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23B1 -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323B1
KR101725323B1 KR1020160180992A KR20160180992A KR101725323B1 KR 101725323 B1 KR101725323 B1 KR 101725323B1 KR 1020160180992 A KR1020160180992 A KR 1020160180992A KR 20160180992 A KR20160180992 A KR 20160180992A KR 101725323 B1 KR101725323 B1 KR 10172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set signal
contact surface
termin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순
Original Assignee
(주)정우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정우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18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7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주위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원격지의 관제센터(W)와 유무선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IP 카메라(200)와; IP 카메라(200)와 연결된 것으로서, 관제센터(W)의 통제에 의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발생부(300)와; IP 카메라(200)로부터 리셋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초기화)시키는 리셋스위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A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of electric signboard using IP camera}
본 발명은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전광판 방송장비를 모니터링 관제함과 동시에, 오작동시 원격제어하여 리셋시킬 수 있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 카메라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 PC 나 모바일,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즉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네트워크 카메라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IP 카메라는 녹화를 먼저 한 이후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봐야 하는 CCTV와 달리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집안을 감시하는 용도는 물론 사무실 등의 감시용도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는 주행중인 차량에 각종 정보나 광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광광 방송장비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전광판 방송장비는 차량에게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24 시간 내내 정상작동되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어떤 원인, 예를 들면 누수, 습도환경, 번개등에 의하여 전광판 방송장비에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는 해당 지역으로 출동하여 전광판방송장비를 리셋(초기화)시킴으로써 정상작동되도록 조치하였다.
그러나 이들 전광판 방송장비는 대부분 원격지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관리자가 해당 전광판 방송장비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해당 전광판 방송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인지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많은 시간동안 방송장비가 작동되지 않게 방치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전광판 방송장비를 모니터링 간제할 수 있고, 오작동이 발생되었을 때 그 오작동 여부를 즉각 확인하여 전광판 방송장비를 리셋시킴으로써, 전광판 방송장비를 24 시간 내내 정상작동될 있도록 하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은, 도로 주위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원격지의 관제센터(W)와 유무선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IP 카메라(200)와, 상기 IP 카메라(200)와 연결된 것으로서, 관제센터(W)의 통제에 의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발생부(300)와, 상기 IP 카메라(200)로부터 리셋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초기화)시키는 리셋스위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신호발생부(300)는, 상기 관제센터(W)의 통제와는 무관하게 상기 IP 카메라(200) 스스로가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오작동을 판단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위의 광을 수광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별하여 야간에 대응되는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310)와, 상기 IP 카메라(200)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설정시간 동안 변화되지 않을 때 이상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영상신호발생부(320)와, 상기 야간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이상영상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서브리셋신호발생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IP 카메라(200)는,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에 대향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베이스(210) 및 상기 베이스(210)에 착탈되는 것으로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30)이 내장된 하우징(22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21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211)과, 상기 단턱(211)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밀착면(212)과, 상기 제1밀착면(212)의 중앙에 고정설치된 제1착탈부재(213)와, 상기 제1밀착면(212)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를 가지는 제1단자단(214)와, 상기 단턱(21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베이스의 단턱(211)에 끼어지는 테두리(221)와, 상기 제1밀착면(212)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222)과, 상기 제2밀착면(222)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부재(213)에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제2착탈부재(223)와, 상기 제2밀착면(2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224c)를 가지는 제2단자단(224)와; 상기 제2단자단(224)이 상기 제1단자단(214)에 정확히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2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5)에 치합되는 가이드돌기(225)를 포함하며; 상기 IP 카메라(200)는, 상기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고자 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히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30)의 경통(231)에 일체화되어 그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는 대상을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 방송장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관제함과 동시에 오작동 여부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오작동시 전광판 방송장비를 원격으로 리셋제어하거나 IP 카메라 스스로가 오작동을 판단하여 리셋제어하게 함으로서, 전광판 방송장비를 즉각적으로 정상작동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광판 방송장비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전광판 방송장비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리셋신호발생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한 도면,
도 5는 도 1의 IP 카메라가 상호 착탈되는 베이스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
도 6은 도 5의 베이스와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2단자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하우징에 카메라모듈 및 레이저포인터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하우징에 설치된 레이저포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의 하우징이 줌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모듈 및 적외선을 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광판 방송장비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전광판 방송장비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리셋신호발생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은, 도로 주위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원격지의 관제센터(W)와 유무선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IP 카메라(200)와; IP 카메라(200)와 연결된 것으로서, 관제센터(W)의 통제에 의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발생부(300)와; IP 카메라(200)로부터 리셋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시키는 리셋스위치(400);를 포함한다.
전광판 방송장비(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주위에 설치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R,G,B led 가 복수개 식립된 LED 모듈(121)(121')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120)와; 다수의 LED 모듈(121)(121')을 통합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텍스트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드라이버모듈(130)과; 드라이버모듈(130)로 전송되는 정보신호를 관제센터(W)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신호수신모듈(140)과;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SMPS ; 150);을 포함한다. 전광판 방송장비(100)는, 안전을 위한 정보나 비상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24 시간 내내 상시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관제센터(W)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신호는 정보신호수신모듈(140)에서 수신된 후 드라이버모듈(130)로 전송되고, 드라이버모듈(130)은 다수의 LED 모듈(121)(121')을 통합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정보는 노면상태나 안개 출현등의 정보, 각종 교통정보, 각종 광고정보등이 있다.
한편 전광판 방송장비(100)는 야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항상 비나 눈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닛(110)을 이루는 구조물에는 낮과 밤의 열팽창 차이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누수가 발생되거나 습도환경의 잦은 변화에 의하여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한 단위를 이루는 다수의 LED 모듈(121)(12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LED 모듈에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디스플레이(120)에는 텍스트나 영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표시되더라도 영상 변화가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IP 카메라(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관제하는 것으로서,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촬영 영상을 관제센터(W)로 실시간 송신한다. 이때 전광판 방송장비(100)에서 오작동이 발생될 때, 관제자는 관제센터(W)의 모니터를 통하여 이를 확인한다.
리셋신호발생부(300)는, 후술할 IP 카메라(200)의 베이스(2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제센터(W)의 통제에 의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한다. 즉 관제센터(W)에서 관제자는 관제센터(W)의 모니터를 통하여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관제하는데, 만약 오작동이 발생되면 관제자는 리셋신호발생부(300)에서 리셋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리셋신호는 리셋스위치(400)로 전송되어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초기화)시킨다.
한편 리셋신호발생부(300)는, 관제센터(W)의 통제와는 무관하게, IP 카메라(200) 스스로가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오작동을 판단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셋신호발생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의 광을 수광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별하여 야간에 대응되는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310)와; IP 카메라(200)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설정시간, 예를 들면 5분 동안 변화되지 않을 때 이상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영상신호발생부(320)와; 야간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이상영상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한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서브리셋신호발생부(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야간에 전광판 방송장비(100)에 오작동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1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가 없을 때, 리셋 수행을 지시하는 상기 리셋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 차량에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는 통상 야간에 많이 발생되는데, 이는 관제센터(W)에서 근무하는 관제자가 야간에 퇴근하거나, 야간에는 현실적으로 관제를 심도있게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간에는 관제센터(W)에서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심도있게 관제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리셋신호발생부(200)가 상기한 광센서(310), 이상영상신호발생부(320) 및 서브리셋신호발생부(330)를 포함함으로써, 야간에 관제센터(W)의 통제를 받지 않고도 리셋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따라 사고 발생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리셋스위치(400)는, 리셋신호발생부(300)에서 발생된 리셋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해당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초기화)시키는 것으로서,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연결된다. 이러한 리셋스위치(400)는 상기한 누수나 습도환경, 다수의 LED모듈(121)(121')가 통합 제어되지 않음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되었을 때, 그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시킴으로써 정상작동되게 한다.
도 5는 도 1의 IP 카메라가 상호 착탈되는 베이스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베이스와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2단자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하우징에 카메라모듈 및 레이저포인터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하우징에 설치된 레이저포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P 카메라(200)는, 관제센터(W)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 설치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여 관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IP 카메라(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판 방송장비(100)에 대향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결합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0)에 설치되어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30)과, 카메라모듈(230)에 일체화되어 그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는 대상을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24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 형성된 단턱(211)과, 단턱(211)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밀착면(212)과, 제1밀착면(212)의 중앙에 설치된 제1착탈부재(213)와, 제1밀착면(212)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를 가지는 제1단자단(214)과, 단턱(21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5)과, 제1단자단(214)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회로(미도시) 및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210)는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 포스트나 건물 측벽에 고정된다.
제1착탈부재(213)는 제1밀착면(212)의 중앙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후술할 하우징(220)의 제2착탈부재(223)를 자력에 의하여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제1단자단(214)은 후술할 하우징(220)이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2단자단(224)과 자동으로 접속되어 하우징(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카메라모듈(23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카메라모듈(230)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제1단자단(21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착면(212)에 설치되는 단자박스(214a)와, 단자박스(214a)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으로 관통공(214b')이 형성된 단차공간(214b)과, 단차공간(214b)에 설치되어 관통공(214b')으로 이탈되지 않게 일부 돌출되는 제1접속단자(214c)와, 단차공간(214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210)에 내장되는 전원회로(미도시)나 신호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단자(214d)와, 베이스단자(214d)와 제1접속단자(214c)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14e)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단자단(214)의 구조에 의하여, 제1접속단자(214c)는 스프링(214e)에 의하여 단자박스(214a)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압력을 가하였을 스프링(214e)에 의하여 탄발되면서 단자박스(214a) 내측으로 몰입된다.
하우징(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의 단턱(211)에 끼어지는 테두리(221)와; 제1밀착면(212)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222)과; 제2밀착면(222)에 고정되어 제1착탈부재(213)에 부착되는 제2착탈부재(223)와; 제2밀착면(2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224c)를 가지는 제2단자단(224)과; 상기한 가이드홈(215)에 치합되는 가이드돌기(225);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220)의 하부측에는 반구형커버(226)가 설치되어 비나 눈 또는 먼지등에 하우징(22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착탈부재(223)는, 제2밀착면(222)의 중앙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착탈부재(213)와 상호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하우징(220)을 베이스(21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한 제1,2착탈부재(213)(223)는 상호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기 위하여, 제1,2착탈부재중 하나는 자석으로 되고, 다른 하나는 철편으로 된다.
제2단자단(2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이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1단자단(2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20)에 설치된 카메라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2단자단(224)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착면(222)에 있어 제1단자박스(214a)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단자플레이트(224a)와, 단자플레이트(224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제1접속단자(214c)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2접속단자(224c)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2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221)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한 가이드홈(215)에 치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225)는 가이드홈(215)에 끼어짐에 따라, 제2단자단(224)의 제2접속단자(224c)와 제1단자단(214)의 제1접속단자(214c)는 정확히 접속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2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 및 렌즈로 구성된 경통(231)과, 경통(231)을 하우징(2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회동부(232)와, 제1회동부(232)를 하우징(220)에 대하여 360 도로 회전시키는 제2회동부(233)로 구성된다. 이때 제1회동부(232)와 제2회동부(233)는 경통(231)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향하게 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240)는, IP 카메라(200)를 설치할 때 레이저(L)를 조사하여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고자 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지시한다. 이러한 레이저포인터(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230), 엄밀하게는 경통(231)에 일체화되어 레이저(L)가 조사되는 방향과 경통(231)이 향하는 방향을 일치된다. 즉 레이저포인터(240)를 채용함으로써, IP 카메라(200)를 설치할 때 레이저(L)를 해당 전광판 방송장비(100)로 조사하여,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고자 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히 지시할 수 있어, 정확한 촬영각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전광판 방송장비(100)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되고, 또한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는 IP 카메라(200) 역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뒬 경우, 카메라모듈(230)이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한 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각도를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포인터(240)를 채용함으로써, 레이저(L)를 전광판 방송장비(100)로 조사하여 그 전광판 방송장비(100)에 카메라모듈(230)이 정확히 대향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230)은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하우징이 줌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모듈 및 적외선을 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광판 방송장비(100)가 IP 카메라(2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카메라모듈(230)은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히 촬영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오작동 여부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멀리 떨어진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에는 줌렌즈 탑재 경통(235)이 설치된다.
또한 전광판 방송장비(100)가 설치되는 장소가 매우 어두을 경우, 하우징(220)에는 방송장비를 조명하는 램프(23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220)에는, 전광판 방송장비(100)가 설치되는 거리나 특성에 따라, 그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적절히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일반 카메라모듈, 줌기능 탑재형 카메라모듈, 램프등)이 탑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제어장치나 회로가 탑재된 베이스(210)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적절히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이 탑재된 하우징(220)을 선택하여 베이스(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IP 카메라(2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24 시간 내내 작동하는 방송장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오작동 여부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이 경우 원격으로 리셋제어하거나, IP 카메라 스스로가 오작동을 판단하여 리셋제어함으로서 오작동되는 전광판 방송장비를 즉각적으로 정상작동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과
관제를 수행하는 IP 카메라(200)가 전원회로(미도시) 및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회로(미도시)를 포함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하우징(220)으로 구성되고, 하우징(220)이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적절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성(일반 카메라모듈, 줌기능 탑재형 카메라모듈, 램프등)을 탑재함으로써, 베이스(210)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IP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방송장비 110 ... 캐비닛
120 ... 디스플레이 121, 121' ... LED 모듈
130 ... 드라이버모듈 140 ... 정보신호수신모듈
150 ... 전원공급장치 200 ... IP 카메라
210 ... 베이스 211 ... 단턱
212 ... 제1밀착면 213 ... 제1착탈부재
214 ... 제1단자단 214a ... 단자박스
214b ... 단차공간 214b ... 관통공
214c ... 제1접속단자 214d ... 베이스단자
214e ... 스프링 215 ... 가이드홈
220 ... 하우징 221 ... 테두리
222 ... 제2밀착면 223 ... 제2착탈부재
224 ... 제2단자단 224a ... 단자플레이트
224c ... 제2접속단자 225 ... 가이드돌기
230 ... 카메라모듈 231 ... 경통
232 ... 제1회동부 233 ... 제2회동부
240 ... 레이저포인터 300 ... 리셋신호발생부
310 ... 광센서 320 ... 이상영상신호발생부
330 ... 서브리셋신호발생부 400 ... 리셋스위치

Claims (6)

  1. 도로 주위에 설치되어 주행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원격지의 관제센터(W)와 유무선 네트워크(N)에 의하여 연결되는 IP 카메라(200)와, 상기 IP 카메라(200)와 연결된 것으로서, 관제센터(W)의 통제에 의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발생부(300)와, 상기 IP 카메라(200)로부터 리셋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리셋(초기화)시키는 리셋스위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셋신호발생부(300)는, 상기 관제센터(W)의 통제와는 무관하게 상기 IP 카메라(200) 스스로가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의 오작동을 판단하여 리셋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위의 광을 수광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별하여 야간에 대응되는 야간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310)와, 상기 IP 카메라(200)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설정시간 동안 변화되지 않을 때 이상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영상신호발생부(320)와, 상기 야간신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이상영상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리셋신호를 발생하는 서브리셋신호발생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IP 카메라(200)는, 상기 전광판 방송장비(100)에 대향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베이스(210) 및 상기 베이스(210)에 착탈되는 것으로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30)이 내장된 하우징(22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21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211)과, 상기 단턱(211)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밀착면(212)과, 상기 제1밀착면(212)의 중앙에 고정설치된 제1착탈부재(213)와, 상기 제1밀착면(212)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를 가지는 제1단자단(214)와, 상기 단턱(21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5)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20)은, 상기 베이스의 단턱(211)에 끼어지는 테두리(221)와, 상기 제1밀착면(212)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222)과, 상기 제2밀착면(222)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착탈부재(213)에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제2착탈부재(223)와, 상기 제2밀착면(2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접속단자(214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224c)를 가지는 제2단자단(224)와; 상기 제2단자단(224)이 상기 제1단자단(214)에 정확히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2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15)에 치합되는 가이드돌기(225)를 포함하며;
    상기 IP 카메라(200)는, 상기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고자 하는 전광판 방송장비(100)를 정확히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30)의 경통(231)에 일체화되어 그 카메라모듈(230)이 촬영하는 대상을 지시하는 레이저포인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80992A 2016-12-28 2016-12-28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101725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92A KR101725323B1 (ko) 2016-12-28 2016-12-28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92A KR101725323B1 (ko) 2016-12-28 2016-12-28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323B1 true KR101725323B1 (ko) 2017-04-12

Family

ID=5858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92A KR101725323B1 (ko) 2016-12-28 2016-12-28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105B1 (ko) 2021-06-02 2022-03-16 (주)원테크놀로지 카메라 설치용 회전식 구조물이 설치된 전광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714A (ja) * 1999-07-27 2001-04-13 Yone Kk 赤外線カメラ
KR200290109Y1 (ko) * 2002-06-25 2002-09-27 에크로텍(주) 전광판 제어장치
JP2003189138A (ja) * 2001-12-20 2003-07-04 Fujitsu General Ltd 防犯用カメラ装置
KR100941122B1 (ko) * 2008-11-07 2010-02-10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액정표시장치 원격감시제어장치
KR20110125969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714A (ja) * 1999-07-27 2001-04-13 Yone Kk 赤外線カメラ
JP2003189138A (ja) * 2001-12-20 2003-07-04 Fujitsu General Ltd 防犯用カメラ装置
KR200290109Y1 (ko) * 2002-06-25 2002-09-27 에크로텍(주) 전광판 제어장치
KR100941122B1 (ko) * 2008-11-07 2010-02-10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액정표시장치 원격감시제어장치
KR20110125969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105B1 (ko) 2021-06-02 2022-03-16 (주)원테크놀로지 카메라 설치용 회전식 구조물이 설치된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82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KR100573697B1 (ko) 광학기기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US20080079809A1 (en)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with laser positioning function
US11792552B2 (e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luminaire
KR100956400B1 (ko) 다기능 영상처리 모듈이 탑재된 지능형 주차면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JP2009522940A (ja) ビデオドアビューア
KR101725323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101698468B1 (ko) 다목적 cctv 카메라 장치
KR20110042677A (ko) 센서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CN110267004A (zh) 一种小型无人机探测监控系统
KR100926179B1 (ko) 무인 화상 방범 시스템
KR20110103690A (ko) 감시카메라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88564B1 (ko) 협각렌즈와 광각렌즈를 이용한 폐쇄회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20230077498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WO2008037127A1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laser positioning
CN208707768U (zh) 大变倍长焦距智能监控成像系统
KR101800451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1793810B1 (ko) 방향이동 스마트 조명장치
NL1006458C2 (nl) Videobewakingsinrichting.
KR102441947B1 (ko) 인체감지센서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광원제어 자동음성안내 cctv 카메라 시스템
CN213028222U (zh) 导光结构及网络摄像头
JP2000194959A (ja) カメラ搭載赤外線センサ装置
KR200425303Y1 (ko) 적외선 엘이디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
JP201518605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