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368A -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368A
KR20210125368A KR1020200042994A KR20200042994A KR20210125368A KR 20210125368 A KR20210125368 A KR 20210125368A KR 1020200042994 A KR1020200042994 A KR 1020200042994A KR 20200042994 A KR20200042994 A KR 20200042994A KR 20210125368 A KR20210125368 A KR 20210125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nection device
cctv
terminal connection
io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박준호
정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4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5368A/ko
Publication of KR2021012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IoT 단말 연결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관제 서버로부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등록 응답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의 설정 항목들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입력된다.

Description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IoT DEVICE}
본 발명은 IoT 단말을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스마트홈이 현실에서 등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 세탁기, 로봇 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의 다양한 가전 제품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집 밖에서도 이러한 기기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거나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다양한 용도로 가정용 CCTV를 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카메라를 설치하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먼 곳에서도 현재 촬영 중인 장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비디오 감시 시스템(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VSaaS)이라 한다.
이때, 사용자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로부터 인증된 CCTV를 구매하여 설치 및 연결할 수도 있으나, 사설 사업자에 의해 생산된 범용 CCTV를 구매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공하는 보안 시스템에 범용 CCTV를 등록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편리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이미 IoT 단말 또는 공유기가 사용되는 경우, CCTV만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번거롭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등록된 IoT 단말들을 관리하는 관제 시스템에 사업자가 생산하지 않은 단말을 추가로 등록하고 해당 단말의 정보와 IoT 단말들의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댁내 설치된 IoT 단말들의 게이트웨이 기능 및 CCTV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여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결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관제 서버로부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등록 응답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의 설정 항목들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입력된다.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영상 스트림 중 특정 구간의 영상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영상 스트림 중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구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항목들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화질, 상기 카메라의 방향 또는 상기 카메라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의 프로파일을 IoT 단말 연결 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를 등록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에 포함된 설정 항목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이외에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연결되어 등록된 장치들의 설정 항목들을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요청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스트림을 요청하고 상기 영상 스트림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알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카메라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 IP 카메라 또는 범용 CCTV를 관제 시스템에 손쉽게 등록하고, 이미 등록된 IoT 단말들과 함께 하나의 관제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 공유기 그리고 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하나의 단말에서 통합하여 제공하므로, 사업자 입장에서 각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단말들을 유지, 보수 및 운용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결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로서, 디바이스(Device),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모바일 단말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업자 규격에 따른 IoT 단말과 사업자가 생산하지 않은 IoT 단말을 구별하지 않고, 관제 서버(300)가 제공하는 하나의 관제 시스템에서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관제 시스템(10)은 댁내에 새로 설치되는 단말(100), 기존에 댁내에 설치된 IoT 단말들과 연결되어 있고, 새롭게 단말(100)과 연결되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부터 영상 또는 이벤트 정보들을 수신하는 관제 서버(300), IoT 단말들과 댁내에 설치된 단말(100)을 관제 서버(300)를 통해 함께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400)을 포함한다.
이미 댁내에 설치된 단말들은 관제 서버(300)에 의해 모바일 단말(400)에서 관리 또는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댁내에 추가로 설치하려는 단말(100)의 정보도 이미 설치된 단말들과 통합하여 하나의 관제 시스템(10)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단말(100)은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새롭게 연결되거나 접속되는 단말을 의미하며, IP 카메라 또는 CCTV일 수 있다. 단말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종류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CCTV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관제 서버(300)에 등록된 하나의 사용자 식별자에 이미 복수 개의 단말들이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 식별자에 복수 개의 CCTV, 복수 개의 IoT 단말들이 매핑되어 등록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자신의 식별자에 등록된 단말들을 모두 관리할 수 있다. 추가로 설치되는 단말(100) 또한 관리할 수 있다.
단말(100)이 CCTV인 경우, CCTV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관제 영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스트림을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 전송한다. CCTV와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무선 통신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CCTV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규격을 만족하는 CCTV이거나 또는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 표준 기반의 범용 CCTV일 수 있다. ONVIF란 CCTV 제어에 사용되는 국제 보안 표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한편 CCTV는 IP 카메라로서, 2개 이상의 영상 스트림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영상 분석(Video Analytics, VA)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CCTV에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림은 CCTV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CCTV 프로파일 정보는 각 CCTV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정보와 저장 정책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저장 정책은 저장 용량, 저장 스케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CCTV 프로파일 정보를 로컬 모니터 또는 모바일 단말(400)의 화면에 제공되는 GUI를 통해서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별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10, 15, 30fps(Frames Per Second)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CCTV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CCTV 프로파일 항목은 CCTV 생산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CTV가 PTZ 카메라인 경우, CCTV 프로파일 항목은 CCTV가 촬영하는 방향, 각도 및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300)는 CCTV 프로파일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각 CCTV의 저장 정책을 수정하거나, IoT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영상과 정합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댁내에 이미 설치된 IoT 단말은 설치된 스마트 가스락,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조명, 콘센트 등을 의미하고,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라 이벤트 발생을 탐지할 수 있다. IoT 단말에서 감지된 이벤트 정보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전달된다. 이벤트 정보의 예로서, 창문 깨짐, 침입, 배회, 가스 누수 등이 있을 수 있다.
IoT 단말은 IoT 단말 연결 장치(200)와 WiFi, 블루투스 저전력 프로토콜(Bluetooth Low Energy, BLE) 또는 Z-Wave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연결될 수 있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댁내에 이미 설치된 IoT 단말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추가로 설치되는 단말(100)과 연결된다. 또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300)와 연결된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와 관제 서버(300)는 유무선 인터넷, WiFi 등을 포함한 각종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드웨어 상에서,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단말(1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포트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허브를 사용하거나 또는 공유기 연결을 확장하여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제공되는 물리 포트를 초과하는 개수의 CCTV와 연결될 수 있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CCTV 영상을 저장하고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연결된 IoT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통합하는 IoT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IoT 단말 연결 장치(200)의 역할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관제 서버(30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영상과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400)로 영상과 이벤트 정보 분석을 포함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부터 미리 지정된 IoT 단말 이벤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IoT 단말 연결 장치(200)와 연결된 단말(100)의 이벤트 정보 또는 CCTV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은 관제 서버(3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CCTV 영상 및 IoT 단말 이벤트 정보를 요청받아 관제 서버(300)로 제공하며, 관제 서버(300)로부터 영상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모바일 단말(400)은 이미 등록된 단말들의 목록에 새로 설치된 단말(100)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IoT 단말 관리부(210), 무선랜 관리부(220), CCTV 영상 관리부(230), CCTV 영상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IoT 단말 관리부(210), 무선랜 관리부(220), CCTV 영상 관리부(230), CCTV 영상 출력부(240)로 명명하여 부르나,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서, IoT 단말 관리부(210), 무선랜 관리부(220), CCTV 영상 관리부(230), CCTV 영상 출력부(24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컴퓨팅 장치에 분산 구현된 경우, IoT 단말 관리부(210), 무선랜 관리부(220), CCTV 영상 관리부(230), CCTV 영상 출력부(24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서버,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IoT 단말 관리부(210)는 접속된 IoT 단말들로부터 이벤트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IoT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IoT 게이트웨이의 역할은 이미 공지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oT 단말 관리부(210)는 접속된 IoT 단말의 인증을 위해, 관제 서버(300) 간 양방향 키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무선랜 관리부(22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가 유선 공유기 기능 및 무선 Wifi AP로 작동하도록 한다. 유무선 공유기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 방법은 공지된 내용에 따른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연결된 CCTV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여 가공하고, 내장된 저장장치(미도시) 또는 관제 서버(300)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CCTV로부터 복수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고, 각 스트림을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해, CCTV로부터 ONVIF 기반의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범용 CCTV 또는 등록된 CCTV로부터 제공받는 영상 스트림의 전송 방법은 어느 하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CCTV들에 대해, CCTV별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으로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연결되는 CCTV들에 DHCP 사설 IP를 할당하고, CCTV별로 포트 포워딩을 제공할 수 있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CCTV 영상 관리부(230)는 CCTV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스트림을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 암호화 표준(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기반의 실시간 전송 보안 프로토콜(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SRTP)을 이용할 수 있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CCTV에서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 또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지능형 영상 분석(Video Analytic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생활 보호를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제외한 영상 스트림만을 저장, 전송할 수 있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CCTV별로 서로 다른 영상 저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시 저장, 이벤트 저장, 스케줄 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시 저장 모드는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영상 스트림을 전부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벤트 저장은 CCTV 또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구간의 이벤트 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이고, 스케줄 저장은 미리 설정된 시간의 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영상 스트림을 복수 개의 영상으로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요약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CCTV 영상 관리부(23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내장된 저장장치(미도시)에 영상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방법은 공지된 NVR(Network Video Recorder)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제한되지 않는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영상 스트림을 특정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 영상 스트림이 저장되는 해상도 및 색상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저장된 영상을 백업하고, 암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백업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수신한 영상 스트림 자체 또는 추출한 이벤트 정보를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우선순위가 보장된 IP를 별도로 할당받고, 해당 IP를 통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시 저장, 이벤트 저장, 스케줄 저장으로 구분되어 저장된 영상의 각 전송 속도 및 전송 프로토콜은 관제 서버(3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CCTV별 이벤트 영상을 요청하면, CCTV 영상 관리부(230)는 이벤트 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전후 구간을 포함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 전 10초, 발생 후 10초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시 저장된 영상, 이벤트 영상, 요약 영상은 실시간 HLS(Http Live 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400)에서 배속 재생 등 일반 VOD 영상 서비스에 준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CCTV 영상 출력부(24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로컬 모니터(미도시)로, 수신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로컬 모니터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CCTV 영상 출력부(240)는 CCTV로부터 화질이 서로 다른 영상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영상을 디코딩하여 로컬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스트림은 FHD(Full High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또는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 급의 화질일 수 있고, CCTV 영상 출력부(240)는 수신한 영상 스트림 중 가장 좋은 화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CCTV 영상 출력부(240)는 수신한 영상 스트림을 로컬 모니터 화면 전체로 제공하거나, 화면을 분할한 일부 영역에서 제공할 수 있다. 로컬 모니터의 화면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는 현재 시간, 카메라 영상 검색, 저장 여부 확인, 선택, 재생 기능 등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IoT 단말 연결 장치(200)에 복수 개의 CCTV가 연결된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CCTV별 영상이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은 로컬 모니터에 출력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CCTV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CCTV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설치할 수 있다. 즉 CCTV 영상 관리부(230)와 CCTV 영상 출력부(240)의 동작 방법은 관제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CCTV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가로 설치한 단말(100)이 범용 CCTV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IoT 단말 연결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범용 CCTV와 IoT 단말 연결 장치(200)가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전원이 인가되면, DHCP 클라이언트 동작을 통해 관제 서버(300)로부터 공인 IP를 획득한다.
관제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사용자 식별자로 접속되면, 사용자로부터 범용 CCTV의 식별자 및 MAC 주소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101).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300)가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에 가입되어 등록된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자를 입력한다. 이후 사용자는 새로 등록하려는 단말(100)인 범용 CCTV의 식별자와 MAC 주소를 모바일 단말(400)에 입력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 범용 CCTV의 프로파일을 요청한다(S102). CCTV 프로파일은 CCTV의 식별자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목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300)는 IoT 단말 연결 장치(200)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이와 매핑되어 저장된 단말(100)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목록에 해당 CCTV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연결된 범용 CCTV의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103, S104). 프로파일의 항목은 범용 CCTV 생산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수신한 CCTV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S105, S106).
관제 서버(300)는 수신한 CCTV 프로파일에 포함된 정보로 CCTV를 관제 서버(300)에 등록한다(S107). 관제 서버는 S101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에 해당 CCTV를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400)을 통해 이미 등록된 IoT 단말들과 함께 CCTV를 관리할 수 있다.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범용 CCTV와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준비를 진행한다(S108). 구체적으로, 저장된 범용 CCTV의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범용 CCTV의 영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실시간 스트리밍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을 사용하기 위한 연결을 진행한다.
준비가 완료되면,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CCTV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저장한다(S109, S110). 이때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연결된 외부 모니터로 저장하는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CCTV별로 설정된 영상 저장 모드에 따라 영상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각 CCTV의 영상 저장 모드는 관제 서버(300)가 모바일 단말(400)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400)로부터 등록된 CCTV의 영상을 요청받고, IoT 단말 연결 장치(200)로 영상을 요청한다(S111, S112).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저장된 영상을 암호화하여 관제 서버(300)에 제공한다(S113).
한편 IoT 단말 연결 장치(2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 정보를 영상과 함께 관제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IoT 단말 관리부(210), 무선랜 관리부(220), CCTV 영상 관리부(230), CCTV 영상 출력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500)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컴퓨팅 장치(5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스토리지(530), 통신 인터페이스(540)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510)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메모리(52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5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52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5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4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용 IP 카메라 또는 범용 CCTV를 관제 시스템에 손쉽게 등록하고, 이미 등록된 IoT 단말들과 함께 하나의 관제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 공유기 그리고 카메라 영상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하나의 단말에서 통합하여 제공하므로, 사업자 입장에서 각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단말들을 유지, 보수 및 운용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IoT 단말 연결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관제 서버로부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등록 응답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의 설정 항목들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영상 스트림 중 특정 구간의 영상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영상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영상 스트림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영상 스트림 중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구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의 영상을 저장하는, 동작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설정 항목들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의 화질, 상기 카메라의 방향 또는 상기 카메라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관제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특정 카메라 식별자를 포함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식별자를 갖는 카메라의 프로파일을 IoT 단말 연결 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카메라를 등록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로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에 포함된 설정 항목들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이외에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연결되어 등록된 장치들의 설정 항목들을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동작 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요청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스트림을 요청하고 상기 영상 스트림을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알람을 제공받는, 동작 방법.
  9. 제5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 프로파일을 기초로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IoT 단말 연결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카메라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200042994A 2020-04-08 2020-04-08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KR20210125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94A KR20210125368A (ko) 2020-04-08 2020-04-08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94A KR20210125368A (ko) 2020-04-08 2020-04-08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68A true KR20210125368A (ko) 2021-10-18

Family

ID=7827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994A KR20210125368A (ko) 2020-04-08 2020-04-08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53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86B1 (ko) * 2022-12-26 2023-09-12 (주)제이앤시스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786B1 (ko) * 2022-12-26 2023-09-12 (주)제이앤시스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5665B (zh) 配网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611568B2 (en)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05861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device
US10992784B2 (en)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CN104869612A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US8949593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N110891299A (zh) 配网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006989A1 (en)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CN106612416A (zh) 一种基于流媒体集中监控管理系统
CN112352438B (zh) 家长控制监视系统及方法
CN113875259A (zh) 用于安全视频帧管理的技术
KR20210125368A (ko)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392126B1 (ko)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20190007656A1 (en) Sending network camera video streams to active screens
KR20140146429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cctv 영상 획득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1940A (ko) 사물 인터넷 단말의 통신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11004319B2 (en) Security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11811845B2 (en)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916928B2 (en)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240163293A1 (en)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KR101624458B1 (ko)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장치, 제공 시스템,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프로그램과 기록매체
KR101511195B1 (ko) 방범방재 및 방송 융복합 시스템
KR101340299B1 (ko)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