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29B1 -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29B1
KR101772529B1 KR1020150190380A KR20150190380A KR101772529B1 KR 101772529 B1 KR101772529 B1 KR 101772529B1 KR 1020150190380 A KR1020150190380 A KR 1020150190380A KR 20150190380 A KR20150190380 A KR 20150190380A KR 101772529 B1 KR101772529 B1 KR 10177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ymbol
train
monitoring
railw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874A (ko
Inventor
신광호
엄태화
안진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 (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5019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는 철도 시스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을 생성하고 이를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로서 가공하되, 생성된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은 철도 시스템을 운행하는 열차 및 주변 설비를 위치 기반 심볼로 형성하고, 상기 심볼이 선택되었을 때 관련 정보를 팝업 형태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열차 운행 현시모듈;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심볼의 선택 여부를 감지하고, 선택된 심볼의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열차, 전력설비, 선로변상태, 신호설비, 전차선을 각각 심볼로 나타내고, 심볼이 선택되었을 때 각 심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하므로,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DISPLAY SYSTEM FOR TRAIN SYSTEM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시스템은 철도차량, 열차운행, 전력설비, 통신 및 기계설비, 그리고 선로변 설비 등 복잡한 서브 시스템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철도 시스템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는 철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브 시스템들의 정상 작동은 물론 철도 시스템의 관련 종사자들의 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 예에서, 철도 시스템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열차 운행 감지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열차의 운행 상태 및 주변 설비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종래의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모니터링 화면은 모니터링 대상인 도착역을 표시하는 도착역명 표시(110)를 기준으로 해당 도착역에 대한 트랙상황, 트랙점유, 열차번호, 전철기 상태, 신호기 상태를 각각 트랙상황 표시(120), 트랙점유 표시(130), 열차번호 표시(140), 전철기 상태 표시(150) 및 신호기 상태 표시(160)로 표시한다.
그리고, 종래의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에서 철도 시스템의 전력 분야 설비 감시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전력 분야 설비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하는데, 전력설비가 설치된 역을 표시하는 설치역명 표시(210)를 기준으로 해당 역의 설비에 대한 변전소 상태, 전차선 상태, 전력 상태, 전류 상태를 각각 변전소 상태 표시(220), 전차선 상태 표시(230), 전력 상태 표시(240) 및 전류 상태 표시(250)로 각각 표시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종래의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은 열차 운행 모니터링 화면과 설비 화면을 각각의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형성되므로 통합적인 모니터링의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열차 운행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화면이 직관적이지 않아, 열차의 운행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현시할 수 있고, 한 화면에 열차의 운행 상태 및 주변 설비 상태를 모두 출력하여 철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여러 시스템을 한 화면에 현시하여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는 철도 시스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을 생성하고 이를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로서 가공하되, 생성된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은 철도 시스템을 운행하는 열차 및 주변 설비를 위치 기반 심볼로 형성하고, 상기 심볼이 선택되었을 때 관련 정보를 팝업 형태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열차 운행 현시모듈;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심볼의 선택 여부를 감지하고, 선택된 심볼의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차 운행 현시모듈은, 상기 열차의 운행 관련 신호 정보를 상기 열차에 대해 각각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신호분야 현시모듈;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전력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와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전력분야 현시모듈;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통신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 및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통신분야 현시모듈; 그리고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선로변 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 및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분야 현시모듈, 상기 전력분야 현시모듈, 상기 통신분야 현시모듈, 그리고 상기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은 선로정보 또는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선로정보 DB로부터 상기 선로정보 또는 상기 지리정보를 전달받아 심볼 형태의 그래픽을 형성하고 이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정보는 선택부가 상기 심볼을 선택하였을 때 출력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심볼을 다시 선택하거나 출력된 상기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정보를 선택했을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관리 모듈은 생성된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에서 특정 심볼이 제1 신호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심볼에 대한 전체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에서 특정 심볼이 제2 신호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심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방법은,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를 통한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방법에 있어서, (a)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철도 시스템 관련 정보를 그래픽으로 변환하거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 (b) 가공된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c) 입력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특정 심볼을 선택하는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심볼에 대한 상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e)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선비의 상세정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전환되어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은 열차, 전력설비, 선로변상태, 신호설비, 전차선을 각각 심볼로 나타내고, 심볼이 선택되었을 때 각 심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하므로,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의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의 신호설비 감시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의 전력설비 감시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의 안전설비 감시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는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권한 부여를 관리하는 권한 관리 모듈(350)을 포함하고, 외부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는 단말 등의 안전관리자(310)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전관리자(310)에서 발생한 입력신호는 사용자 입력모듈(340)을 통해 권한 관리 모듈(350)로 전달된다.
그리고,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은 안전 감시 서버(320)에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모듈(361)과, 안전 감시 서버(3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모듈(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예에서, 안전 감시 서버(320)는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열차 운행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였다가 정보요청모듈(361)에서 발생한 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이때, 열차 운행 현시모듈(360)은 정보 수신 모듈(362)이 안전 감시 서버(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 등을 생성한다.
열차 운행 현시모듈(360)은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해 생성한 그래픽 또는 인터페이스 적용한 정보를 신호분야 현시모듈(365), 전력분야 현시모듈(366), 통신분야 현시모듈(367),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368)로 각각 전달하고, 각각의 신호분야 현시모듈(365), 전력분야 현시모듈(366), 통신분야 현시모듈(367) 및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368)은 열차 운행 현시모듈(360)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픽 또는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 운행 시스템의 신호, 전력, 통신상태 및 선로변상태를 그래픽 또는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정보로서 가공한다.
신호분야 현시모듈(365), 전력분야 현시모듈(366), 통신분야 현시모듈(367) 및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368)이 열차 운행 현시모듈(360)로부터 전달받은 그래픽 및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정보 외에도, 선로정보 DB(364)로부터 전달받은 선로정보 또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픽 또는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정보로서 가공한다.
한 예에서, 선로정보 DB(364)는 선로정보, 신호, 전력, 통신 및 선로변 설비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의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에서 감시화면을 구성하는 데 제공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때, 열차 운행 현시모듈(360)은 열차 운행 정보를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그래픽이 화면에 출력되었을 때 직관적으로 열차 운행 정보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정보를 가공하고, 신호분야 현시모듈(365)는 열차 운행 관련된 신호정보를 그래픽으로 형성하여 화면에 출력되었을 때 열차 운행 관련 신호 정보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력분야 현시모듈(366), 통신분야 현시모듈(367) 및 선로변상태 현시모듈(368)이 정보를 가공함에 있어서, 가공된 정보가 화면에 출력되었을 때 관련정보가 직관적으로 표현되도록 화면에 현시를 위한 정보를 가공한다.
이때, 신호분야 현시모듈(365), 전력분야 현시모듈(366), 통신분야 현시모듈(367), 선로변상태 현시모듈(368)은 가공된 정보를 외부 출력 모듈(380)로 전달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이벤트 관리 모듈(370)은 열차 운행 현시 모듈(36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듈로서, 안전 감시 서버(3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고 외부 출력 모듈(380)로 전달하여 출력한다.
한 예에서, 이벤트 관리 모듈(370)이 처리하는 이벤트로서, 열차 운행을 감시하는 서브 시스템의 고장 발생 여부, 열차 운행의 안전 또는 열차 운행 사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검지 정보의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콘솔 관리 모듈(330)은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의 내부 모듈을 관리하는 부분으로서,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핵심 모듈인 사용자 입력 모듈(340), 권한 관리 모듈(350) 및 외부 출력 모듈(360)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 및 감시한다.
그리고,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은 대형 표시반(390), 위험 경고 시스템(391) 및 외부 연동 시스템(392)과 각각 연결되어, 열차 운행 상태를 대형 표시반(390)에 출력하거나, 가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된 위험상황을 위험 경고 시스템(391)에서 경고를 출력할 수 있고, 외부 연동 시스템(392)을 통해 관련 정보들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중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이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열차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철도 시스템의 주변 설비 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그래픽 및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가공하므로, 철도 시스템에 관련된 여러 설비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로 인해, 철도 시스템에 관련된 여러 설비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에서 생성된 현시 화면을 대형 표시반(390) 등에 출력하는 화면의 한 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그래픽으로 표현되고 인터페이스 적용되도록 가공된 모니터링 화면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로(2a, 2b), 선로(2a)를 운행하는 열차 심볼(10a, 10b)을 이미지로 표시한다.
이때, 모니터링 화면에서 현시되는 선로(2a, 2b)는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모든 선로(2)를 표현하고, 열차 심볼(10a, 10b)은 해당 열차 심볼(10a, 10b)에 해당하는 각각의 열차가 운행 중인 선로(2a, 2b)에 매칭되도록 표시되며, 열차 심볼(10a, 10b)은 열차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운행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현시 화면 출력은 열차 심볼(10a, 10b)이 위치하는 열차 선로(2)에 형성되는 플랫폼(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선택부(3)가 선로(2)를 선택하는 경우, 선로(2)의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선로(2)에 대한 정보로서, 철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궤도의 점유상태 또는 열차 진로에 따른 선로 설정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열차 심볼(10a, 10b)은 이미지 또는 기호 등으로서 표현될 수 있고, 선택부(3)에서 발생한 선택에 따라 열차 심볼(10a, 10b)의 운행 정보를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에 출력한다.
한 예에서, 선택부(3)는 마우스 커서와 같이 입력신호에 따라 모니터링 화면에 현시된 심볼을 선택할 수 있고, 심볼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심볼의 정보를 도 4에 도시한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와 같이 팝업 형태로 정보를 출력한다.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는 선택부(3)에 의해 선택된 열차 심볼(10a, 10b)에 해당하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팝업 형태로 출력된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는 입력신호에 의한 선택부(3)의 선택이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를 선택하거나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를 출력중인 해당 열차 심볼(10a, 10b)을 선택한 경우, 더 이상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를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하지 않도록 해당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를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는 열차 심볼(10a, 10b)에 해당하는 열차의 위치, 식별번호, 운행 속도, 출발시간 등의 상세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좋고, 출력 정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도 4를 참고로 하여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300)에서 생성된 현시 화면을 설명하면, 철도 시스템의 선로변 상태를 선로변 상태 심볼(20)로서 표시하고, 철도 시스템의 신호설비 상태를 신호설비 상태 심볼(30)로서 표시힌다.
그리고, 철도 시스템의 변전소 상태를 변전소 상태 심볼(40)로서 표시하고, 철도 시스템의 전차선 상태를 전차선 상태 심볼(50)로서 각각 표시한다.
이때, 선로변 상태 심볼(20)은 선택부(3)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철도 시스템의 선로변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를 출력하고, 열차 심볼(10a, 10b)에 해당하는 열차에 대한 상세정보를 출력하는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11)의 형태를 갖는 선로변 상태 정보 현시부를 팝업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설비 상태 심볼(30)이 선택부(3)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철도 시스템의 신호설비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를 팝업 형태의 신호설비 상태 정보 현시부로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변전소 상태 심볼(40)이 선택부(3)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철도 시스템의 변전소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를 팝업 형태의 변전소 상태 정보 현시부로서 출력할 수 있으며, 전차선 상태 심볼(50)이 선택부(3)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철도 시스템의 전차선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를 팝업 형태의 전차선 상태 정보 현시부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지리 정보에 기반하여 열차의 실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열차 심볼(10a, 10b), 철도 시스템의 선로변 설비에 관련된 선로변 상태 심볼(20), 철도 시스템의 신호설비에 관련된 신호설비 상태 심볼(30), 철도 시스템의 변전소 설비에 관련된 변전소 상태 심볼(40), 그리고 철도 시스템의 전차선 설비에 관련된 전차선 상태 심볼(50)을 하나의 모니터링 화면에 각각의 심볼들을 출력하여 선택되었을 때 관련 정보를 팝업 형태로 출력할 수 있어, 철도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하나의 모니터링 화면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관련 정보 현시부들은 그 출력 지점이 정해지지 않고, 선택된 심볼의 주변에 출력되되, 모니터링 화면의 중심부가 이동함에 따라 관련 정보 현시부의 출력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가 이와 같이 설비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심볼을 표현하고, 특히, 지리 정보를 기반으로 열차 심볼(10a, 10b)을 표현하므로,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된 심볼들로부터 직관적으로 철도 시스템의 운행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 예에서,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출력중인 그래픽 또는 어느 한 심볼을 선택함에 따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의 설비에 대한 독립적인 모니터링 화면으로 전환되어 철도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철도 시스템의 신호설비 상태에 관련된 심볼인 신호설비 상태 심볼(30)이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된 선로(2b)에 형성(30a)되거나 선로(2b) 외부에 형성(30b)되는 등 철도 시스템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모니터링 화면에 복수 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에서 여러 설비에 대한 심볼을 표시하여 신호설비 상태를 전체적으로 현시하는 화면으로부터, 도 5와 같이 하나의 심볼을 여러 개 표시하여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신호설비 상태를 각각 모니터링하도록 제공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전체 모니터링 화면으로부터 구체적 모니터링 화면으로 용이하게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때, 전체 모니터링 화면에서 도 5와 같은 구체적 모니터링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은 신호설비 상태 심볼(30)을 선택부(3)에서 연속 선택(더블클릭) 하거나 미리 설정된 탭 또는 카테고리 선택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도 4에 도시한 변전소 상태 심볼(40) 또는 전차선 상태 심볼(50)에 대한 모니터링 화면 출력으로 화면 전환된 경우,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변전소와 적어도 하나의 전차선에 각각 변전소 상태 심볼(40a, 40b) 및 전차선 상태 심볼(50a, 50b)이 표시되어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변전소 및 전차선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도 4에 도시한 선로변 상태 심볼(20)을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선로변 설비에 대해 각각 출력될 수 있고, 출력된 복수 개의 선로변 상태 심볼(20a, 20b, 20c, 20d)를 선택하여 각각의 선로 또는 전체 선로변 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처럼, 도 4와 같이 하나의 모니터링 화면의 각 심볼이 철도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한 설비를 집중 모니터링하기 위한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하여 철도 시스템을 형성하는 각각의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철도 시스템 모니터링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때,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되는 심볼들은 지리 정보 기반으로 실제 철도 시스템의 설비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각의 심볼을 선택하였을 때 대응하는 설비의 관련정보를 팝업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모니터링 화면에 현시된 정보를 이용하는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철도 시스템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철도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감시하여 철도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를 통한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방법을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방법은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철도 시스템 관련 정보를 그래픽으로 변환하거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S100), 가공된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200), 입력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Q100),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심볼에 대한 상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300), 그리고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선비의 상세정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전환되어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철도 시스템 관련 정보를 그래픽으로 변환하거나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도 3을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철도 안전 관제 현시 시스템(300)에서 수행되며, 철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선로, 열차, 주변설비 등을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픽으로 형성하고,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이를 적용하여 현시할 정보를 가공한다.
다음으로, 가공된 정보를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200)는 위 단계(S100)에서 가공된 정보를 대형 표시반(390) 등의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한다.
출력 화면은 철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를 그래픽으로 출력하고, 모니터링 대상 설비들을 심볼로 출력하는데, 선택부가 특정 심볼을 선택하는 입력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여(Q100), 선택부가 특정 심볼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심볼에 대한 상세정보를 출력한다(S300).
예로써, 선택부가 열차 심볼(10a, 10b)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열차 심볼(10a, 10b)에 해당하는 열차의 상세 정보를 팝업 형태의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이때, 모니터링 화면에서 특정 심볼이 더블클릭 되거나 미리 설정된 탭 등이 선택되어 특정 심볼에 대한 상세한 모니터링이 요청되는 경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설비의 상세정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전환되어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한다(S400).
이러한 단계를 수행함으로부터 철도 시스템의 여러 설비들에 대한 상태정보를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지리 정보를 기반으로 가공된 그래픽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철도 시스템 모니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플랫폼 2 : 노선
3 : 선택부 10 : 열차 심볼
11 : 열차 운행 정보 현시부 20 : 선로변 상태 심볼
30 : 신호설비 상태 심볼 40 : 변전소 상태 심볼
50 : 전차선 상태 심볼 300 : 철도 안전 관제용 현시 시스템

Claims (6)

  1. 철도 시스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을 생성하고 이를 인터페이스에 적용하여 정보로서 가공하되, 생성된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은 철도 시스템을 운행하는 열차 및 주변 설비를 위치 기반 심볼로 형성하고, 상기 심볼이 선택되었을 때 관련 정보를 팝업 형태로 출력하도록 설정된 열차 운행 현시모듈;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로부터 상기 심볼의 선택 여부를 감지하고, 선택된 심볼의 관련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 운행 현시모듈은
    상기 열차의 운행 관련 신호 정보를 상기 열차에 대해 각각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신호분야 현시모듈;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전력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와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전력분야 현시모듈;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통신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 및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통신분야 현시모듈; 그리고
    철도 시스템에 형성된 선로변 설비에 대한 각각의 정보 및 전체 정보를 심볼 형태의 그래픽으로 형성하는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
    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열차에 대한 위치 기반 심볼의 표시 위치가 열차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변동되고,
    상기 이벤트 관리 모듈은 생성된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에서 특정 심볼이 제1 신호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심볼에 대한 전체적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열차 운행 모니터링을 위한 그래픽에서 특정 심볼이 제2 신호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심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야 현시모듈, 상기 전력분야 현시모듈, 상기 통신분야 현시모듈, 그리고 상기 선로변 상태 현시모듈은 선로정보 또는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선로정보 DB로부터 상기 선로정보 또는 상기 지리정보를 전달받아 심볼 형태의 그래픽을 형성하고 이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정보는 선택부가 상기 심볼을 선택하였을 때 출력되고, 상기 선택부가 상기 심볼을 다시 선택하거나 출력된 상기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정보를 선택했을 때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190380A 2015-12-30 2015-12-30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KR10177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80A KR101772529B1 (ko) 2015-12-30 2015-12-30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80A KR101772529B1 (ko) 2015-12-30 2015-12-30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874A KR20170080874A (ko) 2017-07-11
KR101772529B1 true KR101772529B1 (ko) 2017-08-30

Family

ID=5935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80A KR101772529B1 (ko) 2015-12-30 2015-12-30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258A (ja) 2012-04-13 201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制御装置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5-11-20 장성우 지능형 교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258A (ja) 2012-04-13 201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制御装置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5-11-20 장성우 지능형 교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874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2657B (zh) 实现车辆自动检修的方法及系统、相关设备
WO2014011550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rack circuit monitoring and alerting in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s
WO2020070940A1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164767B1 (ko) 철도의 연동장치와 무선폐색장치간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2074109B (zh) 一种调度车辆的方法和系统
JP4790637B2 (ja) 旅客案内システム
KR101406716B1 (ko) 열차제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653771B1 (ko) 열차 관제 시스템
GB2468745A (en) Graphic display of railway and train operation
KR102008924B1 (ko) 작업자 선로 횡단 안전 시스템
KR101772529B1 (ko) 지리 정보 기반의 철도 시스템 현시장치 및 방법
KR101708338B1 (ko)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KR20220040807A (ko) Atp와 atc와 ats 통합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47892B1 (ko)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JP2007045216A (ja) 車両・乗務員運用復旧装置
JP4695939B2 (ja) 統合駅システム及び駅管理方法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JP4990222B2 (ja) 列車運行計画作成システム
KR102020652B1 (ko)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JP4639390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JP2005136557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監視装置
US1131239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DK2678210T3 (en) Control and display device for operating a technical system and for displaying data for the technical system
CA2938565C (en) Real-time graphical display of ladder logic for railroad equipment
JP716203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