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964B1 -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964B1
KR101314964B1 KR1020130039828A KR20130039828A KR101314964B1 KR 101314964 B1 KR101314964 B1 KR 101314964B1 KR 1020130039828 A KR1020130039828 A KR 1020130039828A KR 20130039828 A KR20130039828 A KR 20130039828A KR 101314964 B1 KR101314964 B1 KR 10131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connection
data
connection devic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덕
김성인
Original Assignee
(주)경인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경인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3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작동 및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원격으로 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할 수 있어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유지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 자동 복구 기능을 포함하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가진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이 감시 데이터를 GIS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하는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maintenance system t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작동 및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자동복구 및 원격 제어에 의한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여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 자체 및 그와 연계되는 기존 장비들의 유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 컴퓨터, 허브 등 중계장비를 매개로 네트워크 연결되는 IP CCTV, 네트워크 제어장치, 컴퓨터들은 각각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외에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 통신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인터넷 통신은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노이즈나 회선상의 문제 또는 해당 컴퓨터나 IP CCTV의 오작동으로 인해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컴퓨터나 IP CCTV가 인터넷에 항상 접속되어 정상적인 통신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성격의 장치인 경우, 인터넷 끊김 현상은 해당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주거나 치명적인 해를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터넷에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컴퓨터의 관리자는 해당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항상 확인해야 하는 동시에 인터넷 접속이 불안정하거나 끊길 경우 이를 신속히 복구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 과정에서,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 장애 시 해당 관리자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어느 포인트에서 어떤 이상이 발생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지만, 이 작업을 신속히 수행하는 것은 사실성 불가능하여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네트워크 장비를 재부팅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자동 장비로써 인터넷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인터넷 연결 상의 이상 발생 시 이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한국등록특허 제1143922호(2012.05.01.등록),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상기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더 효율적인 관리 및 운용을 위해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821825호(2008.04.14,공개), “총체적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력 감시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2006-0131738호(2006.12.20), “광역 전기 수요 공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복수의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작동 및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원격으로 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설치를 통해 이와 연계되는 기존 네트워크 이용 장비들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유지 및 보수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전송 시 또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의도되지 않은 전원 리셋 상황 발생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CTV 카메라들은 각각 GPS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및 CCTV 카메라들은 그 개별 위치데이터 및 고유식별데이터가 각각의 GPS 모듈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자동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그 내장을 위한 개폐용 도어 장착형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의 신호 전송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네트워크 접속이 해제되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해제 전까지의 작동 상태 감시 데이터를 GIS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상황의 알림 신호를 외부 출력하며, 상기 알림 신호의 외부 출력 시간은 해당 시간값의 사전 조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출력화면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GIS 기반 위치 데이터가 출력되는 맵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작동 및 관리 상태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비 관리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중 네트워크 접속 장애가 있는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장애 관련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애 표시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통합 데이터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트래픽 분석 기준의 네트워크 상태 데이터가 출력되는 네트워크 상태 표시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로그 데이터가 출력되는 로그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에는 IP 주소를 갖는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네트워크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은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들어오는 장비에 대해 그 전원을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매개로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원격제어 가능한 이상 발생 시 해당 장비를 원격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전원을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와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장치 작동에 이상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자일 단말기에 이상 내용이 포함된 문자메시지의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의 개별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IP주소 및 기타 식별정보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대한 작동 및 관리 상태의 제어 조건 등 서버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입력 기능의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대한 원격제어 및 관리용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중 네트워크 접속 상태의 이상 또는 작동 상태에 이상을 발생한 네트워크 접속장치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장치 이상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네트워크 접속된 단말기의 IP 주소로 PING 신호를 전송 후 해당 IP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해제되거나 불안정한 경우 전원 온/오프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 복구하며, 해당 단말기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선, 통신사의 종류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파일 다운로드의 사용 여부에 따라 IP주소에 대한 PING 신호의 리턴 신호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IP주소로부터 PING 신호에 대한 리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IP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의 속도가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PING 신호를 다시 전송하여 재시도하는 횟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가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리턴 신호가 기준값을 벗어난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리셋 시간 및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PING 신호에 대해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PING 기준값 설정키, 재시도 횟수 설정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전원 리셋시간 설정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대기 시간 설정키로 구성된 기능키 선택부, 상기 기능키 선택부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선택한 기능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능키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복수의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작동 및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자동복구 및 원격 제어에 의한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접속장치 및 그 접속 장비들을 보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그 접속 장비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네트워크 관리서버 간 트래픽 분석 처리 구성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표시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7은 는 도 9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서버 표시화면의 다양한 예들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100) 및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에 대한 통합관제 및 모니터링을 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200), 그리고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300) 및 복수의 CCTV 카메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접속장치는(100)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 자동 복구 기능을 포함하며,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다.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143922호(2012.05.01.등록),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여기에 GPS 모듈(160), 충격감지센서(170), 케이스(미도시) 및 케이스의 도어(미도시) 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사용자 설정부(110), PING 송수신부 (120), 제어부(130), 리셋부(140), 램프부(15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사용자 설정부(110)는 해당 컴퓨터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선, 통신사에 맞추어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IP주소로부터 PING 신호의 응답이 없는 경우, 다시 말해 IP 주소로부터 PING 신호에 대한 리턴 신호가 없는 경우 PING 신호를 다시 보내어 재시도하는 횟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가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전원을 OFF/ON 하는 리셋 시간 및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부(110)는 기능키들이 구비된 기능키 선택부(111), 기능키 선택부(111)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선택한 기능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12),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능키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능키 선택부(111)는 PING 기준값 설정키(111a), 재시도 설정키(111b), 리셋 시간 설정키(111c) 및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 설정키(111d)를 포함한다.
PING 기준값 설정키(111a)는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의 기준값(속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해당 컴퓨터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선, 통신사의 종류에 따라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다운로드 등 사용 여부에 따라 PING 속도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재시도 설정키(111b)는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부터 PING 신호의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PING 신호를 다시 보내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의 운영 여부를 재확인한다. 이때, 재시도의 횟수는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의 속도가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재시도의 횟수를 정할 수 있다.
리셋 시간 설정키(111c) 및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 설정키(111d)는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가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전원을 OFF/ON하여 리셋한다. 이때,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PING 신호가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리셋 시간 및 네트워크 접속대기시간을 짧게 또는 길게 설정해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네트워크의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기능키 선택부(111)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기능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수정하거나 새롭게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키 선택부(111)에서 PING 기준값 설정키를 선택하면, 기설정된 PING 기준값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를 수정하거나 새롭게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조작부(113)는 숫자키, ▲/▼ 키, 기호키 등으로 이루어져 표시부(112)에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PING 송수신부(120)는 사용자가 지정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로 PING 신호를 전송하고, PING 신호를 보낸 네트워크 관리서버(300)로부터 응답의 PING 신호 받는다.
제어부(130)는 PING 송수신부(120)에서 받은 응답의 PING 신호가 기설정된 기준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리셋부(140) 및 램프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리셋부(140)는 제어부(130)의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전원을 OFF/ON 시킨다.
램프부(150)는 제어부(130)의 판단결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정상적인 경우 녹색램프를 사용하고, 네트워크의 연결이 비정상적인 경우 적색램프를 사용하여 관리자가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램프부(150)에는 경보장치가 연결되어 적색램프가 사용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은 GPS 모듈(160), 충격감지센서(170), 케이스(미도시) 및 케이스의 도어(미도시) 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190), 통신부(195)에 대해 설명한다.
GPS 모듈(160)은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장착되어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GPS 모듈(160)을 통해 획득한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충격감지센서(170)는 각각의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개별 설치되어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대한 외부 충격 여부를 감지하며, 충격 감지 시 해당 신호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입력하고, 이렇게 충격감지센서(170)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입력된 신호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통신부(195)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전송된다.
케이스(미도시)는 네트워크 접촉장치(100)에 개별 설치되어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를 내장하여 보호하며, 이러한 케이스에는 개폐용 도어(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에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90)가 설치되며, 이러한 센서(190)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 시 해당 신호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센서(195)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그 통신부(195)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전송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가서, CCTV 카메라(4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CCTV 카메라(400)는 과속 차량이나 주정차 차량 단속 등을 위해 설치된 기존의 CCTV를 활용한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감시를 위해 별도로 설치된 전용 CCTV 카메라의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CCTV 카메라(400)들 각각에도 GPS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이 감시 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CCTV 카메라(400)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4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전송 시 또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의도되지 않은 전원 리셋 상황 발생 시,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센서의 신호 전송 시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에는 IP 주소를 갖는 IP CCTV 카메라(610), IP 공유기(620), 모뎀(630), WEB 기반 장비(640), 방송장비(650), 비디오 서버(660)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 각각은 이렇게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가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네트워크 접속되는 도 4의 IP CCTV 카메라(610), IP 공유기(620), 모뎀(630), WEB 기반 장비(640), 방송장비(650), 비디오 서버(66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원격제어 가능한 이상 발생 시 해당 장비를 원격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은 네트워크 접속된 IP CCTV 카메라(610), IP 공유기(620), 모뎀(630), WEB 기반 장비(640), 방송장비(650), 비디오 서버(660)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실시간 전송하며,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들어오는 장비에 대해 그 전원을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를 매개로 리셋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장치 작동에 이상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900)에 이상 내용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대해 그 전원을 리셋 처리한다.
도 8은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와 그 접속 장비(610~660)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와 네트워크 관리서버(200) 간 트래픽 분석 처리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해제되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 해제 전까지의 작동 상태 감시 데이터를 GIS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화면 표시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접속이 해제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존재 사실을 외부에 알리기 위해 소정의 알림 신호를 외부 출력한다. 이때 상기 알림 신호의 외부 출력 시간은 해당 시간값의 사전 조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서버(200)는 장치 이상 알림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과 개별 통신을 하며, 입력부(22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IP주소 및 기타 식별정보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에 대한 작동 및 관리 상태의 제어 조건 등 네트워크 관리서버(200)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입력 기능을 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및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에 대한 원격제어 및 관리용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며,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는 제어부(230)에서 생성되는 제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제공한다.
그리고 장치 이상 알림부(260)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 중 네트워크 접속 상태의 이상 또는 작동 상태에 이상을 발생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외부에 출력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가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 및 CCTV 카메라(400)들은 그 개별 위치데이터 및 고유식별데이터가 각각의 GPS 모듈(160,410)을 통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에 자동 등록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서버(200)의 출력화면은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GIS 기반 위치 데이터가 출력되는 맵 영역(240a),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작동 및 관리 상태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비 관리 영역(240b),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 중 네트워크 접속 장애가 있는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장애 관련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애 표시 영역(240c),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통합 데이터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영역(240d),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트래픽 분석 기준의 네트워크 상태 데이터가 출력되는 네트워크 상태 표시 영역(240e),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들의 로그 데이터가 출력되는 로그 관리영역(240f)을 포함한다.
다음은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도 9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서버 표시화면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맵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맵 영역(240a)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상세 설치위치가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맵 영역(240a)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위치 등록을 할 수 있으며, 맵 영역(240a)에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를 클릭하면, 장비관련 설치정보, 이력관리 및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기능을 표시하는 창이 표시된다. 여기서 NMS 기능에는 PING 테스트, 경로검색(tracert), TALNET, HTTP 접속 등이 있다.
도 11은 장비 관리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관리 영역(240b)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관리 및 작동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표시된다. 도면의 2-1 내지 2-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2-1은 장비 리스트를 보인 것으로서, 이를 통해 장비 추가 또는 삭제 그리고 설정관리를 할 수 있다. 2-2는 장비 상세 정보 등록관리를 보인 것으로서, 이를 통해 지도위치등록 및 메모를 할 수 있다. 그리고 2-3 및 2-4를 통해 위치등록(GIS 맵상의 장비 위치 등록 관리) 및 NMS 등록(NMS 모듈등록/장비 이력 등록)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GIS를 기반으로 한 위치 데이터의 등록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의 NMS 등록을 위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NMS 등록에는 NMS 모듈 등록, IP WEB 장비 등록, 장비 관련 이력 관리가 포함되며, NMS 모듈 등록은 PING 테스트, 경로탐색 TRACERT, TELNET를 포함하고, IP WEB 장비 등록은 IP CCTV 카메라, IP 공유기, WEB 기반 장비 다중 등록을 포함하며, 장비 관련 이력 관리는 장소명, 주소 외 사용자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도 14는 장애 표시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표시 영역(240c)의 3-1은 현장 장비(네트워크 접속장치 및 그에 네트워크 연결된 장비들)의 네트워크 장애에 따른 제어부(230)의 작동 시 알람표출, 3-2는 장애시간 및 동작 이력 표출, 3-3은 장비별 위치/로그/제어부(230)의 제어기능, 3-4는 네트워크 장애 여부 표출 표시를 한다.
도 15는 모니터링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영역(240d)은 전체 네트워크 및 장비 접속의 장애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접속장치(100)가 설치된 전체 장소 개소로 정상 및 에러로 분류하여 표시한다. 즉, 네트워크 접속장치(100)에 장애가 있으면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100)는 에러 상태로 표시한다.
도 16은 네트워크 상태 표시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상태 표시 영역(240e)는 장비별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소로 표시한다. 또한 장비별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이력화하여 로그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도 17은 로그 관리 영역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 관리 영역(240f)은 장비 들의 월별 장애 및 작동 로그 카운터를 표시하고, 또한 월별 장애 이력관리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7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복수의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작동 및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발생 시 원격으로 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네트워크 접속장치 110 : 사용자 설정부
120 : PING 송수신부 130 : 제어부
140 : 리셋부 150 : 램프부
160 : GPS 모듈 170 : 충격감지센서
180 : 케이스 190 : 센서
195 : 통신부 200 : 네트워크 관리서버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240a : 맵 영역 240b : 장비관리영역
240c : 장애표시영역 240d : 모니터링 영역
240e : 네트워크 상태 표시영역 240f : 로그관리 영역
25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60 : 장치 이상 알림부
300 :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 400 : CCTV 카메라
410 : GPS 모듈 500 : 모바일 단말기
610 : IP CCTV 카메라 620 : IP 공유기
630 : 모뎀 640 : WEB 기반 장비
650 : 방송 장비 660 : 비디오 서버

Claims (22)

  1.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전송 시 또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의도되지 않은 전원 리셋 상황 발생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들은 각각 GPS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및 CCTV 카메라들은 그 개별 위치데이터 및 고유식별데이터가 각각의 GPS 모듈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자동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그 내장을 위한 개폐용 도어 장착형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의 신호 전송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5.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네트워크 접속이 해제되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해제 전까지의 작동 상태 감시 데이터를 GIS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상황의 알림 신호를 외부 출력하며, 상기 알림 신호의 외부 출력 시간은 해당 시간값의 사전 조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의 출력화면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GIS 기반 위치 데이터가 출력되는 맵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작동 및 관리 상태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비 관리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중 네트워크 접속 장애가 있는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장애 관련 데이터가 출력되는 장애 표시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통합 데이터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트래픽 분석 기준의 네트워크 상태 데이터가 출력되는 네트워크 상태 표시 영역,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로그 데이터가 출력되는 로그 관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에는 IP 주소를 갖는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네트워크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8.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에는 IP 주소를 갖는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네트워크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은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들어오는 장비에 대해 그 전원을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매개로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9.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에는 IP 주소를 갖는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네트워크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원격제어 가능한 이상 발생 시 해당 장비를 원격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0.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전원을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와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장치 작동에 이상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자일 단말기에 이상 내용이 포함된 문자메시지의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2. GPS 모듈이 장착되어 외부 서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상기 GPS 모듈 기반의 위치데이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네트워크 접속 해제 시의 자동 복구 기능을 갖는 상태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장치;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주변에 설치되고,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CCTV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촬영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의 CCTV 카메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고, 그 감시데이터를 각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한 GIS 기반의 개별 출력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부터 이상신호 수신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상기 CCTV 카메라를 검출 후 해당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상이 있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들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각의 네트워크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과의 개별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IP주소 및 기타 식별정보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대한 작동 및 관리 상태의 제어 조건 등 서버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입력 기능의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대한 원격제어 및 관리용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중 네트워크 접속 상태의 이상 또는 작동 상태에 이상을 발생한 네트워크 접속장치 발생 시 해당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장치 이상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네트워크 접속된 단말기의 IP 주소로 PING 신호를 전송 후 해당 IP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해제되거나 불안정한 경우 전원 온/오프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 복구하며,
    해당 단말기의 성능과 사양 또는 통신선, 통신사의 종류 또는 인터넷 게임이나 파일 다운로드의 사용 여부에 따라 IP주소에 대한 PING 신호의 리턴 신호 기준값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IP주소로부터 PING 신호에 대한 리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IP 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의 속도가 기준값을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PING 신호를 다시 전송하여 재시도하는 횟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가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리턴 신호가 기준값을 벗어난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리셋 시간 및 네트워크 접속 대기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PING 신호에 대해 IP주소로부터 응답되는 리턴 신호의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PING 기준값 설정키, 재시도 횟수 설정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전원 리셋시간 설정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대기 시간 설정키로 구성된 기능키 선택부;
    상기 기능키 선택부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면 선택한 기능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능키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전송 시 또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의도되지 않은 전원 리셋 상황 발생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들은 각각 GPS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및 CCTV 카메라들은 그 개별 위치데이터 및 고유식별데이터가 각각의 GPS 모듈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자동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그 내장을 위한 개폐용 도어 장착형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 전송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센서의 신호 전송 시 상기 CCTV 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알람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에는 IP 주소를 갖는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네트워크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들의 작동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에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는 동시에 원격제어 가능한 이상 발생 시 해당 장비를 원격제어하여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은 네트워크 접속된 CCTV 카메라, IP 공유기, 모뎀, WEB 기반 장비, 방송장비, 비디오 서버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 들어오는 장비에 대해 그 전원을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매개로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 또는 장치 작동에 이상 발생 시 해당 네트워크 접속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자일 단말기에 이상 내용이 포함된 문자메시지의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들의 트래픽 상태를 개별 분석하여 트래픽 지연 정도가 사전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에 대해 그 전원을 리셋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동 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20130039828A 2013-04-11 2013-04-11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31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828A KR101314964B1 (ko) 2013-04-11 2013-04-11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828A KR101314964B1 (ko) 2013-04-11 2013-04-11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964B1 true KR101314964B1 (ko) 2013-10-04

Family

ID=4963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828A KR101314964B1 (ko) 2013-04-11 2013-04-11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96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48A (ko) * 2014-08-14 2016-02-24 (주)인펙비전 Cctv 관리 시스템
KR20160028346A (ko) * 2015-06-08 2016-03-11 이승철 Cctv 감시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제어시스템
KR101666178B1 (ko) *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38773B1 (ko) 2015-10-07 2017-05-23 강성진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101743833B1 (ko) * 2015-10-07 2017-06-07 강성진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101794005B1 (ko) * 2016-03-02 2017-11-06 김정환 네트워크 카메라 에러 검출 시스템
CN107741739A (zh) * 2017-11-15 2018-02-27 孙天明 智能设备箱及其工作方法
KR20180121250A (ko) * 2017-04-28 2018-11-07 굿어스 주식회사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947961B1 (ko) * 2018-07-13 2019-02-13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기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058150A (ko) * 2018-11-19 2020-05-27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파일 시스템 자동 복구 방법
KR20200117564A (ko) * 2019-04-04 2020-10-14 이창우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CN114389935A (zh) * 2020-10-16 2022-04-22 中国人民解放军31008部队 一种基于动态图像集中监测的多源网络风险告警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3B1 (ko) * 2009-04-28 2009-08-19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광역의 무인단속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56032A (ko) * 2008-11-19 2010-05-27 (주)네오쿼터스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4680A (ko) * 2009-04-16 2010-10-26 현영구 Cctv 카메라 고장 감시용 snmp
KR101143922B1 (ko) 2010-12-27 2012-05-11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032A (ko) * 2008-11-19 2010-05-27 (주)네오쿼터스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4680A (ko) * 2009-04-16 2010-10-26 현영구 Cctv 카메라 고장 감시용 snmp
KR100913113B1 (ko) * 2009-04-28 2009-08-19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광역의 무인단속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143922B1 (ko) 2010-12-27 2012-05-11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06B1 (ko) * 2014-08-14 2016-06-13 (주)인펙비전 Cctv 관리 시스템
KR20160020748A (ko) * 2014-08-14 2016-02-24 (주)인펙비전 Cctv 관리 시스템
KR20160028346A (ko) * 2015-06-08 2016-03-11 이승철 Cctv 감시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제어시스템
KR101641873B1 (ko) 2015-06-08 2016-07-29 차보영 Cctv 감시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제어시스템
KR101738773B1 (ko) 2015-10-07 2017-05-23 강성진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101743833B1 (ko) * 2015-10-07 2017-06-07 강성진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KR101794005B1 (ko) * 2016-03-02 2017-11-06 김정환 네트워크 카메라 에러 검출 시스템
KR101666178B1 (ko) * 2016-07-01 2016-10-13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네트워크 원격제어 시스템
KR101966401B1 (ko) 2017-04-28 2019-04-05 굿어스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180121250A (ko) * 2017-04-28 2018-11-07 굿어스 주식회사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107741739A (zh) * 2017-11-15 2018-02-27 孙天明 智能设备箱及其工作方法
KR101947961B1 (ko) * 2018-07-13 2019-02-13 장승현 버스 정보 안내기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00058150A (ko) * 2018-11-19 2020-05-27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파일 시스템 자동 복구 방법
KR102142905B1 (ko) 2018-11-19 2020-08-10 에이엠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파일 시스템 자동 복구 방법
KR20200117564A (ko) * 2019-04-04 2020-10-14 이창우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2288537B1 (ko) * 2019-04-04 2021-08-09 이창우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CN114389935A (zh) * 2020-10-16 2022-04-22 中国人民解放军31008部队 一种基于动态图像集中监测的多源网络风险告警系统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64B1 (ko)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CA2493214A1 (en) A telemetry system
US20130321161A1 (en) Cloud-based fire alarm control system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200801042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evice port
JP2017122995A (ja) 防災情報管理システム
CN103680045A (zh) 智能电子门牌及智能电子门牌系统
KR101698063B1 (ko) Cctv 카메라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03957138A (zh) 一种网络监控方法、装置及其系统
KR101238303B1 (ko) 영상 감시장치,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293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ustomer data networks for alarm systems
KR101743833B1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EP3035602A1 (en) Equipment and network health monitoring using security systems
CN109416863B (zh) 用于安全技术的监视系统
JP2019168877A (ja) 電子端末問題予測装置
JP2017005598A (ja) 防犯カメラヘルスチェック
KR100889875B1 (ko) 역사의 통합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81400B1 (ko)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KR101214651B1 (ko) Snmp trap을 이용한 usp의 장애발생을 sms를 이용하여 통지하는 장치
US9123225B2 (en) Robust alarm system with auxiliary processing sub-system
KR102534770B1 (ko) 구내 방송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652241U (zh) 基于手机短信的服务器远程监控及故障处理的装置
CN111679617A (zh) 一种数字班牌监控管理的方法及系统
KR101859598B1 (ko)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