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239B1 -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239B1
KR102060239B1 KR1020180017228A KR20180017228A KR102060239B1 KR 102060239 B1 KR102060239 B1 KR 102060239B1 KR 1020180017228 A KR1020180017228 A KR 1020180017228A KR 20180017228 A KR20180017228 A KR 20180017228A KR 102060239 B1 KR102060239 B1 KR 10206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geomagnetic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611A (ko
Inventor
정철호
조남주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Priority to KR102018001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2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에 관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이동에 의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탐지하여 검지정보를 검출하는 지자기검지센서부와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에서 검출된 검지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와 상기 속도측정부를 통해 차량 진입영역의 정보와 검지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와 상기 데이터전송부를 통해 차량 진입영역에 진입한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된 촬영사진과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받은 교통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DB관리하기 위한 검지정보, 차량정보를 전송받는 중앙관제시스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Traffic information monitoring using Geomagnetic LenLer and Low power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속도검출을 통해 속도 및 과속 여부는 물론이고 저전력의 광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나 장치는 도로와 차량 등 기존 교통의 구성요소에 첨단의 전자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교통시설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보행자, 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통행과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교통정보 모니터링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은 루프검지기, 영상검지기, 레이더검지기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차량검지, 속도 등 지능형 교통시스템에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개발로서, 종래에는 루프 코일(Loop Coil)를 이용하여 컨트롤 박스, 카메라 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교통모니터링을 통한 과속 단속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검지 등에 관한 기술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검지를 위한 루프 코일 센서의 시공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루프 코일을 매립하고, 이 루프코일로부터 신호를 검지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루프코일 센서(Loop Coil sensor)의 단점으로는 첫째, 시공 방법이 번거롭고, 시공 비용이 과다하며, 둘째, 시공 시간이 오래 걸려, 위험에 노출한 시간이 많고, 셋째, 노면의 커팅 작업량이 많아서, 도로 파손을 야기하며, 넷째, 노면 위로 검지 범위가 비교적 짧아 오동작을 야기하고, 다섯째, 차량검지기 부피가 커서, 한 공간에 다량의 시공 작업이 어렵다.
따라서, 유선으로 인하여 설치 비용이 과다하고, 특정위치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의 자유로움이 어려워 융통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도로 또는 고속도로에 루프센서를 매립시키는 방식이므로 도로를 천공하는 과정에서 공사기간의 증가로 인한 도로 교통에 있어 방해가 있어 왔다. 더 나아가, 신호 및 속도 단속카메라의 설치로 인한 아스팔트 밀림현상으로 센서의 파손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8648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5-01002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1차 지자기센서와 2차 지자기 센서의 사이의 통과시간과 거리를 토대로 차량속도를 검출하여 과속단속과 교통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저비용으로 도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교차로에서의 교통정보 모니터링, 교통신호 제어 등을 통하여 교차로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는 지자기센서가 매설된 영역에 차량이 진입했을 때, 지자기의 변화량을 탐지하여 차량진입을 감지하는 지자기검지센서부와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에 의해 차량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진입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와 상기 속도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진입차량의 속도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와 상기 지자기센서가 매설된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과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촬영한 사진과 차량정보를 저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데이터전송부로부터 차량의 속도와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사진 및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교통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중앙관제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는 차량 이동에 의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지자기센서와 상기 지자기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부와 상기 MCU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도측정부는 차량이 1차지자기센서와 2차지자기센서 사이의 거리와 통과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속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의 지자기신호의 변화와 상기 속도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량속도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통신부와 상기 무선네트워크통신부의 통신주기 및 통신횟수, 통신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무선네트워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진입영역 및 차량의 정보와 촬영부를 동기화시키는 신호동기화부와 상기 신호동기화부에 의해 동기화되어 진입영역에 위치한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과 차량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물인터넷(IoLT: Internet of Small Thing)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영상검지기, 루프검지기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는 교통정모 모니터링장치와는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저전력의 광역 통신망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자기센서 기술을 적용한 저비용으로 도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차량의 속도 등을 검출할 수 있어 경제적인 차량 과속의 단속 및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차량 검지를 위한 루프 코일 센서의 시공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제1지자기센서와 제2지자기센서가 설치된 영역의 도면.
도 4는 지자기센서의 실제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제1지자기센서와 제2지자기센서가 설치된 영역의 도면이고, 도 4는 지자기센서의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대로 상기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100)는 지자기검지센서부(10), 속도측정부(20), 데이터전송부(30), 모니터링부(40), 디스플레이부(50), 중앙관제시스템(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100)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자기검지센서부(10)는 차량의 이동에 의한 지자기 신호의 변화를 탐지하여 검지 정보를 검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도 3을 보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가 있는데, 상기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의 사이를 차량이 지나가면 지자기신호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탐지하는 것을 검지정보라고 의미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1차, 2차지자기센서(1,2)의 실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지자기센서(1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자기센서(11)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센서로서 차량에는 지자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성물체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이나 이동 여부를 탐지하는 것으로 지자기센서(Geomagnetic sensor)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자기센서에서 감지한 한 축(x or y or z 축), 또는 다중 축(x, y, z 축 중 2축 이상)의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지자기센서(11)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차량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하는 축의 개수에 따라 차량 존재 유무에 대해 수집되는 정보가 달라지며,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지자기의 변화는 지자기센서(11)가 설치된 지점에서의 각 축(axis)에 대해 발생한다.
하나 축(즉, x축, y측, z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서 발생하는 지자기의 변화는 이하 (그림 1)과 같이 나타나며 세 축(즉, x축, y축, z축)에서 발생하는 지자기의 변화는 이하 (그림 2)와 같이 나타난다.
Figure 112019084969594-pat00001
Figure 112019084969594-pat00002
일반적으로, 지자기센서(11)를 이용한 차량 감지 방법은 한 축의 지자기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한 축에서의 지자기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지자기 신호 값의 증감을 분석하여 그 증감의 정도(변화의 정도)에 따라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자기센서(11)에서 발생하는 각 축의 지자기 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데, 지자기 필드의 범위는 -250~ 250인데,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응용하는 지자기센서(11)가 형성된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는 온도센서(미도시), 습도센서(미도시)도 함께 구성되어 도로 노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도로노면의 미끄러움이나 결빙상태를 제공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는 차량이동에 의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지자기센서(11)와 상기 지자기센서(11)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12), 상기 MCU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로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는 상기 지자기센서(11)를 구동시켜 차량이동에 의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는 도 3에 나타난 대로, 1차지자기센서(1)와 2차 지자기센서(2)로 이루어진 지자기센서(11: 도 4 참조)에 도로에 1개 차선당 상기 1차지자기센서(1), 상기 2차지자기센서(2)가 일정간격 거리를 두고 매설된 영역에 차량이 진입했을 때, 차량 내부의 자성체를 통한 지자기변화량을 탐지하여 차량진입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MCU(12)는 상기 지자기센서(11)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그 역할은 차량 감지를 하는데 있어서 분명하면서도 정확한 감지(感知)를 위해 지자기센서(11)의 감도(感度)와 감지의 조절 및 속도측정부(20)로 전송하는 차량진입을 감지했다는 데이터의 주기, 실시간 감지, 필요할 경우 감지 주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MCU(12)는 계절 및 온도변화에 의해 변화하는 기준 자기장의 값을 보정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현재 감지된 지구자기장신호를 기준 자기장의 값으로 저장하여 기준자기장 값을 갱신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기준자기장 값과 감지된 지자기신호를 비교시 위상이 변화하는 부분에서 일정 시간의 딜레이를 주어 차량 검지의 정밀도를 높인다.
상기 전원공급부(13)는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참고로, 상기 전원공급부(13)는 이하에서 설명할 속도측정부(20)와 데이터통신부(30)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서 검출된 차량 검지정보를 통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부(20)가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가 매설되어 있는 노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속도측정부(20)는 지자기센서(11)가 매설되어 있는 곳에 차량이 진입하였다고 감지하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로부터 지자기변화가 있다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차량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속도측정부(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지자기센서(11)들 사이를 차량이 통행하면서 생기는 각 검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차량속도를 계산하는 제어부(21)가 내장 형성되어 속도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속도측정부(20)를 통해 차량 정보와 속도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0)는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서 검출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외부의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인데, 전송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물인터넷(IoST: Internet of Small Thing)기술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소물인터넷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소위,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은 사물들을 소물(Small thing)이라 하는데, 이러한 소물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일컫는 것으로, 대표적인 소물인터넷(IoST)을 활용한 것은 월 1~2회 정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수도·전기·가스 원격 검침용 기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물 정보를 소비자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beacon) 등이 있다. 이러한 상기 소물인터넷(IoST)을 사용하는 이유는 차량 진입영역의 정보와 검지정보, 차량의 속도 계산 등과 같은 소량의 데이터를 주로 취급하므로 저전력이나 저속처리에 적합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0)의 구성은 차량이 현재 진입한 위치 등의 정보와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서 발생하는 지자기변화와 상기 속도측정부(20)에서 측정한 차량 속도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통신부(31)와 상기 무선네트워크통신부(31)의 통신주기 및 통신횟수, 통신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무선네트워크제어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지자기센서(1)과 상기 2차지자기센서(2) 사이의 구간(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과 차종이나 차량번호 등과 같은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모니터링부(40)가 상기 속도측정부(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모니터링부(40)는 도 2에 도시된 대로, 신호동기화부(41)와 촬영부(42) 및 전송부(43)로 구성되는 형태이다.
상기 신호동기화부(41)는 속도측정부(20)에서 전달된 차량의 진입영역 및 차량의 정보(차량번호, 차주, 차종)와 상기 촬영부(42)를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동기화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촬영부(42)는 상기 신호동기화부(41)에 의하여 동기화되어 측정구간의 진입영역에 위치한 차량을 촬영하는 것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촬영부(4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부(43)는 상기 촬영부(42)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촬영정보 및 차량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6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40)의 촬영부(42)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감지데이터와 촬영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모니터링부(40)가 획득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정보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이를 테면, 차량 진입시간, 캡쳐된 영상이나 차량정보)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도 수행하며, 저장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모니터링부(4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등을 수신하는 상태(수신여부 또는 수신속도)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인터넷에서 메모리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LCD, OLED, 3D 디스플레이, 플레시블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지자기검지센서부(10)가 매설되어 설치되어 있는 도로와 원격의 위치에 중앙관제시스템(6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관제시스템(60)은 데이터전송부(30)로부터는 차량의 속도와 모니터링부(40)로부터는 사진이나 동영상정보 또는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교통량 측정등의 교통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DB(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자기검지센서부(10)를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지자기센서(11)는 도 3에 도시된 대로,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로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매설 설치된다.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의 차량 유무의 검지 방식은 차량이 상기 지자기센서가 매설된 영역에 진입했을 때, 차량 내부에 있는 지자기에 의한 지구자기장의 변화량이 탐지되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가 측정구간인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의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차량이 진입하였음을 감지하게 되고, 진입된 차량의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검출된 검지정보를 속도측정부(2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속도측정부(20)는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를 통해 검출된 검지정보를 통하여 영역에 진입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2와 3에 도시된 대로, 속도측정부(20)는 제어부(21)를 통해 1차지자기센서 (1)의 검지시간과 2차지자기센서(2)의 검지시간의 차이를 토대로 하여 차량 속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통과차량의 유무는 앞서 설명한 대로 도로에 매설된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를 통한 지구자기장 변화를 통해 판별한다.
속도의 산출은 차량이 차선을 따라 주행시에 상기 1차지자기센서(1)를 통과하여 차량이 검지되는 시간과 상기 2차지자기센서(2)를 통과하여 차량이 검지되는 시간과의 차이(t) 및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 사이의 거리(L) 정보를 속도측정부(20)에 형성된 제어부(21)가 얻게 되어 차량의 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거리에 관한 공식인 L(거리)= v(속도)·t(시간)의 공식을 적용하게 되면, v(속도) = L/t이므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산출되는 것이다.
만일, 산출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해당도로에서 설정한 제한속도 이상을 초과하게 되면 과속단속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속도측정부(20)는 속도를 측정한 차량의 차종이나 차량번호의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전송부(3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전송부(30)는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서 감지한 지자기신호의 변화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데, 그 방식은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부(40)에 전송한다.
상기 모니터링부(40)의 촬영부(42)로 하여금 진입영역에 위치한 해당되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를 전송부(43)를 통해 원격의 중앙관제시스템(6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42)는 진입영역에 진입한 차량의 번호, 차주, 차종과 같은 차량정보를 촬영하는데, 상기와 같이 촬영된 사진과 차량정보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50)의 메모리(미도시)에도 저장되고 표시된다.
상기 중앙관제시스템(60)은 상기 모니터링부(40)를 통하여 검지정보, 차량정보 등과 같은 해당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다시 DB(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DB화하는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송받은 1차 지자기센서(1)와 2차 지자기센서(2) 사이의 차량의 통과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교차로에서의 교통체증에 의한 지연 정도를 추측하여 소요시간 등과 같은 교통혼잡도 등을 고려하여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 또는 교통 흐름을 개선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차로 등과 같은 차량이 붐비기 쉬운 곳에서 차량의 원활한 통행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 예들을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서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1차 지자기센서 2 : 2차 지자기센서
10 : 지자기검지센서부 11 : 지자기센서
12 : MCU부 13 : 전원공급부
20 : 속도측정부 21 ; 제어부
30 : 데이터전송부 31 :무선네트워크 통신부
32 ; 무선네트워크제어부 40 : 모니터링부
41 :신호동기화부 42 : 촬영부
43 :전송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중앙관제시스템
100: 교통정보 모니터링장치

Claims (6)

  1.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100)는 지자기센서가 매설된 영역에 차량이 진입했을때, 차량진입을 감지하는 지자기검지센서부(10)는 차량 이동에 따라 지자기필드의 범위가 -250~250 범위에서 변화되는 지자기신호를 검출하는 지자기센서(11)와 상기 지자기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12) 및 상기 MCU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자기센서(11)은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로 구성되며, 도로 1개 차선당 상기 1차지자기센서(1), 상기 2차지자기센서(2)가 매설되고, 매설된 영역에 차량이 진입했을 때 지자기변화량을 탐지하여 진입된 차량의 속도를 속도측정부(20)에서 측정하고,
    상기 속도측정부(20)에서 속도의 측정은 차량이 1차지자기센서(1)와 2차지자기센서(2) 사이의 거리(L)와 통과하는 시간(t)을 이용하여 제어부(21)에서 차량속도(v)를 산출하며,
    상기 속도측정부(20)를 통해 측정된 진입차량의 속도와 차량정보 데이터를 소물인터넷(IoST: Internet of Small Thing)의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30)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30)는 상기 지자기검지센서부(10)의 지자기신호의 변화와 상기 속도측정부(20)에서 측정한 차량속도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통신부(31);
    상기 무선네트워크통신부(31)의 통신주기 및 통신횟수, 통신 데이터의 크기를 제어하는 무선네트워크제어부(32)를 포함하며,
    상기 1차지자기센서(1)와 상기 2차지자기센서(2) 사이의 영역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여 촬영된 사진과 차종이나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모니터링부(40)가 상기 속도측정부(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링부(40)는 신호동기화부(41)와 촬영부(42) 및 전송부(43)로 구성하되,
    상기 신호동기화부(41)는 속도측정부(20)에서 전달된 차량의 진입영역 및 차량번호, 차주, 차종을 포함함 차량의 정보와 상기 촬영부(42)를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촬영부(42)는 상기 신호동기화부(41)에 의하여 동기화되어 측정구간의 진입영역에 위치한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전송부(43)는 상기 촬영부(42)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한 촬영정보 및 차량정보를 중앙관제시스템(60)으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부(40)에서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및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30)로부터 차량의 속도와 상기 모니터링부(40)로부터 사진 및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교통량 측정을 포함한 교통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7228A 2018-02-12 2018-02-12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KR10206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28A KR102060239B1 (ko) 2018-02-12 2018-02-12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28A KR102060239B1 (ko) 2018-02-12 2018-02-12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11A KR20190097611A (ko) 2019-08-21
KR102060239B1 true KR102060239B1 (ko) 2020-02-11

Family

ID=6780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28A KR102060239B1 (ko) 2018-02-12 2018-02-12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2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96B1 (ko) * 2009-09-14 2011-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차로의 교통정보수집장치 및 방법
KR101347666B1 (ko) 2012-01-25 2014-01-1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KR101568571B1 (ko) 2014-02-25 2015-11-20 장성우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20160091540A (ko) * 2015-01-24 2016-08-03 양도근 영상 활용기반 무선 연동형 교차로 교통량 신호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
KR101689567B1 (ko) * 2015-04-24 2016-12-26 렉스테크주식회사 구간 속도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1978B1 (ko) * 2016-04-05 2018-03-27 김승일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량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11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744B1 (ko) 영상식 차량검지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N106030666B (zh) 交通监控和监视系统和方法,以及对应的交通违规记录系统和无人机
CN103456172B (zh) 一种基于视频的交通参数测量方法
KR101446546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차량정보 표시시스템
KR100988735B1 (ko) 교통상황 정보수집 시스템
CN111025308B (zh) 车辆定位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05004340A (zh) 结合惯性导航技术和指纹定位技术的定位误差修正方法
CN106091946A (zh) 用于桥梁变形或位移参数的自校准式测量装置及方法
CN111275960A (zh) 一种交通路况分析方法、系统及摄像机
CN202615608U (zh) 基于激光测距的道路车辆信息采集节点装置
KR102428765B1 (ko) 터널 조명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 항법 시스템
KR100969324B1 (ko) 다중 센서 모듈을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KR20160126685A (ko) 구간 속도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4047A (ko) 실시간 도로 네트워크의 교통특성 정보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14028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CN109816813A (zh) 自主车辆中的传感器管理
KR101841978B1 (ko)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량 감지시스템
KR20090030915A (ko)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 감지장치
CN111127874B (zh) 一种高架识别方法及识别系统
KR10105783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방범 및 교통단속 시스템
KR2011002885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차로의 교통정보수집장치 및 방법
KR102060239B1 (ko) 지자기센서와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모니터링장치
KR20080100859A (ko) 휴대용 교통자료 수집장치의 검지능력 평가장치 및 그의처리방법
RU260652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средней скор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inturkar et al. Vehicle detection and parameter measurement using smart portable sens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