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473Y1 - 행거조립체 - Google Patents

행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473Y1
KR200387473Y1 KR20-2005-0007172U KR20050007172U KR200387473Y1 KR 200387473 Y1 KR200387473 Y1 KR 200387473Y1 KR 20050007172 U KR20050007172 U KR 20050007172U KR 200387473 Y1 KR200387473 Y1 KR 200387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eam
pipe shaft
hanger
roller
hang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Abstract

본 고안은 물체를 공중에 매달아 이동시키는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레일 빔,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장착되는 행거프레임을 포함하는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길이가 상기 레일 빔의 중앙부 외면과 상기 행거프레임 일측 내면과의 거리 보다 짧은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 상기 행거프레임의 외측으로 부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머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별의 롤러를 교환할 때에도 행거조립체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교환될 롤러만 분리한 후 새 롤러를 조립하면 되므로 행거조립체 전체를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보수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조립체{Hanger assembly}
본 고안은 물체를 공중에 매달아 이동시키는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행거조립체는 주로 공사장에서 물체를 공중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공사장 바닥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없으므로 수레등의 지상 운반수단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실내 공사장에서는 상기 행거조립체와 같은 공중 운반수단으로 물체를 운반하여 그 운반효율을 높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행거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행거조립체는 롤러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며 I자 형상을 하고 있는 레일 빔(10), 상기 레일 빔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12), 상기 롤러(12)에 부착되며 물체가 직접적으로 매달리는 행거프레임(14)을 포함한다. 공사장에서 천정에 상기 레일 빔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 빔 위에 행거프레임이 장착된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방법으로 물체를 공중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종래 행거조립체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롤러(12)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샤프트(16)의 길이가 레일 빔(10)의 중앙부 외측면과 행거프레임(14) 일측 내면과의 거리보다 더 길다. 따라서, 행거조립체가 레일 빔(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개별의 롤러를 교체할 경우 샤프트(16)와 행거프레임(14)사이에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개별의 롤러를 교체할 경우에도 행거프레임(14)과 롤러(12)를 레일 빔(10)으로 부터 분리시킨 후 교체한다. 개별의 롤러를 교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첫째, 롤러(12)가 부착된 행거프레임(14)을 레일 빔(10)으로 부터 분리시킨다. 둘째, 상기 행거프레임(14)으로 부터 롤러를 분리한다. 세째, 중앙부에 샤프트(16)가 삽입되어있는 롤러(12)를 샤프트 고정용 홈을 통해 행거프레임(14)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 넣는다. 네째, 행거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상기 샤프트에 너트를 결합시킨 후,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롤러를 상기 행거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다섯째, 행거프레임과 결합된 롤러를 레일 빔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롤러를 교체하는 경우 개별의 롤러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행거조립체 전체를 해체하여야 하므로 보수시간과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샤프트를 파이프 샤프트와 리머볼트의 결합형으로 전환하여 레일 빔과 결합된 상태에서 개별의 롤러를 교체할 수 있는 행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레일 빔,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장착되는 행거프레임을 포함하는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길이가 상기 레일 빔의 중앙부 외면과 상기 행거프레임 일측 내면과의 거리 보다 짧은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 상기 행거프레임의 외측으로 부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머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는 상기 레일 빔 쪽의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 내부에 상기 리머볼트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롤러를 상기 행거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머볼트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시, 레일 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가 행거조립체에 더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레일 빔 쪽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없는 상태이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레일 빔 쪽 끝단은 상기 롤러의 레일 빔 쪽 끝단과 일치한다. 상기 너트는 상기 플랜지와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를 상기 행거프레임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빔과 마주하고 있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너트를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빔과 마주하고 있는 면에 부착시킴으로서 상기 리머볼트와 상기 너트를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조립체가 조립되었을 시 상기 행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행거조립체는 레일 빔(110), 한 쌍의 롤러(112) 및 행거프레임(11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는 중공른 파이프 샤프트(120)와 리머볼트(130)가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롤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파이프 샤프트(120)의 사시도이다. 상기 파이프 샤프트는 가운데가 빈 중공형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레일 빔(110) 쪽 끝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22)는 상기 롤러(112)에 상기 행거프레임(114) 쪽으로 힘을 가해줌으로서 상기 롤러(112)를 상기 행거프레임(114)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이프 샤프트(120)의 플랜지 쪽 내부에는 상기 리머볼트(13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120)의 높이는 상기 레일 빔(110)의 중앙부 외면과 상기 행거프레임 일측 내면과의 거리 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샤프트(120)를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 결합시켜 상기 레일 빔(110)과 상기 행거프레임(114)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머볼트(130)의 사시도이다. 상기 리머볼트(130)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리머볼트(130)의 일측 단 외부에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플랜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24)과 결의하기 위한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132)의 반대편 끝에는 헤드부(1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헤드부(134)는 육각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상기 헤드부(134)의 중심으로 부터 육각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한 꼭지점 까지의 거리는 상리 리머볼트(130)의 원기둥의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육각기둥 모양의 헤드부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플랜지와 함께 상기 롤러(112)를 상기 행거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부(134)를 육각기둥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부를(134)를 팔각이나 사각기둥으로 할 수 있다.
이하 행거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첫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 상기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120)를 결합시킨다.이 경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플랜지는 상기 롤러의 일단과 완전하게 부착이 되어있으며, 상기 플랜지가 있는 쪽의 반대 쪽에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가 롤러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프 샤프트가 결합된 롤러를 상기 레일 빔과 상기 행거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다.
둘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돌출부위를 행거프레임의 고정용 구멍에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용 구멍의 직경은 상기 파이프 샤프트(120)의 외경과 같고, 상기 파이프 샤프트(120)를 상기 고정용 구멍에 삽입시켰을 시 행거프레임의 외면은 평평한 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행거프레임의 두께만큼 돌출된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행거프레임 보호링의 두께만큼 더 돌출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세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샤프트 중앙부 구멍에 상기 리머볼트를 삽입시킨후 상기 리머볼트를 회전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행거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제 2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사용되는 파이프 샤프트, 너트 및 리머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220)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파이프 샤프트(120)에서 플랜지와 플랜지 내부에 있는 나사선이 제거된 것이다.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의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가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 결합되었을 시, 상기 레일 빔(110)과 마주하고 있는 롤러의 면은 평평한 면이 된다.
리머볼트(224)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롤러(112)로 부터 상리 레일 빔(110)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위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머볼트(224)의 돌출부위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222)가 포함된다. 상기 너트(222)는 육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는 원기둥 형상의 구멍이 나있다. 상기 구멍 에는 상기 리머볼트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222)의 높이는 상기 리머볼트가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너트를 육각기둥모양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팔각이나 사각기둥으로 할 수 있다.
그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를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롤러를 레일 빔과 행거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다. 둘째,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의 돌출부위를 행거 프래임의 고정용 구멍에 삽입시킨다. 세째, 상기 너트(222)를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 빔 사이에 위치시킨후, 상기 너트(222)를 상기 롤러 외면에 부착시킨다. 네째, 상기 리머볼트를 상기 파이프 샤프트 내부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 상기 너트와 결합시킨다.
<제 3실시예>
본 실시예는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상기 너트(222)를 상기 롤러(112)가 상기 레일 빔(110)과 마주하는 면에 미리 고정시킨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 2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미리 상기 너트를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빔과 마주하는 면에 고정시키는 경우, 롤러와 너트를 따로 레일 빔과 행거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킬 필요 없이 함께 위치시킬 수 있어 그 작업과정이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
그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상기 파이프 샤프트(220)를 상기 롤러(112)의 중앙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너트(222)를 상기 롤러(112)가 상기 레일 빔(110)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시킨다. 둘째, 상기 롤러를 레일 빔과 행거프레임 사이에 위치시킨다. 세째, 상기 리머볼트를 상기 파이프 샤프트 내부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 상기 너트와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별의 롤러를 교환할 때에도 행거조립체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고 교환될 롤러만 분리한 후 새 롤러를 조립하면 되므로 행거조립체 전체를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보수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행거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조립체의 파이프 샤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조립체의 리머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사용되는 파이프 샤프트, 너트 및 리머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레일 빔 112 : 롤러
114 : 행거프레임 120 : 파이프 샤프트
122 : 플랜지 124 : 파이프 샤프트 내부 나사산
130 : 리머볼트 132 : 리머볼트 외부 나사산
134 : 리머볼트 헤드부 220 : 제 2실시예의 파이프 샤프트
222 : 제 2실시예의 너트 224 : 제 2실시예의 리머볼트

Claims (4)

  1. 레일 빔,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장착되는 행거프레임을 포함하는 행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길이가 상기 레일 빔의 중앙부 외면과 상기행거프레임 일측 내면과의 거리 보다 짧은 중공형 파이프 샤프트, 상기 행거 프레임의 외측으로 부터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머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샤프트는 상기 레일 빔 쪽의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 쪽 내부에 상기 리머볼트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머볼트는 상기 파이프 샤프트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시, 레일 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빔과 마주하고 있는 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조립체.
KR20-2005-0007172U 2005-03-17 2005-03-17 행거조립체 KR200387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72U KR200387473Y1 (ko) 2005-03-17 2005-03-17 행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72U KR200387473Y1 (ko) 2005-03-17 2005-03-17 행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473Y1 true KR200387473Y1 (ko) 2005-06-17

Family

ID=436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172U KR200387473Y1 (ko) 2005-03-17 2005-03-17 행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5Y1 (ko) * 2012-11-07 2013-03-25 주식회사 대경 트롤리 록킹장치
KR102012129B1 (ko) * 2018-05-16 2019-08-19 현대제철 주식회사 탄화실용 도어 서비스카의 주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5Y1 (ko) * 2012-11-07 2013-03-25 주식회사 대경 트롤리 록킹장치
KR102012129B1 (ko) * 2018-05-16 2019-08-19 현대제철 주식회사 탄화실용 도어 서비스카의 주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BRPI0621047A2 (pt) torre de turbina eólica, turbina eólica, e método para a construção da torre de turbina eólica
KR200473516Y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연결구조
KR10118000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200387473Y1 (ko) 행거조립체
JP2017172233A (ja) 安全柵土台
CN206173779U (zh) 一种波形钢腹板的定位结构
CN101906782B (zh) 地脚螺栓在基础砼中的定位锚固构造
KR200332599Y1 (ko)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한 가로등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WO2022057245A1 (zh) 高稳定性螺栓连接组件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CN211667405U (zh) 一种隔热耐磨衬里h型锚固装置
KR100387372B1 (ko) 압연기의 턱스헤드용 압연롤
CN111594519A (zh) 一种拆卸方便的新型膨胀螺栓
CN212715497U (zh) 一种钢木复合剪力墙节点用连接结构
CN220035489U (zh) 一种水箱基座
CN220451474U (zh) 一种用于竖向洞口的护栏装置
KR102557858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 장치
JPH0246485Y2 (ko)
CN216113897U (zh) 一种照明灯杆安装结构
KR20100117699A (ko) 가로등주 연결장치
CN211039311U (zh) 一种拆卸方便的新型膨胀螺栓
JP2008175001A (ja) 格子構造体
CN219826220U (zh) 间距调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