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98B1 -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598B1
KR101859598B1 KR1020160184042A KR20160184042A KR101859598B1 KR 101859598 B1 KR101859598 B1 KR 101859598B1 KR 1020160184042 A KR1020160184042 A KR 1020160184042A KR 20160184042 A KR20160184042 A KR 20160184042A KR 101859598 B1 KR101859598 B1 KR 10185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torage device
data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529A (ko
Inventor
김강민
Original Assignee
(주)영도시큐리티
김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도시큐리티, 김강민 filed Critical (주)영도시큐리티
Publication of KR2017008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감시카메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은 감시카메라모듈, 감시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저장장치와 인터넷 상의 서버(server)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모듈, 감시카메라모듈, 저장장치,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입력 받고 저장장치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어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및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서버를 통해 제어모듈로 감시카메라모듈, 저장장치 및 네트워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security equipment}
본 발명은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가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현장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거나 감시카메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은 감시를 요하는 곳에 설치된다. 사회적으로 사건,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다양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설치된 곳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사건, 사고를 촬영하며 사건, 사고를 해결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양식장, 보안이 중요한 사무실 및 인적이 뜸한 골목길 등에 설치되어 사건사고를 예방 하거나 발생된 사건사고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한정된 인력으로 또는 인력의 투입 없이도 사건 및 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심적인 안정감을 주고 있다. 그러나, 폐쇄회로 텔레비전이 정상 설치되더라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내부장치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작동 하지 않을 경우,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본연의 설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관리작업은 설치작업 이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현재,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정상작동 상태를 기초적으로 관리 가능한 장비나 방법 등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대부분의 방법은 관리자가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촬영된 과거 영상을 돌려 보고 작동상태를 파악하도록 되어 있어, 관리자가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작동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관리자가 영상을 보도 작동상태를 파악하도록 되어 있어 관리작업 시 관리자에게 고객의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일본 공보특허 9044759호 (1995.07.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가 시간 및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현장에 설치된 다수 개의 하드디스크의 상태, 촬영영상의 상태 및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장비 원격 관리 시스템은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감시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와 인터넷 상의 서버(server)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모듈, 상기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저장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상기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저장장치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상기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저장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제어단말기는,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장치의 상태,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유효한 액세스코드로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을 초기화 하는 초기화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모듈은 동적 도메인 네임 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초기화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초기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다른 하나의 저장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여 백업(backup)하고 상기 저장장치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상태데이터의 오류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카메라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영상데이터의 저장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데이터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접속제한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물리주소의 목록 중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물리주소와 일치하는 목록이 확인되면,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은 관리작업자가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현장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시카메라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제어 할 수 있다.
특히,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은 관리작업자에게 영상데이터의 상태, 저장장치의 상태, 네트워크의 상태 등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한 데이터로 전송하여 관리작업자가 신속히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작업을 하는 도중에도 관리작업자에게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고객의 영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고객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모듈과 서버 간의 계통도이다.
도 3은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의 계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모듈과 서버 간의 계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영상데이터의 상태, 저장장치의 상태,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 아이콘 및 텍스트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제어모듈(40)에서 해석 및 연산하여 저장장치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로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각 상태데이터를 서버(60)를 통해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 전송해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서 각 상태데이터를 문자 및 기호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영상데이터를 직접 화상으로 재생하여 검색하지 않고도 상태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용이하게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관리시스템을 관리하거나 문제가 발생하여 대처하는 동안에도 영상데이터를 통한 고객의 사생활 노출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작업자가 현장에 설치된 다수 개의 감시카메라모듈(10), 저장장치(20) 및 네트워크모듈(3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점검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종래의 관리시스템과 달리 작업자가 영상데이터를 화상으로 재생하여 검색하지 않고 문자 및 기호 등을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즉시 서버로 옮겨 보존하고 외부 접속은 차단함으로써 고객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촬영된 영상의 누락이 없이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은 감시카메라모듈(10), 감시카메라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20), 저장장치(20)와 인터넷 상의 서버(60)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모듈(30)을 포함한다.
또한, 감시카메라모듈(10), 저장장치(20), 및 네트워크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입력 받고 저장장치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60)로 전송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서버(60)에 접속되어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및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서버(60)를 통해 제어모듈(40)로 감시카메라모듈(10), 저장장치(20) 및 네트워크모듈(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50)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는 저장장치(20)의 상태, 네트워크모듈(30)의 상태, 감시카메라모듈(10)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관리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을 구성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매우 효과적인 관리작업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1)이 포함하는 구성요소와 특징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감시카메라모듈(10)은 내부에 인코더(encoder)를 포함하여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이다. 감시카메라모듈(10)은 촬영 영상의 해상도 및 주기를 변경하며 영상데이터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모듈(10)은 해상도를 800*600 픽셀 ~ 1920*1080 픽셀 범위 내에서 변경하여 다양한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주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물의 움직임이 감지 되었을 때만 촬영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시카메라모듈(10)은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장치(20)에 전송한다. 후술하는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20)에 오류가 발생하면, 영상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저장장치(20)에서 서버(60)로 변경하여 영상데이터가 서버(60)로 직접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60)는 인터넷 상에 형성된 것으로 네트워크모듈(30)을 통해 저장장치(2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버(60)는 네트워크모듈(30)의 물리주소와 매칭되는 물리주소의 목록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서버(60)는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1)을 사용하는 관리자의 자체서버이거나 또는 사설서버의 일부를 관리자가 대여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저장장치(20)는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장치일 수 있다. 저장장치(20)는 내부에 디코더(decoder)를 포함하여 인코딩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재생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저장장치(20)로부터 고객이 직접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 이러한 재생프로그램은 삭제될 수 있다.
저장장치(20)는 네트워크모듈(30)를 통해 고객의 디스플레이장치(A)에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20)와 인터넷 상의 서버(60)를 연결하는 한편 고객의 로컬 디스플레이장치(A)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저장장치(20)는 제어모듈(4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40)에 저장장치의 동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동작신호와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를 해석 및 연산하여 저장장치의 동작신호에서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영상데이터가 저장장치(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장치의 동작신호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영상데이터가 저장장치(20)이외의 장치 즉, 전술한 서버(60) 등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30)은 저장장치(20)와 서버(60)를 연결하여 저장장치(20)에서 서버(60)로, 서버(60)에서 저장장치(20)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모듈(30)은 저장장치(20)와 서버(60)를 중계한다.
네트워크모듈(30)은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모듈(10) 및 복수 개의 저장장치(20)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으로 연결하거나, 저장장치(20)를 인터넷 상의 서버(60)와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30)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모듈(10)과 복수 개의 저장장치(20)가 원활히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하고,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저장장치(20)와 서버(60) 간에 원활히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모듈(30)은 감시카메라모듈(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즉, IP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IP는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기되는 숫자 체계로 형성되고, 일정한 기간에 따라 변동되는 유동 IP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네트워크모듈(30)은 서로 다른 IP를 갖고, 서버(60)와 연결되어 패킷을 보낼 수 있다. 복수 개의 네트워크모듈(30) 각각은 서로 다른 동적 도메인 네임 체계(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로 설정되어, 외부에서 문자 형태의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30)은 유동 IP에 대응하는 고정된 주소 예를 들어, c16592d.qhdcctv.net 등의 특정 주소로 설정되어, 서버(60)와 동적 도메인 네임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모듈(30)은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서 송출된 제어신호가 제어모듈(40)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제어단말기(50)는 서버(60)에 접속되며 서버(60)를 경유하여 네트워크모듈(30)을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모듈(30)은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모듈(30)에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에 부여된 물리주소인 맥어드레스(MAC address)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감시카메라모듈(10), 저장장치(20), 네트워크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입력받고 저장장치(20)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네트워크모듈(30)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60)로 전송한다.
특히, 제어모듈(40)은 네트워크모듈(30)의 물리주소와 서버(60)에 등록된 물리주소가 일치하는 경우 네트워크모듈(30)을 통해 상태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40)은 네트워크모듈(30)을 통해 서버(60)로부터 서버(60)에 기 등록된 물리주소의 목록을 확인하고 서버(60)에 기 등록된 물리주소의 목록 중 네트워크모듈(30)의 물리주소와 일치하는 목록이 확인되면 서버(60)에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및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물리주소는 전술한 맥어드레스일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제어부, 연산부, 시스템 버스 등을 포함하여 저장장치 및 네트워크모듈 등의 동작신호를 신속히 해석하고 연산하여 서버(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메인보드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테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해석하고 연산하여 각각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제3상태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연산하여, 디지털 신호 ‘1’또는 디지털 신호 ‘0’으로 서로 다른 상태(정상상태 또는 오류상태)를 표시하고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제1상태데이터 내지 제3상태데이터를 시스템 버스를 통해 서버(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모듈(4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태데이터가 디지털 신호‘1’로 출력되면 저장장치의 상태데이터를 서버(60)로 전송한다. 반면, 제1상태데이터가 디지털 신호‘0’으로 출력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장치(20)와 연결된 저장모듈로 전송하여 영상데이터를 백업(backup)하거나 도 2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를 서버(6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40)은 제1상태데이터에서 오류가 감지되면 영상데이터의 저장위치를 변경하여 영상데이터가 누락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 제어단말기(50)는 상태데이터(제1, 제2,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 받아 시스템의 정상 작동여부를 표시하고 제어모듈(40)로 인력된 사용자(관리자)의 입력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다. 송출된 제어신호는 서버(60)를 경유하여 제어모듈(40)에 전송될 수 있다. 휴대용 제어단말기(50)는 복수 개의 상태데이터를 판별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및 제3상태데이터로부터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해 아이콘 및 텍스트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휴대용 제어단말기(50)는 인코딩된 영상데이터를 자동 삭제하는 삭제프로그램을 포함하여,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 영상데이터가 전송되더라도 삭제되어 동영상이 재생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제어단말기(50)의 관리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1과 0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태(정상상태 또는 오류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60)을 통해 제1 내지 제3상태데이터 중 제1상태데이터의 디지털 신호‘0’인 신호가 인가되면 저장장치의 상태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는 적색 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장치의 상태를‘비정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제2상태데이터의 디지털 신호‘0’인 신호가 인가되면 영상장치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는 적색 아이콘을 생성하고, 영상데이터의 상태를‘비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상태데이터가 디지털 신호‘0’인 신호가 인가되면 네트워크모듈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는 적색 아이콘을 생성하고, 네트워크의 상태를‘비정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영상데이터의 상태와 저장장치의 상태가‘알 수 없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제1 내지 제3상태데이터에서 모든 상태데이터가 디지털 신호‘1’인 신호가 인가되면, 녹색 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두‘정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관리프로그램은 서버(60) 및 외부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시스테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서버에 접속 가능한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설정하는 상태 및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의 상태 등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설정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관리프로그램이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 설치되면, 관리프로그램에 현장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모듈의 이름, 네트워크모듈의 주소, 네트워크모듈의 포트번호 및 고객의 정보 등을 입력하여 서버(60)에 휴대용 제어단말기(5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모듈(30)은 서버(60)와 동적 도메인네임 방식으로 연결되며, 관리프로그램은 네트워크모듈(30)에 기 설정된 동적 도메인 네임 (DDNS) 및 포트번호와 매칭되는 동적 도메인 네임 및 포트번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제어단말기(50)가 서버(60)를 경유하여 네트워크모듈(30)에 접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동적 도메인 네임은 변동하는 인터넷 주소를 고정된 문자 주소로 나타내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모듈(30) 가운데 원하는 네트워크모듈(30)과 정확히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동적 도메인 네임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암기할 수 있는 문자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제어단말기(50)의 관리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60)에 전송되는 제1상태데이터, 제2상태데이터 및 제3상태데이터를 입력 받고 판별하여 오류가 있는 상태데이터를 판별하고 시스템의 상태를 아이콘 및 텍스트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프로그램이 전송 받은 제1상태데이터 내지 제3상태데이터 가운에서 제1상태데이터에서 오류가 판별되면, 저장장치의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HDD’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고, 제2상태데이터에서 오류가 판별되면, 영상데이터의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HV’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상태데이터에서 오류가 판별되면, 네트워크의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N’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프로그램은 작업자에 의해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제1상태데이터 내지 제3상태데이터를 판독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텍스트(text)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데이터 자체를 재생하여 검색하지 않고도,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정상’또는‘비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리프로그램은 영상테이터가 언제 정상 작동하고, 언제 비정상 작동했는지의 작동 이력과 저장장치(20)가 언제 촬영하고, 언제 촬영하지 않았는지 등의 작동 이력을 텍스트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관리프로그램은 원거리 통신망(WAN) 상태 및 근거리 통신망(LAN)의 작동 이력 및 휴대용 제어단말기(5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네트워크모듈의 IP주소 및 최근 업데이트 시간 등을 텍스트로 나타낼 수도 있다.
관리프로그램은 각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제어모듈(40)에 감시카메라모듈(10), 저장장치(20) 및 네트워크모듈(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프로그램은 유효한 액세스코드 즉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근한 사용자에게 감시카메라모듈(10)의 해상도 및 촬영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메뉴나, 저장장치를 초기화할 수 있는 초기화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이와 같이 권한있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제어모듈(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40)에 저장장치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초기화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1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서버(60) 및 저장장치(20)와 연결된 저장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백업한 후, 저장장치(10)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휴대용 제어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 전체의 작동순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상태에 해당하는 제1상태데이터, 영상데이터의 상태에 해당하는 제2상태데이터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에 해당하는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60)에 전송한다(S110). 제어모듈(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고 제1, 제2, 제3상태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영상데이터 자체를 재생하거나 확인할 필요 없이 이와 독립된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바탕으로 생성한 상태데이터를 서버(60)에 전송하여 시스템 작동 상황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모듈(40)은 디지털 신호의 값에 따라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서버(60)에 접속된 휴대용 제어단말기(50)에는 전술한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녹색 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정상으로 나타내고, 저장장치의 상태가 정상으로 판정되되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모듈의 상태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비정상으로 판정된 상태에 해당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40)은 저장장치의 상태를 판단하여(S130), 저장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감시카메라모듈(1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저장장치(20)에 저장하지 않고 저장위치를 즉시 변경한다. 즉, 영상데이터를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S140). 따라서, 감시카메라모듈(10)만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영상데이터를 서버(60)로 전송하여 촬영된 영상을 누락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지속적으로 저장장치(20)의 오류상황이 파악되면 사용자(관리자)는 휴대용 제어단말기(50)를 통해 초기화신호를 송출하고 서버를 경유하여 제어모듈로 초기화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초기화신호가 입력되면 저장장치(20)는 초기화될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은 초기화신호가 입력되면 저장장치(2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서버 및 저장장치와 연결된 저장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여 백업(backup)을 실시하고 저장장치(20)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관리자)는 휴대용 제어단말기(50)를 통해 원격으로 저장장치(20)를 초기화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기 저장된 영상데이터는 서버 등으로 백업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 영상데이터가 백업되는 경우에도 고객이 아닌 관리자가 영상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도록 서버(60)에 영상데이터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접속제한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일련의 단계를 통해, 저장장치의 상태,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네트워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작업자가 저장장치 및 영상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관리과정은 영상데이터 자체가 아닌 상태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되는바, 고객이 아닌 관리자의 직접적인 영상 재생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관리자 등에게 CCTV등의 관리를 의뢰하면서도 영상데이터가 누출되는 것은 막고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고객과의 불편함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장치와 시스템 등의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10: 감시카메라모듈 20: 저장장치
30: 네트워크모듈 40: 제어모듈
50: 휴대용 제어단말기 60: 서버
A: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8)

  1.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감시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와 인터넷 상의 서버(server)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모듈;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로컬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저장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신호, 상기 영상데이터의 전송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동작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저장장치의 상태가 기록된 제1상태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태가 기록된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상태가 기록된 제3상태데이터를 정상상태 또는 오류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 1 또는 0으로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상기 감시카메라모듈, 상기 저장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저장장치의 상태,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아이콘 및 텍스트로 표시하는 휴대용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제어단말기는,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장장치의 상태, 상기 영상데이터의 상태, 및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유효한 액세스코드로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을 초기화 하는 초기화메뉴를 제공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모듈은 동적 도메인 네임방식으로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보안장비 원격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저장장치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초기화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초기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저장장치와 연결된 저장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여 백업(backup)하고 상기 저장장치의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상태데이터의 오류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카메라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영상데이터의 저장위치를 변경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데이터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접속제한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물리주소의 목록 중 상기 네트워크모듈의 물리주소와 일치하는 목록이 확인되면, 상기 제1상태데이터, 상기 제2상태데이터 및 상기 제3상태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KR1020160184042A 2015-12-31 2016-12-30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KR101859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614 2015-12-31
KR20150191614 2015-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29A KR20170080529A (ko) 2017-07-10
KR101859598B1 true KR101859598B1 (ko) 2018-05-18

Family

ID=5935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042A KR101859598B1 (ko) 2015-12-31 2016-12-30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037B1 (ko) * 2019-05-16 2019-08-19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Ip 기반의 cctv 카메라 영상 및 음성데이터의 트랜스코딩 및 암호화 전송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29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1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amera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JP4458729B2 (ja) カメラ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103117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s
US110322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monitoring
KR101224199B1 (ko) 물리적 이중화 망분리 보안이 강화된 방범 cctv 감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52503B2 (en) Camera video recorder
KR20140094953A (ko)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CN107590935A (zh) 数字摄像机入侵检测与防卫系统
KR101859598B1 (ko)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KR102069713B1 (ko)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758B1 (ko) IoT 기반 무인보안시스템
KR10047853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KR100750827B1 (ko) 사용자별 권한 설정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101668342B1 (ko) 금고 촬영장치 및 금고 내부 촬영 시스템
KR10060807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영상경비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구조 및 그 처리방법
US10733955B2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play alarm and home events on video monitors
KR101534532B1 (ko) 비디오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관제 시스템 및 비디오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따른 상태 처리 방법
AU2021107362A4 (en) Alarm Communicator, Signalling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434039Y1 (ko) 중앙 집중형 감시 시스템
KR20080040873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상태 감시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KR102143234B1 (ko) 영상 감지 장치 및 영상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