는 작업자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제2회전부(45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고,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7)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클램프본체(231)에 형성되는 고정부(232)와 모듈홀더부(3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설치물(300)의 위치 고정이 해제되고, 설치물(300)이 설치부(200)로부터 지면(G)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스토퍼부(457)는 제2플레이트부(451)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플레이트부(451)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며 제2회전부(45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6,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부(500)는 승하강조작부(400)와 설치물(300)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치물 모듈(3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부(500)는 모듈홀더부(330)에 구비되는 와이어연결부(335)와 연결될 수 있고, 모듈홀더부(330)를 이동시킴에 따라 모듈홀더부(330)와 연결되는 설치물 모듈(3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제2와이어부(500)는 설치베이스부(210)를 통과하여,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부(500)는 제2와이어 유도부(285)에 형성되는 통과홀부(286)를 통과하여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접촉가능하고,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감기거나, 풀리며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와이어부는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를 지나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측면에서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의 회전 중심과 중심을 공유하는 배출홀부(280H)를 통해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는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에 형성되는 배출홀부(280H)를 지나 연결부(15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는 연결부(15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고,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600),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롤러(630)와 접촉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는 제2가이드롤러(630)와 접촉되며 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도 6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제2가이드부(600)로 인하여 제2와이어부(500)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소정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케이블(350), 제1와이어부(240) 등과 엉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가이드부(600)를 통과한 제2와이어부(500)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는 제1조작부(430), 구체적으로 제1풀리부(433)에 연결되며, 제1풀리부(433)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지주부(1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부(500)는 제1풀리부(433)의 회전에 의해 제1풀리부(433)에 감기면서 제2와이어부(500)가 연결되는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부(500)는 제1풀리부(433)의 회전에 의해 제1풀리부(433)에서 풀리면서 제2와이어부(500)가 연결되는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서 지면(G)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600)는 지주부(100), 구체적으로 지주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가이드하우징(610), 제2가이드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600)는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하우징(610)은 지주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가이드부(600)는 제2가이드하우징(610)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롤러(630)는 제2가이드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가이드롤러(630)에는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는 복수 개의 제2가이드롤러(630)를 따라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600)는 연결부(15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와 접촉하면서 이들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부(600)는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제2가이드롤러(630) 상에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2가이드롤러(630)가 롤러 방식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와이어부(240), 케이블(350), 제2와이어부(500)가 안착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는 풀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함체부(700)는 지주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주본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함체부(7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설치물 모듈(310)의 구동을 위한 케이블(350), 기타 전선 및 이들의 구동을 위한 전자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함체부(700)는 개폐가능한 커버(도면부호 미설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필요 시 커버를 개방하여 제어함체부(700)의 내부 구성들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함체부(700)의 내부에는 제어부(710)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710)는 케이블(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제어부(710)를 통해 설치물 모듈(3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함체부(700)의 내부에는 케이블(350)과 접촉가능하며, 케이블(350)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롤러 또는 풀리(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승하강조작부(400)에서 제1조작부(430)를 조작하여 제2와이어부(500)가 이동되면, 설치물 모듈(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350) 또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이 가능한 승하강 장치(1)의 작동 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장치(1)는, 지주부(100), 설치부(200), 승하강조작부(400), 제2와이어부(500), 제2가이드부(600), 제어함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주부(100)는 지주본체(110), 연결부(150)를 포함하며, 지주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면(G)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본체(110)에는 지면(G)에 근접하는 영역에 승하강조작부(400), 제어함체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조작부(400), 제어함체부(700)가 지면(G)에 근접하는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작업자는 설치물 모듈(310)의 점검 및 수리 시 승하강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설치물 모듈(310)이 구비되는 설치물(300)을 설치부(200)에서 지면(G)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설치부(200) 및 설치물(300)이 위치하는 지주부(100)의 높은 위치까지 직접 올라가지 않아도 되며, 설치물(300)을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 등의 구동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승하강 장치(1)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설치물 모듈(310)이 구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 안착되며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8,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부(240)는 승하강조작부(400), 제2조작부(450)에 구비되는 제2풀리부(453)에 감긴 상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풀리부(453)는 제2회전제한부(455)에 의해 회전이 제한이 된 상태이며, 구체적으로 제2스토퍼부(457)가 제2회전부(456)와의 접촉 상태에서 제2회전부(456)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제1와이어부(240)가 제2풀리부(453)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접촉부(250)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251)가 모듈홀더부(330)에 소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삽입홈부(331)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설치물(300)이 설치부(2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구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7, 도 9, 도 12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되는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구동 후, 수리 및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물(300)을 설치부(200)에서 이격시켜 지면(G)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승하강조작부(400),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부(500)가 감기며 위치 고정된 상태의 제1조작부(430), 제1와이어부(240)가 감기며 위치 고정된 상태의 제2조작부(450)를 조작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제1스토퍼부(437)를 제1플레이트부(431) 상에서 이동시켜 제1회전부(436) 및 제1회전부(436)와 연결되는 제1풀리부(433)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풀리부(433)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500)가 풀리며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스토퍼부(457)를 제2플레이트부(451) 상에서 이동시켜 제2회전부(456) 및 제2회전부(456)와 연결되는 제2풀리부(453)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풀리부(453)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부(240)가 풀리며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 도 9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부(240)가 제2풀리부(453)에 감긴 상태가 해제되면서, 클램프부(230),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3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연결되는 걸침부(235)가 설치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부(211)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는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서 이격되며 설치부(200)에 대한 설치물(300)의 위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설치물(300)과 연결되는 제2와이어부(500)도 제1조작부(430), 구체적으로 제1풀리부(433)에서 풀리며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설치물(300)이 중력에 의해 설치부(200)에서 지면(G)을 향해 하측(도 12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는 제2가이드부(600), 제2와이어 가이드부(280),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283)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 경로를 안내받으며 지주본체(110)의 내부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설치물 모듈(310)이 구비되는 설치물(300)은 작업자가 있는 지면(G)까지 내려오게 되고, 작업자는 편리하게 설치물 모듈(310)을 점검 및 수리, 교체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설치물 모듈(310)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작업자는 제1조작부(430), 구체적으로 제1풀리부(433)를 회전시켜 제2와이어부(500)를 감으며 설치물(300)을 설치부(2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설치물(300), 구체적으로 모듈홀더부(330)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홀더접촉부(250)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제2조작부(450), 구체적으로 제2풀리부(453)를 회전시켜 제1와이어부(240)를 감으며 한 쌍의 클램프본체(231A, 231B)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232)가 모듈홀더부(3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33)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설치물(300)은 설치부(200), 구체적으로 클램프부(230)와 접촉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2와이어부(500)와, 제1와이어부(240)는 각각 제1회전제한부(435), 제2회전제한부(455)에 의해 제2와이어부(500), 제1와이어부(240)가 풀리는 방향으로 제1풀리부(433), 제2풀리부(453)가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설치물(300)이 설치부(200)에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하강 장치는 지면에 있는 작업자가 승하강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와이어부를 이동시켜, 설치물 모듈이 구비되는 설치물이 설치부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위치 고정 해제시킬 수 있고, 제2와이어부를 이동시켜 설치부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물을 이동시킨 후 설치물 모듈의 점검, 수리, 교체 등을 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승하강조작부를 조작하여 제1조작부, 제2조작부에 의해 제2와이어부, 제1와이어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모터 등의 전동 장치가 요구되지 않고, 승하강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승하강 장치 G: 지면
100: 지주부 110: 지주본체
111, 113: 설치홈부 150: 연결부
200: 설치부 210: 설치베이스부
211: 가이드홀부 220: 설치하우징부
230: 클램프부 231, 231A, 231B클램프본체
232: 고정부 235: 걸침부
237: 탄성부재 239: 이탈방지부
240: 구동 와이어부 250: 홀더접촉부
251: 회전방지부 260: 제1가이드부
261: 제1가이드롤러 270: 제1와이어 가이드부
271: 제1와이어 가이드본체 273: 제1와이어 가이드서브
280: 제2와이어 가이드부 280H: 배출홀부
281: 제2와이어 가이드베이스 283: 제2와이어 가이드본체
285: 제2와이어 유도부 286: 통과홀부
300: 설치물 310: 카메라 모듈
330: 모듈홀더부 331: 삽입홈부
333: 안착홈부 335: 와이어연결부
350: 케이블 400: 승하강조작부
410: 조작하우징 430: 제1조작부
431: 제1플레이트부 433: 제1풀리부
435: 제1회전제한부 436: 제1회전부
437: 제1스토퍼부 450: 제2조작부
451: 제2플레이트부 453: 제2풀리부
455: 제2회전제한부 456: 제2회전부
457: 제2스토퍼부 500: 제2와이어부
600: 제2가이드부 610: 제2가이드하우징
630: 제2가이드롤러 700: 제어함체부
710: 제어부

Claims (6)

  1. 지면에 설치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인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고, 설치물을 설치가능한 설치부;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는 제1와이어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강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조작부와 상기 설치물을 연결하며, 상기 설치물을 이동시키는 제2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설치물이 상기 설치부에 위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는 설치베이스부; 상기 설치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물과 접촉이 가능한 홀더접촉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홀더접촉부에 접촉한 상기 설치물 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설치물과 접촉하여 상기 설치물의 위치 고정이 가능한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설치물과 접촉이 가능하며, 상기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본체는 각 일단부가 상기 설치베이스부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대향되는 각 타단부는 상기 제1와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본체의 상기 각 타단부는 상기 제1와이어부가 이동함에 따라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내부가 중공이며 지면에 설치가능하고, 상기 승하강조작부가 설치되는 지주본체;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지주본체와 상기 설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와이어부 및 상기 제1와이어부와 접촉가능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물은,
    상기 제2와이어부와 상기 제1와이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장치.
KR1020210159012A 2021-11-18 2021-11-18 승하강 장치 KR10243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2A KR102433173B1 (ko) 2021-11-18 2021-11-18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2A KR102433173B1 (ko) 2021-11-18 2021-11-18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173B1 true KR102433173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012A KR102433173B1 (ko) 2021-11-18 2021-11-18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8A (ko) * 2004-07-08 2006-01-12 손병옥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8A (ko) * 2004-07-08 2006-01-12 손병옥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KR101872365B1 (ko) 조명승강장치
WO2015156513A1 (ko) Cctv 카메라 유지보수용 오토리프트 장치
KR101737375B1 (ko)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KR101230711B1 (ko) 감시카메라 지주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N110552544B (zh)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KR102433173B1 (ko) 승하강 장치
KR101037658B1 (ko) 전기 시설물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EP3392548A1 (en) Lighting tower with safety device
WO2016006887A1 (ko) 카메라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US5517393A (en) Illumination assembly
KR20140110282A (ko) 씨씨티비 카메라 승강장치
WO2017142374A1 (ko) 카메라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0893951B1 (ko) 무대기기 승강장치용 브레이크
KR102520241B1 (ko) 지중배전선 파손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JP4660149B2 (ja) 巻上装置における粉塵飛散防止装置
KR102085261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위치 결정 장치
KR102526432B1 (ko) 안전한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200407488Y1 (ko) 타워 크레인 작업용 감시 카메라 설치구조
KR102419090B1 (ko) 안전시스템을 구비하는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WO2021096090A2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