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78B1 -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78B1
KR101666178B1 KR1020160083316A KR20160083316A KR101666178B1 KR 101666178 B1 KR101666178 B1 KR 101666178B1 KR 1020160083316 A KR1020160083316 A KR 1020160083316A KR 20160083316 A KR20160083316 A KR 20160083316A KR 101666178 B1 KR101666178 B1 KR 10166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local control
power
loc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메인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에 이용되는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장애 시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간단한 장애 문제를 자동복구함으로써, 관리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정보를 원할하게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Network system for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S(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ITS 장비가 도로에 설치되어 개별 통행 차량의 속도 및 교통량 정보가 수집되어 교통정보센터에 전송되고, 교통정보센터에서는 각 지점에서의 수집 정보를 사용하여 도로의 통행 시간 및 속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위반 카메라, 차량번호 검지기, 과적단속 장비,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방범 카메라, RSE(Roadside Equipment) 및 밤샘주차 단속 카메라와 같이 다양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은 네트워크(인터넷)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실시간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항상 확인해야 하는 동시에 인터넷 접속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 이를 신속히 복구해야 하지만, 종래에는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 장애 시 해당 관리자들이 직접 방문하여 장애가 발생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 또는 이와 연결된 네트워크 모듈을 수리하거나, 네트워크를 복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업무 방법은 시간적, 물리적으로 업무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관리자들이 직접 방분하여 장애가 발생된 단말에 취하는 대부분의 해결방안이 네트워크 장비를 재부팅 또는 초기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 연결의 장애가 발생된 단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간단한 장애 문제를 자동복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선행문헌 0001) 한국등록특허 제10-1568571호 (발명의 명칭 :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선행문헌 0002) 한국등록특허 제10-1441907호 (발명의 명칭 : 휴대용 교통정보 수집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에 이용되는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며,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장애 시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간단한 장애 문제를 자동복구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메인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감지되도록 하는 통신 포트; 상기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하는 전원제어 포트;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된 각각의 통신 포트에 식별번호를 부가하고, 상기 식별번호가 부가된 각각의 통신 포트를 통해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상태정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상기 지속적으로 생성된 상태정보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된 각각의 통신 포트의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에 상기 각각의 통신 포트 및 각각의 전원제어 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에서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OFF)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제어하고,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발광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발광 감지기; 상기 통신 모듈의 초기화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초기화 버튼; 상기 초기화 버튼에 접근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개폐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램프의 발광 여부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 감지기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릴레이 접점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은, 속도위반 카메라, 차량번호 검지기, 과적단속 장비,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방범 카메라, RSE(Roadside Equipment) 및 밤샘주차 단속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에 이용되는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장애 시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간단한 장애 문제를 자동복구함으로써, 관리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정보를 원할하게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로컬 제어 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메인 제어 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자동 복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 제어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에 이용되는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하고,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 장애 시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간단한 장애 문제를 자동복구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 제어 시스템은 로컬 제어 모듈(100) 및 메인 제어 모듈(200)로 구성된다.
로컬 제어 모듈(100)은,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로컬 제어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과 연결되는 랜카드와 같은 통신 모듈(110)이 구비되어 연결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제어 모듈(100)은, 연결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 여부를 램프(120)와 같은 조명장치로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제어 모듈(100)은 초기화 버튼(140)이 마련되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하는 경우(네트워크 연결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제어하고,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 모듈(200)은 릴레이 접점 방식으로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 모듈(200)은 릴레이 접점의 NC(Normal Close) 접점과 NO(Normal Open) 접점이 반전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210) 및 각각의 전원제어 포트(220)에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장애가 발생된 로컬 제어 모듈(100)을 식별하거나, 특정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인 제어 모듈(200)의 통신 포트(210)와 로컬 제어 모듈(100)은 EIA-232-C(RS-232C) 규격에 맞는 직렬 전송 방식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은 속도위반 카메라, 차량번호 검지기, 과적단속 장비,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방범 카메라, RSE(Roadside Equipment) 및 밤샘주차 단속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로컬 제어 모듈(1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로컬 제어 모듈(100)은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로컬 제어 모듈(100)은, 통신 모듈(110), 램프(120), 발광 감지기(130), 초기화 버튼(140), 도어(150) 및 개폐 감지기(16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통신 모듈(110)은 예를 들면, 랜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램프(120)는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고, 발광 감지기(130)는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램프(120)는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빛)를 생성하여 메인 제어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발광 감지기(130)는 감지되는 램프(120)의 조도를 0부터 255까지의 아날로그 레벨로 세분화하여, 감지되는 램프(120)의 조도를 감지하고, 이를 메인 제어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로서, 기설정된 범위 이하의 발광 감지 결과가 전달되면, 램프(120)가 정상적으로 발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이를 통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램프(120)는, 연결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경우, 녹색 또는 푸른색을 발광하고, 연결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지 않는 경우, 붉은 색을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감지기(130)는 이러한 램프(120)의 발광 색에 따른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램프(120)의 발광 색을 식별하고, 이를 메인 제어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FF 되면, 램프(120)는 발광을 중단하여, 발광 감지기(130)가 이를 메인 제어 모듈(200)에 전달함으로써, 메인 제어 모듈(200)이 로컬 제어 모듈(100)의 의 전원이 OFF 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를 들면, 램프(120)는 연결된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만, 발광하고, 발광 감지기(130)가 이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 모듈(200)에 전달함으로써, 메인 제어 모듈(200)이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초기화 버튼(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로컬 제어 모듈(100)은, 통신 모듈(110), 램프(120), 발광 감지기(130), 초기화 버튼(140), 도어(150) 및 개폐 감지기(160) 이외에, 정보처리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는 초기화 버튼(140)에 의해 초기화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거나, 메인 제어 모듈(200)로부터 로컬 제어 모듈(100)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기저장된 운영체제 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최초 또는 미리 정해진 계수, 설정 값으로 설정되며, 새롭게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150)는 초기화 버튼(140)에 관리자가 아닌 외부인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로컬 제어 모듈(100)은 초기화 버튼(140)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하우징의 일측에 잠금장치가 마련된 도어(150)가 마련되어, 관리자만이 초기화 버튼(140)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개폐 감지기(160)는 도어(150)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감지기(160)는 도어(150)의 개방 시 이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 모듈(200)로 전달함으로써, 메인 제어 모듈(200)이 도어(15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고, 로컬 제어 모듈(10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도어(150)의 개방과 관련하여 로컬 제어 모듈(100)의 장애 원인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도어(150)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고, 1분 내지 2분의 시간이 지나간 이후, 해당 로컬 제어 모듈(100)의 장애가 감지되면, 해당 로컬 제어 모듈(100)의 장애의 원인이 불순한 목적으로 로컬 제어 모듈(100)에 접근한 외부인의 침입으로 추측하고, 이를 저장하여 단순히 해당 로컬 제어 모듈(100)의 네트워크를 복구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이 침입한 로컬 제어 모듈(100)에 대한 관리자의 주의가 보다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로컬 제어 모듈(100)은 특정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도어(150)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면, 도어(150)의 개방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간정보와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매칭되어 메모리(25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메인 제어 모듈(2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제어하고,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 모듈(200)은, 통신 포트(210), 전원제어 포트(220), 제어부(230), 전원공급 장치(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통신 포트(210)는 로컬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어, 발광 감지기(130)로부터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제어 포트(220)는 로컬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어,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제어 포트(220)는 릴레이 접점 방식으로 구현되어,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제어 포트(220)는 릴레이 접점의 NC(Normal Close) 접점과 NO(Normal Open) 접점이 반전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원제어 포트(220)는, 제1 릴레이(OFF) 및 제2 릴레이(ON)으로 구성되는 원터치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로컬 제어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것(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전원제어 포트(220)를 이용하여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이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는 각각의 통신 포트(210) 및 각각의 전원제어 포트(220)에 식별번호가 부가되어, 장애가 발생된 로컬 제어 모듈(100)을 식별하거나, 특정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240)는 메인 제어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 장치(240)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제어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200)은 전원공급 장치(24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각각의 전원제어 포트(220)에 연결된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ON 또는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메인 제어 모듈(200)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저장이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메모리(250)는 메인 제어 모듈(200)이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것(장애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장애 발생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생성된 시간정보와 장애 발생 여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자동 복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 장애 시,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에 의해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10).
로컬 제어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동작 여부가 확인되도록 램프(120)가 마련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램프(120)가 지속적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여(S420),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 모듈(200)에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도록 한다(S430).
또한, 로컬 제어 모듈(100)은 지속적으로 발광하던 램프(120)가 발광을 중단하면, 발광 감지기(13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S440), 메인 제어 모듈(200)에 램프(120)의 발광이 중단된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S445).
이때, 발광 감지기(130)가 메인 제어 모듈(200)에 램프(120)의 발광이 중단된 사실을 전달하는 방법은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전달하던 상태에서, 램프(120)의 발광 여부의 전달을 중단하는 것이다.
즉, 램프(120)의 발광 여부가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되며, 메인 제어 모듈(200)은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다가,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되면,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에 장애가 발생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메인 제어 모듈(200)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210) 및 전원제어 포트(220)가 복수의 로컬 제어 모듈(100)과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메인 제어 모듈(200)은 각각의 통신 포트(210) 및 전원제어 포트(220)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통신 포트(210) 및 전원제어 포트(220)가 동일한 로컬 제어 모듈(100)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메인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로컬 제어 모듈(100) 중 어느 하나의 로컬 제어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 모듈(200)은 각각의 통신 포트(210)를 통해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100)의 램프(120)의 발광 여부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음으로써,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램프(120)의 발광이 중단된 사실이 전달되면, 메인 제어 모듈(200)은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여(S450),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 모듈(200)은 통신 포트(210)에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OFF) 상태인지 판단하여(S460),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210)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460-N),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N 되도록 제어하고(S470),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210)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100)의 전원이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460-Y), 로컬 제어 모듈(100)의 동작이 중단된 통신 포트(210)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100)이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S480).
이를 통해, 로컬 제어 모듈(100)이 초기화되면(S485), 로컬 제어 모듈(100)은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9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 100 : 로컬 제어 모듈
110 : 통신 모듈 120 : 램프
130 : 발광 감지기 140 : 초기화 버튼
150 : 도어 160 : 개폐감지기
200 : 메인 제어 모듈 210 : 통신 포트
220 : 전원제어 포트 230 : 제어부
240 : 전원공급 장치 250 : 메모리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로컬 제어 모듈;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메인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감지되도록 하는 통신 포트;
    상기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하는 전원제어 포트; 및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된 각각의 통신 포트에 식별번호를 부가하고, 상기 식별번호가 부가된 각각의 통신 포트를 통해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상태정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상기 지속적으로 생성된 상태정보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과 연결된 각각의 통신 포트의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며,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각각의 로컬 제어 모듈에 상기 각각의 통신 포트 및 각각의 전원제어 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에서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OFF)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제어하고,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태정보의 수신이 중단된 통신 포트와 연결된 로컬 제어 모듈이 초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집용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발광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발광 감지기;
    상기 통신 모듈의 초기화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초기화 버튼;
    상기 초기화 버튼에 접근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개폐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램프의 발광 여부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개폐 감지기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로컬 제어 모듈의 전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릴레이 접점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수집용 단말은,
    속도위반 카메라, 차량번호 검지기, 과적단속 장비, 버스전용차로 단속 카메라, 방범 카메라, RSE(Roadside Equipment) 및 밤샘주차 단속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160083316A 2016-07-01 2016-07-01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66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16A KR101666178B1 (ko) 2016-07-01 2016-07-01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16A KR101666178B1 (ko) 2016-07-01 2016-07-01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78B1 true KR101666178B1 (ko) 2016-10-13

Family

ID=5717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316A KR101666178B1 (ko) 2016-07-01 2016-07-01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04A (ko) * 2003-06-24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티에스용 노변기지국의 원격리셋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5698A (ko) * 2010-02-19 2011-08-2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교통정보 함체의 동작 정보 습득 및 전원 원격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5969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KR101314964B1 (ko) * 2013-04-11 2013-10-04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441907B1 (ko) 2012-05-25 2014-09-23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휴대용 교통정보 수집 장치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5-11-20 장성우 지능형 교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04A (ko) * 2003-06-24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티에스용 노변기지국의 원격리셋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5698A (ko) * 2010-02-19 2011-08-2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교통정보 함체의 동작 정보 습득 및 전원 원격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5969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원 자동 리셋 장치 및 방법
KR101441907B1 (ko) 2012-05-25 2014-09-23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휴대용 교통정보 수집 장치
KR101314964B1 (ko) * 2013-04-11 2013-10-04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5-11-20 장성우 지능형 교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0646B1 (en) Security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314964B1 (ko)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US107623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a vehicle in a camera's field of view
KR101925807B1 (ko) 멀티미디어 정보와 cps 기술을 활용한 임베디드 방식의 터널 자율운영시스템
US10438024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7091687B2 (en) Electrical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gate or door or similar element of the type moved electrically
US10270954B2 (en) LED Lighting system controller
CN106063143A (zh) 包含耦接至双向通信环路的隔离器并具有通信恢复功能的环境检测系统
KR20120114510A (ko)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RU2611025C2 (ru) Комбинация шин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опасностью
KR20180010500A (ko) 화재 수신기와 연계가 가능한 방재 시스템
KR101666178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459372B1 (ko) 도어 개폐 장치
KR10174383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US11743998B2 (en) Device within a pole and method
KR20150085338A (ko)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한 주차장 자동 제어 시스템
US93978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ly actuated device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KR10173877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200430809Y1 (ko) 무인변전소의 경보통합제어반
KR101065144B1 (ko)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11777A (zh) 一种煤矿井下风门智能视频安全管理控制系统
CN106254743A (zh) 一种智能防盗摄像头
KR20210051641A (ko)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228693Y (zh) 一种自动感应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