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713B1 -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713B1
KR102069713B1 KR1020180123595A KR20180123595A KR102069713B1 KR 102069713 B1 KR102069713 B1 KR 102069713B1 KR 1020180123595 A KR1020180123595 A KR 1020180123595A KR 20180123595 A KR20180123595 A KR 20180123595A KR 102069713 B1 KR102069713 B1 KR 10206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nformation
video recorder
network video
imag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룡
양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톤
Priority to KR102018012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많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레코더 시스템의 패스워드 유출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영상 유출의 진원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영상의 유출 사고를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유출 사고의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network video recorder security}
본 발명은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 시스템은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비디오, 네트워크 레코더, 모니터링의 4 요소 전체를 디지털화하는 감시 장치로, 키보드와 마우스를 기본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처리와 고화질 영상처리를 핵심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IP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직접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메라 설치 장소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와는 차이가 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비디오 테이프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던 CCTV의 저장 부분을 디지털화한 감시 장치로, 감시 카메라 설치 대수가 고정되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감시 카메라간 거리가 제한적이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의존에 따른 녹화 시간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동축 케이블 부설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벤더 별 서로 다른 프로토콜 호환성 문제와 카메라 증설시 개별 케이블 공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녹화가 포트(BNC Port) 단위로 카메라가 설치되므로 카메라, 케이블 등 고장 발생 요소가 많이 발생하며, 시스템 이중화 운영시 비용 증가 문제가 발생하며, 원격 조작은 별도 회선 확보 및 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반면,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는 네트워크 대역폭 범주 내 무한개의 감시 카메라 설치가 자유로우며,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근 랜 포트로의 확장성이 우수하고, 시스템 저장 장치 선택의 유연성으로 자유로운 녹화시간 결정이 가능하다. 또한, 랜 설치 연결만으로 작업 완료(필요시 무선 활용) 표준 프로토콜(ONVIF) 지원으로 서로 다른 벤더 모델 설치 허용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증설이 용이하다. 그리고, 카메라의 정보 등록만(IP주소, 아이디, 패스워드)으로 자동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비해 적은 고장 발생 요소가 있으며, 유연한 시스템 이중화 설정 운영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조작 등 부가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즉,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카메라에서 녹화기까지 영상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로 변형되었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는 한 개의 네트워크 선을 통하여 다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다르게 다수개의 카메라와 녹화기 사이에서 필요했던 다수개의 영상 신호 전송선을 하나의 네트워크 선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네크워크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의 표준 프로토콜(ONVIF, RTSP)을 사용하는데, 네트워크 카메라 표준 프로토콜(ONVIF)은 Bosch Security Systems, Axis Communications, Sony의 3개 회사에 의하여 처음 표준화가 정의되었으나, 이제는 전세계 네트워크 카메라의 표준이 되었다. 네트워크 카메라의 보안 인증(Log-In)을 하기 위해 아이디(User),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여 획득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패스워드는 암호화(SHA, RSA, SSL, TLS 등)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수많은 네트워크 카메라의 아이디(Us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별도의 아이디, 패스워드 기입 관리대장을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분실, 유실, 유출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CCTV 상황실의 경우 평균 약 2,000여 대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운영하고 있으며 감시조/관리자/경찰관의 출입이 빈번하기 때문에 약 30일 ~ 60일 사이에 의무적으로 아이디(Us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변경하여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특성상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보안 유지 및 관리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모든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를 위한 별도의 영상 정보 오남용 방지 서버를 구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관리를 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또 다시 구축해야하는 문제로 비경제적이며 현실성이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5566호 (주식회사 아큐픽스) 2015. 4. 21. 특허문헌 1은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카메라와 녹화부를 디지털 녹화장치를 이루는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이에 따라 카메라와 녹화부의 케이블 연결 작업없이 녹화장치를 천정면이나 벽면 또는 지지대를 통해 실외 및 실내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그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열림 이력, 그리고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열람시 그 열람 이력을 기록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감시영상에 대한 제 3 자의 불법 열람을 방지하면서, 디지털 녹화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와 원격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로서, 관리자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로그인을 인증하고,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와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와 원격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보안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로그인을 인증하는 단계; 및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많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레코더 시스템의 패스워드 유출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켜 복사 또는 백업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유출의 진원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영상의 유출 사고를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유출 사고의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300), 복수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 및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카메라(300)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에 설치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300)와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허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300)와 IP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로그인 인증이 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복수의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나 카메라(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켜 복사 또는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와 연결되고, 복수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를 원격에서 통합 관리한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30),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300) 및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저장부(130)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사용자 로그인,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영상 데이터의 검색, 영상 데이터의 복사, 영상 데이터의 백업 등과 같은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관리자의 지문 정보,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 영상 데이터 검색에 대한 로그 정보, 영상 데이터 복사에 대한 로그 정보, 영상 데이터 백업에 대한 로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는 지문 인식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는 마우스 형태로 구현되어 조작부의 역할을 수행하며, 마우스 외면에 구비된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로그인 인증이 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지문 정보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지문 정보와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인증하고,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로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식별 정보, 로그인한 사용자 식별 정보, 로그인 일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관리자 지문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관리자 지문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지문 정보 등록 시, 제어부(17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지문 정보를 복수의 카메라(300),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 및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와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나 카메라(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도시하지 않음)이나 네트워크 비디어 레코더(100)에 연결된 영상 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카메라(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정상적으로 로그인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 내부나 해당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도시하지 않음)로 복사 또는 백업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영상 데이터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시킨 다음, 해당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유출되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유출한 사람의 신원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면,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관리자 지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110). 그런 다음,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등록된 관리자 지문 정보를 복수의 카메라(300),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 및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와 동기화할 수 있다(S120).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로그인 요청이 입력되면(S130-Y),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를 통해 사용자 지문 정보를 인식한다(S140). 그런 다음,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S150). 즉,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지문 정보와 기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사용자 지문 정보와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인증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인증되면(S150-Y),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원격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이후,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복사 또는 백업 요청이 입력되면(S170-Y),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사용자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S180).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카메라(3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할 수 있다(S190). 예컨대, 정상적으로 로그인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해당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 내부나 해당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도시하지 않음)로 복사 또는 백업하는 경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100)는 해당 영상 데이터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시킨 다음, 해당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110 : 통신부,
130 : 저장부, 150 :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
170 : 제어부, 200 : 원격 통합 관리 서버,
300 : 카메라

Claims (9)

  1.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와 원격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로서,
    관리자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로그인을 인증하고,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와 동기화하고,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IP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와 원격 통합 관리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보안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일체형 지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지문 정보를 대비하여 로그인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와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가 동일하면 로그인을 인증하는 단계;
    로그인에 대한 로그 정보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관리자 지문 정보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원격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와 동기화하는 단계; 및
    로그인이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복사 또는 백업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복사 또는 백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이거나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인,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23595A 2018-10-17 2018-10-17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06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95A KR102069713B1 (ko) 2018-10-17 2018-10-17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95A KR102069713B1 (ko) 2018-10-17 2018-10-17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13B1 true KR102069713B1 (ko) 2020-01-23

Family

ID=6936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595A KR102069713B1 (ko) 2018-10-17 2018-10-17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26B1 (ko) 2021-03-23 2021-08-24 주식회사 두두아이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를 위한 보안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630705B1 (ko) 2023-07-12 2024-01-29 주식회사 넥스톤 에너지 절약형 네트워크 카메라 저장 장치 및 네트워크카메라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432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6194A (ko) * 2013-06-18 2013-07-31 김남현 지문 정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28081A (ko) * 2013-04-26 2014-11-05 주식회사 유비키이노베이션 웹사이트 로그인 및 개인정보 보안을 위한 홍채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5566B1 (ko) 2014-07-10 2015-05-04 주식회사 아큐픽스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432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8081A (ko) * 2013-04-26 2014-11-05 주식회사 유비키이노베이션 웹사이트 로그인 및 개인정보 보안을 위한 홍채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6194A (ko) * 2013-06-18 2013-07-31 김남현 지문 정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시스템
KR101515566B1 (ko) 2014-07-10 2015-05-04 주식회사 아큐픽스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26B1 (ko) 2021-03-23 2021-08-24 주식회사 두두아이티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를 위한 보안 인증 장치 및 방법
US11778146B2 (en) 2021-03-23 2023-10-03 DUDU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network video recorder security
KR102630705B1 (ko) 2023-07-12 2024-01-29 주식회사 넥스톤 에너지 절약형 네트워크 카메라 저장 장치 및 네트워크카메라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764B2 (ja) 物理空間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563889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80040215A1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TWI519152B (zh) 連接網路式相機至視訊站之方法及對應的視訊監控系統、視訊站、及網路式相機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26546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영상정보 처리기기 및 방법
US103117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s
WO2018225642A1 (ja) 顔認証システム、顔認証方法、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KR102069713B1 (ko)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10409653A1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ccess to access points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N104883540A (zh) 一种基于中标麒麟操作系统的视频监控客户端系统
US2020027894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fingerprint of electronic file
CN106803924A (zh) 一种网络视频监控系统
CN111711777B (zh) 一种智能工作记录仪管理系统及方法
KR101731592B1 (ko) 독립형 다중 영상 감시 시스템
CN105631358A (zh) 重要实验数据防篡改监视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532210B1 (ko) 고정형 @(Crazy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배선반 시스템
EP3522123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
KR101875921B1 (ko)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KR102237079B1 (ko)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20120041571A (ko) 유에스비형 무선식별리더기를 이용한 데이터 모니터링시스템
KR101920453B1 (ko) 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프로세스로 분리되어 구동하는 nvr 시스템
KR101534532B1 (ko) 비디오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비디오 관제 시스템 및 비디오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따른 상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