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785B1 -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785B1
KR102065785B1 KR1020180142829A KR20180142829A KR102065785B1 KR 102065785 B1 KR102065785 B1 KR 102065785B1 KR 1020180142829 A KR1020180142829 A KR 1020180142829A KR 20180142829 A KR20180142829 A KR 20180142829A KR 102065785 B1 KR102065785 B1 KR 10206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ctv camera
cctv
event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문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국 filed Critical 문병국
Priority to KR102018014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CCTV 카메라가, 할당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화이트 LED를 방사하여 CCTV가 촬영중임을 알리는 촬영중 알림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전화콜인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발생시키는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 상기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수신한 관리자 단말기가, 전화 통신 라인을 유지하며 안내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안내 음성 전송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감시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로 실시간으로 중계 전달하는 안내 음성 중계 과정; 및 상기 스피커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안내 음성 출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카메라의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림 파일, 동영상파일의 형태로 이벤트자료를 유,무선(이동통신장치일체)통신을 통히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영상출력 과정;을 포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Method for CCTV operating}
본 발명은 IOT SMART CCTV 운영 방법으로서, 범죄나 위법행위, 또는 각종 위험으로부터 사전 경고를 통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SMART 사전 예방용 CCTV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의 발전,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도입과 함께, 현대사회는 각종 파이프나 물리적인 선으로 연결되는 공공서비스망(전기, 가스, 상하수도 등) 기반의 인프라를 넘어서 공공서비스, 컨텐츠와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전달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첨단 정보통신망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면서 범죄는 갈수록 지능화, 고속화되고 있으며, 흉포하고 동기가 없는 범죄들도 빈번해지고 있고, 이러한 범죄는 특성상 목격자나 증거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고 진술 확보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다.
또한 우리 주변 요소 요소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사고에 대한 안전 불감증이 사회 전반에 걸쳐 만연해 있다.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이러한 상황에서 범죄를 감시하고, 사회의 안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여성, 어린이, 치매노인, 독거노인 등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확인 서비스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CCTV 카메라는 방범 및 질서 유지를 위한 수요 증대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CCTV 카메라를 이용하면, 광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모니터 요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면서 사건 발생 시 조치를 취하거나 사건 발생 후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범죄발생의 증거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CCTV 방식은 모니터요원의 육안에 의한 판단에 의존해야 하는데, 모니터 요원이 숙련된 사람이라 하더라도 많은 수의 CCTV들을 장시간 집중해서 모니터링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늘어나는 방범 용도의 CCTV 카메라의 수량에 맞추어 카메라 지주물에 대한 잦은 접촉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대부분 사고시 책임을 지울수없는 경우들이 다반사로서 지자체 자산의 손실 및 예산의 비효울적 낭비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후 관리가 아닌 현장에서 즉각적인 조치와 경고, 또는 효율적 알람을 발생하여 다수의 CCTV를 관제하는 관제요원에게 즉각적으로 현장에 이벤트를 전송 또는 경고할 수 있는 IoT SMART CCTV를 기반으로 한 사전 경고와 예방이 가능한 시스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69533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범죄나 위법행위 또는 재난 안전을 사전에 경고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전 예방용 CCTV 운영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CCTV 카메라가, 할당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 과정;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전화콜,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발생시키는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징후 감지를 메타값으로 발생하는 과정; CCTV 카메라가, 상기 이상 징후가 발생 시 카메라 상호간 통신을 통한 이벤트 공유화 과정; CCTV 카메라가, 상기 이벤트 발생 시 관제센터에 통보된 이벤트를 관리자 단말기에서 현장 카메라로 일괄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수신한 관리자 단말기가, 전화 통신 라인을 유지하며 안내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안내 음성 전송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감시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로 실시간으로 중계 전달하는 안내 음성 중계 과정; 및 상기 스피커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안내 음성 출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음성 출력 과정은, CCTV 및 IOT센서에서 통보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VOIP기능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설정한 그룹의 카메라에 이벤트 종류에 맞는 음성을 일괄 송출하는 과정; BLE SCANER를 통하여 BLE TAG의 소지자와 비소지자를 구분하여 설정된 조건의 이벤트 송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영역에 설치된 마이크가, 감시 영역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주변 음성 입력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주변 음성을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이 유지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변 음성 전송 과정;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주변 음성을 출력하는 주변 음성 출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는 이벤트인 움직임 발생 감지 이벤트, 미리 설정된 사람의 금지 행위 형태가 감지되는 금지 행위 형태 감지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고 움직이는 객체의 안면을 축출하여, 미리 저장된 안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분석하여 분석된 사진자료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안내 음성은, 관리자의 육성 음성이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녹음 음성 또는 VOIP알고리즘에 의한 즉각적 음성을 송출 및 청취가 가능하다.
상기 CCTV 카메라는, 이상 징후 이벤트 발생할 때의 감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CCTV 카메라는 상호간에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알람 이벤트를 공유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감시 영상내의 이상 징후 이벤트를 통해 파악되는 이상 징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상기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상기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것은, 상기 이상 징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며, 상기 이상 징후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의 육성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은,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 검출될 때의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외부의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영상 전송 과정; 및 상기 관제 센터 서버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감시 영상 저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범죄나 위법행위가 발생하기 전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인지하고, 이를 토대로 경고함으로써, 범죄나 위헙행위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아울러 범뇌자 위헙행위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을 BLE TAG의 소지여부에 따른 소지자 및 비소지로 구분인지한 상태에서 설정된 조건의 이벤트가 송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상징후가 감지된 영역의 주변 음성을 획득하여 인지함으로써, 이상징후가 감지된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에게 시의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상징후가 감지된 영역에서의 위험 정도를 인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측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의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녹음 음성을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관리자의 육성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현장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유,무선(이동통신수단일체) 전송(그림파일,동영상파일,기타 암호화된 영상파일)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IP 카메라, 적외선(IrDA) 카메라 화이트 LED를 장착하여 지능형 알고리즘을 통한 라인, 배회, 유동카운트, 영역 및 일반 움직임 감지에 대한 이벤트시 Whihe LED 라이트를 점등하여 카메라가 촬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범죄의 동기를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내부에 장착된 음성VOIP모듈을 통하여 하우징일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즉각 경고 방송을 하여 더욱 효과적인 사전예방용 융복합 CCTV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이용 라인, 영역, 서성거림 및 일반 움직임 감지를 통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면 관제실로 이벤트가 발생되며 동시에 전화기에 콜을 울려 수화기 마이크를 통하여 현장에 즉각적 음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현장에 음원을 청취하여 현장과 즉각적 대화를 통하여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이용 라인, 영역, 서성거림 및 일반 움직임 감지를 통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면 로컬에 하우징 일체형 스피커 앰프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음원이 즉각 방송되어 관제실 담당자 부재 시 즉각적 경고를 음성을 통하여 가능하며 음원은 MP3파일 등으로 저장이 가능하고 이를 응용한 매장내 방문객 인사, 출입지역 경고, 방문시간안내, 문화제 접근 금지 및 방문시간안내, 전시장 전시물 접근금지 안내등 전반에 걸친 음원을 제공이 가능하며 이는 실내외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40), 관리자 단말기(20), 관제 센터 서버(30), 스피커(11), 마이크(12), 및 CCTV 카메라(10)를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망(40)은, 관리자 단말기(20)와 관제 센터 서버(3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4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LTE-M, LTE Rou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4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VoIP, PSTN망과 같은 전화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화콜이라 함은 VoIP, PSTN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전화 용도의 콜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도 모두 포함되는 개념임은 자명할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20)는, CCTV 카메라(1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일반 전화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전화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관리자 단말기(20)는, CCTV 카메라(10)로부터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수신하면, 전화 통신 라인을 유지하며 안내 음성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안내 음성은, 관리자의 육성 음성이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녹음 음성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는, 마이크(12)를 통해 입력되는 감시 영역의 주변 음성을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이 유지된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센터 서버(30)는, 각 CCTV 카메라(10)에서 촬영된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서버이다. CCTV 카메라(10)가,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 검출될 때의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외부의 관제 센터 서버(30)로 전송하면, 관제 센터 서버(30)는,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따라서 추후에 벌칙금 고지 시에 증거 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관제 센터 서버(3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1)는, 감시 영역에 설치되어,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스피커(11)는 CCTV 카메라(10) 내부에 존재하던지 외부 별도의 함체에 존재하던지 모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마이크(12)는, 감시 영역에 설치되어, 감시 영역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CCTV 카메라(10)로 전달한다.
CCTV 카메라(10)는, 할당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고,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20)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전화콜인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는 이벤트인 움직임 발생 감지 이벤트, 미리 설정된 사람의 금지 행위 형태가 감지되는 금지 행위 형태 감지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CCTV 카메라(10)는,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감시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11)로 실시간으로 중계 전달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고 움직이는 객체의 안면을 축출하여, 미리 저장된 안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분석하여 분석된 사진자료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안내 음성은, 관리자의 육성 음성이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녹음 음성 또는 VoIP알고리즘에 의한 즉각적 음성을 송출 및 청취가 가능하다.
또한 CCTV 카메라(10)는, 이상 징후 이벤트 발생할 때의 감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CCTV 카메라는 상호간에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알람 이벤트를 공유하며. 관리자 단말기는, 감시 영상내의 이상 징후 이벤트를 통해 파악되는 이상 징후 레벨을 판단하여,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상기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CCTV 카메라(1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뷸렛 카메라 형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카메라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CCTV 카메라(10)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CTV 카메라(10)는 다양한 하우징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CCTV 카메라(10)는, CCTV카메라를 통해 움직임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벤트 객체를 줌,인하여 객체를 촬영하며 이때 줌,인과 동시에 상,하,좌,우 각도를 조정하여 객체를 화면에 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PTZ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PTZ(Pan Tilt Zooom)는 팬 틸트 줌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하 좌우로 피사체를 따라가며, 확대, 축소 기능을 가진 CCTV 카메라를 말한다. PTZ 돔 네트워크 카메라는 팬/틸트/줌 기능을 통해 넓은 구역을 감시하며 줌인 기능을 통해 상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CTV 카메라(10)는, 화이트 LED의 경고 라이트가 탑재되어 영상에 지능형 분석으로 통하여 필요시 화이트 LED의 경고 라이트가 작동되어 주간모드 촬영과 현장 색상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CCTV 카메라(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130), 렌즈 하우징(100), 영상 처리부(140), 마운팅 부재(200), 화이트 LED(120), 전화 통신부(25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블루투스 통신부(230), 메모리(240), 스피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00)은, 렌즈 모듈(130)이 탑재된 하우징이다. 렌즈 모듈(130)은,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역시서 렌즈는 200만 화소, 300만 화소, 500만 화소, 800만 화소 등의 다양한 화소를 가지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영상 처리부(140)는, 렌즈 모듈(130)을 통해 입력되는 광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인 촬영 영상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 처리부(140)는,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 모듈은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은 광전 변환 모듈(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마운팅 부재(200)는, 렌즈 하우징(100)이 체결되는 마운트로서, 거치벽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이다. 거치벽이라 함은, 벽체, 천정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마운팅 부재는, 거치벽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일끝단이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타끝단이 상기 렌즈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마운팅바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LED(120)는 렌즈 하우징(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백색광을 출력하는 LED 모듈이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도 화이트 LED(120)의 백색광에 의해 밝게 비출 수 있다.
전화 통신부(250)는, VoIP 등의 전화망과 연결되어, 전화콜 발생 및 전화 콜 수신을 하여 전화 통신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촬영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야간 휘도 범위 이내이고, 렌즈 모듈(130)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이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화이트 LED(120)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CCTV 카메라(10)는, 어두운 밤에 촬영되는 영상에서 사람 움직임이 감지되면 화이트 LED(120)를 발광시켜, 선명한 영상이 촬영되도록 한다. 따라서 야간에는 사용자 작동 또는 지능형 분석을 통하여 화이트 LED(120)의 경고 라이트가 작동되어 현장에 경고를 주도록 설정가능하며 기존 카메라들이 야간에 IR 모드로 변환되어 식별 불가능했던 현장 영상을 깨끗한 주간 모드로 식별가능하게 된다.
블루투스 통신부(230)는, 비콘 통신등의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통신하는 모듈이다.
나아가 저전력 블루투스(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이 가능한 BLE SCANER 탑제로 BLE TAG의 소지자를 구분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이 가능하다면 누구인지를 미리 판단하여 출입통제로 사용이 가능하며 BLE 거리를 조정하여 해당 태그가 스캔이 되면 순차적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안등 자동 점등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영상정보와 직관적 판단이 가능한 등록 자료를 매칭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의 플로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녹음 음성을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관리자의 육성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현장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유,무선(이동통신수단일체) 전송(그림파일,동영상파일,기타 암호화된 영상파일)하는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영상 생성 과정(S402), 촬영중 알림 과정(S404), PTZ 조절 과정(S406),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S408), 안내 음성 전송 과정(S410), 안내 음성 중계 과정(S412), 및 안내 음성 출력 과정(S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주변 음성 입력 과정(S416), 주변 음성 전송 과정(S418), 주변 음성 출력 과정(S420), 감시 영상 전송 과정(S422), 및 감시 영상 저장 과정(S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영상 생성 과정(S402)은, CCTV 카메라(10)가, 할당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촬영중 알림 과정(S404)은, CCTV 카메라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화이트 LED를 방사하여 CCTV가 촬영중임을 알리는 과정이다.
PTZ 조절 과정(S406)은, CCTV카메라를 통해 움직임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벤트 객체를 줌,인하여 객체를 촬영하며 이때 줌,인과 동시에 상,하,좌,우 각도를 조정하여 객체를 화면에 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과정이다.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S408)은,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20)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전화콜인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발생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는 이벤트인 움직임 발생 감지 이벤트일 수 있다. 예컨대, 보안이 지켜져야 하는 사무실에 밤 12시에서 아침 6시 사이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불법 침입자로 판단하여 움직임 발생 감지 이벤트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사람의 금지 행위 형태가 감지되는 금지 행위 형태 감지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를 버리지 말아야 하는 장소에 무단으로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인 경우 금지 행위 형태 감지 이벤트에 해당될 수 있다.
참고로,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S408)이 있게 되면, CCTV 카메라가, 이상 징후가 발생 시 카메라 상호간 통신을 통한 이벤트 공유화 과정과, CCTV 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시 관제센터에 통보된 이벤트를 관제단말기에서 현장 카메라로 일괄 이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질 수 있다.
안내 음성 전송 과정(S410)은,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수신한 관리자 단말기(20)가, 전화 통신 라인을 유지하며 안내 음성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안내 음성은, 관리자의 육성 음성일 수 있는데, 예컨대, CCTV 카메라(10)와 관리자 단말기(20)간에 전화콜이 발생하여 관리자의 실시간 육성 음성일 수 있다. 또한 안내 음성은 미리 저장된 녹음 음성일 수 있는데,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20)에 저장된 녹음 음성일 수 있다.
이러한 안내 음성 출력 과정(S410)은, CCTV 및 IOT센서에서 통보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VOIP기능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설정한 그룹의 카메라에 이벤트 종류에 맞는 음성을 일괄 송출하는 과정과, BLE SCANER를 통하여 BLE TAG의 소지자와 비소지자를 구분하여 설정된 조건의 이벤트 송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내 음성 중계 과정(S412)은, CCTV 카메라(10)가,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감시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11)로 실시간으로 중계 전달하는 과정이다.
안내 음성 출력 과정(S414)은,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감시 영역에 무단 침입한 침입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 방송을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쓰레기 무단 투기자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경고 방송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CCTV 카메라(10)는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의 안내 음성의 전달 이외에도, 감시 영역에 있는 사람의 음성을 관리자 단말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 음성 입력 과정(S416), 주변 음성 전송 과정(S418), 및 주변 음성 출력 과정(S420)을 포함한다.
주변 음성 입력 과정(S416)은, 감시 영역에 설치된 마이크(12)가, 감시 영역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주변 음성 전송 과정(S418)은, 주변 음성을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이 유지된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주변 음성 출력 과정(S420)은,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주변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CCTV 카메라(10)의 감시 영역내에 있는 사람과 CCTV 카메라(10)의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전화 통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 징후 이벤트 검출될 때의 영상을 저장 보관하여, 추후 벌칙금, 과태료, 범죄 조사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CCTV 카메라(10)가, 이상 징후 이벤트 검출될 때의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외부의 관제 센터 서버(30)로 전송하는 감시 영상 전송 과정(S422)과, 관제 센터 서버(30)가, 상기 CCTV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되는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감시 영상 저장 과정(S4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 영역에서 이상 징후 이벤트 발생시에, CCTV 카메라(10)와 관리자 단말기(20)는 전화 통화 라인을 유지하여, 관리자의 육성 음성이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녹음 음성을 감시 영역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상 징후의 정도(레벨)에 따라서 녹음 음성으로 출력할지, 육성 음성으로 출력할지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이상 징후의 정도(레벨)에 따라서 간단한 경고를 할 것인지, 아니면 센 경고를 할 것인지를 달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감시 영역에 쓰레기를 버리는 이상 징후가 검출된다고 가정한다. 쓰레기를 버리더라도 간단하게 휴지 정도를 바닥에 버리는 경우에는, 미리 녹음된 녹음 음성으로서 쓰레기 불법 투기를 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반면에, 트럭을 동원하여 많은 감시 영역에 많은 쓰레기를 불법으로 버리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불법 투기를 엄중 경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CTV 카메라(10)는, 이상 징후 이벤트 발생할 때의 감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하며, 관리자 단말기(20)는, 감시 영상내의 이상 징후 이벤트를 통해 파악되는 이상 징후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이상 징후 레벨 판단은, 예컨대, 감시 영상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하여, 무단으로 버려지는 쓰레기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쓰레기량에 따라서 이상 징후 레벨을 판단한다.
이상 징후 레벨의 판단을 수행한 관리자 단말기(20)는,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한다.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하는 것은, 이상 징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음 음성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한다. 반면에, 이상 징후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육성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CCTV 카메라(10)로 전달한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에서는 녹음 음성이 아닌 관리자의 음성으로 경고할 수 있어 더욱 강력한 경고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징후 레벨의 판단을 수행한 관리자 단말기(20)는,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그림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암호화된 영상파일 등을 다양한 이동통신수단일체에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 징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현장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유, 무선(이동통신수단일체) 전송(그림파일, 동영상파일, 기타 암호화된 영상파일)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CCTV 카메라
20:관리자 단말기
30:관제 센터 서버

Claims (8)

  1. CCTV 카메라가, 할당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영상 생성 과정;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 징후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CCTV 카메라가, 관리자 단말기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전화콜,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발생시키는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 발생 과정;
    상기 이상 징후 감지 전화콜을 수신한 관리자 단말기가, 전화 통신 라인을 유지하며 안내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안내 음성 전송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감시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로 실시간으로 중계 전달하는 안내 음성 중계 과정; 및
    상기 스피커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안내 음성 출력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음성 출력 과정은,
    CCTV 및 IOT센서에서 통보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VOIP기능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설정한 그룹의 카메라에 이벤트 종류에 맞는 음성을 일괄 송출하는 과정;
    BLE SCANER를 통하여 BLE TAG의 소지자와 비소지자를 구분하여 설정된 조건의 이벤트 송출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 영역에 설치된 마이크가, 감시 영역의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주변 음성 입력 과정;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주변 음성을 상기 전화 통신 라인이 유지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변 음성 전송 과정;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주변 음성을 출력하는 주변 음성 출력 과정;
    을 포함하는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움직임의 발생이 감지되는 이벤트인 움직임 발생 감지 이벤트, 미리 설정된 사람의 금지 행위 형태가 감지되는 금지 행위 형태 감지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는, 이상 징후 이벤트 발생할 때의 감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CCTV 카메라는 상호간에 통신을 통하여 외부의 알람 이벤트를 공유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감시 영상내의 이상 징후 이벤트를 통해 파악되는 이상 징후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상 징후 레벨에 따라서 상기 육성 음성 또는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는 것은,
    상기 이상 징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녹음 음성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하며,
    상기 이상 징후 레벨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의 육성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CCTV 카메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은,
    상기 CCTV 카메라가, 상기 이상 징후 이벤트 검출될 때의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외부의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영상 전송 과정; 및
    상기 관제 센터 서버가, 상기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감시 영상을 검출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감시 영상 저장 과정;
    을 포함하는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KR1020180142829A 2018-11-19 2018-11-19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KR10206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29A KR102065785B1 (ko) 2018-11-19 2018-11-19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829A KR102065785B1 (ko) 2018-11-19 2018-11-19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785B1 true KR102065785B1 (ko) 2020-02-11

Family

ID=6956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829A KR102065785B1 (ko) 2018-11-19 2018-11-19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7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33Y1 (ko) 2004-09-13 2004-12-16 아프로미디어 (주)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1474790B1 (ko) * 2013-07-26 2014-12-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485022B1 (ko) * 2014-10-20 2015-01-21 에코아이넷 주식회사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7076201A (ja) * 2015-10-13 2017-04-20 株式会社プロテック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KR101786923B1 (ko) * 2017-05-15 2017-11-15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다목적 통합 운영 cctv 시스템
KR101882309B1 (ko) * 2017-06-05 2018-07-26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보안등 및 보안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33Y1 (ko) 2004-09-13 2004-12-16 아프로미디어 (주)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1474790B1 (ko) * 2013-07-26 2014-12-19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485022B1 (ko) * 2014-10-20 2015-01-21 에코아이넷 주식회사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7076201A (ja) * 2015-10-13 2017-04-20 株式会社プロテック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KR101786923B1 (ko) * 2017-05-15 2017-11-15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다목적 통합 운영 cctv 시스템
KR101882309B1 (ko) * 2017-06-05 2018-07-26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보안등 및 보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0837406B1 (ko)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872313B1 (ko) 적외선 카메라와 객체 추적이 가능한 성범죄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지능형 비상벨 시스템
KR101471846B1 (ko) Fx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 및 fx 보안 시스템 및 fx 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100997497B1 (ko) 자동감지/촬영기능을 구비한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US2006015259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ll-triggered image taking and send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851558B1 (ko)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
JP2011130271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
KR20110109147A (ko) 방범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4687B1 (ko) 불법촬영 보안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US20190096153A1 (en) Smart digital door 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70949Y1 (ko)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KR102065785B1 (ko) 사전 예방용 융복합 cctv 운영 방법
KR10194421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생활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73971B1 (ko) 다기능 방범카메라 통합방범 시스템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102313283B1 (ko) 영상 분석 기능을 탑재한 인공지능 다목적 비상벨 시스템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KR20150049595A (ko) 위급상황 경보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496948B1 (ko) 다기능 방범카메라 통합방범 시스템
KR100880428B1 (ko) 유비쿼터스 치안 시스템
JP2013005336A (ja) 監視装置、警備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