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921B1 -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921B1
KR101875921B1 KR1020160175289A KR20160175289A KR101875921B1 KR 101875921 B1 KR101875921 B1 KR 101875921B1 KR 1020160175289 A KR1020160175289 A KR 1020160175289A KR 20160175289 A KR20160175289 A KR 20160175289A KR 101875921 B1 KR101875921 B1 KR 10187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grated control
control system
security system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084A (ko
Inventor
김동칠
박성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921B1/ko
Priority to PCT/KR2017/000168 priority patent/WO2018117325A1/ko
Publication of KR2018007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방법은,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저장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저장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Interworking method between integrated control system video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영상 정보 송수신을 위한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메라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서 원하는 대상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자원을 이용하여 감시 지역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대상 객체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다양한 이벤트를 설정받아 영상 분석을 수행하며, 일례로 특정 패턴을 가진 객체를 선택하거나, 영상에서 가상의 라인 또는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라인 또는 영역을 침범하는 객체를 추적하거나, 영상에서 기존에 없던 물체가 등장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 조건을 설정받아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합 관제 시스템은, 통합 관제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현장이나 장비들로부터 얻어진 실시간 계측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버스운행 통합 관리, 가로등 통합 관리, 위험물 통합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보안 시스템 및 통합 관제 시스템은 정보 관리 측면, 특히 영상 정보 처리 및 저장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통합 관제 시스템과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명확한 규격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안전 보장 및 범죄 예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영상 정보 송수신을 위한 연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방법은,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저장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저장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접속 IP 주소, 포트 넘버를 통한 TCP/IP 기반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연결 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연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연결 성공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인증 ID와 암호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인증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증 성공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인증 성공 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성능 확인 요청을 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성능 확인 응답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영상을 제공하는 공개 카메라에 대한 PTZ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를 구분할 수 있는 카메라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영상 요청 승인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송수신에 이용되는 제 1 URL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제 1 URL을 이용하여,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저장 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영상 요청 승인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저장 영상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제 2 URL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제 2 URL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 정보 중 제공받기를 원하는 구간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연동방법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실시간 영상 혹은 저장 영상이 제공되던 중, 예외 상황으로 인하여 연결이 끊어진 경우,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영상을 재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보안 시스템은 통합 관제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혹은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보안 시스템은 자신에 의해 관리되는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이외에도,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개인 안전 보장 및 범죄 예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이 적용되는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인증 과정 및 정보 요청/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실시간 영상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저장 영상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이 적용되는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연동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 및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도 2에 도시된 연동 과정을 통해 영상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비디오 디바이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각각의 비디오 디바이스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의 통합관제 메인 서버의 DB에서 일괄 관리하며, 영상 채널의 할당 및 모니터링 권한, 이벤트의 처리 등으로 세분화하여 구성된 시스템이다.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다양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범죄 예방, 재난 감시, 시설물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감시 시스템으로서, 카메라, 전송 장치, 저장 장치, 재생 장치, 관제 솔루션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합 관제 시스템(110) 및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기능 수행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어떠한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도록 하며, 다만, 도 2에 도시된 단계는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의 기능을 연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도 2에 도시된 순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연동을 위한 사전 설정이 이루어진다(S200).
이러한 연동 사전 설정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에 실질적으로 영상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동 사전 설정 시, 통합 관제 시스템(110)을 구축한 지방장치단체, 기관 및 기업 사이에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등과 같이 영상 보안 시스템(130)과의 연동에 필요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에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접속 IP 주소), 포트 넘버, 인증 ID, 암호 정보, 암호화 키 정보, 공개 카메라 목록, 카메라의 PTZ 제어 권한 정보 등에 대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연동에 필요한 정보들을 DB 또는 파일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며, 인증 ID 및 암호 정보는 암호화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연동 사전 설정이 이루어지면, 실질적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에 영상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인증 절차를 통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S210).
이때, 인증 절차는 접속 IP 주소, 포트 넘버, 인증 ID 및 암호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며, 인증이 완료된 후에는 성능(Capability)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인증 절차는 인증 메시지(혹은, 제 1 메시지) 교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인증 메시지 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은 TCP/IP 기반의 소켓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연동하려는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접속 IP 주소와 포트 넘버를 이용하여 소켓을 생성한 후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인증 요청하고, 인증 요청에 대해서,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인증 응답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메시지는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이 연결된 후, 연동을 요청한 영상 보안 시스템(130)의 책임자에 대한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인증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도,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보안 강화를 위해, 메시지 전송 시마다 인증 ID와 암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인증이 완료된 후,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성능 확인을 위한 요청(성능 확인 요청)을 하고, 성능 확인 요청에 대해서, 통합 관리 시스템(110)은 성능 확인 응답을 수행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의 연동을 위해 필요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성능 확인 메시지(혹은, 제 2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공개 카메라 목록, 공개 카메라의 프로파일 정보, 저장 영상 목록 및 저장 영상의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개 카메라 목록, 공개 카메라의 프로파일 정보, 저장 영상 목록 및 저장 영상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한다(S220).
즉,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공개 카메라 목록, 공개 카메라의 프로파일 정보, 저장 영상 목록 및 저장 영상의 프로파일 정보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제공한다.
이때, 공개 카메라 목록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에서 관리하는 전체 카메라 중 영상 보안 시스템(130)에 공개하여 영상을 연계할 카메라 정보를 정의하는 것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공개 카메라 목록에 등록된 카메라의 영상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공개 카메라 목록 및 공개 카메라의 프로파일 정보 교환을 위해 공개 카메라 목록 및 프로파일 정보 메시지(혹은, 제 3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220에서는, 공개 카메라에 대한 부가 정보에 대한 교환이 더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공개 카메라에 대한 부가 정보는 공개 카메라의 설치 위치 정보, 공개 카메라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공개 카메라 부가 정보 교환을 위해 공개 카메라 부가 정보 메시지(혹은, 제 4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고, 실시간 영상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을 수신한다(S230).
즉,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실시간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실시간 영상 교환을 위해 실시간 영상 전송 정보 메시지(혹은, 제 5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영상의 연동을 위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별도의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 세션을 구성하고,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RTSP URL을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을 요청한다.
상기 단계 S230에서의 실시간 영상 요청 및 영상 제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30에서,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공개 카메라에 대한 PTZ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TZ 제어는 Pan(회전), Tilt(기울기), Zoom(확대/축소) 제어를 의미한다.
이때, 공개 카메라에 대한 PTZ 제어를 위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PTZ 제어 메시지(혹은, 제 6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시스템(110)에 의해 관리되며, 영상을 제공하는 공개 카메라에 대한 PTZ 제어를 위한 속도 값을 PTZ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거나, PTZ 제어 중단을 위한 값을 PTZ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이 저장하고 있는 영상을 요청하고, 저장 영상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저장 영상을 수신한다(S240).
즉,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저장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하고 있는 영상 중 영상 보안 시스템(130)에 의해 요청된 영상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제공한다.
이때,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저장 영상 요청 시에 구간 정보(재생 시작 시각 정보 및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포함)를 함께 전송하며,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구간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 저장 영상 교환을 위해 저장 영상 전송 정보 메시지(혹은, 제 7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저장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접속 정보를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후,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세션을 구성하고,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받는다.
상기 단계 S240에서의 저장 영상 요청 및 영상 제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연결 목적(ex, 영상 요청 및 제공)이 달성된 후,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연결은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연결 종료는 연결 종료 절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 종료 절차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이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연결 종료 요청을 하면, 통합 관제 시스템(110)이 연결 종료 응답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인증 과정 및 정보 요청/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연동하려는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연동 관리 서버(111)의 접속 IP 주소와 포트 넘버를 통한 TCP/IP 기반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한다(①).
여기서, 연동 관리 서버(111)는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사이의 연동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동 관리 서버(111)는 기능 수행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영상 보안 시스템(130)의 연결 요청에 따라,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의 연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여(S300),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S300-아니오), 연결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②), 승인이 이루어졌으면(S300-예), 연결 성공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한다(③).
그리고, 연결 요청에 대한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승인이 이루어지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인증 ID와 암호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을 한다(④).
영상 보안 시스템(130)의 인증 요청에 따라,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인증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여(S310),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S310-아니오), 인증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⑤), 승인이 이루어졌으면(S310-예), 인증 성공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한다(⑥).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의 인증 ID와 암호 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 ID와 암호 정보와 일치하면, 인증 성공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한다.
그리고,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보안을 위해, 인증 ID와 암호 정보를 일방향 해쉬 함수인 SHA-256을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실패가 이루어진 경우,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연결 요청부터 다시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인증 성공이 이루어진 경우,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 성능 확인 요청 및 정보 요청을 하고(⑦),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영상 보안 시스템(133)으로부터의 요청을 분석하고(S320), 그에 상응하여, 성능 확인 응답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한다(⑧).
한편, 인증 성공이 이루어진 후,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의 연결이 예외 상황으로 인해 끊긴 경우(⑨),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연결 요청부터 다시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과의 연동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연동 관리 서버(1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실시간 영상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에 연결 및 관리되는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기 위하여, 영상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공개 카메라의 접속 URL(ex, RTSP URL) 정보가 필요하다.
이에,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공개 카메라를 구분할 수 있는 카메라 정보(ex, 프로필 토큰(Profile Token) 정보)를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연동 관리 서버(111)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면, 연동 관리 서버(111)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여(S400), 영상 요청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S400-아니오), 영상 요청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 영상 요청 승인이 이루어졌으면(S400-예),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가 공개 카메라의 영상 수신을 위한 URL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동 관리 서버(111)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카메라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해당 공개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 요청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 카메라 정보가 유효한 경우(해당 공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가 공개 카메라의 URL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는 공개 카메라의 PTZ 제어 또는 영상 전송을 위한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중계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는 기능 수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공개 카메라에 대한 URL을 수신하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요청하고(ⓓ),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로부터 제공되는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을 수신한다.
즉,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113)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실시간 영상 전송을 요청받으면, URL에 대응하는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한편,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의 연결이 전원 차단, 네트워크 접속 불안 등의 예외 상황으로 인해 끊어진 경우(ⓕ),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기존에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전달받은 RTSP URL을 이용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실시간 영상을 재요청하고(ⓖ), 통합 관제 시스템(130)은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저장 영상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통합 관제 시스템(110)에 저장된 영사응ㄹ 전송받기 위하여, 접속 URL 정보가 필요하다.
이에,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제공받으려고 하는 저장 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영상 정보(ex, Recording Token 정보)와 함께 저장 영상의 구간 정보(재생 시작 시각 정보 및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포함)를 통합 관제 시스템(110)의 연동 관리 서버(111)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면, 연동 관리 서버(111)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의 영상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여(S500), 영상 요청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S500-아니오), 영상 요청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 영상 요청 승인이 이루어졌으면(S500-예),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가 저장 영상 수신을 위한 URL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연동 관리 서버(111)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해당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 요청 실패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통지하고(ⓙ), 영상 정보가 유효한 경우(해당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가 저장 영상 전송에 이용되는 URL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는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저장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는 기능 수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영상 전송에 이용되는 URL을 수신하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수신한 URL을 이용하여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로 저장 영상을 요청하고(ⓛ),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로부터 제공되는 저장 영상을 수신한다.
즉, 저장 영상 관리 서버(115)는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저장 영상 전송을 요청받으면,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의 저장 영상에 대한 구간 정보(재생 시작 시각 정보 및 재생 종료 시각 정보를 포함)를 참조하여,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부터 요청된 저장 영상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한편, 통합 관제 시스템(110)과 영상 보안 시스템(130) 간의 연결이 전원 차단, 네트워크 접속 불안 등의 예외 상황으로 인해 끊어진 경우(ⓝ), 영상 보안 시스템(130)은 기존에 통합 관제 시스템(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저장 영상 URL을 이용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130)에 접속하여, 저장 영상을 재요청하고(ⓞ), 통합 관제 시스템(110)은 요청된 저장 영상을 영상 보안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기능 혹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통합 관제 시스템
111 : 연동 관리 서버
113 :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서버
115 : 저장 영상 관리 서버
130 : 영상 보안 시스템

Claims (8)

  1. 통합 관제 시스템과 영상 보안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하여, 공개 카메라, 카메라의 PTZ 제어 권한 정보에 대한 교환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저장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영상 혹은 상기 저장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접속 IP 주소, 포트 넘버를 통한 TCP/IP 기반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연결 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연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연결 성공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인증 ID와 암호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인증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증 성공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증 성공 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성능 확인 요청을 하고,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성능 확인 응답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영상을 제공하는 공개 카메라에 대한 PTZ 제어를 위해 속도 값 혹은 제어 중단 값을 포함하는 PTZ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공개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를 구분할 수 있는 카메라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영상 요청 승인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공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송수신에 이용되는 제 1 URL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제 1 URL을 이용하여, 공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요청하는 것은,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저장 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영상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
    영상 요청 승인에 따라,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저장 영상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제 2 URL을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이 상기 제 2 URL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에 저장된 저장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 정보 중 제공받기를 원하는 구간 정보를 전송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으로 실시간 영상 혹은 저장 영상이 제공되던 중, 예외 상황으로 인하여 연결이 끊어진 경우, 상기 영상 보안 시스템은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영상을 재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KR1020160175289A 2016-12-21 2016-12-21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KR10187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289A KR101875921B1 (ko) 2016-12-21 2016-12-21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PCT/KR2017/000168 WO2018117325A1 (ko) 2016-12-21 2017-01-05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289A KR101875921B1 (ko) 2016-12-21 2016-12-21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084A KR20180072084A (ko) 2018-06-29
KR101875921B1 true KR101875921B1 (ko) 2018-07-06

Family

ID=6262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289A KR101875921B1 (ko) 2016-12-21 2016-12-21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5921B1 (ko)
WO (1) WO2018117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138B1 (ko) * 2020-03-06 2021-07-29 (주)위니텍 재난현장 통합지휘 및 운영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11278B1 (ko) * 2021-12-30 2022-06-22 주식회사 파일러 멀티-모달 비디오 캡셔닝 기반 영상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926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웨이브엠 환경 원격감시제어를 위한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6896B1 (ko) * 2015-08-21 2016-02-23 백청열 이종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단속을 수행하는 단속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234B1 (ko) * 2006-11-21 2007-09-27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관제 서비스 간 연동을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방법
KR101285650B1 (ko) * 2013-01-24 2013-07-12 (주)씨앤에스아이 이동통신망과 독립형 전원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926A (ko) * 2013-06-05 2014-12-15 주식회사 웨이브엠 환경 원격감시제어를 위한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6896B1 (ko) * 2015-08-21 2016-02-23 백청열 이종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단속을 수행하는 단속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재종 등, 통합관제센터와 외부 영상 보안 시스템 간의 연동을 위한 세부 절차 설계,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페이지 1860-1862, (2016.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325A1 (ko) 2018-06-28
KR20180072084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999B1 (ko) 네트워크 기반의 dvr 시스템에 있어서 dvr 서버 및모니터링 대상 단말 접근 제어 방법
JP6893281B2 (ja) メディアデータに関する処理方法、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記憶媒体
KR101320350B1 (ko) 보안관제서버 및 보안관제서버의 영상데이터 관리 방법
US80106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video and audio data to remote users
CN101420587B (zh) 网络视频采集装置、网络视频监控系统和方法
US10567708B2 (en) Surveillance server, method of processing data of surveillance server, and surveillance system
US8026804B2 (en) Residential security surveillance and notif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361088B1 (ko) 영상 공유 방법
US108540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s
CN102457716A (zh) 监视摄像机装置及监视摄像机装置的控制方法
KR101837188B1 (ko) 비디오 보호 시스템
KR20140118014A (ko) 클라이언트 인증 방법
KR101875921B1 (ko) 통합관제시스템과 영상보안시스템 간 연동 방법
KR102356474B1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원격통제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워크 지원시스템
US20130121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henticate User
JP2016184917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再生装置
WO2017088575A1 (zh) 基于加密机制的ipc服务实现方法及系统
KR101815467B1 (ko) 보안 에이전트를 이용한 보안 감시 강화 시스템
KR20170131785A (ko) 영상 보안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객체 마스킹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키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영상 보안 시스템
KR102069713B1 (ko)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3949848B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H10136247A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カメラ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22511664A (ja) ビデオデータ伝送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3813147B2 (ja) Mmsをベースとするシステムおよび交通違反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KR10224211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