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949A -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949A
KR20150048949A KR1020130128395A KR20130128395A KR20150048949A KR 20150048949 A KR20150048949 A KR 20150048949A KR 1020130128395 A KR1020130128395 A KR 1020130128395A KR 20130128395 A KR20130128395 A KR 20130128395A KR 20150048949 A KR20150048949 A KR 2015004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phone
mobile terminal
image
wireless r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658B1 (ko
Inventor
이수우
Original Assignee
(주)정직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직한기술 filed Critical (주)정직한기술
Priority to KR102013012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58B1/ko
Priority to EP13896607.2A priority patent/EP3065337A4/en
Priority to PCT/KR2013/010112 priority patent/WO2015064812A1/ko
Priority to US15/032,944 priority patent/US20160269691A1/en
Priority to CN201380080575.2A priority patent/CN105874741A/zh
Priority to JP2016550434A priority patent/JP2016534687A/ja
Publication of KR2015004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RF 통신 방식으로 도어 개폐가 가능한 전자 도어록과, 촬영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통해 공유기로 전송하고 전자 도어록으로 도어 개폐를 위한 RF 신호를 송출하는 도어폰 장치와, 댁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폰 장치와 원격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공유기와, 상기 도어폰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 표시 및 원격 도어 개폐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무선 공유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도어 개방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무선 공유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없이 도어폰과 무선 공유기 간의 연결 설정만으로 도어폰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고 누구나 손쉽게 도어폰과 무선 공유기 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Door Monitoring System Using Door-Phone}
본 발명은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폰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무선 공유기를 통해 원격지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도어폰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에는 방문자가 도어폰의 벨을 누르면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가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실내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방문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도어를 선택적으로 열어줄 수 있도록 하는 도어폰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폰 시스템은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방문자의 방문여부는 물론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하고 도어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도어폰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54611호에서는 도어폰부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방문자영상을 압축한 후 CDMA 모뎀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실외에서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휴대폰에 구비된 특정 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도어에 설치된 전자자물쇠를 록킹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뎀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통신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방문자가 방문하여 초인종을 누르는 경우에만 방문자 영상을 전송하므로 상시 모니터링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7844호와 같이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폰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홈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54611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78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폰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무선 공유기를 통해 원격지로 실시간 스트리밍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 댁내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무선 공유기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도어폰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에 설치되고 제 2 무선통신 방식으로 도어 개폐가 가능한 전자 도어록 장치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더, 제 1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통신모듈,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제 2 무선통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 및 영상 촬영, 영상 전송 및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폰 장치와, 댁내에 설치되고 제 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폰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도어개방 신호를 상기 도어폰 장치로 전달하는 무선 공유기와, 상기 도어폰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원격 도어 개폐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상기 무선 공유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선 공유기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하고, 상기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도어 개방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무선 공유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없이 도어폰과 무선 공유기 간의 연결 설정만으로 도어폰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고 누구나 손쉽게 도어폰과 무선 공유기 간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폰 장치의 내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도어폰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도어폰 네트워크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은 도어폰 장치(1), 전자 도어록(2), 무선 공유기(3), 원격관리 서버(4) 및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폰 장치(1)는 주택의 도어 등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실내의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도어폰 장치(1)에 촬영된 영상을 원격지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과 도어개방을 위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하나의 특징으로서,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도어록(2)은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존 열쇠 대신 비밀 번호나 반도체 칩, 스마트 카드, 지문 등 디지털화한 정보를 열쇠로 활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비밀번호 또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RF 방식의 전자 도어록이 사용된다.
무선 공유기(3)는 하나의 IP 주소를 여러 대의 단말이 공유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할당된 IP 주소(공인 IP 주소)가 공유기에 설정한 후 그 공유기에 각 단말을 연결하면, 각각의 단말에 고유한 IP 주소가 자동 할당됨으로써 각 단말이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 공유기(3)는 단말기의 유선 연결 외에 WiFi 등을 통한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공유기(3)는 일종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하여 도어폰 장치(1)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의 원격관리 서버(4)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어폰 장치(1)와 무선 공유기(3) 간의 연결 설정이 필요한데 도어폰 장치(1)와 무선 공유기(3) 간을 손쉽게 연결하는 방법이 도 4와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원격관리 서버(4)는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공유기(3) 및 사용자 모바일 단말(5)과 연결되고, 무선 공유기(3)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하고,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부터 도어 개방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무선 공유기(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형 통신단말기로서 도어폰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도어개방을 위한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원격관리 서버(4)를 통해 도어폰 장치(1)로 전송하여 원격 도어 개폐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나, 모바일 단말 외에 PC나 노트북 등의 단말기 일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도어폰 장치의 내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폰 장치(1)는 도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더(20), 제 1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통신모듈(30), 도어 개방을 위한 제 2 무선통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40) 및 영상 촬영, 영상 전송 및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에 의한 영상 촬영은 촬영모드에 따라 촬영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모드는 방문자가 벨을 눌렀을 경우에만 촬영을 개시하는 벨연동 촬영모드와, 사용자가 외출을 설정하는 경우에만 촬영을 하는 외출 촬영모드와, 상시적으로 도어 외부를 감시하는 상시 촬영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인코더(20)는 카메라(1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MPEG, MPEG4, H.264와 같은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해 인코딩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처리 결과에 따라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블럭(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블럭은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되는 n번째 영상 데이터와 n-1번째 영상 데이터간의 변화량을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 블록(124)은 이미지 센서 모듈(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고, 이전 프레임과 현 프레임간의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변화량을 초과할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 방식은 WIFI, Zigbee, Z-wave 등 각종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IFI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 도어록(2)이 RF 방식의 전자 도어록인 것을 예시하였으므로 제 2 무선통신 방식은 RF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0)가 상시 촬영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모든 촬영 영상을 원격관리 서버(4) 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 전송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상시 촬영모드에서는 이벤트 발생시에만 영상이 원격관리 서버(4) 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50)는 카메라(10)가 상시 촬영모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인코더(20)를 통해 촬영 영상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구간의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 발생 구간 영상을 추출하여 무선 공유기(3)를 통해 원격관리 서버(4)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격관리 서버(4)는 수신된 이벤트 발생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 사실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컨트롤러(50)는 카메라가 상시 촬영모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촬영 영상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와 저장 요청 커맨드 데이터를 무선 공유기(3)를 통해 원격관리 서버(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관리 서버(4)는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구간 영상을 저장한 후, 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5)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 사실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는 이벤트 시작시점 정보와 이벤트 소멸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의 변형된 실시예는 촬영된 영상의 인코딩 처리 또는 영상의 무선 송신 등의 기능을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상의 도어폰 장치는 도어 외측에 설치되고 카메라, 벨,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외기와 실내의 벽에 설치되고 마이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내기(일명 월패드)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인코더, 제 1 무선통신모듈 및 컨트롤러를 실내기에 설치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13)는 실외기(1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인코딩한 후 무선 공유기(3)를 통해 원격관리 서버(4)로 전송하고, 무선 공유기(3)를 통해 도어 개방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실외기(11)로 전달하게 되며, 실외기(11)는 제 2 무선통신모듈(20)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도어 개방 제어신호를 전자 도어록(2)으로 송출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도 4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도어폰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폰 장치(1)는 무선 랜카드(Wireless LanCard)를 무선 AP(공유기)로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 AP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이더넷 모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Wi-Fi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무선랜 모드, 제 1 무선통신모듈(30)을 가상무선 공유기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소프트 AP 모드의 3가지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모듈(30)이 소프트 AP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도어폰 장치(1)의 SSID와 비밀번호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5)에서 도어폰 장치(1)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어폰 장치(1)의 SSID를 camera-xxx의 형태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xxx는 도어폰 장치(1)의 Wi-Fi MAC Address를 사용해서 생성할 수 있고, 비밀번호는 고정된 값을 사용하거나 SSID값을 조작해서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이 도어폰 장치(1)의 소프트 AP 모드에서 도어폰 장치(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5)에서 도어폰 장치(1)의 SSID와 비밀번호를 알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SSID 및 비밀번호 설정방식에 대한 규칙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5)에 미리 저장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도어폰 장치(1)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무선 공유기(3)에 접속한 이력이 있어 해당 무선 공유기(3)의 SSID 및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2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단말기이면 어떠한 통신 단말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도어폰 네트워크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5의 동작은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하는 신호처리 및 제어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이 무선 공유기(3)에 접속되어 있는 초기상태에서(S500),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이 주변 무선기기를 검색하여 주변에 도어폰 장치(1)가 있는지 검색한다(S510).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주변 무선기기들의 SSID를 분석하여 카메라와 관련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SSID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도어폰 장치(1)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의 주변에 도어폰 장치(1)가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무선 공유기(3)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도어폰 장치(1)에 접속한다(S520). 이를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폰 장치(1)는 초기모드가 소프트 AP모드이어야 하며, 사용자 모바일 단말(5)에는 도어폰 장치(1)의 SSID 및 비밀번호의 설정규칙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이 소프트 AP 기능을 통해 도어폰 장치(1)에 접속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도어폰 장치(1)의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게 된다(S530). 도어폰 장치(1)의 네트워크 설정은 크게 무선 공유기(3)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과정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모바일 단말(5)에는 무선 공유기(3)와의 기 접속을 통해 무선 공유기(3)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인 무선 공유기(3)의 SSID 및 비밀번호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도어폰 장치(1)에 전송하고, 인터넷 접속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스마트폰은 입력된 ID와 비밀번호를 도어폰 장치(1)로 전송하여 도어폰 장치(1)의 네트워크 설정정보에 상기 무선 공유기(3)의 SSID, 비밀번호, 인터넷 접속을 위한 ID와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IP 카메라의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도어폰 장치(1)의 동작모드를 소프트 AP 모드에서 무선랜 모드로 변경시킨다(S540).
도어폰 장치(1)의 동작모드가 무선랜 모드로 변경되면, 도어폰 장치(1)는 저장된 네트워크 설정값을 이용하여 무선 공유기(3)에 접속하여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5)은 도어폰 장치(1)의 동작모드의 변경으로 인해 도어폰 장치(1)와의 접속이 해제되므로, 이전의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공유기(3)에 재접속하게 된다(S5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도어폰 장치 2 : 전자 도어록
3 : 무선 공유기 4 : 원격관리 서버
5 : 사용자 모바일 단말 10 : 카메라
11 : 실외기 12 : 실내기
20 : 인코더 30 : 제 1 무선통신모듈
40 : 제 2 무선통신모듈 50 : 컨트롤러

Claims (7)

  1. 도어에 설치되고 제 2 무선통신 방식으로 도어 개폐가 가능한 전자 도어록 장치;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는 인코더, 제 1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통신모듈, 상기 도어 개방을 위한 제 2 무선통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통신모듈; 및 영상 촬영, 영상 전송 및 도어 개방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도어폰 장치;
    댁내에 설치되고 제 1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폰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도어개방 신호를 상기 도어폰 장치로 전달하는 무선 공유기;
    상기 도어폰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원격 도어 개폐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무선 공유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선 공유기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하고, 상기사용자 모바일 단말로부터 도어 개방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무선 공유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장치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 제 1 무선통신모듈 및 컨트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은 WIFI, Zigbee, Z-wave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무선통신 방식은 RF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가 상시 촬영모드이고 상기 인코더를 통해 촬영 영상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구간의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벤트 발생 구간 영상을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 상기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관리 서버는 수신된 이벤트 발생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가 상시 촬영모드이고 상기 인코더를 통해 촬영 영상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와 저장 요청 커맨드 데이터를 상기 무선 공유기를 통해 상기 원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관리 서버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구간 영상을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WiFi 모듈이고,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소프트 AP 기능을 통해 상기 도어폰 장치와 무선 공유기 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은 무선랜 기능을 통해 무선 공유기에 접속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기기들의 SSID를 검색하여 상기 도어폰 장치가 검색되면 무선 공유기와의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폰 장치에 접속하고, 기 설정되어 있는 상기 무선 공유기의 SSID와 비밀번호를 상기 도어폰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폰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도어폰 장치의 동작모드를 소프트 AP모드로부터 무선랜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도어 감시 시스템.
KR1020130128395A 2013-10-28 2013-10-28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KR101583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95A KR101583658B1 (ko) 2013-10-28 2013-10-28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EP13896607.2A EP3065337A4 (en) 2013-10-28 2013-11-08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PCT/KR2013/010112 WO2015064812A1 (ko) 2013-10-28 2013-11-08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US15/032,944 US20160269691A1 (en) 2013-10-28 2013-11-08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CN201380080575.2A CN105874741A (zh) 2013-10-28 2013-11-08 利用门禁电话的门禁监控系统
JP2016550434A JP2016534687A (ja) 2013-10-28 2013-11-08 ドアフォンを用いたドア監視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95A KR101583658B1 (ko) 2013-10-28 2013-10-28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949A true KR20150048949A (ko) 2015-05-08
KR101583658B1 KR101583658B1 (ko) 2016-01-11

Family

ID=5300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395A KR101583658B1 (ko) 2013-10-28 2013-10-28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69691A1 (ko)
EP (1) EP3065337A4 (ko)
JP (1) JP2016534687A (ko)
KR (1) KR101583658B1 (ko)
CN (1) CN105874741A (ko)
WO (1) WO201506481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43B1 (ko) 2015-10-27 2016-09-05 에스지에이임베디드 주식회사 도어 거치형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700523B1 (ko) * 2015-08-05 2017-02-13 이철의 감시장치
KR102237079B1 (ko) * 2019-11-19 2021-05-17 주식회사 코맥스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20210063638A (ko) * 2019-11-25 2021-06-02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월리더 및 월리더를 이용한 호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015B1 (ko) *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0420B2 (ja) * 2015-09-28 2017-10-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アホンシステム、ドアホン親機、および通信方法
KR101939377B1 (ko) * 2017-05-04 2019-01-16 송민규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폰 시스템
CN107370593A (zh) * 2017-06-08 2017-11-21 科翔软通信息技术南通有限公司 一种基于门禁系统的实名社交方法
CN107682664A (zh) * 2017-09-13 2018-02-09 安徽光华安防电子有限公司 一种模拟楼宇对讲主机图像存储系统
US10510235B2 (en) * 2017-10-17 2019-12-17 Wistron Neweb Corporation Time-reversal indo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7956402B (zh) * 2017-11-03 2023-08-22 傅峰峰 一种传感式智能开门系统及方法
US20190139343A1 (en) * 2017-11-06 2019-05-09 Wfe Technology Corp. Electronic lock system, electronic lock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electronic lock device
KR101923709B1 (ko) 2017-11-30 2018-11-29 주식회사 모두앤모두 페이저 케이스
CN111543043B (zh) * 2017-12-28 2021-08-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显示控制方法、信息处理服务器以及显示终端
KR102485368B1 (ko) 2018-01-15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7077052B2 (ja) * 2018-02-15 2022-05-30 アイホン株式会社 ドアベル
JP7137312B2 (ja) * 2018-02-15 2022-09-14 アイホン株式会社 ドアベル
CN111713092A (zh) * 2018-02-15 2020-09-25 爱峰株式会社 Wi-Fi门铃的设定方法、门铃、集合住宅通信系统以及气象信息提供系统
JP7060977B2 (ja) * 2018-02-15 2022-04-27 アイホン株式会社 ドアベル
JP2019140655A (ja) * 2018-02-15 2019-08-22 アイホン株式会社 ドアベル
US10827043B2 (en) * 2018-04-04 2020-11-03 Hall Labs Llc Normaliz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T201900007617A1 (it) * 2019-05-30 2020-11-30 Massimiliano Masini Sistema di comunicazione e controllo a distanza migliorato
RU194556U1 (ru) * 2019-06-25 2019-12-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фанет" Устройство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омофоном через глобальную сеть Интернет
GB2599717A (en) * 2020-10-09 2022-04-13 Jsw Pacific Corp Portal security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ort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611A (ko) 2003-12-05 2005-06-10 이기원 휴대폰으로의 영상전송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도어폰 시스템
KR20060097844A (ko)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네트워크 기반의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방문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64637A (ko)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지트론 도어락 시스템
KR20130024668A (ko) * 2011-08-31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 무선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94A (ja) * 2000-05-15 2001-11-22 Sunshine:Kk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454907B2 (ja) * 2002-03-27 2010-04-21 アイホン株式会社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100576797B1 (ko) * 2004-04-14 2006-05-10 배주운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N101840591B (zh) * 2010-04-13 2011-12-28 北京联合大学 一种门禁系统及其门口机和接收机
KR101009167B1 (ko) * 2010-08-30 2011-01-18 구을회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된 출입문 지문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50903B2 (en) * 2010-11-15 2013-10-08 Bally Gam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bonus gaming using a mobile device
GB2485413A (en) * 2010-11-15 2012-05-16 Christos Savva Communication device for requesting access to premises
KR101266937B1 (ko) * 2011-09-08 2013-05-28 조승래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KR101233608B1 (ko) * 2011-11-10 2013-02-14 조희문 도어 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611A (ko) 2003-12-05 2005-06-10 이기원 휴대폰으로의 영상전송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도어폰 시스템
KR20060097844A (ko) 2005-03-0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네트워크 기반의 도어폰을 이용한 원격 방문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64637A (ko)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지트론 도어락 시스템
KR20130024668A (ko) * 2011-08-31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 무선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523B1 (ko) * 2015-08-05 2017-02-13 이철의 감시장치
KR101653743B1 (ko) 2015-10-27 2016-09-05 에스지에이임베디드 주식회사 도어 거치형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237079B1 (ko) * 2019-11-19 2021-05-17 주식회사 코맥스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20210063638A (ko) * 2019-11-25 2021-06-02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월리더 및 월리더를 이용한 호텔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015B1 (ko) * 2021-09-29 2022-10-04 정재준 Cctv 보안기능을 갖는 유무선 도어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812A1 (ko) 2015-05-07
CN105874741A (zh) 2016-08-17
US20160269691A1 (en) 2016-09-15
EP3065337A4 (en) 2017-08-23
EP3065337A1 (en) 2016-09-07
KR101583658B1 (ko) 2016-01-11
JP2016534687A (ja)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TWI544778B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TWI545920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20150319407A1 (en) Intercom system utilizing wi-fi
CN101656874A (zh) 一种远程视频监控方法
US20130215903A1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WM449319U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US10531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visioning of an imaging system
KR100301675B1 (ko) 감시 카메라 단말장치의 보안 시스템
JP2004040272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392126B1 (ko)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EP3160107B1 (en) Intercom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2003178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카메라 제어 시스템
KR20210125368A (ko)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889600B1 (ko) 홈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카메라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556B1 (ko)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0660576B1 (ko) 홈 영상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9431A (ko) 홈 오토메이션 및 온/오프라인 통합형 보안 게이트웨이시스템
JP2004173290A (ja) 画像データ圧縮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圧縮装置
KR20140058906A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KR20100069763A (ko) 네트워크 카메라 감시 시스템
KR200362050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KR10098411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