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56B1 -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56B1
KR100738556B1 KR1020050006506A KR20050006506A KR100738556B1 KR 100738556 B1 KR100738556 B1 KR 100738556B1 KR 1020050006506 A KR1020050006506 A KR 1020050006506A KR 20050006506 A KR20050006506 A KR 20050006506A KR 100738556 B1 KR100738556 B1 KR 10073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home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718A (ko
Inventor
이인홍
Original Assignee
(주)엘스윈
이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스윈, 이인홍 filed Critical (주)엘스윈
Priority to KR102005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콘과; 상기 영상기기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및 전원의 인가상태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전원제어기와; 웹을 통해 접속한 외부의 원격제어기에 의한 명령에 따라 상기 리모콘 및 전원제어기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상기 전원제어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인가상태를 웹상에 제공하는 홈게이트웨이(홈서버)와;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면서 사용자의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한 상기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의 접속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짐으로써 감시·보안기능이나 영상시청기능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영상기기, 홈 네트워킹, 홈게이트웨이

Description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FOR CONTROL OF VIDEO DEVICE}
도 1a 는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b 는 종래의 홈 서버 타입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c 는 종래의 웹 카메라 타입의 홈 시큐리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원격제어기 220 : 인터넷망
230 : 관리서버 240 : 홈게이트웨이(홈서버)
250 : 통신망 260 ; 적외선 송신기
270 : 전원제어기 280 : 홈 네트워킹 기기(영상기기)
281 : CCD 카메라 282 : 텔레비젼
283 : DVD 플레이어 284 : 도어폰
285 : 비디오폰 310 : 다중화부
320 : 신호처리부 321 : 비디오 디코더
322 : 비디오 코덱 323 : 오디오 코덱
330 : 제어부 340 : 제 1 인터페이스부
350 : 제 2 인터페이스부 360 : 메모리
370 : 스위치부 380 : 앰프
390 : 스피커 400 : 마이크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으로 영상기기를 제어하거나 영상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란 가정내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을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 텔레비전 등과 같은 영상용 전자기기(이하, '영상기기'라 함)가 연결된 종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살펴보면, 도 1a 에 도시된 형태의 홈 오토메이션 타입과, 도 1b 에 도시된 형태의 홈 서버 타입과, 도 1c 에 도시된 형태의 웹 카메라 타입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a 에 도시된 홈 오토메이션 타입은 현관에 설치된 도어폰(110)으로부터의 영상을 가정내에 설치된 비디오폰(120)의 화면에 표시하고, 도어폰(110)과 비디오폰(120) 간의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지만, 원격지로 영상을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 에 도시된 홈 서버 타입은 영상확인용 LCD와 HA(Home Automation)기능을 내장한 홈서버(140)를 통해 도어폰(130)으로부터의 영상을 확인하고 양방향 통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홈서버(140)에서 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원격지에서 홈서버(140)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영상기기인 홈 네트워킹 기기(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홈서버 타입은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여 재생하는데 홈서버(140)내의 메모리를 이용함에 따른 한계가 있고, 홈 네트워킹을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홈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이전에 설치되어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무의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c 에 도시된 웹 카메라 타입은 웹 카메라(160)로 인터넷 상의 해당 IP에 접속하여 원격지 영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일부의 웹 카메라(160)는 아날로그 비디오 입력단자를 갖추어서 소정의 웹페이지에서 영상서비스 제공 인터넷에 접속되어 설치된 장소의 동영상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웹 카메라 타입은 가정내에 설치되는 경우, 해킹에 의한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고, 웹 카메라(16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리고, 비디오 입력단에 소정의 A/V기기를 접속하여도 A/V기기를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영상기기를 제어하거나 영상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면서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콘과; 상기 영상기기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및 전원의 인가상태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전원제어기와; 웹을 통해 접속한 외부의 원격제어기에 의한 명령에 따라 상기 리모콘 및 전원제어기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상기 전원제어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인가상태를 웹상에 제공하는 홈게이트웨이(홈서버)와;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면서 사용자의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한 상기 홈게이트웨이(홈서버)로의 접속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복수개의 영상기기가 연결되되,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웹상으로 송신되거나 상기 웹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리모콘 또는 전원제어기로 송신되거나 상기 전원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원격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상기 리모콘 또는 전원제어기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다중화부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수신되어 디지털 처리된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웹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면서 제어용 펌웨어 및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인터넷 전화(VoIP) 통화를 위한 송수화부와; 상기 송수화부로 통화하기 위해 통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통화 모드가 선택되면 인터넷 전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관리서버(230)와, 외부의 인터넷망(220)과 RS-485/RF/PLC/LAN 등의 내부 통신망(250) 간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홈게이트웨이(240)와, 상기 홈게이트웨이(240)에 내부 통신망(250)으로 연결되어 CCD 카메라(281), 텔레비전(282), DVD 플레이어(283), 도어폰(284)/비디오폰(285)과 같은 다양한 영상기기(280)를 제어하는 적외선 송신기(260)와 상기 영상기기(280)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및 상기 영상기기(280)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홈게이트웨이(240)에 제공하는 전원제어기(270)를 구비한다.
상기 관리서버(230)는 상기 원격제어기(210)와 상기 홈게이트웨이(240) 간의 접속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면서 사용자가 PC, 휴대폰, 및 PDA와 같은 원격제어기(210)로 홈게이트웨이(240)에 접근할 때 사용자의 적법성 여부를 인증한다. 그리고, 상기 홈게이트웨이(240)는 접속된 외부의 원격제어기(210)를 통해 소정의 명령이 내려지면 상기 적외선 송신기(260) 및 전원제어기(270)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기기(280)로부터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상기 전원제어기(270)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의 인가상태에 관한 정보를 웹상에 제공한다.
상기 적외선 송신기(260)는 적외선을 이용한 리모콘으로서 상기 홈게이트웨이(24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제어신호로 영상기기(280)의 채널이나 볼륨 등을 제어한다. 즉, 적외선 송신기(260)에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해 놓은 후, 상기 홈게이트웨이(240)로부터 소정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해당되는 영상기기(280)로 송출하여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기(270)는 상기 홈게이트웨이(24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영상기기(280)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영상기기(280)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의 상태를 상기 홈게이트웨이(240)에 제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게이트웨이는 여러가지 신호 중에서 특정의 신호를 선택하는 다중화부(310)와, 상기 다중화부(32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320)와,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340) 및 제 2 인터페이스부(350)와, 원격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30)와,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60)와, 송수화기로 사용하기 위한 앰프(380), 스피커(390), 및 마이크(400)를 구비한다.
상기 다중화부(310)는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폰/비디오폰 채널단자(311), DVD 플레이어 채널단자(312), 텔레비전 채널단자(313), 및 카메라 채널단자(314)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멀티플렉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320)는 상기 다중화부(323)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영상신호를 비디오 디코더(321) 및 비디오 코덱(322)을 통해 디지털 처리하고, 음성신호를 오디오 코덱(323)을 통해 디지털 처리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340)는 랜을 통해 외부로 송신되거나 외부로부터 랜을 통해 수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350)는 리모콘 또는 전원제어기와 같은 영상기기용 제어기기로 송신되거나 상기 영상기기용 제어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제어부(330)와 연동하면서 제어용 펌웨어(Firmware) 및 웹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앰프(380), 스피커(390), 및 마이크(400)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송수화기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부(370)는 사용자가 앰프(380), 스피커(390), 및 마이크(400)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기의 다른 사용자와 인터넷 전화 통화하기 위한 통화 모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내부 사용자가 외부의 원격 제어기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통화를 요청하거나 외부의 원격제어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터넷 전화 통화를 수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원격제어기를 통해 명령이 내려지면 영상기기용 제어기기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소정의 영상기기를 제어하거나 소정의 영상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다중화부(310)로 복수개의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다중화부(310)를 통해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웹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활용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CCD 카메라를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웹페이지 상의 초기 화면상에 CCD 카메라 영상이 표시되도록 운영하면서 사생활 보호를 위해 소정의 방범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만 전원제어기를 통해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에 Pan/Tilt/Zoom이 가능한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라면 RS-485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Pan/Tilt/Zoom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동체감지 센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물체의 움직임 감지 시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때의 카메라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전화 통화 모드를 선택하여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통화할 수 있다.
둘째로, 도어폰을 방문자 확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휴대폰을 통해 방문자의 정지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폰의 버튼이 눌려지면 도어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촬영한 정지화상을 관리서버에서 휴대폰에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WAP으로 휴대폰에 전송한다. 이 때, 휴대폰에 문자 메시지를 미리 전송하여 방문자가 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웹상에서 방문자의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폰의 버튼이 눌려지면 도어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을 웹으로 전송한다. 이 때, 미리 원격지 PC의 화면상에 소정의 메시지와 경보음으로 방문자가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보면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제어기로 홈게이트웨이에 접속하려면 소정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데, 사용자별로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이벤트시마다 소정의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저장해놓고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저장된 내용을 알려주고 재생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수도 있다.
셋째로, 텔레비젼이나 DVD 플레이어를 외부에서 영상시청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적외선 송신기에 채널이나 볼륨 등의 제어신호를 학습해 놓고, 원격제어기에서 지시된 소정의 명령이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로 텔레비젼이나 DVD 플레이어를 제어하면서 해당되는 동영상을 원격제어기로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영상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영상기기를 조작하면서 영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저장 혹은 시청이 가능함으로써 영상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감시·보안기능, 영상시청기능)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웹을 통해 접속한 원격제어기의 명령을 처리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다시 원격제어기로 전송하는 홈 게이트웨이(240)와;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면서 사용자의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한 상기 홈게이트웨이로의 접속을 관리하는 관리서버(230)와; 상기 원격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리모콘 또는 전원제어기로 출력하거나 디지털 처리된 영상 또는 음성신호를 웹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330)와; CCD카메라를 Zoom/Pan/Tilt제어하기 위한 RS-485통신라인을 포함하는 내부통신망(250)과; 영상기기(280)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및 전원의 인가상태를 파악하여 제공하는 전원제어기(270); 및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CCD카메라/도어폰/비디오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선택된 영상만을 제어부(240)로 전송하는 다중화부(310)로 구성된 통상의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310)는 외부의 원격지에서도 텔레비젼(282)과 DVD플레이어(283)로 재생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텔레비젼 채널단자(313) 및 DVD플레이어 채널단자(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4. 삭제
KR1020050006506A 2005-01-25 2005-01-25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073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506A KR100738556B1 (ko) 2005-01-25 2005-01-25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506A KR100738556B1 (ko) 2005-01-25 2005-01-25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718A KR20060085718A (ko) 2006-07-28
KR100738556B1 true KR100738556B1 (ko) 2007-07-11

Family

ID=3717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506A KR100738556B1 (ko) 2005-01-25 2005-01-25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61B1 (ko) * 2011-09-21 2013-06-20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원격 접속 보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85B1 (ko) * 2011-03-16 2012-04-17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회로의 단일화 및 프로그램 제어에 따른 통화 경로의 단축을 이용한 비디오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50014357A (ko) * 2003-07-31 2005-02-07 (주)유비큐 홈 게이트웨이와 컴퓨터를 활용한 홈 오토메이션기기와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50014357A (ko) * 2003-07-31 2005-02-07 (주)유비큐 홈 게이트웨이와 컴퓨터를 활용한 홈 오토메이션기기와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61B1 (ko) * 2011-09-21 2013-06-20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원격 접속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718A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4778B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KR100988330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8897433B2 (en) Security system with two-way communication and video
US7746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security content from wireless cameras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KR100805255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TWM449319U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KR100301675B1 (ko) 감시 카메라 단말장치의 보안 시스템
KR100738556B1 (ko)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010068528A (ko)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US6208378B1 (en) Video arrangement with remote activation of appliances and remote playback of locally captured video data
KR20010074212A (ko) 영상과 음성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비디오 도어폰과 그서비스 방법.
KR20050014357A (ko) 홈 게이트웨이와 컴퓨터를 활용한 홈 오토메이션기기와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JP2004135202A (ja) 住宅用監視システム
KR20010019901A (ko)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JP200413520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90106030A (ko) 보안 시스템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3665730B2 (ja) 遠隔操縦移動型監視ロボットシステム
KR100430774B1 (ko) 다기능 인터폰장치
KR10067211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현관기 제어방법
JP200816047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896281A (ja) 監視システム
KR200362050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KR20060000618A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