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079B1 -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079B1
KR102237079B1 KR1020190148911A KR20190148911A KR102237079B1 KR 102237079 B1 KR102237079 B1 KR 102237079B1 KR 1020190148911 A KR1020190148911 A KR 1020190148911A KR 20190148911 A KR20190148911 A KR 20190148911A KR 102237079 B1 KR102237079 B1 KR 10223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all pad
photographing data
communication channe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중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9014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G06K9/003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는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Wall pad for providing function of data sharing and continuous monitoring based on 5G or LT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독사와 같이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해 단말기 간 연계가 필요 하거나, 네트워크 망 손실시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로 변경하는 등의 부가 기능들을 월패드를 통해 추가로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기존 월패드는 출입을 감시하는 기능만을 담당한다.
이러한 월패드는 유휴시간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하면서 별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월패드는 카메라, 마이크, 통신모듈 등의 다양한 부품들이 집약하여 구비하고 있고, 항상 전원이 인가돼 있다는 점에서 유휴시간에 아무 기능도 수행하지 않는 다는 것은 기기의 낭비일 수 있다.
또한, 월패드는 실내외에서 사람의 이동이나 출입이 빈번한 곳을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항상 돼 있고, 근래의 건축물에는 빠지지 않는 필수 제품이므로 그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946799호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6620호 "월패드의 영상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댁내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월패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월패드를 활용하여 고독사, 불법침입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을 촬영 또는 녹음해서 원격지의 월패드나 경찰서 등에 송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독사와 같이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한 단말기 간 연계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 손실 시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의 변경 또는 대체를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의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5G 모듈이 심어진 여러 대의 월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할 및 동시 전송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폰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 ID 별 화상 반상회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 및 성범죄자들에 대한 안면인식을 통한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는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과 상기 통신사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상기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감지부는,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상 감지부는,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공유 제어부는, 상기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는, 로비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공유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는,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대비되며, 대비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데이터의 인물과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에 대한 확률로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확률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지역 관공서 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는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원격지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 및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호화 하여 분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구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이용해서 상기 분배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부에서,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단계,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공유 제어부에서, 상기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과 상기 통신사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상기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부에서, 원격지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단계, 공유 제어부에서,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호화 하여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구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이용해서 상기 분배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월패드를 활용하여 고독사, 불법침입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을 촬영 또는 녹음해서 원격지의 월패드나 경찰서 등에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독사와 같이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한 단말기 간 연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손실시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의 변경 또는 대체를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5G 모듈이 심어진 여러 대의 월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할 및 동시 전송을 통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폰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 ID 별 화상 반상회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 및 성범죄자들에 대한 안면인식을 통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변경 또는 대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산하여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월패드들이 데이터를 분할하여 고객 단말기로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100)는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월패드(100)를 활용하여 고독사, 불법침입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을 촬영 또는 녹음해서 원격지의 월패드나 경찰서 등에 송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5G나 LET 모듈이 심어진 여러 대의 월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할 및 동시 전송을 통해 빠른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100)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 통신부(120), 공유 제어부(130),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는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장치를 이용해서 영상과 음성이 결합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는 로비폰을 제어하여 로비 주변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월패드에 내장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댁내의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140)는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채널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공유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100)는 이상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100)는 월패드 주변(댁내) 또는 로비폰의 주변(출입문)에서 발생하는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댁내의 노인이 쓰러지면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나, 범죄가 출입문 주변을 서성이는 상황에서 월패드(100)가 이상 상황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와 이상 감지부(150)를 별도의 모듈로 표현 하였지만, 이상 감지부(150)가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의 일부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 감지부(150)는,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촬영 데이터 생성부(110)는 로비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유 제어부(130)는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는,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대비되며, 대비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데이터의 인물과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에 대한 확률로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산출된 확률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지역 관공서 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변경 또는 대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201)의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설정된 통신 채널(202)과 통신사 서버(204)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202)의 일부가 물리적으로 파손되거나 단락되어 송수신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월패드(201)는 통신사(204)와의 채널에 장애가 발생 하였음을 인지하고, 사전에 설정된 다른 월패드(203)와 촬영 데이터를 공유하고, 다른 월패드(203)가 통신사(204)와 유지하는 채널을 활용하여 통신사(204)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의 사용자가 고독사가 의심되는 급박한 상황에서 네트워크망이 손실되었더라도, 이웃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통신사에게 고독사의 위험요소를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월패드의 이상 감지부는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감지부는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감지부는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산하여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의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의 공유 제어부는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로 공유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통신사는 용량이 큰 촬영 데이터에 대해서 빠른 속도로 사용자 단말기(303)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월패드(301)는 통신사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전달 받고, 사전에 설정된 월패드 그룹(302)에 촬영 데이터는 분배할 수 있다. 이때, 보안을 위해 해당 데이터들은 암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패드 그룹(302)은 한 건물 내, 한 단지내 등과 같은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월패드 그룹(302)에 속하는 월패드들은 월패드(301)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3)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303)는 제공 받은 촬영 데이터들을 복호화하고, 하나의 데이터로 머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고독사와 같이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한 단말기 간 연계가 가능하고, 네트워크 망 손실시 기존 구축된 네트워크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5G 모듈이 심어진 여러 대의 월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할 및 동시 전송을 통해 빠른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에서는 세대 방문자 동영상 등을 월패드 내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했으나, 5G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방문자 동영상을 확인할 시 월패드가 스마트폰으로 대용량의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월패드들이 데이터를 분할하여 고객 단말기로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월패드들(401, 402, 403, 404)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전송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현이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는 5G/LTE 분할 전송 방식을 활용한 방식이다. 각 월패드의 하루 전송 데이터량이 많지 않고, 특정 시간대에 유휴 월패드가 있다.
몇몇 세대들의 월패드를 그룹으로 묶어 각 세대에서 촬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각 세대에서는 분할된 동영상 데이터 하나만을 가지고 동영상으로 복원할 수 없게 함으로써, 촬영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세대의 동영상 데이터 요구 시에 그룹 내 월패드들이 저장하고 있는 분할된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 전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분할 전송 방식을 통해 동영상 전송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월패드(501)의 촬영 데이터 생성부는 로비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유 제어부는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중계 서버(502)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503)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원격지의 서버(503)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나, 통신사 서버, 관공서 서버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버(503)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는,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대비되며, 대비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데이터의 인물과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에 대한 확률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확률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지역 관공서 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6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600)는 대용량의 촬영 데이터도 사용자 단말기로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600)는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610), 원격지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620), 공유 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유 제어부(630)는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호화 하여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구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이용해서 분배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제어부(630)는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는 5G 모듈을 추가하여 보안성 강화된 로비폰과 연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비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은 월패드의 통신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상은 단지 보안업체 및 지역 관공서(경찰서, 소방서 등)에 실시간 제공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로비폰과 연동하는 월패드는 안면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범죄자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긴급상황 발생 시 비상버튼 또는 동작감지를 통하여 보안업체 및 관공서에 영상외 위치정보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는 5G 모듈을 추가하여 커뮤니티 기능 강화된 비디오 폰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단지 내 클라우스 서버를 사용하여 다대다 화상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디오폰을 허브로 사용하여 개별 핸드폰을 통해서도 동일한 기능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는 등록된 사용자 ID 에 대한 상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위험 상황 발생시 사용자 ID 에 대응하는 관공서(ex: 경찰서)로 위험상황이 알려지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디오폰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 ID 별 화상 반상회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 및 성 범죄자들에 대한 방법/안면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월패드(100)를 활용하여 고독사, 불법침입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해당 상황을 촬영 또는 녹음해서 원격지의 월패드나 경찰서 등에 송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5G나 LET 모듈이 심어진 여러 대의 월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할 및 동시 전송을 통해 빠른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먼저,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촬영 데이터 생성부를 이용해서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701).
또한,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통신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단계 702).
다음으로,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를 이용해서,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703).
예를 들면,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통신 채널과 통신사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신호의 세기, 단락 여부 등을 통해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공유 제어부를 이용해서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단계 704),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할 수 있다(단계 705).
채널의 장애와는 독립적으로,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촬영 데이터의 분석 결과 댁내 또는 출입문 주변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통신사 서버는 수집된 촬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데이터가 대용량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주변에 위치하는 여러 월패드를 통해 촬영 데이터를 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월패드는 통신사 서버로 촬영 데이터를 업로드 하기 위해 복수의 월패드와 촬영 데이터를 분배 및 공유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로 촬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aims (13)

  1.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공유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과 상기 통신사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상기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감지부는,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부는,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는,
    상기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공유 제어부는,
    상기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는,
    로비폰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공유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촬영 데이터는,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와 대비되며, 대비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데이터의 인물과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에 대한 확률로 산출되고, 상기 산출된 확률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지역 관공서 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8.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원격지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과 상기 원격지 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상기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 및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암호화 하여 분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구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에 설정된 통신 채널을 이용해서 상기 분배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원격지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공유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9.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시 모니터링에 따른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통신부에서,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원격지의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사 서버와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단계;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공유 제어부에서, 상기 통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를 통해 상기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다른 가구내의 월패드에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채널 모니터링부에서,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과 상기 통신사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과 평상시 상기 통신 채널에서의 송수신량을 대비하여 채널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촬영 데이터 내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되는 데이터 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와 상기 촬영 데이터를 분배하여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월패드를 이용해서 상기 통신사 서버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의 동작 방법.
KR1020190148911A 2019-11-19 2019-11-19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10223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11A KR102237079B1 (ko) 2019-11-19 2019-11-19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11A KR102237079B1 (ko) 2019-11-19 2019-11-19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079B1 true KR102237079B1 (ko) 2021-05-17

Family

ID=7615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11A KR102237079B1 (ko) 2019-11-19 2019-11-19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820A (ko) 2022-04-26 2023-11-02 한국정보인증주식회사 스마트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533A (ja) * 2006-01-31 2007-08-16 Aiphone Co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048949A (ko) * 2013-10-28 2015-05-08 (주)정직한기술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KR20160026620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경동원 월패드의 영상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댁내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7422A (ko) * 2015-04-27 2016-11-04 최성기 Cctv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6799B1 (ko) 2018-06-11 2019-02-11 주식회사 씨앤엘네트웍스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533A (ja) * 2006-01-31 2007-08-16 Aiphone Co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048949A (ko) * 2013-10-28 2015-05-08 (주)정직한기술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KR20160026620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경동원 월패드의 영상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댁내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7422A (ko) * 2015-04-27 2016-11-04 최성기 Cctv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6799B1 (ko) 2018-06-11 2019-02-11 주식회사 씨앤엘네트웍스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820A (ko) 2022-04-26 2023-11-02 한국정보인증주식회사 스마트홈 보안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333B2 (en) Video management system (VMS) with embedded push to talk (PTT) control
US7015806B2 (en) Distributed monitoring for a video security system
US20170039841A1 (e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91729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ive video data
JP7142698B2 (ja) 環境における事象をモニタ及び制御するための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に基づく統合デバイス
EP34340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oled local storage by surveillance cameras
US11310361B1 (en) Redundancy for back-end failure
KR101165422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1372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 video-data message transfer to personal devices
US20160006989A1 (en)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150018975A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857716B1 (ko) 망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108547B1 (ko) 지하철 역사에서 nvr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7079B1 (ko)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101640567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CN115914539A (zh) 音视频设备资源调度的方法及系统
CN104935892A (zh) 监控视频采集方法和系统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KR20210051641A (ko)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6870A (ko) 고정형 군집 단위 별 다중 네트워킹 경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84127B1 (ko) D.A.D 단방향 데이터 전송 물리적 망분리 방재통합배선반 시스템 및 방재통합배선반 및 방재통합배선반 운영 실내/외 방범용 감시카메라 및 방재통합배선반 운영 IP스피커 방송장치 및 COPYLEFT CRAWLING SERVER를 통한 newOPEN API DATA 생성방법
KR102245389B1 (ko)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US1179993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media
KR20020024193A (ko) 멀티미디어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종합관제방법 및 시스템
KR101460221B1 (ko)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