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89B1 -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89B1
KR101178889B1 KR1020120065095A KR20120065095A KR101178889B1 KR 101178889 B1 KR101178889 B1 KR 101178889B1 KR 1020120065095 A KR1020120065095 A KR 1020120065095A KR 20120065095 A KR20120065095 A KR 20120065095A KR 101178889 B1 KR101178889 B1 KR 10117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nitoring
setting
wireless
hots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재
이규상
임인건
Original Assignee
(주)유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디피 filed Critical (주)유디피
Priority to KR102012006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초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시장치의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 무선 AP 연결용 정보, 기능설정정보 셋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감시장치를 경량화시킬 수 있고, 감시환경에 관계없이 배선이 용이하며, 감시환경의 변화에 대해 적응도를 높인 것이고,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없이 감시장치를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도록 핫스팟 AP 단말을 이용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감시장치에 송수신하여 저장한 후 이후 동작시 저장된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무선 AP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인터페이스 노출이나 복잡한 설정과정 없이도 누구나 용이하게 감시장치를 셋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A system for initialization of monitoring device equipped with wireless LAN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랜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초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시장치의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 무선 AP 연결용 정보, 기능설정정보 셋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감시장치를 경량화시킬 수 있고, 감시환경에 관계없이 배선이 용이하며, 감시환경의 변화에 대해 적응도를 높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안이나 범죄예방의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면서 빌딩, 백화점, 할인점, 우범지대 등에 감시카메라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이용 중이다.
종래의 감시시스템은 CCTV(Closed Circuit TV)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CCTV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감시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모니터)을 통해 출력하는 방식이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제한되며 원격감시가 쉽지 않다.
최근 감시시스템은 DVR(Digital Video Recorder)을 통해 영상을 저장하고 움직임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DVR(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은 여러 대의 감시용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압축 처리함으로써, 감시 영상에 대한 장시간 녹화, 신속한 검색, 선명한 재생 등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영상 감시 시스템이다.
이러한 DVR 시스템은 복수 개의 카메라와 DVR 및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DVR로 전송된다. 이러한 DVR 시스템은 대단위 집합 주택 또는 박물관이나 은행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 및 녹화하거나 화면에 실시간으로 해당 영상을 출력 및 감시함으로써, 불시의 침입자를 발견하거나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상기 DVR 방식은 각 감시카메라에서 화면까지 유선으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유선 설비로 인하여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았음은 물론 유선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 감시카메라에서 모니터로 영상을 송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표시하는 NVR(Network Video Recorder)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VR(1)은 영상감시를 위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P카메라(2)로부터 감시지역의 영상을 관제서버(3)에 전송, 저장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상보안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NVR(1)은 DVR과 달리, 인터넷 망을 이용해 유연한 영상보안감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의 확장성, 구축비용 절감 및 유연한 원격 모니터링 등에 그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IP카메라(2)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셋업 설정이 필요한데, 상기 셋업 설정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에 따른 기기의 중량, 크기,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셋업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아이들의 육아를 원격에서 볼 수 있도록 가정에 카메라를 설치하며, 개인 보안의식 강화와 집을 비우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정에도 감시카메라를 설치함에 따라 감시카메라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카메라의 경우도 추가 IP 포트를 통해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에 유선 연결한 후 셋업하는 경우는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가 천장 구석인 만큼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더하여 텔넷이나 웹서버 접속을 통해 무선으로 셋업하는 경우는 설치전문가 이외에 조작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일반인이 초기 설치 후 설정을 수행하거나 AP 교체시 재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영상 감시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보안 장비의 발달이 활발해지고 있고, 그에 따라 설치되는 카메라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카메라 수가 늘어나고 해당 보안 장비의 활용도가 넓어지면서 개인 프라이버시가 필요한 장소에도 카메라의 설치가 늘고 있는 만큼 전문가의 도움없이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설치 및 셋업할 수 있으면서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한 감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757887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없이 감시장치를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도록 핫스팟 AP 단말을 이용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감시장치에 송수신하여 저장한 후 이후 동작시 저장된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무선 AP에 접속하도록 한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감시장치의 셋업 설정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없이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는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에 있어서, 설정 및 감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와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정부는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상기 설정부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상기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해상도, 프레임크기, 프레임속도, 데이터속도, 비트전송률, 전송대역, 압축률, 압축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감시 영역에 대한 영상, 오디오, 센서를 통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정보로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핫스팟 AP 단말은 핫스팟 설정 기능을 구비한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은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를 셋업하기 위한 셋업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및 감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와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및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핫스팟 설정부,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받거나 검색하여 상기 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무선 AP 정보제공부를 구비하는 핫스팟 AP 단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핫스팟 AP 단말은 상기 감시장치가 무선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상기 감시장치를 인증하는 감시장치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시장치의 설정부는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셋업 방법은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셋업 방법에 있어서, 핫스팟 AP 단말이 상기 감시장치에 기 저장된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용 핫스팟으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감시장치가 기 저장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핫스팟 AP 단말을 자동으로 검색 및 접속하는 단계; 상기 감시장치가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장치가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한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핫스팟 AP 단말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 받거나 검색하여 상기 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장치의 수집 기능을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상기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는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에 있어서,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감시 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랜 통신부;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상기 기능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설정된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감시정보를 유선랜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없이 감시장치를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도록 핫스팟 AP 단말을 이용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감시장치에 송수신하여 저장한 후 이후 동작시 저장된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무선 AP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인터페이스 노출이나 복잡한 설정과정 없이도 누구나 용이하게 감시장치를 셋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감시장치의 셋업 설정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없이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하여 복잡한 감시장치 설정 절차를 간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감시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 셋업 방법의 제 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 셋업 방법의 제 2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 및 결합 관계는 당업자의 요구 및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최근, 영상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감시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 감시시스템은 다수의 카메라를 폐쇄회로(closed circuit)에 설치하고 일정한 장소에 감시 카메라의 수만큼 설치된 각각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감시하거나, 또는 영상 분배기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상에 표시하여 감시하였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방식은 MPEG-4 또는 JPEG 기반의 기술을 적용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모니터에서 각 감시 카메라까지 유선으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유선 설비로 인하여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았음은 물론 유선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각 감시 카메라에서 관리서버로 영상을 송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표시하는 IP카메라가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카메라로서, 원격으로 영상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IP카메라는 원격에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은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 등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된 후 관리서버에서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만약, 영상을 감시하다가 침입자가 발생하거나 기타 경보상황이 발생하면 관할 경찰서에 통보하고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 PC(Personal Computer)를 통해 원격 감시를 요청하면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의 원격 PC로 실시간 전송한다.
하지만, 종래의 IP카메라는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사용자가 IP카메라를 셋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우선 IP카메라를 무선 AP(Access Point)에 접속시켜야 하는데, 이때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IP카메라는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하였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기의 중량 및 크기가 증가하여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선 A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추가 IP 포트를 통해 관리장치에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카메라의 설치 위치가 대부분 천정 구석인 만큼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사용자는 AP 연결용 정보를 카메라에 셋업 설정하기 위해서 텔넷이나 인터넷 셋업 페이지에 접속한 후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은 비밀번호 입력, 연결 방식 설정 등 다수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없이 일반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체계적이고 간단한 셋업시스템을 통해 감시장치의 셋업을 용이하면서 통합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200)는 무선 AP(300)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400)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200)로서, 설정 및 감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210),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와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230),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220) 및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230)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100)을 검색 및 접속하고,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230)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230)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300)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정보수집부(220)의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400)에 제공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감시장치(200)에는 별도의 외부 노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상기 설정부(230)는 상기 감시정보수집부(220)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감시정보수집부(220)는 상기 설정부(230)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가변시킨다.
상기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는 승인되지 않은 접속을 방지하면서 기설정된 감시장치만 적절히 설정된 핫스팟 AP에 접속시키기 위해 핫스팟 AP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는 감시장치에 후속 연결될 무선 AP의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 또는 상기 무선 AP(30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해상도, 프레임크기, 프레임속도, 데이터속도, 비트전송률, 전송대역, 압축률, 압축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감시장치(200)는 기 설정된 통신방식을 통해 연동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감시대상 지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감시영역을 촬영하고, 이를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IP카메라 일 수 있으나, IP카메라 이외에 감시 영역에 대한 영상, 오디오, 센서를 통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시정보로 수집하는 기기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AP(Access Point)는 유선, 무선,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고, 네트워크의 기간 회선과 중계회선을 접속하고 있는 장치에 설치된 노드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은 상기 AP 중 무선 A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AP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상기 무선 AP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400)는 상기 무선 AP(300)를 통해 상기 감시장치(200)의 감시영상을 제공받는 태블릿 PC, 노트북, PDA, 휴대폰, PC, 관제센터 등의 외부서버나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은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핫스팟 설정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 또는 검색하여 상기 감시장치(200)에 전송하는 무선 AP 정보제공부(122)를 구비하며, 핫스팟 AP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120)은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상기 감시장치(200)를 인증하는 감시장치인증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은 핫스팟 설정 기능을 구비한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핫스팟 AP 단말(100)은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감시장치 셋업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핫스팟 AP 단말 내부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SP510)를 거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방식(마켓, 링크연결, 주소 입력 등)을 통해 상기 핫스팟 AP 단말에 다운로드 받거나 유선 연결을 통해 파일 전송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의 휴대용 핫스팟 설정을 온(ON) 시켜(SP520) 상기 핫스팟 AP 단말이 휴대용 핫스팟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SP530)한다.
이때, 상기 핫스팟 AP 정보는 상기 감시장치가 기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시장치에 기 저장된 핫스팟 AP 비밀번호를 근거로 핫스팟 AP 단말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시장치를 온(ON) 시키면(SP540) 상기 감시장치(200)는 핫스팟 AP 단말을 자동으로 검색(SP550) 한 후 수신되는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미리 해당 감시장치의 핫스팟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상기 핫스팟 AP 단말에 접속(SP560)한다. 상기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는 승인되지 않은 접속을 방지하면서 기설정된 감시장치만 핫스팟 AP에 접속시키기 위해 핫스팟 AP 비밀번호를 포함하며, 이는 감시장치에 미리 포함되어 있다.
이후,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핫스팟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인증정보를 송수신(SP570) 한 후 상기 핫스팟 AP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감시장치를 인증(SP580)한다. 이 과정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생략될 수 있다.
감시장치의 인증이 끝나면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상기 감시장치가 이후 사용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SP61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핫스팟 AP 단말의 내부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색하여 생성하며,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는 감시장치에 연결될 무선 AP의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핫스팟 AP 단말에서 감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P620)를 거친다. 이후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에서 새롭게 전송된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부에 저장(SP630)하며, 이후 동작 시 설정부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무선 AP에 접속하여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를 네트워크에 제공(SP640)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셋업이 한번 이루어지면 이후 동작시 상기 감시장치가 상기 핫스팟 AP 단말과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설정부에 기 저장된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통해 상기 감시장치 단독으로 선호하는 무선 AP에 자동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는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기 설정된 무선 AP가 아닌 다른 무선 AP에 접속을 위해서는 상기 감시장치가 기 설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핫스팟 AP 단말으로부터 새로운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수신받고 갱신하여야 한다. 이는 초기화나 신규 AP 설정을 알리는 스위치 등의 입력을 통해 핫스팟 AP 단말 접속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 셋업 방법의 제 1 예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 셋업 방법의 제 2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핫스팟 AP 단말의 내부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제조사서버, 관리서버 등 외부서버에 요청 신호를 전송(SP710)하면 상기 외부서버는 요청된 감시장치에 대응하는 기능설정정보를 생성 또는 선택(SP720)하고, 이는 정보요청 및 승인된 핫스팟 AP 단말에 전송(SP730)된다.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핫스팟 AP 단말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기능설정정보의 갱신이 없을 때에는 상기한 과정(SP710, SP720, SP730) 없이 상기 핫스팟 AP 단말의 내부에 기 저장된 기능설정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핫스팟 AP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기능설정정보를 상기 감시장치에 전달(SP740)하면 상기 감시장치는 이를 설정부에 저장하여 감시정보수집 기능을 가변(SP750)한다. 이는 즉시 반영되거나 상기 감시장치를 리셋하는 경우 반영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감시장치가 직접 외부서버에 접속하여 전송받을 수 있는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시장치가 외부서버(제조사서버, 관리서버 등)에 기능설정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SP810)한 후 상기 외부서버는 상기 기능설정정보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기능설정정보를 생성 또는 선택(SP820)한다.
상기 생성 또는 선택된 기능설정정보는 요청한 감시장치에 전송(SP830)되며, 상기 감시장치는 전송된 기능설정정보를 설정부에 저장한 후, 이후 동작시 상기 설정부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가변(SP840)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는 추가 유선연결 인터페이스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유선 네트워크 지원기능을 더 부가할 경우 감시정보 제공 경로는 유무선을 동시 지원 가능할 수 있어 범용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핫스팟 AP 단말(100)에 접속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감시장치의 셋업, 기능설정 등을 핫스팟 AP 단말(100)을 통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유선연결을 통해 복잡한 설정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종래의 감시장치와 다르게 일반인이 쉽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무선 AP 연결 없이 유선 네트워크 연결만 이용하는 경우라면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했던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 중에서 감시장치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P610, SP620, SP630, SP640)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선 네트워크 연결 시 유선 공유기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 대신 유선 공유기 접속 정보(주소 등)를 제공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핫스팟 AP 단말 110 : 핫스팟 설정부
120 : 어플리케이션 121 : 감시장치인증부
122 : 무선 AP 정보제공부 200 : 감시장치
210 : 무선랜 통신부 220 : 감시정보수집부
230 : 설정부 240 : 제어부
300 : 무선 AP 400 : 네트워크

Claims (15)

  1.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에 있어서,
    설정 및 감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와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상기 설정부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상기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해상도, 프레임크기, 프레임속도, 데이터속도, 비트전송률, 전송대역, 압축률, 압축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는
    감시 영역에 대한 영상, 오디오, 센서를 통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 AP 단말은
    핫스팟 설정 기능을 구비한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8.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를 셋업하기 위한 셋업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 및 감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와 무선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및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핫스팟 설정부,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받거나 검색하여 상기 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무선 AP 정보제공부를 구비하는 핫스팟 AP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 AP 단말은
    상기 감시장치가 무선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상기 감시장치를 인증하는 감시장치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설정부는
    상기 감시정보수집부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11. 무선 AP를 통해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의 셋업 방법에 있어서,
    핫스팟 AP 단말이 상기 감시장치에 기 저장된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근거하여 휴대용 핫스팟으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감시장치가 기 저장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핫스팟 AP 단말을 자동으로 검색 및 접속하는 단계;
    상기 감시장치가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후속 연결될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장치가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수신한 무선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AP에 접속하여 감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 AP 단말 내부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AP 연결용 정보를 입력 받거나 검색하여 상기 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의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감시장치의 수집 기능을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기능설정정보는 상기 핫스팟 AP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핫스팟 AP 단말 또는 상기 무선 AP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방법.
  15. 감시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에 있어서,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부;
    감시 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랜 통신부;
    감시정보 수집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정보와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설정부;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시정보수집부;
    기 설정된 초기화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에 따라 상기 고정된 핫스팟 AP 연결용 정보로 설정된 핫스팟 AP 단말을 검색 및 접속하고, 상기 핫스팟 AP 단말을 통해 상기 기능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며, 이후 동작 시 상기 설정부의 기능설정정보에 따라 설정된 상기 감시정보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감시정보를 유선랜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KR1020120065095A 2012-06-18 2012-06-18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95A KR101178889B1 (ko) 2012-06-18 2012-06-18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95A KR101178889B1 (ko) 2012-06-18 2012-06-18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889B1 true KR101178889B1 (ko) 2012-09-03

Family

ID=4707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095A KR101178889B1 (ko) 2012-06-18 2012-06-18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21A (ko) * 2016-08-22 2018-03-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영상 전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21A (ko) * 2016-08-22 2018-03-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영상 전송 방법
KR102451468B1 (ko) * 2016-08-22 2022-10-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영상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TWI260882B (en) Digital network video recorder and the monitor system thereof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101849365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21437B1 (ko)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Rao et al. Surveillance camera using IOT and Raspberry Pi
JP2017524284A (ja) 動画像出力可能な監視カメラ及びその監視カメラを含む動画像送受信システム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101904050B1 (ko) 프록시 a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2004040272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70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모바일 서버 장치와, 이를 적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원격 감시 방법
KR20180089039A (ko) Ip 카메라와 nvr이 구비되는 보안 시스템
KR20060102922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홈 영상데이터 서비스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025170B1 (ko) Iptv와 연동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5240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80365B1 (ko)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전자기기 원격 제어방법,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제어서버, 카메라 및 그 원격제어 지원방법
KR20210125368A (ko)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660576B1 (ko) 홈 영상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268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서버
JP2004173290A (ja) 画像データ圧縮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圧縮装置
KR101344062B1 (ko) 인터넷 및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ip 카메라 접속 시스템 및 방법
JP7422654B2 (ja) 防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