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89B1 -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89B1
KR102245389B1 KR1020190103144A KR20190103144A KR102245389B1 KR 102245389 B1 KR102245389 B1 KR 102245389B1 KR 1020190103144 A KR1020190103144 A KR 1020190103144A KR 20190103144 A KR20190103144 A KR 20190103144A KR 102245389 B1 KR102245389 B1 KR 10224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alarm device
information
network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221A (ko
Inventor
강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0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8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8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스마트폰(800)이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실시간 요청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Smart type total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urposes alar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에 다목적 경보 장치를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하는지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침입하는 경우에 침입 메시지를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증거 자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4차 산업을 활용해 종래의 무인방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방범 서비스는 멀리 떨어져 있는 가정에 대해서 원격의 사설 보안 업체와의 계약 체결을 통해 개인의 재산 보호, 범죄 예방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원격 통신 네트워크와 출동 체계를 연계한 새로운 방식의 범죄 신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방범 서비스를 과대한 월정료가 들어가고 있으며, 실제로 외부 침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부담이 되는 기본료가 발생함으로써, 이용하는 고객이 점차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에 다목적 경보 장치를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하는지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침입하는 경우에 침입 메시지를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증거 자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4차 산업을 활용해 종래의 무인방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3-0049144호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해 경보 방송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에 다목적 경보 장치를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하는지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침입자의 침입이 발생하는 경우에 침입 메시지를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증거 자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4차 산업을 활용해 종래의 무인방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으로 실제의 침입에 대한 여부를 한번 더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신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은, 스마트폰(8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8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스마트폰(800)이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실시간 요청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스마트폰(800)이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센싱에 의해 외부 침입 상태인 경우에 침입 정보가 전달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 전달함으로써,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 상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스마트폰(800)이 침입 관련 정보를 하나의 외부 침입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부(840)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스마트폰(800)이 저장부(830)에 저장된 침입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침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빅데이터 서버(900)에 의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을 받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은, 다목적 경보 장치(100), 네트워크(200), 댁내 AP(300), IoT 홈 디바이스, 스마트폰(800)을 포함하는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폰(8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하고,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실시간 요청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하는 침입 감지 모듈(8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은, 외부 침입이 주로 발생하는 창문에 다목적 경보 장치를 설치하고,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하는지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은, 외부에서 침입자의 침입이 발생하는 경우에 침입 메시지를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증거 자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4차 산업을 활용해 종래의 무인방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은, 빅데이터 기반으로 실제의 침입에 대한 여부를 한번 더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신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 중 스마트폰(8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은 다목적 경보 장치(100), 네트워크(200), 댁내 AP(300),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 중앙관제서버(700), 스마트폰(800) 및 빅데이터 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목적 경보 장치(100)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를 구비한 포토커플러(130) 외에 배터리(110), IoT 온/오프 스위치(120), MPU(140), 발광다이오드(150), 경보신호발생부(160), 스피커(170), n(n은 4 이상의 자연수) 노드 스위치(180), 통신모듈(190)을 포함하며, 창틀(20)의 양측단에 포토커플러(130)를 이루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가 각각 삽입툴에 고정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별도의 함체 또는 창틀(20)에 삽입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목적 경보 장치(100)를 삽입하여 고정한 창틀(20)을 창문샤시(10)와 밀착시킨 다음, 외부에 형성된 IoT 온/오프 스위치(120)를 스위칭 온 하면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MPU(140), 발광다이오드(150), 경보신호발생부(160), 스피커(170), n 노드 스위치(180), 통신모듈(19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창틀(20)의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며, 창틀(20) 다른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디폴트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창틀(20)의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 창틀(20) 다른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외부 침입 상태가 감지된 경우,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스피커(170)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동작 중임을 표시함으로써, 외부 침입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경보할 수 있다.
한편, IoT 온/오프 스위치(120)가 온(ON) 되어 배터리(110)로부터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 MPU(140), 발광다이오드(150), 경보신호발생부(160), 스피커(170), n(n은 4 이상의 자연수) 노드 스위치(180), 통신모듈(19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창틀(20)의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 창틀(20) 다른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유지되는 디폴트 상태인 경우, MPU(1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160)에 경보제어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므로, 스피커(170)에서는 음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다목적 경보 장치(100), 댁내 AP(300), 중앙관제서버(700), 스마트폰(800) 및 빅데이터 서버(9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 중 스마트폰(8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800)은 송수신부(810), 제어부(820), 저장부(830) 및 입출력부(840)를 포함하며, 제어부(820)는 설정 모듈(821), 침입 감지 모듈(822),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모듈(8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700)로 액세스하여 스마트 토탈 감시 앱 데이터를 요청하여 반환받아 저장부(830)에 설치한 뒤, 입출력부(840)에 형성된 스마트 토탈 감시 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토탈 감시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토탈 감시 앱을 실행한 설정 모듈(8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일시적인 외부 침입 상태 감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모듈(8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부터 n 노드 스위치(180)에 연결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부(830)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입출력부(8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n 노드 스위치(180)는 플러그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스위치로 각 포트에 대해서 (+) 단자가 배터리(110)와 연결되고 (-) 단자가 각 IoT 홈 디바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스위칭 포트 단자에 대한 MPU(140)에 의한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설정 모듈(821)은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인식에 의해 외부 침입 상태인 경우에 침입 정보가 전달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 전달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 상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IoT 홈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IoT 홈 디바이스는 예시로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정 모듈(821)에 의해 저장부(830) 상에 저장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와 함께,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에 대한 선택신호가 없는 경우, 설정 모듈(821)은 통신모듈(19)에 대한 자동 선택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저장부(830) 상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설정 모듈(821)은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 상태를 요청함으로써,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침입 감지 모듈(822)은 설정 모듈(821)에 의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 상에서 창틀(20)의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 창틀(20) 다른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외부 침입 상태가 감지되어 MPU(140)에 의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에 대한 스위칭 온 제어가 완료되면, 침입 감지 모듈(822)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할 수 있다.
침입 감지 모듈(822)은 다목적 경보 장치(100)에 의한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은 IoT 홈 디바이스가 CCT 카메라(400)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로 향하도록 CCTV 카메라(400)에 대한 팬, 틸트, 요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명령, 창틀(2)로 향하는 CCTV 카메라(400)에 대한 객체 인식에 따른 자동 줌인/줌아웃 명령, 촬영 온에 대한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IoT 홈 디바이스가 실내외 조명(500)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 전체의 실내외 조명(500)의 조명 온에 대한 명령, IoT 홈 디바이스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인 경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도어 중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에서 외부로 나가는 모든 도어에 대한 도어락 온 제어 명령, 그리고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명령일 수 있다.
침입 감지 모듈(822)은 상술한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실내외 조명(500), CCTV 카메라(4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침입 감지 모듈(822)에 의한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입출력부(840)에 외부 침입 메시지와 함께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출력한 뒤, 사용자로부터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에 따른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전 설정 모듈(821)에 의한 설정에서 IoT 홈 디바이스로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CCTV 카메라(400)에 대해서는 팬, 틸트, 요잉, 줌인, 줌아웃, 야간촬영 모드 설정, 촬영 온/오프 명령 등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실내외 조명(500) 모두에 대한 자동 온 제어메뉴,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는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내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내 조명 순으로 실내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외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외 조명 순으로 실외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에 대해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도어의 식별번호와 함께 도어락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VoIP 전화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112 또는 119 번호로의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사용자의 입출력부(840)를 통한 각 IoT 홈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제어메뉴에 따라 센싱되거나 수행된 침입 관련 정보를 하나의 외부 침입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부(8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침입 관련 정보는 CCTV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 실내외 조명(500)을 구성하는 각 실내외 조명의 식별번호에 대한 선택 및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한 선택 및 선택된 도어에 형성된 도어락에 대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정보일 수 있으며, 침입 감지 모듈(822)에 의해 자동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은 저장부(830)에 저장된 침입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침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900)에 의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서버(9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CCTV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전에 저장된 침입자 패턴과의 분석을 통해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9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을 구성하는 수많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 침입 상태에서 수집한 CCTV 영상에서 배경을 제외한 침입자 패턴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침입자 패턴 정보, 각 침입자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CCTV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을 비교하여 CCTV 영상 속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빅데이터 서버(9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함께 분석하되,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의 도어락이 자동으로 온 된 상태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된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에서 다른 방으로의 이동이 있는지를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의 시간상의 순서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비해 시간의 후순위에 있는 경우 1차 저지선인 도어락을 파괴한 2차 외부 침입 상태인 최종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 서버(9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의 액세스를 통해 댁내 AP(300)에 의한 IoT 홈 디바이스인 실내외 조명(500) 상에 저장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은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에 의해 빅데이터 서버(900)를 통해 수신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의 판단이 되는 침입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700)로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증거 자료로 추후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은 직접적으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 중 2차 외부 침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경찰청 서버(미도시)에 자신의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800)은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센싱에 의해 외부 침입 상태인 경우에 침입 정보가 전달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 전달함으로써,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 상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S11).
단계(S11) 이후, 스마트폰(8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폰(8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한다(S13).
단계(S13) 이후, 스마트폰(800)은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사용자의 실시간 요청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폰(800)은 침입 관련 정보를 하나의 외부 침입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부(840)에 저장한다(S15). 여기서 침입 관련 정보는 CCTV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 실내외 조명(500)을 구성하는 각 실내외 조명의 식별번호에 대한 선택 및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한 선택 및 선택된 도어에 형성된 도어락에 대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정보일 수 있으며, 침입 감지 모듈(822)에 의해 자동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5) 이후, 스마트폰(800)은 저장부(830)에 저장된 침입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침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빅데이터 서버(900)에 의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을 받는다(S16).
단계(S16) 이후, 스마트폰(800)은 빅데이터 서버(900)를 통해 수신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의 판단이 되는 침입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700)로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17).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100 : 다목적 경보 장치
110 : 배터리
120 : IoT 온/오프 스위치
130 : 포토커플러
140 : MPU
150 : 발광다이오드
160 : 경보신호발생부
170 : 스피커
180 : n 노드 스위치
190 : 통신모듈
200 : 네트워크
300 : 댁내 AP
400 : CCTV 카메라
500 : 실내외 조명
600 :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700 : 중앙관제서버
800 : 스마트폰
9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5)

  1. 다목적 경보 장치(100), 네트워크(200), 댁내 AP(300),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 중앙관제서버(700), 스마트폰(800) 및 빅데이터 서버(900)를 포함하는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에 있어서,
    다목적 경보 장치(100)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를 구비한 포토커플러(130) 외에 배터리(110), IoT 온/오프 스위치(120), MPU(140), n(n은 4 이상의 자연수) 노드 스위치(180), 통신모듈(190)을 포함하며, 창틀(20)의 양측단에 포토커플러(130)를 이루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 및 수광트랜지스터(130b)가 각각 삽입툴에 고정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별도의 함체 또는 창틀(20)에 삽입 또는 부착되며,
    스마트폰(800)은,
    송수신부(810), 제어부(820), 저장부(830) 및 입출력부(840)를 포함하며, 제어부(820)는, 설정 모듈(821), 침입 감지 모듈(822),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을 포함하며,
    설정 모듈(8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700)로 액세스하여 스마트 토탈 감시 앱 데이터를 요청하여 반환받아 저장부(830)에 설치한 뒤, 입출력부(840)에 형성된 스마트 토탈 감시 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토탈 감시 앱을 실행하며, 실행한 상태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일시적인 외부 침입 상태 감지 해제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부터 n 노드 스위치(180)(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연결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부(830)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입출력부(8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n 노드 스위치(180)는 플러그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스위치로 각 포트에 대해서 (+) 단자가 배터리(110)와 연결되고 (-) 단자가 각 IoT 홈 디바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스위칭 포트 단자에 대한 MPU(140)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인식에 의해 외부 침입 상태인 경우에 침입 정보가 전달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저장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로 전달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 상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며, IoT 홈 디바이스로는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포함하여 설정하며,
    설정 모듈(821)에 의해 저장부(830) 상에 저장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와 함께,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에 대한 선택신호가 없는 경우, 설정 모듈(821)은 통신모듈(19)에 대한 자동 선택신호를 함께 생성하여 저장부(830) 상에 함께 저장하며,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 상태를 요청함으로써,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을 완료하며,
    침입 감지 모듈(822)은,
    설정 모듈(821)에 의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 액세스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IoT 온/오프 스위치(1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통신모듈(19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다목적 경보 장치(100)의 MPU(140)에 대한 포토커플러(130)에 의한 외부 침입 상태 감지 명령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다목적 경보 장치(100) 상에서 창틀(20)의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 창틀(20) 다른 한 측에 고정된 포토커플러(130)의 수광트랜지스터(130b)에서 적외선이 수광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외부 침입 상태가 감지되어 MPU(140)에 의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에 대한 스위칭 온 제어가 완료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n 노드 스위치(180)의 하나의 스위칭 포트에 연결된 통신모듈(190)로부터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한 뒤, 입출력부(840)로 출력하며,
    다목적 경보 장치(100)에 의한 외부 침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부(8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840)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으로 IoT 홈 디바이스가 CCT 카메라(400)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로 향하도록 CCTV 카메라(400)에 대한 팬, 틸트, 요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명령, 창틀(2)로 향하는 CCTV 카메라(400)에 대한 객체 인식에 따른 자동 줌인/줌아웃 명령, 촬영 온에 대한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IoT 홈 디바이스가 실내외 조명(500)인 경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 전체의 실내외 조명(500)의 조명 온에 대한 명령, IoT 홈 디바이스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인 경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도어 중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에서 외부로 나가는 모든 도어에 대한 도어락 온 제어 명령, 그리고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명령을 수행하며,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실내외 조명(500), CCTV 카메라(4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침입 감지 모듈(822)에 의한 입출력부(840)에 외부 침입 메시지와 함께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출력한 뒤,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용자로부터 입출력부(840)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에 따른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되,
    사전 설정 모듈(821)에 의한 설정에서 IoT 홈 디바이스로 CCTV 카메라(400), 실내외 조명(500),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CCTV 카메라(400)에 대해서는 팬, 틸트, 요잉, 줌인, 줌아웃, 야간촬영 모드 설정, 촬영 온/오프 명령 등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며, 실내외 조명(500) 모두에 대한 자동 온 제어메뉴,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는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내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내 조명 순으로 실내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며,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을 기준으로 근접한 실외 조명으로부터 차츰 이격된 실외 조명 순으로 실외 조명 식별번호와 함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며,
    침입 정보 수집 모듈(823)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에 대해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도어의 식별번호와 함께 도어락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VoIP 전화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112 또는 119 번호로의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제어메뉴를 입출력부(840)로 제공하며,
    사용자의 입출력부(840)를 통한 각 IoT 홈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제어메뉴에 따라 센싱되거나 수행된 침입 관련 정보를 하나의 외부 침입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저장부(840)에 저장하며, 침입 관련 정보로는 CCTV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 실내외 조명(500)을 구성하는 각 실내외 조명의 식별번호에 대한 선택 및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한 선택 및 선택된 도어에 형성된 도어락에 대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60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외부 침입 상태 메시지 전송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침입 감지 모듈(822)에 의해 자동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한 정보도 포함하여 저장하며,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은,
    저장부(830)에 저장된 침입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침입 관련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900)에 의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받으며,
    빅데이터 서버(900)는,
    침입 관련 정보로 CCTV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전에 저장된 침입자 패턴과의 분석을 통해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9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1)을 구성하는 복수의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 침입 상태에서 수집한 CCTV 영상에서 배경을 제외한 침입자 패턴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침입자 패턴 정보, 각 침입자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과 CCTV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을 비교하여 CCTV 영상 속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인지를 판별하며,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함께 분석하되,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의 도어락이 자동으로 온 된 상태에서, 1차로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된 다목적 경보 장치(100)가 설치된 창틀(2)이 있는 방에서 다른 방으로의 이동이 있는지를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의 시간상의 순서가 외부 침입 상태에서 실내외 조명(50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비해 시간의 후순위에 있는 경우 1차 저지선인 도어락을 파괴한 2차 외부 침입 상태인 최종 외부 침입 상태로 분석하며,
    침입 관련 정보로 실내외 조명(50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댁내 AP(300)로의 액세스를 통해 댁내 AP(300)에 의한 IoT 홈 디바이스인 실내외 조명(500) 상에 저장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하며,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은,
    침입 정보 분석 모듈(824)에 의해 빅데이터 서버(900)를 통해 수신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의 판단이 되는 침입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700)로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외부 침입 상태, 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증거 자료로 추후에 활용하는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입 정보 제공 모듈(825)은,
    직접적으로 실제의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 중 2차 외부 침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경찰청 서버에 자신의 스마트폰(8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침입 관련 정보, 그리고 외부 침입 상태인지 여부 정보(2차 외부 침입 상태)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3144A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KR10224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4A KR102245389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4A KR102245389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21A KR20210023221A (ko) 2021-03-04
KR102245389B1 true KR102245389B1 (ko) 2021-04-28

Family

ID=7517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44A KR102245389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4044A (ja) * 2016-11-21 2018-05-31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側制御装置、及びシャッター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144A (ko)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다판 클러치의 스냅링 구조
KR20090076292A (ko) *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아이리스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101495204B1 (ko) * 2012-10-19 2015-02-24 채일수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KR20160045308A (ko) * 2014-10-17 2016-04-27 박용기 Iot기반의 비콘을 활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운영방법
KR20160095901A (ko) *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남선알미늄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4044A (ja) * 2016-11-21 2018-05-31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側制御装置、及びシャッターの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21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20110053145A (ko)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3362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717525B2 (ja) 無線報知装置及び遠隔報知システム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620560B1 (ko)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2245389B1 (ko) 다목적 경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토탈 감시 시스템 및 스마트 토탈 감시 방법
KR101513590B1 (ko) Lte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인 방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1186635B1 (ko)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45058A (ko)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전환을 위한 위험 감지용 스마트 센싱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1063915B1 (ko)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N104616459A (zh) 一种智能城市报警柱
JP200216521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に防犯監視システムの基本機能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KR102237079B1 (ko) 5g 또는 lte 기반의 데이터 공유 및 상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월패드 및 동작 방법
KR20070061081A (ko) 보안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보안 방법
KR102245387B1 (ko)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
KR10058214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CN205584377U (zh) 一种自动报警的物联网安防系统
JP2021072076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電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KR2008008268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서버
KR102065785B1 (ko)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KR101597154B1 (ko) 듀얼무선모듈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1092615B1 (ko) 근무초소의 원격 감시시스템
CN101527821B (zh) 视频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