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892B1 -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892B1
KR101047892B1 KR1020100135362A KR20100135362A KR101047892B1 KR 101047892 B1 KR101047892 B1 KR 101047892B1 KR 1020100135362 A KR1020100135362 A KR 1020100135362A KR 20100135362 A KR20100135362 A KR 20100135362A KR 101047892 B1 KR101047892 B1 KR 101047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information
train
console
t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호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10013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60Testing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센터 시스템은, 관제사 콘솔 그룹, 통신 서버, CTC(Centralized Traffic Control) 서버, 충돌 분석 장치, 충돌 경고 장치, 및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충돌 분석 장치는 각 선로 구간의 노선 정보와,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고, 복수의 열차 각각에 대한 충돌 시점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열차 충돌 정보를 발생한다. 충돌 경고 장치는 충돌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충돌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정보를 관제사 콘솔 그룹에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CTC 서버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경보 발생 신호를 경보 발생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센터 시스템은 전체 선로 구간 내에서의 열차 충돌을 미리 예측하여 해당 관제사에게 경고하거나 또는 관제실 내에 경보를 발생하므로, 열차 간의 충돌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관제사의 업무가 대폭 경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Control center system with a function for estimating train collision}
본 발명은 관제 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열차의 운행을 위해, 선로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는 관제실이 존재한다. 관제실 내에서, 다수의 관제사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선로 구간을 출입하는 열차들을 감시하고, 각 열차의 기관사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열차들 간의 간격을 조정한다. 열차들 간의 안전 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열차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열차의 운행에 있어서 관제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관제 센터 시스템의 관제사용 단말기는 단순히 해당 선로 구간의 열차 출입 정보를 표시하므로, 관제사가 직접 열차의 충돌 시점을 예측하여, 해당 기관사에게 통보해야 한다. 열차들 간의 충돌 시점을 예측하기 위해, 관제사는 자신의 단말기 화면을 연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자신의 담당 선로 구간 내에 있는 다수의 열차를 감시해야 한다. 이처럼 종래의 관제 센터 시스템에는 관제사의 실수로 인한 열차 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체 선로 구간 내의 열차 운행 관련 정보와 전체 선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선로 구간 내에서의 열차 충돌을 예측하여 해당 관제사에게 경고하거나 또는 관제실 내에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열차 사고를 방지하고 관제사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은, 관제사 콘솔 그룹, 통신 서버, CTC(Centralized Traffic Control) 서버, 충돌 분석 장치, 충돌 경고 장치, 및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관제사 콘솔 그룹은 복수의 궤도 회로, 복수의 신호기, 및 복수의 선로 전환기를 포함하는 현장 장치들이 설치된 선로 현장으로부터 떨어진 관제실 내에 설치된다. 관제사 콘솔 그룹은 그래픽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로 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운행상황 및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관제사 콘솔 그룹은 충돌 경고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을 더 표시한다.
통신 서버는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를,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LDTS(Local Data Transmission System)로부터 수신한다.
CTC 서버는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를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에 출력한다. CTC 서버는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DTS에 송신한다.
충돌 분석 장치는 각 선로 구간의 노선 정보와,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열차 각각에 대한 충돌 시점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열차 충돌 정보를 발생한다.
충돌 경고 장치는 상기 충돌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충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에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CTC 서버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 발생부는 상기 관제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돌 경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경보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장치를 통한 시각적 경보와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제실 내에 발생한다.
상기 충돌 경고 화면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가 주행중인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에 표시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전체 선로 구간 내의 열차 운행 관련 정보와 전체 선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선로 구간 내에서의 열차 충돌을 미리 예측하여 해당 관제사에게 경고하거나 또는 관제실 내에 경보를 발생하므로, 열차 간의 충돌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관제사의 업무가 대폭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은 유선 통신망을 사용하므로, 정확한 열차 운행 관련 정보의 수집과 열차 충돌 시점의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여, 열차 운행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돌 분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폐색 구간을 주행하는 열차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DB에 저장된 노선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충돌 분석 장치에 의해 열차 간의 충돌이 예상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충돌 분석 장치에 의해 복수의 선로 구간에서 복수의 열차 충돌이 예상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관제 센터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의 도시가 생략된다. 관제 센터 시스템(100)은 관제사 콘솔(console) 그룹(110), 통신 서버(120), CTC(Centralized Traffic Control) 서버(130), 충돌 분석 장치(140), 충돌 경고 장치(150), 및 경보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관제사 콘솔 그룹(110)은 선로 현장으로부터 떨어진 관제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CTC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그래픽 출력 정보(GRPIF)에 기초하여, 각 선로 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운행상황 및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현장 장치들은 선로 현장에 설치되는 장치들로서, 복수의 궤도 회로(미도시), 복수의 신호기(미도시), 및 복수의 선로 전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관제사 콘솔 그룹(110)은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충돌 경고 정보(COLWRN)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MD1 ∼ MDJ, SD1 ∼ SDN, ... , UD1 ∼ UDN, 112 중 적어도 하나)을 더 표시한다.
관제사 콘솔 그룹(110)의 구성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제사 콘솔 그룹(110)은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N은 자연수), 복수의 주사령 콘솔(M1 ∼ MJ), 복수의 신호사령 콘솔(C1 ∼ CP)(P는 자연수), 및 대형 표시부(111)를 포함한다.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은 복수의 선사령 관제사에 의해 각각 조작된다. 복수의 선사령 관제사는 설정된 범위의 선로 구간별로 선로 현장의 신호 제어와 열차의 운행 관리 각각 담당한다.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은 그래픽 출력 정보(GRPIF)에 포함되는 제1 그래픽 정보(GRPF1 ∼ GRPFMN)(M, N은 자연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선사령 관제사가 각각 담당하고 있는 해당 범위의 선로 구간의 열차 운행 상황 및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또,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 중 적어도 하나는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수신할 때, 충돌 경고 정보(COLWRN)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SD1 ∼ SDN, ... , UD1 ∼ UDN 중 적어도 하나)을 표시한다.
복수의 주사령 콘솔(M1 ∼ MJ)(J는 자연수)은 복수의 주사령 관제사에 의해 각각 조작된다. 복수의 주사령 관제사는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을 설정된 개수씩 각각 관리 감독한다. 예를 들어, 주사령 콘솔(M1)이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을 포함하는 선사령 콘솔 그룹(G1)을 관리 감독하고, 주사령 콘솔(MJ)이 복수의 선사령 콘솔(U1 ∼ UN)을 포함하는 선사령 콘솔 그룹(GJ)을 관리 감독할 수 있다.
복수의 주사령 콘솔(M1 ∼ MJ)은 그래픽 출력 정보(GRPIF)에 포함되는 제2 그래픽 정보(GRPS1 ∼ GRPSJ)(J는 자연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에 표시되고 있는 각 선로 구간별 열차 운행 상황 및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또, 복수의 주사령 콘솔(M1 ∼ MJ) 중 적어도 하나는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수신할 때, 충돌 경고 정보(COLWRN)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MD1 ∼ MDJ 중 적어도 하나)을 표시한다.
복수의 신호사령 콘솔(C1 ∼ CP)(P는 자연수)은 복수의 신호사령 관제사에 의해 각각 조작된다. 복수의 신호사령 관제사는 현장의 신호설비와 사령설비를 모니터링하여 예방점검 및 유지보수와 관리를 담당한다. 복수의 신호사령 콘솔(C1 ∼ CP)은 그래픽 출력 정보(GRPIF)에 포함되는 제3 그래픽 정보(GRPT1 ∼ GRPTP)(P는 자연수)에 기초하여, 현장의 신호설비 및 사령설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대형 표시부(111)는 대형 스크린(미도시) 또는 다수의 모니터(미도시)의 조합에 의한 대형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형 표시부(111)는 그래픽 출력 정보(GRPIF)에 포함되는 제4 그래픽 정보(GRPH)에 기초하여, 각 선로 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운행상황 및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또, 대형 표시부(111)는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수신할 때, 충돌 경고 정보(COLWRN)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112)을 표시한다.
통신 서버(120)는 현장 장치들(복수의 궤도 회로, 복수의 신호기, 및 복수의 선로 전환기 등)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를, 유선 통신망(101)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LDTS(Local Data Transmission System)(L1∼LK 중 적어도 하나)(K는 자연수)로부터 수신한다.
CTC 서버(130)는 통신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에 기초하여, 그래픽 출력 정보(GRPIF)를 관제사 콘솔 그룹(11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그래픽 출력 정보(GRPIF)는 제1 내지 제4 그래픽 정보(GRPF1 ∼ GRPFMN, GRPS1 ∼ GRPSJ, GRPT1 ∼ GRPTP, GRPH)를 포함할 수 있다. CTC 서버(130)는 제1 그래픽 정보(GRPF1 ∼ GRPFMN)를 복수의 선사령 콘솔(S1 ∼ SN, ... , U1 ∼ UN)에 각각 출력한다. CTC 서버(130)는 제2 그래픽 정보(GRPS1 ∼ GRPSJ)를 복수의 주사령 콘솔(M1 ∼ MJ)에 각각 출력한다. CTC 서버(130)는 제3 그래픽 정보(GRPT1 ∼ GRPTP)를 복수의 신호사령 콘솔(C1 ∼ CP)에 각각 출력하고, 제4 그래픽 정보(GRPH)를 대형 표시부(111)에 출력한다.
또, CTC 서버(130)는 관제사 콘솔 그룹(110)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장치 제어 정보(DEVCTL)를 적어도 하나의 LDTS(L1∼L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LDTS(L1∼LK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장 장치 제어 정보(DEVCTL)를 연동 장치(미도시)에 출력하고, 연동 장치에 의해 현장 장치의 동작이 제어된다.
충돌 분석 장치(140)는 각 선로 구간의 노선 정보(RAILIF)와, 통신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에 기초하여, 복수의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고, 복수의 열차 각각에 대한 충돌 시점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열차 충돌 정보(COLLIF)를 발생한다.
충돌 경고 장치(150)는 충돌 분석 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관제사 콘솔 그룹(11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가 주행중인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에 충돌 경고 화면(MD1 ∼ MDJ, SD1 ∼ SDN, ... , UD1 ∼ UDN, 112 중 적어도 하나)이 표시된다.
그 후, 충돌 경고 장치(150)는 설정된 시간 내에 CTC 서버(130)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수신되지 않을 때, 경보 발생 신호(GENALM)를 경보 발생부(160)에 출력한다. 충돌 경고 장치(150)는 설정 시간 내에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선로 구간의 담당 관제사가 열차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에 대한 사고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충돌 경고 장치(150)는 경보 발생 신호(GENALM)를 경보 발생부(160)에 출력한 후,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수신될 때, 경보 정지 신호(STPALM)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가 주행중인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은,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를 CTC 서버(130)에 출력한다. CTC 서버(130)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로부터 수신되는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를 충돌 경고 장치(15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충돌 경고 장치(150)는 해당 선로 구간의 담당 관제사가 열차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에 대한 사고 예방 조치를 취한 것으로 인식한다.
경보 발생부(160)는 관제실 내에 설치되고,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발생 신호(GENALM)에 응답하여, 표시장치(미도시)를 통한 시각적 경보와 스피커(미도시)를 통한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실 내에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60)는 충돌 경고 장치(15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정지 신호(STPALM)에 응답하여 경보의 발생 동작을 정지한다. 경보 발생부(160)에 포함되는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관제 센터 시스템(100)은 DB(database)(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B(170)에는 노선 정보(RAILIF)와,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TRNIF)와, 각 선로 구간별 담당 관제사들의 콘솔 ID(identification) 정보(CSIDIF)가 저장된다. DB(170)는 충돌 분석 장치(140)의 요청에 따라 노선 정보(RAILIF),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TRNIF), 및 각 선로 구간별 담당 관제사들의 콘솔 ID 정보(CSIDIF)를 제공한다.
또, DB(170)는 충돌 분석 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를 저장한다. DB(170)에 저장되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는 추후에 사고 분석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충돌 분석 장치(14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에 포함된 현장 장치들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 중 하나는 복수의 궤도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자동 폐색 정보(BLKIF)를 포함한다. 복수의 궤도회로는 각 선로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폐색 구간(예를 들어, T1 ∼ T7)(도 2 참고)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폐색 구간으로의 열차의 출입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폐색 구간(T0)에 설치된 궤도회로는, 열차가 폐색 구간(T0)에 들어온 시점과 빠져나간 시점을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LDTS(L1∼LK 중 적어도 하나)는 연동 장치를 통하여 해당 궤도회로로부터의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열차가 폐색 구간(T0)을 점유한 시간을 인식하고, 열차가 폐색 구간(T0)을 점유한 시간과 해당 폐색 구간의 식별정보(즉, 폐색구간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자동 폐색 정보(BLKIF)를 생성한다.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 간의 충돌을 예측하기 위해, 운행중인 열차의 진행 방향 및 진행 속도를 기준으로 폐색 구간 내에서의 열차의 위치를 추정한다. 또,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의 진행 속도 및 진행 경로를 고려하여 열차 간의 거리의 변화를 감시하여 열차 간의 충돌을 예측하도록 구현된다.
먼저,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가 운행하는 각각의 폐색 구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DB(170)에 저장된 노선 정보(RAILIF)를 검색한다. 노선 정보(RAILIF)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참고되는 것과 같이, 노선 정보(RAILIF)는 각각의 폐색 구간에 대한 길이, 폐색 구간 ID, 및 열차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폐색 구간은 폐색 구간 ID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열차(201)가 폐색 구간(T6 → T7)을 진행중이고, 열차(201)의 후방에서 열차(202)가 폐색 구간(T1 → T2)을 진행중이다. 열차(202)가 진행하게 되는 폐색 구간의 순서는 T1 → T2 → T3 → T4 → T5 → T6 → T7로 된다.
예를 들어, 폐색 구간(T1 ∼ T7)의 길이가 X1 ∼ X7이고, 열차(201)가 폐색 구간(T6)을 점유한 시간이 Y1이고, 열차(202)가 폐색 구간(T1)을 점유한 시간이 Y2일 때, 열차들(201, 202)의 속도(V1, V2)는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6067563-pat00001
예를 들어, X1과 X6이 200m이고, 열차(201)가 폐색 구간(T6)을 점유한 시간이 10초이고, 열차(202)가 폐색 구간(T1)을 점유한 시간이 5초일 때, [수학식 1]에 의해, 열차들(201, 202)의 속도(V1, V2)는 각각 2m/s와 4m/s로 계산된다. X1과 X6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가 일례로서 설명되었지만, 폐색 구간 각각의 길이는 도 4에서 참고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열차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폐색 구간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선로를 열차가 주행할 때, 열차는 한 번에 복수의 폐색 구간을 점유할 수도 있다.
한편, 열차들(201, 202)의 길이가 각각 L1, L2일 경우, 열차들(201, 202) 간의 거리(H)는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6067563-pat00002
예를 들어, X6 내지 X2의 합이 1000m이고, L1이 50m일 때, [수학식 2]에 의해,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H)은 950m로 계산된다.
후방 열차(202)가 전방 열차(201)를 발견하고 제동 동작을 시작하여 정지할 때까지의 제동 거리보다,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이 더 작을 때, 열차들(201, 202) 간의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열차의 정지를 위한 최소 제동 거리(B)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열차의 진행속도(V)에 비례하고, 감속성능(E)에 반비례하게 된다.
Figure 112010086067563-pat00003
[수학식 3]에서, β는 안전 계수이다. 실제로 충돌 예측 시, 열차 간의 충분한 안전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안전 계수가 사용된다. 충돌 분석 장치(140)에는 열차들 각각의 길이와 감속 성능과 안전 계수의 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H)은 950m이고, 열차(202)의 최소 제동 거리(B)가 100m일 때,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들(201, 202)이 충분한 간격을 두고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은 열차들(201, 202) 간의 속도 차이에 의해,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열차들(201, 202)이 각각 정속도로 주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의 변화율(R)은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6067563-pat00004
열차들(201, 202) 간의 충돌 예상 시간(Z)은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86067563-pat00005
예를 들어, 열차(201)의 속도(V1)가 10m/s이고, 열차(202)의 속도(V2)가 5m/s이고, 열차들(201, 202) 간의 간격(H)이 950m이고, 열차(202)의 최소 제동 거리(B)가 100m일 때, [수학식 5]에 의해, 열차들(201, 202) 간의 충돌 예상 시간(Z)은 170초로 계산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로 전환기(300)가 폐색 구간들(T13, T14)을 연결한 상태이고, 열차(203)가 폐색 구간(T15) 내에 정차된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열차(204)의 속도(V4)가 5m/s이고, 열차들(203, 204) 간의 간격(H)이 700m이고, 열차(204)의 최소 제동 거리(B)가 100m일 때, [수학식 5]에 의해, 열차들(203, 204) 간의 충돌 예상 시간(Z)은 120초로 계산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충돌 분석 장치(140)는 전체 선로 구간 내에 있는 복수의 열차들에 대해, 인접한 두 열차 간의 간격이 최소 제동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될 때, 두 열차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을 계산한다.
이 후, 충돌 분석 장치(140)는 자동 폐색 정보(BLKIF)와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TRNIF)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들의 열차번호와, 해당 선로 구간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DB(170)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충돌 분석 장치(140)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들의 열차번호, 충돌 예상 시점(즉, 충돌 예상 시간), 및 현재 주행 중인 폐색 구간의 정보(즉, 폐색구간 ID)를 포함하는 충돌 경고 정보(COLWRN)와, 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를 충돌 경고 장치(150)에 출력한다. 그 결과, 충돌 경고 장치(150)가 열차 충돌 정보(COLLIF)에 포함된 콘솔 ID에 대응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에,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출력한다.
한편, 충돌 분석 장치(14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로 전환기(303)가 선로(301, 302)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일 때, 열차들(205, 206) 간의 간격이 열차(206)의 최소 제동 거리 보다 짧아도 열차들(205, 206) 간의 충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로 전환기(303)가 선로(301, 302)를 연결한 상태일 때, 열차들(205, 206) 간의 간격이 열차(206)의 최소 제동 거리 보다 짧으면, 열차들(205, 206) 간의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선로 구간(304 ∼ 306)에서 복수의 열차(207 ∼ 212) 간의 충돌이 예상될 때,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를 충돌 예상 횟수만큼 출력할 수 있다. 즉,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들(207, 208) 간의 충돌과 관련하여 열차 충돌 정보(COLLIF1)를, 열차들(209, 210) 간의 충돌과 관련하여 열차 충돌 정보(COLLIF2)를, 열차들(211, 212) 간의 충돌과 관련하여 열차 충돌 정보(COLLIF2)를 각각 충돌 경고 장치(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열차 충돌 정보들(COLLIF1, COLLIF2, COLLIF3)에 각각 포함되는 콘솔 ID, 열차번호, 및 폐색 구간의 정보는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관제 센터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신 서버(120)가 유선 통신망(101)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LDTS(L1∼L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를 수신한다(단계 1001). 통신 서버(120)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를 충돌 분석 장치(140)에 출력한다(단계 1002).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TRDIRIF)와 노선 정보(RAILIF)에 기초하여, 전체 선로 구간 내에 있는 복수의 열차 각각의 위치를 추정한다(단계 1003). 충돌 분석 장치(140)는 복수의 열차 각각의 위치를 참고로 하여, 인접한 열차 간의 간격(H)을 계산한다(단계 1004).
이 후, 충돌 분석 장치(140)는 간격(H)이 후방 열차의 최소 제동 거리(B)보다 작은 열차들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05). 간격(H)이 후방 열차의 최소 제동 거리(B)보다 작은 열차들이 없을 경우, 관제 센터 시스템(100)은 단계 1001 내지 단계 1005의 동작을 반복한다.
간격(H)이 후방 열차의 최소 제동 거리(B)보다 작은 열차들이 존재할 경우, 충돌 분석 장치(140)는 해당 열차들의 충돌 예상 시간(Z)을 계산한다(단계 1006). 충돌 분석 장치(140)는 DB(170)에서 해당 열차들의 열차번호 및 해당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관제사의 콘솔 ID를 검색한다(단계 1007).
충돌 분석 장치(140)는 열차번호, 충돌 예상 시간, 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포함하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를 충돌 경고 장치(150)에 출력한다(단계 1008)
충돌 경고 장치(150)는 열차 충돌 정보(COLLIF)에 포함된 콘솔 ID를 참조하여,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담당 관제사의 콘솔에 출력한다(단계 1009). 여기에서, 담당 관제사는 해당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선사령 관제사만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선사령 관제사와, 해당 선사령 관제사의 콘솔을 관리 감독하는 주사령 관제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후, 충돌 경고 장치(150)는 CTC 서버(130)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10). CTC 서버(130)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충돌 경고 장치(150)에 수신될 경우, 관제 센터 시스템(100)은 단계 1001 내지 단계 1010의 동작을 반복한다.
CTC 서버(130)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CONIF)가 충돌 경고 장치(150)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충돌 경고 장치(150)는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11).
충돌 경고 정보(COLWRN)를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 충돌 경고 장치(150)는 경보 발생 신호(GENALM)를 경보 발생부(160)에 출력한다. 그 결과, 경보 발생부(160)가 관제실 내에 램프의 점등이나 경고 음성 등의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센터 시스템(100)은 열차 내의 감지장치가 충돌을 감지하기 전에 미리 전체 선로 구간 내에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충돌을 종합적으로 예측하여 관제사에게 알려주므로, 열차 간의 충돌 사고가 예방될 수 있고, 관제사의 업무가 대폭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관제 센터 시스템 110: 관제사 콘솔 그룹
120: 통신 서버 130: CTC 서버
140: 충돌 분석 장치 150: 충돌 경고 장치
160: 경보 발생부 170: DB

Claims (10)

  1. 복수의 궤도 회로, 복수의 신호기, 및 복수의 선로 전환기를 포함하는 현장 장치들이 설치된 선로 현장으로부터 떨어진 관제실 내에 설치되고, 그래픽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로 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운행상황 및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충돌 경고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경고 화면을 더 표시하는 관제사 콘솔 그룹;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열차 운행 관련 정보를,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LDTS(Local Data Transmission System)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서버;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를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에 출력하고,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장치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LDTS에 송신하는 CTC(Centralized Traffic Control) 서버;
    각 선로 구간의 노선 정보와,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열차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열차 각각에 대한 충돌 시점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열차 충돌 정보를 발생하는 충돌 분석 장치;
    상기 충돌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충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에 출력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CTC 서버로부터 충돌 경고 확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 경고 장치; 및
    상기 관제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충돌 경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경보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장치를 통한 시각적 경보와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경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제실 내에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경고 화면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가 주행중인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에 표시되며,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가 주행중인 선로 구간을 담당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은, 상기 충돌 경고 확인 정보를 상기 CTC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CTC 서버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충돌 경고 확인 정보를 상기 충돌 경고 장치에 출력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 정보와, 상기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와, 각 선로 구간별 담당 관제사들의 콘솔 ID(identification) 정보와, 상기 충돌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열차 충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충돌 분석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노선 정보, 상기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 및 상기 콘솔 ID 정보를 상기 충돌 분석 장치에 제공하는 DB(database)를 더 포함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사 콘솔 그룹은,
    선로 현장의 신호 제어와 열차의 운행 관리를 위해, 설정된 범위의 선로 구간별로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에 포함되는 제1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 운행 상황 및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선사령 콘솔;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에 포함되는 제2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선사령 콘솔에 표시되고 있는 각 선로 구간별 열차 운행 상황 및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주사령 콘솔;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에 포함되는 제3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의 신호설비 및 사령설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신호사령 콘솔; 및
    상기 그래픽 출력 정보에 포함되는 제4 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대형 스크린 또는 다수의 모니터의 조합에 의한 대형 화면에, 각 선로 구간을 주행하고 있는 복수의 열차에 대한 운행상황 및 상기 현장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대형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경고 장치로부터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선사령 콘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충돌 경고 화면을 더 표시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경고 장치로부터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주사령 콘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충돌 경고 화면을 더 표시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경고 장치로부터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수신한, 상기 대형 표시부가 상기 충돌 경고 화면을 더 표시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운행 관련 정보는, 각 선로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폐색 구간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폐색 구간으로의 열차의 출입을 감지하는 상기 복수의 궤도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자동 폐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분석 장치는, 상기 자동 폐색 정보와 상기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들의 열차번호와, 해당 선로 구간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상기 DB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들의 열차번호, 충돌 예상 시점, 및 현재 주행 중인 폐색 구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충돌 경고 정보와, 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포함하는 상기 열차 충돌 정보를 상기 충돌 경고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충돌 경고 장치는, 상기 열차 충돌 정보에 포함된 콘솔 ID에 대응하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에, 상기 충돌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충돌 정보에 포함된 콘솔 ID는, 상기 복수의 선사령 콘솔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주사령 콘솔 중 하나의 ID에 대응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 충돌 정보에 포함된 콘솔 ID는, 상기 복수의 선사령 콘솔 중 하나의 ID와, 상기 복수의 주사령 콘솔 중 하나의 ID에 대응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분석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선로 구간에서 복수의 열차 간의 충돌이 예상될 때, 상기 열차 충돌 정보를 충돌 예상 횟수만큼 출력하고,
    상기 충돌 분석 장치가 상기 열차 충돌 정보를 충돌 예상 횟수만큼 출력하는 동안, 각각 출력되는 열차 충돌 정보에 포함되는 콘솔 ID, 열차번호, 및 폐색 구간의 정보가 변경되는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KR1020100135362A 2010-12-27 2010-12-27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KR10104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62A KR101047892B1 (ko) 2010-12-27 2010-12-27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362A KR101047892B1 (ko) 2010-12-27 2010-12-27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892B1 true KR101047892B1 (ko) 2011-07-08

Family

ID=449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362A KR101047892B1 (ko) 2010-12-27 2010-12-27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8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38B1 (ko) * 2015-12-30 2017-02-21 대아티아이 (주)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CN108860223A (zh) * 2018-05-31 2018-11-2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系统及方法
KR102095236B1 (ko) 2018-11-07 2020-03-31 대아티아이 (주) 열차번호 관리시스템
CN114993716A (zh) * 2022-05-24 2022-09-02 中南大学 一种用于测试动物撞击的列车碰撞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095A (ko) * 2006-04-25 2007-10-30 경봉기술(주) 열차집중제어장치의 표시화면에 중첩하여 시간지연정보를표시하는 방법
KR20100016964A (ko) * 2008-08-05 2010-02-16 대아티아이(주) 열차집중제어 표시장치에 열차번호 이동 정보를 검지하고표시하는 방법
KR100977727B1 (ko) * 2010-04-12 2010-08-24 대아티아이(주) Ldts의 열차정보를 이용한 열차충돌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2815A (ko) * 2009-04-10 2010-10-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추적 오류방지를 위한 열차번호이동 보상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095A (ko) * 2006-04-25 2007-10-30 경봉기술(주) 열차집중제어장치의 표시화면에 중첩하여 시간지연정보를표시하는 방법
KR20100016964A (ko) * 2008-08-05 2010-02-16 대아티아이(주) 열차집중제어 표시장치에 열차번호 이동 정보를 검지하고표시하는 방법
KR20100112815A (ko) * 2009-04-10 2010-10-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추적 오류방지를 위한 열차번호이동 보상시스템 및 방법
KR100977727B1 (ko) * 2010-04-12 2010-08-24 대아티아이(주) Ldts의 열차정보를 이용한 열차충돌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38B1 (ko) * 2015-12-30 2017-02-21 대아티아이 (주)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CN108860223A (zh) * 2018-05-31 2018-11-2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系统及方法
KR102095236B1 (ko) 2018-11-07 2020-03-31 대아티아이 (주) 열차번호 관리시스템
CN114993716A (zh) * 2022-05-24 2022-09-02 中南大学 一种用于测试动物撞击的列车碰撞测试系统及方法
CN114993716B (zh) * 2022-05-24 2023-08-08 中南大学 一种用于测试动物撞击的列车碰撞测试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3162C1 (ru)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для крупн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станций
US9321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object collision avoidance for vehicles constrained to a particular path using remote sensors
KR101047892B1 (ko) 열차충돌 예측 기능을 가지는 관제 센터 시스템
EP3176050B1 (en) Interlocking device
RU2497176C1 (ru)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ая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информирования пассажиров,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и станционной парковой связи
RU23545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ой автоблокировки
KR100826262B1 (ko) 버스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EP1868175A2 (en) Control statio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object movement control
EP4032782A1 (en) Train control system
KR102058940B1 (ko) 철도용 터널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JPS61198893A (ja) 駅ホ−ムの監視方法
KR101059190B1 (ko) 열차의 atc/ato 차상 시스템
KR100977727B1 (ko) Ldts의 열차정보를 이용한 열차충돌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3771B1 (ko) 열차 관제 시스템
KR20050062889A (ko) 영상돌발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비상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4712A (ko) 지상중심의 열차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
KR20120057684A (ko) 열차 접근 경보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975286B1 (ko)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4987419B2 (ja) 列車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駅中間小型端末装置と駅中間制御装置
KR102253793B1 (ko) 통합 제어 기능을 구비한 터널 경보 시스템
KR20080051564A (ko)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비상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54352B1 (ko) 안전 운행을 위한 열차 신호 제어 시스템
CN115662027A (zh) 铁路车站应急事件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644225B1 (ko) 씨비티씨를 이용한 열차 방호 무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