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299B1 -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299B1
KR101340299B1 KR1020120039928A KR20120039928A KR101340299B1 KR 101340299 B1 KR101340299 B1 KR 101340299B1 KR 1020120039928 A KR1020120039928 A KR 1020120039928A KR 20120039928 A KR20120039928 A KR 20120039928A KR 101340299 B1 KR101340299 B1 KR 10134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nformation
video surveillance
unit
surveillanc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443A (ko
Inventor
이상훈
이해준
차은철
박진희
임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12003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4Adaptation or special uses of UDP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NAT 장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거나,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Network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picture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영상 획득 장치(DVR, NVR, IP 카메라 등)의 설치는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전문 설치 업자나 보안 담당자들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원격 영상 감시(CMS, VMS 등)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안에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근래 들어 영상 획득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일반 가정집이나 소규모 점포 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원격 영상 감시는 다양한 네트워크(3G, Wi-Fi 등)에 속해 있는 다양한 기기(Smart Phone, Tablet PC 등)에서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획득 장치와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을 가지는데, 대부분의 경우 영상 획득 장치와 영상 감시 장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장치 후단에 설치된다. 도 1 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영상 획득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 3, 4와 같이 공용 IP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영상 획득 장치 1, 2와 같이 NAT 장치 1, 2 후단에 연결된다.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NAT 장치 후단에 연결되는 영상 획득 장치들인데, 예컨대, NAT 장치 1의 후단에 연결된 영상 감시 장치 1이 영상 획득 장치 1에 접속하려면 내부 IP를 이용해서 접속해야 하고, 영상 감시 장치 2, 3이 영상 획득 장치 1에 접속하려면 NAT 장치 1의 외부 IP를 이용해서 접속해야 한다.
이 때, 외부 접속을 위해서 NAT 장치 1이 영상 획득 장치 1에서 사용하는 포트(Port)들을 수동으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하거나 UPnP, NAT PMP 등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포트 포워딩시켜 놓아야 영상 감시 장치 2, 3이 영상 획득 장치 1에 접속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NAT 장치 내부에서 접속하는 주소와 외부에서 접속하는 주소가 다르다. 물론, NAT 장치가 헤어-핀(Hair-pin) 기능을 지원하면 NAT 장치 외부 주소로 접속이 가능하지만, 헤어-핀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NAT 장치도 많다.
한편,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NAT 장치에 접속해서 수동으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수동으로 포트 포워딩을 해야하는데, 수동으로 포트 포워딩하기에는 쉽지않다.
또한, 모든 NAT 장치가 UPnP를 지원하지는 않고, 지원하더라도 UPnP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표준 프로토콜이 아니기 때문에, NAT 장치 제조사에 따라 기능 구현 방식이 다르다.
한편, NAT PMP는 표준으로 제안되어 있는 프로토콜이라 기능 구현에는 문제가 없지만, NAT PMP를 지원하는 장비는 UPnP를 지원하는 장비보다 훨씬 적다. 그리고, 하나의 NAT 장치 밑에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가 있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포트(Port) 번호도 변경하여야 하고, UPnP를 지원하더라도 포트 충돌 체크와 등록 개수 제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장치 2와 같이 방화벽(Firewall)이 있는 경우, 영상 감시 장치 2 이외의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 2에 접속할 수 없다. 물론, 방화벽에 예외를 적용하면 되지만, 이를 허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0642935호(2006. 10. 31)에서 제안한 통신망을 통하여 네임 등록 요청이 있으면 수신되는 네임 및 네임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고, 네임 호출 요청이 있으면 등록된 네임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복잡한 설정없이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42935호(2006. 10. 31)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복잡한 설정없이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감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을 파악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와; 각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획득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특정 영상 감시 장치가 특정 영상 획득 장치 접속시, 실시간 획득되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영상 감시 장치로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NAT 장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거나,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TCP 내부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TCP 외부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UDP 홀 펀칭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릴레이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100)은 공용 I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복잡한 설정없이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을 관리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감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을 파악한다. 예컨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가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을 이용해 각 영상 감시 장치 및 각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을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은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을 이용해 네트워크 유형을 파악하게 된다. 네트워크 유형은 영상 감시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 간에 UDP Hole Punching 통신이 가능한 "Open Internet" 유형, "Full cone NAT" 유형, "Port Restricted cone NAT" 유형, "IP Restricted cone NAT" 유형과 UDP Hole Punching 통신이 불가능한 "UDP Blocked" 유형, "Symmetric Firewall" 유형, "Symmetric NAT" 유형으로 분류된다.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각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획득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특정 영상 감시 장치가 특정 영상 획득 장치 접속시, 실시간 획득되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영상 감시 장치로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영상 감시 장치 및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 IP 주소(IP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방법이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Relay) 접속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은 추후 설명한다.
한편, 접속 정보는 IP 주소(IP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순서는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Relay) 접속이 시도되는 순차일 수 있다.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는 이를 이용해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NAT 장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거나,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100)이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을 관리하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릴레이(Relay) 접속을 수행하는 릴레이 접속부(140)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는 수신된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에 따라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한다.
이 때, 수신된 영상 감시 장치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에 따라,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을 순차적으로 시도하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접속을 동시에 시도하게 되며,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를 통해서는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이 수행되고,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를 통해서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관리가 수행되고, 릴레이 접속부(140)를 통해서는 릴레이(Relay) 접속이 수행된다.
한편,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의한 UDP 홀 펀칭 접속 동작을 알아보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에 의해 영상 획득 장치가 등록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영상 획득 장치에 전달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접속한다.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영상 감시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로 질의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영상 감시 장치로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영상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UDP 홀 정보를 요청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획득하고,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획득된 자신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 시작을 요청한다.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는 영상 감시 장치에 영상 획득 장치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UDP 홀 펀칭 시작을 요청한다. 그러면,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는 서로의 UDP 홀 정보를 가지고, UDP 홀 펀칭을 시작한다.
한편, 릴레이 접속부(140)에 의한 릴레이 접속 동작을 알아보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에 의해 영상 획득 장치가 등록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영상 획득 장치에 전달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접속한다.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영상 감시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로 질의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영상 감시 장치로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에 접속하여 릴레이 접속을 요청한다. 그러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로 릴레이 접속부(14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고, 릴레이 접속 시작 요청을 요청한다.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릴레이 접속부(140)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릴레이 접속부(140)에 접속하여 릴레이 접속을 시작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가 사용자 입력부(121)와,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122)와, 정보 등록부(123)와, 정보 검색부(124)와,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와,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을 입력받는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121)가 게이트웨어 서비스부(120)의 대표 IP 주소 또는 도메인(Domain) 주소를 더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21)가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또는/및 게이트웨어 서비스부(120)의 대표 IP 주소 또는 도메인(Domain) 주소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또는/및 게이트웨어 서비스부(120)의 대표 IP 주소 또는 도메인(Domain) 주소를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122)는 사용자 입력부(121)에 의해 입력된 이름에 대응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는 실시간 획득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한다.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 맥 주소(MAC Address), IP 주소(IP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는 미리 설정된 정보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이고, 게이트웨어 서비스부(120)의 대표 IP 주소 또는 도메인(Domain) 주소를 알고 있다면,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122)는 사용자 입력부(121)에 의해 입력된 이름에 대응하는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 수 있다.
정보 등록부(123)는 사용자 입력부(121)에 의해 입력된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정보와 매칭하여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122)에 의해 획득된 해당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110)에 의해 파악되는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이 때,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 IP 주소(IP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방법이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Relay) 접속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접속 정보는 IP 주소(IP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순서는 TCP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Relay) 접속이 시도되는 순차일 수 있다.
정보 검색부(124)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가 특정 영상 획득 장치 접속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정보에 매칭된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검색한다.
예컨대, 특정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는 정보 등록부(123)에 의해 등록된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을 이용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로 질의하고, 특정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로부터의 질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정보에 매칭된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검색한다.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는 정보 검색부(124)에 의해 검색된 해당 특정 영상 감시 장치 및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분석해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결정한다.
예컨대,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의 외부 주소가 같은 경우, 접속 방법으로 TCP 내부 접속, UDP 홀 펀칭(Hole Punching), 릴레이(Relay) 접속을 결정하고, 접속 정보로 영상 획득 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결정하고, 접속 순서로 TCP 내부 접속 -> UDP 홀 펀칭(Hole Punching) -> 릴레이(Relay) 접속 순으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의 외부 주소가 같은 경우는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가 NAT 장치 후단에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거의 대부분 TCP 내부 접속이 가능하다. 그래서, TCP 내부 접속을 먼저 시도하고, UDP 홀 펀칭(Hole Punching), 릴레이(Relay) 접속 순서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결정한다.
한편,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가 서로 UDP 홀 펀칭이 가능한 네트워크 유형일 경우, 접속 방법으로 TCP 외부 접속, UDP 홀 펀칭 (Hole Punching), 릴레이(Relay) 접속을 결정하고, 접속 정보로 영상 획득 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결정하고, 접속 순서로 TCP 외부 접속 -> UDP 홀 펀칭(Hole Punching) -> 릴레이(Relay) 접속 순으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UPnP나 NAT PMP 등의 성공 여부는 영상 감시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에게 알려줄 수 있지만, 수동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의 유무나 올바른 설정이 되었는지는 알려주거나 알 수 없기 때문에, TCP 외부 접속은 언제나 시도해 보아야 하므로, TCP 외부 접속을 먼저 시도하고, UDP 홀 펀칭(Hole Punching), 릴레이(Relay) 접속 순서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결정한다.
이 외의 경우,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가 접속 방법으로 TCP 외부 접속, 릴레이(Relay) 접속을 결정하고, 접속 정보로 영상 획득 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결정하고, 접속 순서로 TCP 외부 접속 -> 릴레이(Relay) 접속 순으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126)는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125)에 의해 결정된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122)에 의해 실시간 획득되는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로 전송한다. 그러면,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126)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는 이를 이용해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NAT 장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거나,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가 접속 관리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관리부(127)는 UDP 홀 펀칭 접속을 관리하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를 관리하고, 릴레이 접속을 수행하는 릴레이 접속부(140)를 관리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126)를 통해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가 접속 순서에 따라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을 순차적으로 시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 중 적어도 2개를 동시에 시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대부분의 접속 시도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가 서로 UDP 홀 펀칭이 가능한 네트워크 유형일 경우일 텐데, 이 경우 TCP 외부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에 실패하는 것을 확인한 뒤, UDP 홀 펀칭 접속을 시도하여 접속에 성공하면 실제 접속에 성공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감시 장치가 TCP 외부 접속과 UDP 홀 펀칭 접속을 동시에 시도하고, 먼저 접속되는 방법을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의 외부 주소가 같은 경우, TCP 내부 접속이 성공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TCP 내부 접속과 UDP 홀 펀칭 접속을 동시에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릴레이 접속의 경우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다른 접속 방법과 동시 접속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영상 획득 장치의 경우 네트워크 유형이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환경이 아닌 일반적인 영상 감시 장치도 네트워크 유형은 거의 바뀌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영상 감시 장치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접속 정보와 접속 방법을 저장하도록 구현하고,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접속정보, 접속 방법, 접속 순서와 비교하여 접속 순서를 재조정하여 접속을 시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의 외부 주소가 변경되지 않았는가(제1조건),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이 변경되지 않았는가(제2조건), 접속 순서가 변경되지 않았는가(제3조건)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접속되었던 정보를 접속 순서의 처음으로 변경하여 접속을 시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가 서로 UDP 홀 펀칭이 가능한 네트워크 유형이고, 위의 제1조건, 제2조건, 제3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영상 감시 장치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접속 방법이 UDP 홀 펀칭 접속이었다면, 접속 순서를 UDP 홀 펀칭 -> TCP 외부 접속 -> 릴레이 접속 순으로 바꾸고, UDP 홀 펀칭 접속만 먼저 시도하도록 하여 TCP 외부 접속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모바일 환경에서 동작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경우 네트워크 환경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접속 방법을 저장하거나 접속 순서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접속된 접속 방법이 릴레이 접속인 경우에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방법을 저장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가 암호화 처리부(128)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암호화 처리부(128)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및 릴레이 접속부(140)로 공개키(Public Key)를 배포하고, 영상 획득 장치와 영상 감시 장치로 제공되는 접속 관련 정보를 개인키(Private Key)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이 때, 공개키는 암호화 처리부(128)에 의해 주기적으로 생성되어 재배포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공개키가 주기적으로 생성되어 재배포되면, 기존의 공개키와 신규 공개키를 일정 시간 같이 유지시켜서 순간적인 접속 실패를 방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기존 공개키를 유지시켜주는 시간은 영상 획득 장치의 정보 업데이트 주기를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와, 릴레이 접속부(140)를 통해 접속 관리되므로,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와, 릴레이 접속부(140)는 접속한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가 TCP 접속, UDP 홀 펀칭 접속, 릴레이 접속을 총괄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를 통해 접속된 올바른 장치인지를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게이트웨이 서비스부(120)는 암호화 처리부(128)를 통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및 릴레이 접속부(140)로 개인키와 키쌍을 이루는 공개키를 배포한다. 암호화 처리부(128)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및 릴레이 접속부(14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영상 감시 장치, 영상 획득 장치,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130) 및 릴레이 접속부(14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개인키로 복호화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TCP 내부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이 등록(610)된 상태에서, 영상 감시 장치가 등록된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을 이용해 질의(620)하면, 접속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영상 감시 장치로 제공(630)하고, 영상 감시 장치는 TCP 내부 접속을 시도(640)하여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TCP 외부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이 등록(710)된 상태에서, 영상 감시 장치가 등록된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을 이용해 질의(720)하면, 접속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영상 감시 장치로 제공(730)하고, 영상 감시 장치는 TCP 외부 접속을 시도(740)하여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UDP 홀 펀칭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속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비스부에 의해 영상 획득 장치가 등록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영상 획득 장치에 전달(810)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에 접속(820)한다.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영상 감시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로 질의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는 영상 감시 장치로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830)한다.
영상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획득(840)한다. 그리고,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UDP 홀 정보를 요청(850)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접속하여 자신의 UDP 홀 정보를 획득(860)하고,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에 획득된 자신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 시작을 요청(870)한다.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는 영상 감시 장치에 영상 획득 장치의 UDP 홀 정보를 전달하고, UDP 홀 펀칭 시작을 요청(880)한다. 그러면,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는 서로의 UDP 홀 정보를 가지고, UDP 홀 펀칭을 시작(890)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의 릴레이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게이트웨이 서비스부에 의해 영상 획득 장치가 등록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영상 획득 장치에 전달(910)한다.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에 접속(920)한다. 영상 획득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영상 감시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로 질의하면,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는 영상 감시 장치로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930)한다.
영상 감시 장치는 영상 획득 장치가 접속한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에 접속하여 릴레이 접속을 요청(940)한다. 그러면,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로 릴레이 접속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고, 릴레이 접속 시작 요청(950)을 한다.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는 수신한 릴레이 접속부 접속을 위한 정보를 이용해 릴레이 접속부에 접속하여 릴레이 접속을 시작(960)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NAT 장치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거나,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획득 장치에 간편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접속 관리 시스템 110 :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
120 : 게이트웨이 서비스부 121 : 사용자 입력부
122 :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 123 : 정보 등록부
124 : 정보 검색부 125 :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
126 :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 127 : 접속 관리부
128 : 암호화 처리부 130 :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
140 : 릴레이 접속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감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을 파악하는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와;
    각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획득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특정 영상 감시 장치가 특정 영상 획득 장치 접속시, 실시간 획득되는 특정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영상 감시 장치로 접속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부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을 관리하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릴레이(Relay) 접속을 수행하는 릴레이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 관련 정보가: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접속 방법이: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Hole Punching)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영상 감시 장치 또는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이름에 대응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는 실시간 획득하고,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와;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정보와 매칭하여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해당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파악부에 의해 파악되는 해당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와;
    특정 영상 감시 장치가 특정 영상 획득 장치 접속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이름 정보에 매칭된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와;
    정보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해당 특정 영상 획득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와, 네트워크 유형 정보를 분석해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결정하는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와;
    접속 관련 정보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접속 방법, 접속 정보 및 접속 순서를 네트워크 주소 획득부에 의해 실시간 획득되는 영상 감시 장치의 네트워크 주소로 전송하는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UDP 홀 펀칭 접속을 관리하는 UDP 홀 펀칭 접속관리부를 관리하고, 릴레이 접속을 수행하는 릴레이 접속부를 관리하는 접속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비스부가:
    UDP 홀 펀칭 접속 관리부 및 릴레이 접속부로 공개키를 배포하고, 영상 획득 장치 및 영상 감시 장치로 제공되는 접속 관련 정보를 개인키로 암호화 하여 전송하는 암호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가:
    접속 순서에 따라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을 순차적으로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접속 관련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접속 관련 정보를 수신한 영상 감시 장치가:
    영상 감시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간에 TCP 내부 접속 또는 TCP 외부 접속 또는 UDP 홀 펀칭 접속 또는 릴레이 접속 중 적어도 2개를 동시에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영상 감시 장치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접속 정보와 접속 방법을 저장하고, 게이트웨이 서비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접속정보, 접속 방법, 접속 순서와 비교하여 접속 순서를 재조정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KR1020120039928A 2012-04-17 2012-04-17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KR10134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28A KR101340299B1 (ko) 2012-04-17 2012-04-17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28A KR101340299B1 (ko) 2012-04-17 2012-04-17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43A KR20130117443A (ko) 2013-10-28
KR101340299B1 true KR101340299B1 (ko) 2013-12-11

Family

ID=4963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28A KR101340299B1 (ko) 2012-04-17 2012-04-17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2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97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97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443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73771B2 (en) Electronic device, personal cloud apparatus, personal cloud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US20070162748A1 (en) Apparatus for Encrypted Communication on Network
US20150288667A1 (en) Apparatus for sharing a session key between devices and method thereof
US9112810B2 (en) Device discovery service
KR102010488B1 (ko) 안전한 사물 인터넷 단말 원격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ip 주소 할당 방법
CN106664228B (zh) 在cpe和配套设备之间进行共享
US11283816B2 (en) Hierarchical scanning of internet connected assets
CN103430506B (zh) 网络通信系统和方法
US8949593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10862862B2 (en) Identifying devices on a remote network
CN106612416A (zh) 一种基于流媒体集中监控管理系统
JP2005020112A (ja) ネットワーク設定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設定方法
CN111314693A (zh) 隐藏式摄像装置检测方法、装置、酒店管理系统及设备
US960896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o-location based community of interest
KR102200432B1 (ko) 상호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18252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o-location based community of interest
KR101340299B1 (ko) 영상 감시 장치의 접속 관리 시스템
US20190007656A1 (en) Sending network camera video streams to active screens
US2016018265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o-location based community of interest
KR101402590B1 (ko) 영상 감시 장치 접속 관리 시스템의 부하 분산 장치 및 방법
KR20210125368A (ko) IoT 단말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337111B1 (ko) 원격 영상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60157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ccess to access devices
JP2021013094A (ja) Ip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3060672A (ja) 画像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