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566B1 -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566B1
KR101515566B1 KR1020140086959A KR20140086959A KR101515566B1 KR 101515566 B1 KR101515566 B1 KR 101515566B1 KR 1020140086959 A KR1020140086959 A KR 1020140086959A KR 20140086959 A KR20140086959 A KR 20140086959A KR 101515566 B1 KR101515566 B1 KR 10151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mera
control module
unit
recor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조기화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픽스
Priority to KR102014008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녹화부를 디지털 녹화장치를 이루는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카메라와 녹화부의 케이블 연결 작업없이 녹화장치를 천정면이나 벽면 또는 지지대를 통해 실외 및 실내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그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열림 이력, 그리고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열람시 그 열람 이력을 기록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감시영상에 대한 제 3 자의 불법 열람을 방지하면서, 디지털 녹화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Digital recording device of camera builtin type}
본 발명은 디지털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녹화장치 본체에 카메라와 녹화부를 일체로 구성하여, 카메라와 녹화부를 케이블로 연결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고, 디지털 녹화장치를 천정면이나 벽면 또는 지지대를 통해 야외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장, 전시장 등의 장소에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영상감시장치(CCTV)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감시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 10-0951801 호(공고일 2010.04.07), 등록특허공보 제 10-1107046 호(공고일 2012.0.25)에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 영상감시장치는 통상적으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감시대상지역에 설치되는 카메라(100),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녹화 저장하는 녹화부(예; DVR)(200), 그리고 상기 녹화부(200)에 녹화 저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처리부인 모니터(300)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영상저장부(200)에는 전원어댑터(4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카메라(100)와 녹화부(200)는 전원 및 영상처리용 케이블(C1)(C2)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영상감시장치에 포함되는 카메라(100)는 대부분 건물 내외부에 설치하고, 녹화부(200)는 상기 카메라(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건물내의 특정장소에 설치하게 되므로, 카메라(100)와 녹화부(200)를 전원 및 영상처리용 케이블(C1)(C2)로 연결시키는 설치작업이 수반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연결작업으로 인해 영상감시장치의 설치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영상감시장치의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영상감시장치는 전원 및 영상처리용 케이블(C1)(C2)을 통해 카메라(100)와 녹화부(200)를 연결시켜야 하므로, 그 설치위치가 극히 제한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 영상감시장치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무선통신망으로 카메라(100)와 녹화부(200)를 연결하여 유선라인의 연결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카메라(100)와 녹화부(200)가 분리된 각각의 독립된 제품군을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설치 위치는 무선통신망의 통신거리에 따라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카메라와 녹화부를 하나의 디지털 녹화장치 본체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와 녹화부의 케이블 연결 작업없이 녹화장치를 천정면이나 벽면 또는 지지대를 통해 실외 및 실내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암호화시킨 상태에서 녹화부에 녹화시키도록 구성하여,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감시영상에 대한 제 3 자의 불법 열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일체형 녹화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그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열림 이력, 그리고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열람시 그 열람 이력을 기록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내 정보들에 대한 보호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디지털 녹화장치에 대한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는, 도어와 돔부가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슬롯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내에 고정되고, 상기 돔부를 통해 외부를 감시하는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본체내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암호화시키는 제어모듈; 상기 본체내의 장착슬롯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암호화된 감시영상을 녹화하는 녹화부; 및, 상기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녹화부에 각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에는 암호화 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내장형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제어모듈로 출력하는 제 1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도어의 열림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외부 충격 또는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이를 제어모듈에 출력하는 제 2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본체에 가해진 충격 이력 또는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슬롯에는 상기 녹화부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제어모듈에 출력하는 제 3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녹화부의 탈부착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검색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검색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어모듈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제 1,2,3 센서의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감지정보가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때 경보음을 외부로 출력하게 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영상출력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영상출력단자는 메모리에 연결 구성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시 제 1,2,3 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라 기록된 정보 또는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을 임시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영상출력단자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녹화부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본체내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충방전용 배터리 또는 교체가 가능한 건전지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를 구성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입력부에 구성되는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는 천정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와 녹화부를 디지털 녹화장치를 이루는 하나의 본체에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카메라와 녹화부의 케이블 연결 작업없이 녹화장치를 천정면이나 벽면 또는 지지대를 통해 실외 및 실내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그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열림 이력, 그리고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열람시 그 열람 이력을 기록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감시영상에 대한 제 3 자의 불법 열람을 방지하면서, 디지털 녹화장치에 대한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 녹화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를 천정면에 설치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를 천정면에 설치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는 도어(11)와 돔부(12) 및 내부에 장착슬롯(13)이 형성된 본체(10)에 카메라(20)와 제어모듈(30) 및 녹화부(40), 전원부(50), 그리고 이에 더하여 경보음 출력부(60)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는 본체(10)내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15)가 구성됨은 물론,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6)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상기 도어(11)에는 상기 입력부(16)에 구성되는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부(17)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장착부(18)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부(18)는 천정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9)에 장착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본체(10)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돔부(12)를 통해 외부를 감시하는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본체(10)내에 장착 고정되는 제어보드에 실장된 것으로, 상기 카메라(20)의 촬영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암호화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모듈(30)에는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암호화하는 암호화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카메라(20)와 녹화부(40)의 동작상태, 그리고 전원부(50)에 의해 동작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암호화 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은 내장형 메모리(31)에 탑재되도록 하였다.
상기 녹화부(40)는 상기 본체(10)내의 장착슬롯(13)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3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대용량(예; 500GB)의 하드디스크로서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녹화하는 것이며, 녹화가 이루어지는 감시영상은 상기 제어모듈(30)에 의해 암호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도어(11)의 열림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모듈(30)로 출력하는 제 1 센서(S1)가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31)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도어(11)의 열림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외부 충격 또는 장착 고정된 본체(10)의 움직임(예; 장착 고정된 상태가 제 3 자에 의해 강제 분리되거나 외부 충격으로 장착 고정된 상태가 불량해지는 상태 등)을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는 제 2 센서(S2)가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모리(31)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본체(10)에 가해진 충격 이력 또는 본체(10)의 움직임에 따른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센서(S2)는 본체(10)의 장착부(18)가 고정프레임(19)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그 고정상태가 불량해질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해 구성하여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슬롯(13)에는 상기 녹화부(40)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는 제 3 센서(S3)가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모리(31)에는 상기 제어모듈(32)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녹화부(40)의 탈부착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3 센서(S3)는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녹화부(40)가 분리시키는 상태는 물론, 제 3 자에 의해 녹화부(40)가 장착슬롯(13)에서 강제 분리하는 상태 등, 상기 녹화부(40)가 장착슬롯(13)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모두 감지한 후 이를 제어모듈(30)에 제공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모듈(30)은 녹화부(40)의 분리 이력을 모두 상기 메모리(31)에 모두 기록하여 두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31)에는 상기 녹화부(40)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검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그 검색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본체(10)내에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20)와 상기 제어모듈(30) 및 상기 녹화부(40)에 각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또는 건전지일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60)는 상기 본체(10)내에서 상기 제어모듈(3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제 1,2,3 센서(S1)(S2)(S3)의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감지정보가 상기 제어모듈(30)로 출력되어,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때 경보음(예; 알람 또는 부저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이는 제 3 자에 의한 도어(11)의 강제열림이나 녹화부(40)의 강제 분리 또는 본체(10)에 대한 장착상태의 불량이나 분실 등에 대비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외부기기(예; 모니터)(500)가 연결되는 영상출력단자(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영상출력단자(14)는 메모리(31)에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된 것이며, 상기 메모리(31)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시 제 1,2,3 센서(S1)(S2)(S3)의 감지정보에 따라 기록된 정보 또는 녹화부(40)에 암호화되어 녹화된 감시영상을 임시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영상출력단자(14)를 통해 외부기기(5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천정면이나 벽면 등에 고정프레임(19)을 고정하여둔 상태에서, 디지털 녹화장치 본체(10)의 장착부(18)를 상기 고정프레임(19)에 고정하여, 상기 본체(10)를 천정면이나 벽면 등에 고정하여둔다.
그러면, 별도의 유선 전원라인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상기 본체(10)에 구성되는 카메라(20)는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충방전용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건전지 등으로 이루어진 전원부(5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으면서 돔부(12)를 통해 외부를 감시하는 촬영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은 제어모듈(30)에 의해 제어동작에 따라 암호화되고, 이렇게 암호화된 감시영상은 녹화부(4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녹화부(40)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인 바, 이로인해 상기 녹화부(40)는 상기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고해상도의 감시영상을 일정기간(예; 30일)동안 저장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녹화부(4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감시영상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영상출력단자(14)에 모니터와 같은 외부기기(500)를 연결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영상출력단자(14)는 메모리(31)에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관리자가 감시영상을 확인하고자 할 때, 상기 메모리(31)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시 상기 녹화부(40)에 암호화되어 녹화된 감시영상을 임시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영상출력단자(14)를 통해 외부기기(500)로 전송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천정면이나 벽면 등에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관리자에 의해 본체(10)의 도어(11)가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을 가지는 입력부(16)를 통해 잠금부(17)의 록킹이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열리거나, 또는 제 3 자에 의해 강제적인 열림이 이루어질 때 그 열림상태는 도어(11)측에 설치된 제 1 센서(S1)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제 1 센서(S1)에 의해 감지된 도어 열림의 이력정보는 제어모듈(30)의 내장형 메모리(31)에 바로 저장되므로, 관리자는 디지털 녹화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입력부(16)를 통해 잠금부(17)의 열림이 정상적으로 록킹해제되지 않고 제 3 자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록킹해제되는 경우, 상기 본체(10)에 구성되는 제어모듈(30)은 경보음 출력부(60)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0)에서는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면서, 본체(10)에 대한 외부의 비정상적인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보음 출력부(60)로부터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면, 그 경보음은 주변 사람들이 들을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비정상적으로 도어(11)를 열려고 하는 제 3 자의 침투를 중단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경비업체의 신속한 출동으로부터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천정면이나 벽면 등에 설치 고정되는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흔들려 고정프레임(19)에서 장착부(18)의 장착 고정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고정프레임(19)에 장착 고정된 장착부(18)의 고정상태가 제 3 자에 의해 강제 분리시, 본체(10)에 구성되는 제 2 센서(S2)는 이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모듈(30)에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어모듈(30)의 내장형 메모리(31)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동작에 따라 본체(10)에 가해진 충격 이력 또는 본체(10)의 움직임에 따른 이력을 기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 구성되는 제어모듈(30)은 경보음 출력부(60)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0)에서는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면서, 본체(10)의 제 3 자에 의한 강제 분리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장착 불량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고, 더불어 관리자는 상기 메모리(31)에 기록된 이력정보를 통해 본체(10)의 장착 상태가 불량인지 또는 정상적인지를 추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지털 녹화장치의 본체(10)에 마련되는 도어(11)에 잠금부(17)를 구성하거나 또는 잠금부(17)를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이 정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0)내의 장착슬롯(13)으로부터 녹화부(40)의 이탈이 정상 또는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이탈상태는 제 3 센서(S3)에 의해 감지된 후 제어모듈(3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모듈(30)은 내장형 메모리(31)에 상기 녹화부(40)의 이탈 이력을 기록하게 된다.
이때, 녹화부(40)의 이탈이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본체(10)에 구성되는 제어모듈(30)은 경보음 출력부(60)를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경보음 출력부(60)에서는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면서, 녹화부(40)에 대한 외부의 비정상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보음 출력부(60)로부터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면, 그 경보음은 주변 사람들이 들을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비정상적으로 녹화부(40)를 장착슬롯(1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 3 자의 행위를 중단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경비업체의 신속한 출동으로부터 녹화부(40)를 보호할 수 있고 그 이탈상태는 메모리(31)를 통해 관리자가 추후 확인하여 분실을 대비한 다른 보안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10)에 카메라(20)와 녹화부(40)를 구성하는 한편, 외부의 유선전원라인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특정장소 또는 구역에 디저털 녹화장치의 본체(10)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여 감시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본체(10)를 특정 공간이나 구역에 설치시 디지털 녹화장치 또는 녹화부(40)에 대한 분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안성을 강화함으로써, 별도의 모니터링 관리요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그 설치가 장애에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녹화부의 감시영상을 사고 발생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개인 사생활에 대한 보호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 11; 도어
12; 돔부 13; 장착슬롯
14; 영상출력단자 15; 방열부
16; 입력부 17; 잠금부
18; 장착부 19; 고정프레임
20; 카메라 30; 제어모듈
31; 메모리 40; 녹화부
50; 전원부 60; 경보음 출력부
500; 외부기기 S1,S2,S3; 센서

Claims (13)

  1. 도어와 돔부가 결합되고, 내부에 장착슬롯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내에 고정되고, 상기 돔부를 통해 외부를 감시하는 촬영동작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본체내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암호화시키는 제어모듈; 상기 본체내의 장착슬롯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암호화된 감시영상을 녹화하는 녹화부; 및, 상기 본체내에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녹화부에 각각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충방전용 배터리 또는 교체가 가능한 건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하는 제 1 센서와, 외부 충격 또는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모듈에 출력하는 제 2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장착슬롯에는 상기 녹화부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모듈에 출력하는 제 3 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어모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2,3 센서의 감지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감지정보가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때 경보음을 외부로 출력하게 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메모리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의 열림 이력과, 상기 제 2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본체에 가해진 충격 이력 또는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이력, 그리고 상기 제 3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녹화부의 탈부착 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입력부에 구성되는 생체정보 입력창 또는 입력버튼들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는 암호화 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내장형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의 검색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에 따라 검색이력을 기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영상출력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영상출력단자는 메모리에 연결 구성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동작시 제 1,2,3 센서의 감지정보에 따라 기록된 정보 또는 녹화부에 녹화된 감시영상을 임시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영상출력단자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부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내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는 천정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장착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KR1020140086959A 2014-07-10 2014-07-10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KR10151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59A KR101515566B1 (ko) 2014-07-10 2014-07-10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59A KR101515566B1 (ko) 2014-07-10 2014-07-10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566B1 true KR101515566B1 (ko) 2015-05-04

Family

ID=533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959A KR101515566B1 (ko) 2014-07-10 2014-07-10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87B1 (ko) * 2016-09-20 2017-04-28 주식회사 앤디솔루션 녹화기 일체형 카메라 장치
KR102069713B1 (ko) 2018-10-17 2020-01-23 주식회사 엠스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157A (ko) * 2004-09-22 2006-03-27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JP2013090318A (ja) * 2011-10-17 2013-05-13 Kenzo Nagai 録画一体型防犯用監視カメラ
KR101335647B1 (ko) * 2013-02-25 2013-12-03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저장장치 일체형 방범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157A (ko) * 2004-09-22 2006-03-27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JP2013090318A (ja) * 2011-10-17 2013-05-13 Kenzo Nagai 録画一体型防犯用監視カメラ
KR101335647B1 (ko) * 2013-02-25 2013-12-03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저장장치 일체형 방범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87B1 (ko) * 2016-09-20 2017-04-28 주식회사 앤디솔루션 녹화기 일체형 카메라 장치
KR102069713B1 (ko) 2018-10-17 2020-01-23 주식회사 엠스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4479B1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KR100809044B1 (ko)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KR101387469B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JP6266184B1 (ja) 監視システム
KR101533421B1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84625B1 (ko) 차량의 도난 경보 관리 장치
JP2011139278A (ja) 監視システム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566B1 (ko)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267094B1 (ko) 도난 방지를 위한 봉인 시스템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20000006661A (ko) 스테레오 비젼의 3차원 정보를 이용한 동작 검출기 및 그방법
EP3522123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
JP2000295598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6279416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180124361A1 (en) Identity association for security monitoring
JP2004302605A (ja) 自動販売機の防盗システム
JPH10222773A (ja) ビ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731387B1 (ko) 녹화기 일체형 카메라 장치
JP6287380B2 (ja) 防犯カメラ装置及び防犯カメラシステム
JP2003067869A (ja) 入出管理装置
JP548163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US9558650B2 (en) Surveillance method, surveillance apparatus, and mark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