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65Y1 - 수직벽체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체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65Y1
KR200398665Y1 KR20-2005-0021719U KR20050021719U KR200398665Y1 KR 200398665 Y1 KR200398665 Y1 KR 200398665Y1 KR 20050021719 U KR20050021719 U KR 20050021719U KR 200398665 Y1 KR200398665 Y1 KR 200398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mera
vertical
fram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원
이강문
Original Assignee
(주)엠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오아이 filed Critical (주)엠오아이
Priority to KR20-2005-0021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구조물의 수직벽체의 표면상태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와이어, 구동수단이 구비된 크레인을 포함하는 양중장치; 상기 양중장치 조작에 의하여 와이어에 매달려 벽체와 밀착하여 상하 이동되며 방추형으로 제작되어 벽체에 접하도록 이동바퀴가 모서리부에 설치된 사면체 형태의 하부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부로부터 사면체 중앙축의 상단을 정점부로 상부가 모여진 경사프레임부로 제작된 대차; 및 상기 대차의 경사프레임부 정점부에 벽체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벽체면과 평행하게 와이어 설치부 반대쪽으로 연장된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1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벽체촬영프레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직벽체촬영 장치{Apparatus for Vertical Wall Photographing}
본 고안은 수직벽체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직벽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벽체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는 수직벽체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로 표면의 균열 등을 사진형태로 측정하기 위한 자주식 차량장치가 도 1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차량장치(1)의 상부에는 소정 길이(L1)만큼 돌출된 지지대(2)가 장착되어 있고, 지지대의 단부에는 진행하는 차량의 후방 노면(3)을 촬영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디지탈 카메라(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디지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노면에 대한 영상은 MPEG 엔코더(7,Moving Picture Export Group Encode)와 이미지보드(5, Image Board)에 전송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MPEG 엔코더에 의해 압축된 영상이 저장매체(8)에 저장되도록 하고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은 이미지보드(5)는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석하여 균열이 발생된 프레임을 이미지프로세서(6,Image Process)로 전송하여, 이미지프로세스는 이를 분석하여 균열형상 등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한편 모니터(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노면의 결함상태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차량장치(1)에 장착된 카메라의 경우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의 도로노면을 촬영하기에는 적합할지 모르지만, 아파트, 빌딩의 수직벽체 또는 댐의 표면과 같은 경사진 벽체의 표면을 촬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직벽체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직 벽체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벽체의 표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차량장치로서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수직벽체 촬영을 위한 새로운 수단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물의 수직벽체를 용이하게 촬영하기 위한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수직벽체를 이동거리에 따른 수직벽체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110)를 와인딩할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크레인을 포함하는 양중장치(100);
상기 양중장치(100) 조작에 의하여 와이어(110)에 매달려 벽체(A)와 밀착하여 상,하 이동되는 방추형 프레임조립체로서, 벽체에 접하도록 엔코더(400)가 장착된 이동바퀴(210)가 모서리부에 설치된 사면체 형태의 하부프레임부(22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부로부터 사면체 중앙축의 상단을 정점부로 상부가 모여진 경사프레임부(230)로 제작된 대차(200);
상기 대차(200)의 경사프레임부 정점부에 벽체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벽체면과 평행하게 와이어 설치부 반대쪽으로 연장된 수직프레임부(31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1개의 카메라(330)가 장착된 수평프레임부(320);를 포함하는 벽체촬영프레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 도 2b 및 도 2c 는 본 고안의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구성하는 대차(200)와 상기 대차에 설치된 벽체촬영프레임부(300)를 사시도, 평면도 및 작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대차(200)는 4개의 이동바퀴(210)가 네 모서리부에 설치된 사면체 형태의 하부프레임부(220);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부로부터 사면체 중앙축의 상단을 정점으로 상부가 모여져 정점부(240)를 형성하는 경사프레임부(230)로 제작된다.
상기 하부프레임부 및 경사프레임부에 의하여 조립, 제작되는 대차는 그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수직벽체에 접하면서 수직벽체를 상하로 이동할 때, 벽체표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최대한 벽체 쪽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무게중심은 대차의 상단에 장착되는 벽체촬영프레임부(300)에 의한 무게중심의 이동을 고려하여야 하며, 벽체촬영프레임부(300)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벽체표면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대차를 전체적으로 피라미드 형상 즉 방추형으로 제작하여 벽체 쪽으로 무게중심이 최대한 근접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대차(200)는 형강 등의 강재(강재가 아닌 플라스틱, FRP 등의 다른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로 사면체 형태의 하부프레임부(220)를 형성시키고, 각 하부프레임부(210)의 모서리부로부터 안쪽으로 경사져 하부프레임부(220)의 미도시된 중앙축을 따라 소정의 높이에 모여져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점 프레임이 차지하는 면적 또는 부피가 작아지도록 경사프레임부(230)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방추형(피라미드) 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경사프레임부(230)은 정점부(240)에 모여져 고정된다.
이에 대차(200)의 하부는 하부프레임부(220)에 의한 많은 양의 강재프레임이 형성됨으로서 대차(200)의 무게중심이 벽체(A)와 근접한 대차의 하부로 자연스럽게 쏠리게 되고, 상부는 소정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소정의 카메라(330) 촬영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부(220)의 각 모서리부에는 벽체(A) 표면 위를 대차(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210)가 장착되어 있어 이동바퀴에 의하여 대차(200)가 벽체 표면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바퀴(210)는 최대한 벽체표면과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우레탄 재질로 제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2의 대차(200)에는 각 모서리부 즉 4개의 이동바퀴(210)가 설치되게 된다.
이동바퀴(210)의 수에 따라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최소 4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그 이상의 설치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방추형으로 제작된 대차(200)의 경사프레임부(230)의 정점부(240)에는 벽체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카메라를 장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 본 고안의 벽체촬영프레임부(300)이다.
상기 벽체촬영프레임부(300)도 역시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강 등을 이용한 프레임조립체로서 제작되며, 경사프레임부(230) 정점부(240)에 벽체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벽체면과 평행하게 후술되는 양중장치(300)에 장착된 와이어 결속부 반대쪽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프레임부(310);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1개의 카메라가 설치된 수평프레임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310)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대차의 하부프레임부(220) 및 경사프레임부(230)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돌출된 연장방향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양중장치(100)에 설치된 와이어(110)의 반대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장된 수직프레임부(310)는 대차(200)의 정점부(240)로부터 벽체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벽체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는 정점부(240)로부터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조립체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프레임부(310)의 단부에는 그 중앙부가 고정되어 그 양쪽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된 수평프레임부(32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320)도 역시 수직프레임부(310)와 같이 형강 등을 이용한 프레임조립체로서 제작할 수 있으며, 중앙부 및 양 단부에 3개의 카메라(330)가 설치되어 있으나, 벽체의 구조 및 면적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330)는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에리얼 카메라(Areal Camera)를 이용하게 된다. 즉, 일정한 바닥벽체의 면적을 촬영면으로 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게 되며, 각 카메라는 일정 시점에 있어 동시에 벽체표면의 소정의 면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카메라(300)의 설치위치는 벽체표면으로부터 1.5M, 해상도는 0.2mm 이내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로서 최소 카메라 픽셀(PIXEL)수는 800만 화소정도로 하고, 메모리용량은 최소 100 컷(CUT)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촬영속도는 1 프레임당 1초 이내로 촬영되도록 한다.
이때, 대차(200)의 상하 이동위치에 따라 촬영된 벽체표면을 구분하여 영상을 촬영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대차의 이동위치에 따른 영상을 얻기 위한 수단이 본 고안의 엔코더(400,Encoder)이다.
상기 엔코더(400)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바퀴(230)가 벽체(A)를 따라 상하로 이동함에 따른 벽체의 위치표시신호를 펄스의 형태로 카메라(330)에 전송하는 통상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된 위치표시신호에 의한 위치표시가 촬영된 영상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러한 엔코더(400)는 각 이동바퀴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이동바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미도시 되었지만 엔코더와 카메라는 서로 데이타 이동을 위하여 서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은 수직벽체촬영용 장치 자체에 관한 것이므로 촬영된 영상을 효과적인 데이타로 편집, 가공 및 저장하는 수단 및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수단 및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대차의 이동속도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편집 및 보정은 별도로 제시될 수 있는 영상제어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의하여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는 이에 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위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벽체촬영프레임부(300)가 설치된 대차(200)는 빌딩, 아파트, 댐, 옹벽과 같이 수직벽체가 형성된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양중장치(100)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양중장치(100)는 와이어(110)를 와인딩할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크레인(12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크레인(120)에 의하여 매달려 있는 대차(200)를 수직벽체(A)의 소정의 높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크레인(120)은 대차의 무게 등을 고려한 양중능력을 가지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도르레에 의하여 와이어(1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110)의 단부를 대차(200)의 경사프레임부(230)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로서 크레인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면, 와이어(110)가 도르레에 의하여 와인딩되면서, 와이어에 결속된 대차(200)가 와인딩 방향에 따라 수직벽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10)와 대차(200)의 경사프레임부(230)와의 결속부는 그 위치에 따라 대차(200)의 무게중심부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결속부를 정함에 있어서는 대차(200)의 전체 무게, 바람의 영향 등을 고려한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차 전체 높이의 1/2를 기준으로 벽체쪽으로 근접한 위치에 상기 결속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수직벽체촬영 장치에 의하여 수직벽체에 밀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벽체의 표면을 연속으로 이동거리에 따른 영상을 손쉽게 취득할 수 있으며, 양중장치에 연결된 대차의 중량이 가벼워 작은 양중능력을 가진 소형 자주식 크레인만으로도 촬영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장비운용으로 효과적인 수직벽체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노면촬영용 측정장치가 장착된 차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고안의 수직벽체촬영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및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수직벽체촬영 장치를 수직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양중장치 110:와이어
200:대차 210:이동바퀴
220:하부플레임부 230:경사프레임부
300:벽체촬영프레임부 310:수직프레임부
320:수평프레임부 330:카메라
400:엔코더

Claims (3)

  1. 와이어를 와인딩할 수 있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크레인을 포함하는 양중장치;
    상기 양중장치 조작에 의하여 와이어에 매달려 벽체(A)와 밀착하여 상, 하 이동되는 방추형 프레임조립체로서, 벽체에 접하도록 이동바퀴가 모서리부에 설치된 사면체 형태의 하부프레임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부로부터 사면체 중앙축의 상단을 정점부로 상부가 모여진 경사프레임부로 제작된 대차; 및
    상기 대차의 경사프레임부 정점부에 벽체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벽체면과 평행하게 와이어 설치부 반대쪽으로 연장된 수직프레임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적어도 1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벽체촬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벽체의 표면을 면적형태로 촬영할 수 있는 에리얼 카메라(Areal Came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촬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에는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측정장치로서 엔코더가 더 부착되어 상기 엔코더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신호가 카메라에 전송되어 대차의 이동거리에 따른 벽체표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촬영 장치.
KR20-2005-0021719U 2005-07-26 2005-07-26 수직벽체촬영 장치 KR200398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19U KR200398665Y1 (ko) 2005-07-26 2005-07-26 수직벽체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19U KR200398665Y1 (ko) 2005-07-26 2005-07-26 수직벽체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65Y1 true KR200398665Y1 (ko) 2005-10-14

Family

ID=4369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19U KR200398665Y1 (ko) 2005-07-26 2005-07-26 수직벽체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38A (ko) 2021-04-13 2022-10-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층 구조물 점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38A (ko) 2021-04-13 2022-10-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층 구조물 점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7784A2 (en) Improved line and rope system and method for movement of an object through three-dimensional space
KR102017288B1 (ko) 하수관거 탐사 장치
CN107956965A (zh) 一种用于监控器的移动支架
US20180265192A1 (en) Aerial vehicle operation system and crane device control method
CN113911915A (zh) 用于智能塔吊起升异常状态感知的传感物联网系统和方法
KR200398665Y1 (ko) 수직벽체촬영 장치
US20200109972A1 (en) Remote facade inspection gantry
CN113942940A (zh) 用于智能塔吊操控的三维增强现实视频控制装置
JP6927507B2 (ja) 構造物検査装置
CN206195958U (zh) 一种警灯
CN116076070B (zh) 显示装置、包括所述显示装置的电梯组件及图像处理方法
JP6602624B2 (ja) 構造物検査システム
TWI662170B (zh) 橋梁底部檢測設備
CN209572102U (zh) 一种停车场监控系统
JP2014051356A (ja) 搬送装置
CN112010187B (zh) 一种基于塔吊的监测方法及装置
CN113911914A (zh) 用于塔吊吊钩自动抓取过程的传感设备及方法
JP6855206B2 (ja) 瓦礫内部調査装置および瓦礫内部調査方法
KR101219164B1 (ko)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중심초점 확보형 카메라 장치
KR200338831Y1 (ko)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JP2021054605A (ja) 監視システム
JP7409801B2 (ja) 瓦礫内部調査装置
CN110774908A (zh) 异物监测装置、电动汽车无线充电的异物监测系统及方法
CN113074629B (zh) 一种在煤棚内钢索上行走航拍测体积的智能盘煤系统
JPH09326950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