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571B1 - 지능형 교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571B1
KR101568571B1 KR1020140021771A KR20140021771A KR101568571B1 KR 101568571 B1 KR101568571 B1 KR 101568571B1 KR 1020140021771 A KR1020140021771 A KR 1020140021771A KR 20140021771 A KR20140021771 A KR 20140021771A KR 101568571 B1 KR101568571 B1 KR 10156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ms
vehicle
display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230A (ko
Inventor
장성우
Original Assignee
장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우 filed Critical 장성우
Priority to KR102014002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5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을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로 상의 차량 소통에 방해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전파하고, 돌발 상황에 대한 대응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이하 ITS)은 도로, 차량, 신호 등 기존 교통체계에 정보, 통신, 전자, 제어 등의 기술을 접목시켜 다양하게 수집된 정보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교통체계를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ITS는 크게 첨단 교통관리 시스템(ATMS: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첨단 교통정보 시스템(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APTS: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첨단 화물운송 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 첨단 차량 도로 시스템(AVHS: 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으로 구성된다. ITS를 활용한 서비스로는 교통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신호제어 시스템, 과속차량 자동단속 시스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버스 도착 예정시간 안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종래의 ITS는 도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폐쇄회로 카메라(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 표시부, 차량의 소통 정도를 표시하는 소통 정보 맵 표시부 및 도로 상에 보안을 책임지는 순찰 차량과 도로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공구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관제 맵 표시부를 각각 별로로 운영하였다. 따라서 도로 상에서 차량 소통에 방해되는 차량 간 사고, 도로의 공사, 고장 차량의 정차, 낙하물 등의 돌발 상황 발생 시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돌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ITS는 CCTV 표시부, 소통 정보 맵 표시부 및 위치 관제 맵 표시부가 별도의 장치에서 각각 운영되었으며, 돌발 상황 발생 시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전파하고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가 돌발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관리자의 능력에 따라 가변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간단한 돌발 상황 정보의 입력을 통해 즉각적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전파하고, 돌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을 관리자가 인지하고, 돌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입력하여 즉각적으로 돌발 상황을 전파하고,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한 관리자가 손쉽게 돌발 상황에 대한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도로전광표지에 제공될 문안을 생성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도로전광표지 및 주변에 위치한 도로전광표지에 자동으로 생성된 문안을 표시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 상에 위치하여 보안을 담당하는 순찰 차량 또는 도로의 보수 및 공사를 담당하는 공구 차량으로부터 도로전광표지에 제공될 문안 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해당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도로전광표지 및 주변에 위치한 도로전광표지에 수신된 문안을 표시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을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순찰/공구 차량의 ITS 단말로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CCTV 확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들을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구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공구 차량으로부터 상기 공구 차량에 의해 공사 중인 도로의 차로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차로 문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구 차량이 정차치 또는 이동하는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생성된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구 차량으로부터 작업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해당 차선의 통행 정보를 제어하는 진입 차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진입 차단 정보를 LCS(Lane Control System)의 ITS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도로의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경우, 진입 허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진입 허용 정보를 상기 LCS의 상기 ITS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LCS 연동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는,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서 송신되는 GPS 신호와 연동되는 경도 정보 및 위도 정보, 국가 공인 기관의 지도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전 국토 정보 및 국토 상의 도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MS 문안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MS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고,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정보 입력 화면, 차로 정보 입력 화면 및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도로 지도 중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들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CCTV 영상 중 특정 CCTV의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을 상기 CCTV 확인 영역 또는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CCTV 선택부; 상기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CCTV의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 단위별로 미리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 개의 세부 위치들을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부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선택된 세부 위치의 도로의 차로 정보들을 복수 개의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도로의 차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도로의 차로 정보로부터 상기 차로 정보를 생성하는 차로 정보 생성부; 상기 도로 상에서 발생한 돌발 상황들을 복수 개의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표시된 돌발 상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돌발 상황으로부터 상기 돌발 정보를 생성하는 돌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를 각각 추출한 후 조합하여 하나의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문안 자동 생성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부 위치들은, 상기 도로 상의 차량의 진행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상행선 세부 위치들 및 하행선 세부 위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는, 10M, 20M, 50M 및 100M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부 위치들은, 상기 선택된 CCTV가 위치한 도로에 설치된 이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별로 할당된 번호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돌발 정보는, 도로 상의 차량 간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의 공사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상의 차량의 소통 정보, 도로 상의 순찰 차량 또는 공구 차량의 위치 관제 정보 및 도로 상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를 통해 관리자는 손쉽게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상에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한 관리자는 해당 도로에 위치한 CCTV를 선택하여 해당 지역의 영상을 확인하고, 도로전광표지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손쉽게 입력하면, 도로전광표지 문안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도로전광표지 및 주변에 위치한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표시되므로 즉각적으로 돌발 상황을 전파 및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상에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한 순찰 차량 또는 공구 차량은 ITS 단말을 통해 도로전광표지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입력하여 생성된 도로전광표지 문안을 지능형 교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수신된 도로전광표지 문안을 즉각적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도로전광표지 및 주변에 위치한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합 상황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상황 발생 시 CCTV 확인 영역을 표시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합 상황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로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상황 표시부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의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이하 ITS) 단말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HDD(Hard Disk Drive), Micro SD Card, USB Memory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s, 이하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상황은 도로 상에 차량의 소통에 방해가 되는 상황으로서 차량 간 사고 상황, 도로 또는 시설물의 공사 상황, 도로 상의 고장 차량 발생 상황, 도로 상의 낙하물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로의 상세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로의 차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정보는 도로 상의 차량 간의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 등의 공사와 같은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MS 문안 테이블은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상기 차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MS 제공 정보는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정보와 각각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 차량은 도로 상에 보안을 담당하는 차량으로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 수신기 및 ITS 단말을 구비할 수 있다. 순찰 차량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 차량은 VMS를 구비할 수 있다. 순찰 차량은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부터 VMS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VMS 제공 정보를 VMS를 통해 순찰 차량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찰 차량은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차량은 도로 상에 보수, 공사를 담당하는 차량으로서 GPS 수신기 및 ITS 단말을 구비할 수 있다. 공구 차량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차량은 VMS를 구비할 수 있다. 순찰 차량은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부터 VMS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VMS 제공 정보를 VMS를 통해 공구 차량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차량은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ITS 단말을 통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공구 차량은 도로 상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공구 차량에 의해 공사 중인 도로의 차로 정보를 지능형 교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수신된 차로 정보를 포함하는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며, 공구 차량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VMS를 통해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공구 차량의 작업 완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S 단말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ITS 통신부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ITS 단말은 스마트 폰, 휴대폰, 착용형 헤드 유닛, 태블릿(Tablet), 노트북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TS 단말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일시적인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에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S(Lane Control System)는 ITS 단말을 구비하는 가변 차선 제어 시스템으로서 고속도로 갓길, 터널 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ITS 단말을 통해 진입 차단 정보 또는 진입 허용 정보를 수신 받고, 표시부를 통해 진입 차단 정보 또는 진입 허용 정보를 나타내는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는 도로 상에 표지판, 이정표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터치입력이 가능한 표시부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신호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정표는 운전자가 운행하고 있는 고속도로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으로서 도로의 길어깨측에 100M 또는 20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정표는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고유한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ITS 통신부(110), VMS 제어부(120), 제어부(130), 통합 상황 표시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ITS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복수 개의 CCTV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s, 이하 VM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TS 통신부(110)는 CCTV 영상 수신부(111),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 VMS 제공 정보 송신부(114) 및 VMS 제공 정보 수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CCTV 영상 수신부(11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도로 상의 표지판, 시설물 및 도로 주변에 설치된 복수 개의 CCTV로부터 생성된 각각의 영상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CCTV에 구비된 ITS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CCTV 영상 수신부(111)는 수신된 영상신호들을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CCTV들은 특정 지역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도로 상의 상황을 촬영하여 각각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CCTV에 구비된 ITS 단말을 통해 CCTV 영상 수신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CCTV에 연결된 ITS 단말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각 CCTV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CCTV 영상 수신부(111)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도로 상의 표지판, 시설물 및 도로 주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로부터 생성된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검지기에 구비된 ITS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차량 검지기 신호는 각 차량 검지기가 설치된 도로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 차량 검지기가 위치한 위치 정보, 차량 검지기가 설치된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는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제어부(130)의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지역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은 도로 상에 차량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차량 검지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검지기는 차량들의 속도 정보, 검지기의 위치 정보, 차량 소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검지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검지기 신호를 구비된 ITS 단말을 통해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로 송신할 수 있다.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는 수신된 각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제어부(130)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부(133)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순찰/공구 차량은 실시간으로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구비된 ITS 단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로 전송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송신부(114)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VMS 제어부(120)로부터 VMS 제공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송신부(114)는 전달 받은 VMS 제공 정보를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VMS의 ITS 단말 및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은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VMS 제공 정보를 수신한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의 VMS의 ITS 단말 및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은 구비된 VMS를 통해 돌발 상황이 발생했음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수신부(115)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순찰/공구 차량의 ITS 단말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LCS 연동부(116)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해당 차선의 통행 정보를 제어하는 진입 차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입 차단 정보를 LCS의 ITS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진입 차단 정보는 LCS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진입 차단을 나타내는 적색의 엑스표를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CS 연동부(116)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돌발 상황이 해제된 도로의 해당 차선의 통행 정보를 제어하는 진입 허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입 허용 정보를 LCS의 ITS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진입 허용 정보는 LCS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진입 허용을 나타내는 녹색의 진행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녹색의 진행 화살표의 지시 방향은 차량 진행 방향을 동일한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VMS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도로의 차로 정보 및 돌발 상황을 나타내는 돌발 정보를 입력받고, 수신된 세부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VMS 문안 정보를 추출하여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VMS 제어부(120)는 표시부(121), CCTV 선택부(122) 및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와 연동되어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표시 화면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VMS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CCTV 선택부(122)로부터 전달 받은 특정 CCTV 영상 신호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VMS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 차로 정보 입력 화면, 및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CCTV 선택부(122)는 표시부(121)에 표시된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표시 화면 중 복수 개의 CCTV 영상들이 표시되는 CCTV 영상 표시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CCTV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CCTV 선택부(122)는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 신호를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CCTV 확인 영역(1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CCTV 선택부(122)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 신호를 표시부(121)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CCTV 선택부(122)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와 연동되어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21)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중 관리자가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을 사용자 입력 신호를 통해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21)를 통해 해당 지역에 위치한 특정 CCTV의 영상 신호를 표시부(1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CCTV 확인 영역(1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CCTV 선택부(122)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 신호를 표시부(121)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를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는 위치 정보 생성부(123-1), 차로 정보 생성부(123-2), 돌발 정보 생성부(123-3) 및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23-1)는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을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23-1)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123-1)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은 디지털 지도상에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CCTV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 별로(예를 들어 100M) 구분된 세부 위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위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된 CCTV의 표시 위치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23-1)는 표시부(121)의 표시되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상에 표시된 복수 개의 세부 위치들 중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부 위치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선택된 세부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로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차로 정보 생성부(123-2)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을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로 정보 생성부(123-2)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로부터 차로 정보를 생성하여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로 정보 생성부(123-2)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은 디지털 지도상에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CCTV의 위치한 도로의 차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로 정보 생성부(123-2)는 표시부(121)의 표시되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상에 표시된 차로 정보들 중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차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선택된 차로 정보를 생성하여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로 전달할 수 있다. 차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돌발 정보 생성부(123-3)는 차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돌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을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돌발 정보 생성부(123-3)는 돌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로부터 돌발 정보를 생성하여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돌발 정보 생성부(123-3)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되는 돌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은 도로 상의 차량 간의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 등의 공사와 같은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돌발 정보 입력 화면(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와 각각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로부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위치 정보 생성부(123-1)로부터 위치 정보, 차로 정보 생성부(123-2)로부터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 생성부(123-3)로부터 돌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저장부(150)의 VMS 문안 테이블(152)로부터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와 각각 매핑된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추출된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로부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 또는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VMS 문안 정보는 도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로 문안 정보, 차로의 정보를 나타내는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상황을 나타내는 돌발 문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VMS 문안 테이블(152)에 미리 저장된 VMS 문안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 생성부(123-1)로부터 전달 받은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도로 문안 정보를 추출하고, VMS 문안 정보로부터 차로 정보 생성부(123-2)로부터 전달 받은 차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차로 문안 정보를 추출하며, VMS 문안 정보로부터 차로 정보 생성부(123-2)로부터 전달 받은 돌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돌발 문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는 추출된 도로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에 대해서는 하기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ITS 통신부(110)의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상황 표시부(140)의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ITS 통신부(110)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를 통해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저장부(150)의 디지털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지도 정보를 통신 상황 표시부(140)의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ITS 통신부(110)의 CCTV 영상 수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들을 중 통신 상황 표시부(140)의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각 CCTV의 영상 신호들을 통신 상황 표시부(140)의 CCTV 영상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VMS 제어부(120)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통신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ITS 통신부(110), 통신 상황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VMS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부(132), 지도 정보 생성부(133) 및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는 ITS 통신부(110)의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112)로부터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는 전달받은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차량 검지기가 위치한 지역별로 차량의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소통 정보는 차량의 소통 정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별로 구분 가능하며, 각 범위별로 구분 및 표시 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는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를 지도 정보 생성부(13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는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요 통계 정보는 차량의 소통 정도가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 발생한 돌발 상황에 대한 대응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대한 대응 정보는 돌발 상황이 방생한 지역 및 주변 지역의 복수 개의 VMS로 VMS 제공 정보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VMS 제공 정보 송신 정보, 순찰/공구 차량의 출동 여부를 나타내는 출동 정보 및 순찰/공구 차량이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출동하여 대응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을 나타내는 처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는 생성된 주요 통계 정보를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으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부(132)는 ITS 통신부(110)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수신부(113)로부터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부(132)는 생성된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지도 정보 생성부(133)로 전달할 수 있다.
지도 정보 생성부(133)는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로부터 차량 소통 정보 및 위치 정보 생성부(132)로부터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지도 정보 생성부(133)는 전달 받은 차량 소통 정보 및 각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150)의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151)에 미리 저장된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 정보는 하나의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되는 각 도로의 차량 소통 정보 및 각 도로 상에 위치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 생성부(133)는 생성된 지도 정보를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으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134)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들의 동작 상태를 각각 모니터링 하고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134)는 생성된 시스템 장애 정보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으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VMS 문안 자동 생성부(123-4)로부터 전달 받은 VMS 제공 정보를 ITS 통신부(110)의 VMS 제공 정보 송신부(114)를 통해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 VMS의 ITS 단말 및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ITS 통신부(110)의 VMS 제공 정보 수신부(114)를 통해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VMS 제공 정보를 ITS 통신부(110)의 VMS 제공 정보 송신부(114)를 통해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 VMS의 ITS 단말 및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ITS 통신부(110)의 VMS 제공 정보 수신부(114)를 통해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VMS 제공 정보를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공구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공구 차량으로부터 공구 차량에 의해 공사 중인 도로의 차로 정보를 수신 받고, VMS 문안 테이블(152)로부터 수신받은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차로 문안 정보를 포함하는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여 공구 차량이 정차 또는 이동하는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생성된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공구 차량으로부터 작업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상황 표시부(140)는 CCTV 영상 표시 영역(141),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CCTV 확인 영역(143),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상황 표시부(140)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CCTV 영상 표시 영역(141)은 통합 상황 표시부(140)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CCTV 영상 수신부(111)로부터 전달 받은 영상신호들이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은 통합 상황 표시부(140)가 제어부(130)의 지도 정보 생성부(133)로부터 전달 받은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CCTV 확인 영역(143)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특정 지역의 CCTV 영상이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통합 상황 표시부(140)는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에 표시되는 디지털 지도 중 특정 지역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할 수 있다. 통합 상황 표시부(140)는 선택된 특정 지역에 위치한 특정 CCTV 영상 신호를 CCTV 확인 영역(143)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CCTV 확인 영역(143)은 CCTV 선택부(122)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은 제어부(130)의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134)로부터 전달 받은 시스템 장애 정보가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은 VMS 제어부(120)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로부터 전달 받은 VMS 제공 정보가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은 제어부(130)의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로부터 전달 받은 주요 통계 정보가 표시되는 통합 상황 표시부(140)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151)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15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151)에는 국립지리원, 국토개발기관 등 국가 공인 기관의 지도 데이터를 근거로 전 국토 정보 및 국토 상의 도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지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지도 정보에는 정확한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순찰/공구 차량에서 송신되는 각 차량의 GPS 신호와 연동될 수 있다.
VMS 문안 테이블(152)은 VMS 문안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VMS 문안 정보는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각 돌발 정보와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VMS 문안 테이블(152)은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와 각각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차로 문안 정보 및 돌발 문안 정보들이 미리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 정보 표시하는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합 상황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상황 발생 시 CCTV 확인 영역을 표시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합 상황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상황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CCTV 영상 표시 영역(141: 141a, 141b),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CCTV 확인 영역(143),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CCTV 영상 표시 영역(141)은 통합 상황 표시부(140) 상에 좌측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좌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a) 및 통합 상황 표시부(140) 상에 우측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좌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a) 또는 우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b)은 복수 개의 CCTV 영상 신호들을 CCTV 영상 신호 별로 형성된 각 CCTV 영상 표시 영역(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은 좌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a)과 우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b)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상에 국토 정보(미도시), 국토 상의 도로 지도 정보(미도시), 도로 상의 순찰 차량(310: 310a, 310b, 310c) 나타내는 아이콘, 공구 차량(320: 320a, 320b)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상에 특정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330)을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상 표시하고,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 상에 선택된 특정 지역에 위치한 CCTV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CCTV 확인 영역(143)을 형성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은 좌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a)과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 사이 및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의 하부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 상에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주요 통계 정보를 아이콘, 텍스트, 도형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은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146)과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 사이 및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의 하부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 상에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134)에서 생성된 시스템 장애 정보를 아이콘, 텍스트, 도형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은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144)과 우측 CCTV 영상 표시 영역(141b) 사이 및 지도 정보 표시 영역(142)의 하부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 상에 VMS 제어부(120)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아이콘, 텍스트, 도형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VMS 제어부(120)의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540),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세부 위치(530c)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510), 선택된 CCTV(540)가 위치한 도로의 이정표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별로 10M, 20M, 50M 및 100M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구분된 세부 위치들(520a, 520b, 520c, 520d, 530a, 530b, 530c, 530d, 530) 들의 입력이 가능한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위치들(520a, 520b, 520c, 520d, 530a, 530b, 530c, 530d, 530) 들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구분하기 위해 상행선 세부 위치들(520a, 520b, 520c, 520d) 및 하행선 세부 위치들(530a, 530b, 530c, 530d)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세부 위치(530c)에 할당된 번호 정보는 42.4이다 42는 선택된 CCTV(540)가 위치한 도로의 이정표 번호이며 0.4는 이정표 번호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의 곱하기 4인 지점(예컨대, 도로의 이정표 위치를 기준으로 400M 떨어진 하행선의 도로 상의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돌발 상황 발생 시 이를 인지하고,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이 활성화된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VMS 제어부(120)의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행선 세부 위치들(520a, 520b, 520c, 520d) 및 하행선 세부 위치들(530a, 530b, 530c, 530d)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세부 위치를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세부 위치를 인식하여 세부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121)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일시적인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에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상행선 세부 위치들(520a, 520b, 520c, 520d) 및 하행선 세부 위치들(530a, 530b, 530c, 530d)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150)의 사용자 제스쳐 입력 데이터베이스(153)에 저장된 사용자 제스쳐 입력들 중 하나와 미리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세부 위치들(520, 530)에 표시된 형상과 미리 매핑된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세부 위치를 인식하여 세부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로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세부 위치가 선택되면, 관리자로부터 차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VMS 제어부(120)의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차로 정보 입력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차로 정보(620c, 620d)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610) 및 세부 위치의 도로의 차로 정보(620: 620a, 620b, 620c, 620d) 들의 입력이 가능한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돌발 상황 발생 한 세부 위치 정보를 입력 한 후 도 6과 같이 도시되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차로 정보(620: 620a, 620b, 620c, 620d)들의 입력이 가능한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돌발 상황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차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돌발 상황이 발생한 차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차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121)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일시적인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에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차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세부 위치의 도로의 차로 정보(620: 620a, 620b, 620c, 620d)들의 입력이 가능한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150)의 사용자 제스쳐 입력 데이터베이스(153)에 저장된 사용자 제스쳐 입력들 중 하나와 미리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차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세부 위치의 도로의 차로 정보(620: 620a, 620b, 620c, 620d)들의 입력이 가능한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와 미리 매핑된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차로를 인식하여 차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VMS 제어부의 표시부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선택되면, 관리자로부터 돌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VMS 제어부(120)의 표시부(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차량 간의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 등의 공사와 같은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S 문안을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실행 입력 아이콘(710)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의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종료하는 종료 입력 아이콘(7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돌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사고 입력 아이콘(730), 작업 입력 아이콘(740), 고장 차량 입력 아이콘(750) 및 낙하물 입력 아이콘(760)과 같은 돌방 정보 중 발생한 돌발 상황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발 정보를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돌발 정보를 인식하여 돌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1)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121)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일시적인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에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돌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된 도로 상의 차량 간의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 등의 공사와 같은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150)의 사용자 제스쳐 입력 데이터베이스(153)에 저장된 사용자 제스쳐 입력들 중 하나와 미리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돌발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사고 입력 아이콘(730), 작업 입력 아이콘(740), 고장 차량 입력 아이콘(750) 및 낙하물 입력 아이콘(760)에 표시된 형상과 동일한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표시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돌발 정보를 인식하여 돌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상황 표시부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의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VMS 문안을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실행 입력 아이콘(710)이 선택되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VMS 제어부(120)의 VMS 제공 정보 생성부(123)에서 생성된 VMS 제공 정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100)은 ITS 통신부(110)의 VMS 제공 정보 수신부(115)로부터 전달받은 VMS 제공 정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에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상황 표시부(140)의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145)에는 VMS를 식별할 수 있는 제 1 VMS 식별 정보(145-1), 제 1 VMS 식별 정보(145-1)를 가지는 VMS에 실제 표시되는 제 1 VMS 제공 정보(145-2), 제 2 VMS 식별 정보(145-3) 및 제 2 VMS 식별 정보(145-4)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지능형 교통 시스템
110: ITS 통신부
111: CCTV 영상 수신부
112: 차량 검지기 신호 수신부
113: 순찰/공구 차량의 GPS 정보 수신부
114: VMS 제공 정보 송신부
115: VMS 제공 정보 수신부
116: LCS 연동부
120: VMS 제어부
121: 표시부
122: CCTV 선택부
123: VMS 제공 정보 생성부
123-1: 위치 정보 생성부
123-2: 차로 정보 생성부
123-3: 돌발 정보 생성부
123-4: VMS 문안 자동 생성부
130: 제어부
131: 차량 소통 정보 생성부
132: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 생성부
133: 지도 정보 생성부
134: 시스템 장애 정보 생성부
140: 통합 상황 표시부
141: CCTV 영상 표시 영역
142: 지도 정보 영역
143: CCTV 확인 영역
144: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145: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145-1: 제 1 VMS 식별 정보
145-2: 제 1 VMS 제공 정보
145-3: 제 2 VMS 식별 정보
145-4: 제 2 VMS 제공 정보
146: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150: 저장부
151: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152: VMS 문안 테이블
153: 사용자 제스쳐 입력 데이터베이스
310: 순찰 차량
320: 공구 차량
330: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
510: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
520: 상행선 위치 정보 표시 아이콘
530: 하행선 위치 정보 표시 아이콘
540: CCTV
610: 사용자 입력 표시 아이콘
620: 차로 정보 표시 아이콘
710: 실행 입력 아이콘
720: 종료 입력 아이콘
730: 사고 입력 아이콘
740: 작업 입력 아이콘
750: 고장 차량 입력 아이콘
760: 낙하물 입력 아이콘

Claims (13)

  1.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3. 삭제
  4.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순찰/공구 차량의 ITS 단말로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 및 상기 CCTV 확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들을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5.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해당 차선의 통행 정보를 제어하는 진입 차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진입 차단 정보를 LCS(Lane Control System)의 ITS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도로의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경우, 진입 허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진입 허용 정보를 상기 LCS의 상기 ITS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LCS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6.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VMS 문안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7.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있어서,
    복수 개의 CCTV들로부터 각각 CCTV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들을 수신하며, 복수 개의 차량 검지기들로부터 각각의 차량 검지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에 구비된 ITS 단말들에게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 개의 순찰/공구 차량에 구비된 ITS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 각각 구비된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ITS 통신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VMS 문안 정보가 포함된 VMS 문안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
    CCTV 영상 표시 영역, 지도 정보 표시 영역, CCTV 확인 영역, 시스템 장애 정보 표시 영역,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통합 상황 표시부;
    돌발 상황이 발생한 도로의 위치 정보, 차로 정보 및 돌발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차로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미리 매핑된 상기 VMS 문안 정보를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검지기 신호들로부터 각 지역의 차량 소통 정도를 나타내는 차량 소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로부터 각 지역별 차량의 소통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주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요 통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차량 소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순찰/공구 차량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에 반영하여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들 중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에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 신호들을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VMS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상기 VMS 제공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ITS 통신부,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VMS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장애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시스템 장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VMS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통합 상황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고,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정보 입력 화면, 차로 정보 입력 화면 및 돌발 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도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도로 지도 중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CCTV 영상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한 복수 개의 CCTV의 영상들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CCTV 영상 중 특정 CCTV의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CCTV의 영상을 상기 CCTV 확인 영역 또는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CCTV 선택부;
    상기 VMS 문안 자동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CCTV의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 단위별로 미리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 개의 세부 위치들을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부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선택된 세부 위치의 도로의 차로 정보들을 복수 개의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도로의 차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도로의 차로 정보로부터 상기 차로 정보를 생성하는 차로 정보 생성부;
    상기 도로 상에서 발생한 돌발 상황들을 복수 개의 아이콘, 텍스트, 도형, 기호 및 입력 박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표시된 돌발 상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돌발 상황으로부터 상기 돌발 정보를 생성하는 돌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핑된 위치 문안 정보,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 및 상기 돌발 정보와 매핑된 돌발 문안 정보를 각각 추출한 후 조합하여 하나의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VMS 문안 자동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위치들은,
    상기 도로 상의 차량의 진행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상행선 세부 위치들 및 하행선 세부 위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는,
    10M, 20M, 50M 및 100M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위치들은,
    상기 선택된 CCTV가 위치한 도로에 설치된 이정표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단위별로 할당된 번호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발 정보는,
    도로 상의 차량 간 사고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 도로 시설물의 공사 나타내는 작업 정보, 도로 상의 고장 차량을 나타내는 고장 차량 정보 및 도로 상의 낙하물을 나타내는 낙하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12.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구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공구 차량으로부터 상기 공구 차량에 의해 공사 중인 도로의 차로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VMS 문안 테이블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차로 정보와 매핑된 차로 문안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차로 문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VMS 제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공구 차량이 정차지 또는 이동하는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과 주변 지역에 위치한 VMS의 ITS 단말로 상기 생성된 VMS 제공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구 차량으로부터 작업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송된 VMS 제공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중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13.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지도 정보는, 상기 순찰/공구 차량에서 송신되는 GPS 신호와 연동되는 경도 정보 및 위도 정보, 국가 공인 기관의 지도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전 국토 정보 및 국토 상의 도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20140021771A 2014-02-25 2014-02-25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156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71A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4-02-25 지능형 교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71A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4-02-25 지능형 교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230A KR20150100230A (ko) 2015-09-02
KR101568571B1 true KR101568571B1 (ko) 2015-11-20

Family

ID=5424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771A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4-02-25 지능형 교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178B1 (ko)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72529B1 (ko) 2015-12-30 2017-08-30 대아티아이 (주)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KR102016536B1 (ko) * 2019-05-08 2019-08-30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서 lcs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39B1 (ko) 2018-02-12 2020-02-11 (주)제이엔디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KR102157178B1 (ko) 2018-03-26 2020-10-23 한국도로공사 가변정보표지판용 전원공급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385866B1 (ko) * 2020-12-31 2022-04-14 주식회사 알트에이 도시관리플랫폼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082A (ja) * 2002-03-12 2003-09-26 Chugoku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道路情報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道路情報を管理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082A (ja) * 2002-03-12 2003-09-26 Chugoku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道路情報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道路情報を管理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529B1 (ko) 2015-12-30 2017-08-30 대아티아이 (주)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KR101666178B1 (ko)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16536B1 (ko) * 2019-05-08 2019-08-30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서 lcs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230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571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
US110039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raffic violations using mobile detection devices
CN104574953B (zh) 交通信号预测
KR102028720B1 (ko)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William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standards
US10839683B2 (en) Identifying wrong-way travel events
KR20210018455A (ko) 무인 반송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기억 매체
CN113792428B (zh) 虚拟场景下车辆的测试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00020228A1 (en) Route-specific services for connected automated vehicle highway systems
Khan et al.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nd its relationship with data analytics
KR101631750B1 (ko) 도로 전광표지판 운영 시스템
Park et al. Glossary of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terms
KR101498582B1 (ko) 교통사고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686A (ko) 돌발 상황 정보 제공 시스템
CN111785033A (zh) 车辆行驶提示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Noh et al. SafetyCube: Framework for potential pedestrian risk analysis using multi-dimensional OLAP
Bubelíny et al. The use of smart elements for the transport operation in the slovak cities
Kim et al. The usefulness of augmenting reality on vehicle head-up display
Chang et al. CAV driving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via V2X-based edge computing system
CN112885087A (zh) 确定路况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和程序产品
Cui et al. Vision-based work zone safety alert system in a connected vehicle environment
Premalatha et al. A smart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for restricted areas with vehicle automation technologies using raspberry Pi B and open CV python–An experimental approach
Laplante " Smarter" Roads and Highways
KR20160112358A (ko) 도로전광판과 차량내비게이션의 연동을 통한 도로 교통정보 제공장치
JP2007155349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