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969A -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969A
KR20110125969A KR1020100045629A KR20100045629A KR20110125969A KR 20110125969 A KR20110125969 A KR 20110125969A KR 1020100045629 A KR1020100045629 A KR 1020100045629A KR 20100045629 A KR20100045629 A KR 20100045629A KR 20110125969 A KR20110125969 A KR 2011012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communication
power supply
data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4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969A/ko
Publication of KR2011012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대해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재부팅(rebooting)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신호 분석부, 상기 추출한 소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의 신호 발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power)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재부팅(rebooting)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BOOTING POWER SUPPLY FOR NETWORK TERMINAL}
본 발명은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대해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재부팅(rebooting)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이 급증되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이 가능해지면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정 단말 또는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인 네트워크 단말, 예를 들어 라우터,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PMU(Phasor Measurement Unit) 등의 네트워크 장비 감시 장치 또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집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디지털 카메라 등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네트워크 단말에서 데이터 처리, 전송 등에 따른 과부하 또는 기타 다양한 사유로 인하여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무인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관리 서버 등으로 전송이 되지 않고, 이로 인해 무인 네트워크 단말이 그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은, 우선 무인 네트워크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의 삭제 및 소프트웨어에 의한 단말의 재부팅을 통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리셋(reset)을 수차례 수행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에 의해서도 장애가 해소되지 않거나 단말이 재부팅되지 않는 경우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순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전술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단말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장치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여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리셋만으로는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통해 네트워크 단말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여 네트워크 단말을 재부팅(rebooting) 하여야 한다.
종래의 경우,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단말의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 단말로 이동하여 수동으로 네트워크 단말의 전원의 온/오프를 수행하여야 했으나,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은 네트워크 관리 센터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므로 관리자의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네트워크 단말의 장애 해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라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 단말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인적 비용이 소모되었으며, 특히 소형의 네트워크 단말일수록 장애 발생 횟수가 많아 장애 해소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자동으로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재구동(reset)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신호 분석부, 상기 추출한 소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의 신호 발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power)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재부팅(rebooting)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데이터 신호가 발신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데이터 신호의 미발신이 유지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미발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 미발신 시간을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신호가 발신된 가장 최근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은 상기 전원의 차단 및 재공급에 의해 재부팅(rebooting)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 특히 네트워크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지 않은 상태가 지속된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공급되는 전원(power)을 차단 후 재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재부팅(rebooting), 즉 리셋(reset)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별도의 이동이나 수동적인 작업 없이도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장애 발생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단말인 PMU(Phasor Measurement Unit)에 전원 제어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은 인터넷(300)에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400) 또는 단말(5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은 인터넷(30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400) 또는 단말(50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은 할당 받은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우터,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전압, 전류 등의 환경을 감시하는 PMU(Phasor Measurement Unit),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생성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인 디지털 카메라 등의 무인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은 별도로 IP를 할당 받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외부 단말 또는 서버로 생성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가능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은 송수신 데이터의 처리 등에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 등 다양한 이유로 동작이 멈추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드웨어(hardware) 측면에서의 리셋, 즉 전원(power)의 차단 및 재공급에 의해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대한 전원(power) 공급 및 차단 여부를 판단한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전원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의 전원(power)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전원을 다시 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을 리셋(reset), 즉 재부팅(rebooting)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200)는 PMU(Phasor Measurement Unit), 원격 디지털 카메라 등 데이터 신호를 네트워크 관리 서버 또는 정지 화상, 동화상 수집 서버 등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해 전원 제어 장치(200)는 임의의 원인으로 인한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동작 불능 상태를 감지하고,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동작 불능 상태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power)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였다가 다시 공급함으로써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단말인 PMU(Phasor Measurement Unit)에 전원 제어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200)는 데이터 신호 수신부(210), 데이터 신호 분석부(220), 전원 제어부(23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 수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이 인터넷(30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로 사이에 위치한 커넥터(10)로부터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즉, 데이터 신호 수신부(210)는 인터넷(300)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 및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인터넷(300)으로 전소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두 수신한다.
데이터 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발신한 단말, 즉 데이터 신호의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분석부(220)는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신한 소스(source) 단말의 식별 정보, 특히 단말에 설정된 IP 주소 정보 또는 MAC 주소 등을 추출한다. 데이터 신호 분석부(220)는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IP 주소 정보 등을 데이터 신호 수신 시간 정보와 함께 전원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전원 제어부(230)는 데이터 신호 분석부(220)로부터 수신한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 특히 IP 주소 정보 중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의 IP 주소와 매칭되는 IP 주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설정된 IP 주소가 "192.168.16.200"인 경우, 전원 제어부(23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신한 소스(source)의 IP 주소 중에서 "192.168.16.200"에 매칭되는 IP 주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처럼 전원 제어부(230)는 데이터 신호의 발신 소스(source)의 IP 주소와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의 IP 주소를 비교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부(230)는 데이터 신호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의 IP 주소에 매칭되는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30)는 데이터 신호 분석부(22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 특히 IP 주소 정보 중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의 IP 주소와 매칭되는 IP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 신호 수신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에 저장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의한 신호의 발신 시간을 기록한다.
데이터 신호의 발신 단말의 IP 주소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의 IP 주소에 매칭되는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장애가 발생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원 제어부(230)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대해 리셋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대한 리셋 신호를 전원 공급부(240)로 전송한다.
전원 공급부(240)는 정류기 등의 전원 공급 장치(2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power)를 다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40)는 전원 제어부(230)로부터 수신한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전원을 재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재부팅(rebooting)시킨다.
전원 공급부(240)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의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100)을 재부팅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11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신호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을 통해 외부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신한 단말 또는 서버, 즉 데이터 신호의 발신 소스(source)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획득한다. 단계(S11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두 수신하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신호만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S12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한다. 전원 제어 장치는 데이터 신호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신호의 발신 단말 또는 서버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데이터 신호의 발신 시간에 대한 정보도 또한 획득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단계(S120)에서 추출한 IP 주소를 미리 설정된 IP 주소와 비교하여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IP 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데이터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 제어 장치는 단계(S120)에서 추출한 IP 주소를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IP 주소와 비교하여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제어 장치는 단계(S110)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임의의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발신한 단말 또는 서버의 IP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IP 주소를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IP 주소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획득한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전원 제어 장치는 단계(S120)에서 추출한 IP 주소를 미리 설정된 IP 주소와 비교하여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단계(S130)에서 데이터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IP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즉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S120)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IP 정보와 함께 획득된 데이터 신호의 발신 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신호의 발신 시간을 기록한다.
단계(S150)에서는, 단계(S130)에서 데이터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IP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신호의 발신이 수행되지 않은 시간, 즉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신호 미발신 시간을 산출한다.
즉, 단계(S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전원 제어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시간, 즉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수신된 데이터 신호 중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지 않은 시간을 산출한다.
전원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가장 최근의 데이터 신호의 발신 시간를 획득하고, 획득한 가장 최근의 데이터 신호의 발신 시간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신호의 미발신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단계(S150)에서 산출된 미발신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이 신호를 발신하지 않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네트워크 통신 단말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생성한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데이터 신호의 미발신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70)에서는, 단계(S160)에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신호의 미발신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power) 공급을 중단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단계(S180)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90)에서는, 단계(S180)에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구동이 완전히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재부팅시킨다.
이처럼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발신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의 전원의 공급을 중단 후 다시 공급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리셋, 즉 재부팅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원 제어 장치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발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IP 주소 이외에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 데이터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신호 발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통신 단말 200 : 전원 제어 장치
210 : 데이터 신호 수신부 220 : 데이터 신호 분석부
230 : 전원 제어부 240 : 전원 공급부

Claims (8)

  1.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신호 분석부,
    상기 추출한 소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의 신호 발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power)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을 재부팅(rebooting)시키는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데이터 신호가 발신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데이터 신호의 미발신이 유지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미발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 미발신 시간을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5. 전원 공급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송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신호가 발신된 가장 최근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대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은 상기 전원의 차단 및 재공급에 의해 재부팅(rebooting)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소스(source)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추출한 식별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해 신호가 발신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원 제어 공급 장치는 상기 저장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단말에 의한 가장 최근의 신호 발신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산출하는 것인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20100045629A 2010-05-14 2010-05-14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KR20110125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29A KR20110125969A (ko) 2010-05-14 2010-05-14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29A KR20110125969A (ko) 2010-05-14 2010-05-14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69A true KR20110125969A (ko) 2011-11-22

Family

ID=4539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29A KR20110125969A (ko) 2010-05-14 2010-05-14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96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29B1 (ko) * 2016-03-28 2016-08-23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Cctv 전원제어장치
KR101666178B1 (ko) *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698063B1 (ko) * 2015-09-22 2017-01-19 두혁 Cctv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725323B1 (ko) * 2016-12-28 2017-04-12 (주)정우비앤에스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102169113B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Ap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유지 보수 방법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063B1 (ko) * 2015-09-22 2017-01-19 두혁 Cctv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646029B1 (ko) * 2016-03-28 2016-08-23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Cctv 전원제어장치
KR101666178B1 (ko) *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25323B1 (ko) * 2016-12-28 2017-04-12 (주)정우비앤에스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102169113B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Ap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유지 보수 방법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018B2 (en) Control plane devic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forwarding-control separation system
US8185753B2 (en) Storage medium for storing power consumption monitor program, power consumption monitor apparatus and power consumption monitor method
CN101345663B (zh) 心跳检测方法和心跳检测设备
KR20110125969A (ko)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US7430688B2 (en) Network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RU259879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странения отказа на базе протокола эксплуатации,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оам)
US10613154B2 (en) Redundant power supplies and in-field testing
JP2006079603A (ja) 高可用性クラスタ化のためのスマートカード
US10757329B2 (en) Power management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supply
US9210059B2 (en) Cluster system
CN111953542B (zh) 一种保障网关稳定运行的系统
CN110691398B (zh) 智能设备的网络交互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3905247A (zh) 一种基于多客户裁决的双机备份方法及系统
US200902226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ast fault notification
JP2011188072A (ja) 障害検知復旧システム、障害検知復旧方法、及びその復旧用プログラム
US9509580B2 (en) Adaptive power control in a network
KR101872666B1 (ko) PoE 디바이스 감시 기반 통합 스위칭 전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7245A (ko) PoE 라인을 이용한 원격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750383B2 (en) Method of providing management and control of hotspots with reduced messaging
US20190089548A1 (en) Packet transfer device and packet transfer system
TW201041333A (en) The failure recovery method for power over Ethernet system
JP2016200961A (ja) サーバー障害監視システム
US11620137B2 (en) Autonomous server protection system
KR102059369B1 (ko) 로라 기반의 원격 보안장비 관리 시스템
KR102301767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카메라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