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421B1 -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421B1
KR101533421B1 KR1020130058459A KR20130058459A KR101533421B1 KR 101533421 B1 KR101533421 B1 KR 101533421B1 KR 1020130058459 A KR1020130058459 A KR 1020130058459A KR 20130058459 A KR20130058459 A KR 20130058459A KR 101533421 B1 KR101533421 B1 KR 10153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intruder
camera
un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418A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102013005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2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2700/00Safes or accessories thereof
    • E05G2700/04Alarm devices, trapping mechanisms or similar devices for saf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의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금고에 침입자가 접근하면 이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알려주고, 또한, 과전류를 작동시켜 침입자가 금고를 쉽게 뜯어갈 수 없도록 하며, 그러함에도 금고를 탈취하여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위치추적이 가능토록하여 보다 빠른시간내에 금고를 되찾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용량 녹화장치에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에 충격이 전달되면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금고의 전원이나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상기 GPS 송신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으며, 또한 전기 충격부 작동 여부를 제공받고, 금고의 전원 또는 인터넷의 차단 여부를 제공받으며, 또한 상기 GPS 송신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인가받아 금고의 위치를 추적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The Safe Deposit Box Using Remote Contro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and Recording Unit Having Program Code for Computing Process}
본 발명은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고의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금고에 침입자가 접근하면 이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알려주고, 또한, 과전류를 작동시켜 침입자가 금고를 쉽게 뜯어갈 수 없도록 하며, 그러함에도 금고를 탈취하여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위치추적이 가능토록하여 보다 빠른시간내에 금고를 되찾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화재나 도난등에 의해서 중요한 서류 또는 귀중품등의 손상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기업체, 관공서, 은행등을 비롯한 각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는 실내 재치형, 벽체매입형, 지면매설형등으로 구분된다.
금고는 외부인이 쉽게 열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과 화재시에 높은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화성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하고, 금고문의 전면에 특별한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방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업체의 중요한 서류 또는 귀중품 및 개인의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금고들은 항상 도난 대상에 있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강화된 금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금고는 그 하중에 수 Kg 내지 수백 또는 수천 Kg의 중량을 갖는바, 일반적인 가정용 금고는 그 하중이 가볍기 때문에 도둑 등이 그냥 들고 도망가게 되면, 그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침입자가 금고를 탈취하거나 금고 속의 내용물을 편취할 용의로 금고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금고의 문을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이 울리며 경고등이 켜지도록 하여 금고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 도난 경고장치가 내장된 금고를 제공하는 장치가 안출되었으며, 상기 장치는 금고의 문을 개방하면 경고음이 울리며 경고등이 켜지도록 하거나 또는 금고를 들어 올리면 경고음이 울리며 경고등이 켜지도록 하는 2가지 모드 중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원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도난 경고장치가 내장된 금고를 제공한다.
즉, 등록특허 제 10-0679068호에는 이러한 기술이 잘 설명되어져 있는바,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과, 금고의 본체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스위치 또는 하면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도록 구성된 작동스위치와, 본체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며, 작동스위치와 연결된 이후에 덮개를 열면, 덮개의 일측에 상면스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돌출부가 덮개의 개방과 함께 누르고 있던 상태에서 떨어지면서 온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상면스위치와, 본체의 하면의 일측에 상면 스위치와 병렬로 설치되며, 작동스위치와 연결된 이후에 금고를 들어 올리면, 금고의 바닥면이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온되는 하면스위치와, 상면스위치, 하면스위치 및 직류전원과는 직렬로 연결되며, 상면스위치 또는 하면스위치 중의 어느 하나의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 상호 병렬 연결된 경고음발생부 및 경광등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본 발명은 금고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금고의 문을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이 울리며 경고등이 켜지도록 하여 금고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은 현금출납기와 같은 가벼운 형태의 금고를 도난으로부터 예방하는 효과 및 도난시 경보음과 경보등으로 이를 경보하여 도난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경보장치만을 이용한 금고 지킴 수단들은 촬영수단이 없어서 누가 금고에 접근하였는지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금고를 훼손하려고 시도할시에 적극적으로 방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침입자가 금고를 탈취하여 이동해버린 경우에는 금고를 다시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금고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금고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금고 외측에 전기 충격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입자가 터치하면 충격이 가하도록하고, 금고를 이동시에는 이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도록하여 사용자의 금고를 보호하고 빠른 시간내에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금고(1)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와; 상기 금고(1)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가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것을 파악하고, 침입자가 서서히 금고쪽으로 접근하여 기준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토록 유도하여 촬영 작동 준비를 유도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20)와; 상기 금고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의 근거리 접근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며, 외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초음파 센서부(30)와; 상기 카메라가 작동하면 금고의 내측이나 외측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메모리하는 대용량 녹화장치(4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금고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 센서부(50)와; 상기 금고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전원 또는 인터넷 차단을 감지하고, 전원 또는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문자메세지나 소리메세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감시부(60)와; 상기 금고의 외측에 설치되며 금고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부(70)와; 상기 금고의 몸체에 설치되며, 충격감지 센서부가 작동하면 순간 전기 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 충격부(8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동감지 센서에 의해서 금고의 이동이 감지되는 순간 주기적으로 금고의 위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S 모듈(90)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용량 녹화장치에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에 충격이 전달되면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금고의 전원이나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상기 GPS 송신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고의 비상상황시 경적 또는 빛을 통해 침입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11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으며, 또한 전기 충격부 작동 여부를 제공받고, 금고의 전원 또는 인터넷의 차단 여부를 제공받으며, 또한 상기 GPS 송신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인가받아 금고의 위치를 추적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감지 센서부(50)는, 수평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10)는, 금고의 내측이나 금고가 설치된 방에 설치되며, 또한 주위가 어두운 밤에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시 기능 또는 적외선 촬영 기능이 탑재되며,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가장 오래된 영상을 지우면서 최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또한, 침입자가 금고에 원거리에서 접근하면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를 센싱하는 단계(S10)와;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의 원거리 접근이 확인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침입자를 촬영하고 메모리하는 단계(S20)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여 초음파 센서에 의해서 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하고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S30)와; 침입자가 금고를 터치하면 충격감지 센서로 이를 파악하여 전기충격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단계(S40)와; 침입자가 금고를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면 유동감지센서로 파악하여 미리 저장된 단말기로 위치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침입자가 금고에 원거리에서 접근하면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를 센싱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코드와;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의 원거리 접근이 확인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침입자를 촬영하고 메모리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여 초음파 센서에 의해서 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하고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침입자가 금고를 터치하면 충격감지 센서로 이를 파악하여 전기충격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와; 침입자가 금고를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면 유동감지센서로 파악하여 미리 저장된 단말기로 위치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고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금고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하며, 아울러 금고 외측에 전기 충격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입자가 터치하면 충격이 가하도록하고, 금고를 이동시에는 이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송하도록하여 사용자의 금고를 보호하고 빠른 시간내에 되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고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고와 단말기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고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고와 단말기의 통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금고(1)의 내측이나 외측에 장착되어 금고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와;
상기 금고(1)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가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것을 파악하고, 침입자가 서서히 금고쪽으로 접근하여 기준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토록 유도하여 촬영 작동 준비를 유도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20)와;
상기 금고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의 근거리 접근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며, 외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초음파 센서부(30)와;
상기 카메라가 작동하면 금고의 내측이나 외측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메모리하는 대용량 녹화장치(4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금고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 센서부(50)와;
상기 금고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전원 또는 인터넷 차단을 감지하고, 전원 또는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문자메세지나 소리메세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감시부(60)와;
상기 금고의 외측에 설치되며 유동감지 센서가 동작하면 순간 전기 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 충격부(70)와;
상기 금고의 외측에 설치되며 금고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부(70)와;
상기 금고의 몸체에 설치되며, 충격감지 센서부가 작동하면 순간 전기 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 충격부(8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동감지 센서에 의해서 금고의 이동이 감지되는 순간 주기적으로 금고의 위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S 모듈(90)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에 충격이 전달되면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금고의 전원이나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상기 GPS 송신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고의 비상상황시 경적 또는 빛을 통해 침입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11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으며, 또한 전기 충격부 작동 여부를 제공받고, 금고의 전원 또는 인터넷의 차단 여부를 제공받으며, 또한 상기 GPS 송신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인가받아 금고의 위치를 추적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카메라(10)는 금고(1)의 내측과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바, 금고(1)의 내측에 설치되는 카메라(10)는 정면을 바라보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고의 외측에 설치되는 카메라(10)는 금고(1)가 설치되는 방의 일단에 설치하되 금고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카메라(10)의 작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2개의 침입자 움직임 감지용 센서를 탑재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센서(20)와 초음파 센서(30)를 탑재하였다. 상기 레이저 센서(20)는 비교적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바, 카메라(10)의 동작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이며, 초음파 센서(30)는 침입자가 근거리에 접근하면 금고의 내용물이나 도난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금고 사용자 단말기나 관리업체 단말기나 경찰서의 단말기에 촬영된 내용을 전송토록 유도한다.
즉, 상기 레이저 센서(20)에 의해서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침입자가 확인되면 카메라(10)에 전원을 통전시켜 촬영에 들어간다.
그리고, 침입자가 금고(1)에 더 접근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30)가 침입자를 감지하고 이때에는 촬영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금고에 미리 저장된 연락처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달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레이저 센서(20)와 초음파 센서(30)를 이용하여 카메라(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이유는 카메라(10)를 항시 구동할 때에는 전원의 계속적인 투입으로 인하여 전원낭비와 메모리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센서(20)에 의해서 원거리에서 수상한 사람이 출연한 경우에만 카메라(10)로 촬영하여 메모리하고, 이때에도 곧바로 퇴장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단지 참고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그치도록하며, 계속해서 침입자가 금고(1)에 접근하여 초음파 센서(30)에 의해서 확인된 경우에는 금고(1)의 침입우려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금고 사용자 또는 금고 관리업체 또는 경찰서 등에 실시간으로 침입자의 영상을 전달하여 금고 소유자가 금고의 침입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10)는 내부에 전원보조장치와 대용량 녹화장치(40)에 탑재되기 때문에 주전원 차단시에도 일정시간동안 녹화가 가능하며, 아울러 대용량 녹화장치(40) 용량이 부족할 시에는 가장 오래된 파일부터 제거하면서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플레시를 탑재하거나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야간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10)는 다수개 설치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침입자를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부(110)를 구성하는바, 상기 금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광등이나 일정한 알람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금고의 내부에 구성된 알람부(스피커 등)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알람부는 레이저 센서에 의해서 원거리에서 사람의 출현이 파악되면 동작할 수도 있고, 초음파 센서에 의해서 근거리에서 사람의 출현이 파악되면 동작할 수도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원거리에서 사람이 감지되면 단순히 촬영하여 대용량 녹화장치(40)에 저장만을 하고 근거리에 사람이 출현한 경우 카메라(10)로 촬영하여 메모리함과 동시에 외부로 촬영이미지를 전송하고 아울러 강력하게 경고음 또는 빛을 출력하여 침입자가 더이상 금고에 접근하는 것을 꺼려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고(1) 내부에 금고 유동감지 센서부(50)와, 전원감시부(6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금고 유동감지 센서부(50)는 금고의 위치가 수평 상태에서 변화됨에 따라 변화 정보가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수평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금고 유동감지 센서부(5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이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들이 이용되거나 이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감시부(60)는 금고(1)에 연결되는 메인전원이나 인터넷 전원이 차단될 경우 이를 감지하며, 금고 내부에 설치되는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감시업무를 연속적으로 진행하되 전원의 차단을 금고 사용자 또는 금고 관리업체 또는 경찰서 등에 알린다.
즉, 알람부(110)를 통해 계속적으로 알람을 침입자에게 통보함에도 불구하고 금고 본체를 통째로 훔치는 경우에는 금고(1)의 이송경로를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금고의 유동을 감지하는 금고 유동감지 센서를 장착한 것이다.
아울러, 충격감지 센서부(70)에 의해서 금고(1)의 충격이 파악된 경우에는 강력한 전기 충격부(80)를 가동하여 전기충격을 일정 시간단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금고 도난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경보음을 울리는 수동적인 방어체계 뿐만 아니라 전기 충격을 금고 도난자에게 가하는 적극적인 방어체계를 갖추어 금고를 도난하려는자가 포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에도 불구하고 금고를 도난한 경우에는 금고 유동감지 센서에 의해서 이를 파악하여 금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중계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GPS 모듈(90)을 금고에 설치하는바, 상기 GPS 모듈(80)은 금고의 유동을 금고 사용자나 관리업체, 또는 경찰서 등에 위급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이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GPS 모듈(90)이 탑재된 금고의 위치를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분석 및 계산함으로써, 현재 이동중인 금고의 위도와 경도를 계산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늘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있는데, GPS 모듈(90)은 적어도 GPS 위성 3개를 선택해서 전파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되는 데이터는 GPS 위성의 위치 및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GPS 위성에서 보낸 신호를 이용하여 금고(1)가 현재 제1 GPS 위성과 거리가 얼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 및 제3 GPS 위성에게서도 각각의 GPS 위성의 위치와 금고(1)가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GPS 위성을 중심으로 하고 제1 GPS 위성으로부터 계산한 금고(1)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하나 그릴 수 있다. 또한, 제2 GPS 위성을 중심으로 하고 제2 GPS 위성로부터 계산한 금고(1)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또 하나 그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GPS 위성을 중심으로 하고 제3 GPS 위성로부터 계산한 금고(1)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또 하나 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세 개의 원을 그리면 반드시 서로 교차하는 하나의 점을 찾을 수 있는데, 이 점의 위도와 경도나 현재 금고(1)가 있는 곳의 위도 및 경도가 된다. 이렇게 해서 찾아낸 위도 및 경도가 금고의 위치정보가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센서를 탑재하여 금고 또는 금고 주변을 경계하며 침입자가 금고를 탈취할 목적으로 접근하면 센서의 반응에 따라 순차적으로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레이저 센서에 의해서 원거리에서 침입자가 침투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카메라를 작동하여 침입자를 촬영하여 메모리하고, 이후 초음파 센서에 의해서 침입자의 근거리 유동이 감지되면 실시간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침입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단말기로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침입자가 금고에 충격을 가하면 충격감지 센서로 이를 파악하여 침입자에게 전기충격을 주도록하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금고를 탈취하면 GPS 모듈을 이용하여 금고의 위치변환을 미리 저장된 단말기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단말기와 제어부가 상호 통신을 하며, 단말기 금고의 전기 충격 가동을 해제하면 중단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금고의 개폐여부를 단말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동작이 진행된다.
침입자가 금고에 원거리에서 접근하면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를 센싱하는 단계(S10)와; 레이저 센서부로 침입자의 원거리 접근이 확인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침입자를 촬영하고 메모리하는 단계(S20)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여 초음파 센서에 의해서 탐지되면 경보음을 출력하고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S30)와; 침입자가 금고를 터치하면 충격감지 센서로 이를 파악하여 전기충격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단계(S40)와; 침입자가 금고를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면 유동감지센서로 파악하여 미리 저장된 단말기로 위치변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각종 센서를 통해 금고의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제어동작을 진행하게 되며, 이들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각종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레이저 센서부와, 초음파 센서부와, 충격감지 센서와, 금고 유동감지 센서부와, 카메라와, 전기 충격부와, GPS 모듈과, 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키며 GPS 모듈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의 작동에 따른 영상정보와 전기 충격부의 작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업체 단말기 또는 경찰서 단말기등에 통보하고, 영상정보는 대용량 녹화장치에 저장하며, 아울러 금고가 유동될 경우 GPS 모듈을 작동시켜 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경찰서의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서 금고의 도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센서 정보의 처리 흐름의 각 블록과 흐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드는 소프트웨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코드는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코드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코드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예로서 코드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코드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코드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코드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 도 있다.
1: 금고
10: 카메라
20: 레이저 센서부
30: 초음파 센서부
40: 대용량 녹화장치
50: 유동감지 센서부
60: 전원감시부
70: 진동감지 센서부
80: 전기 충격부
90: GPS 모듈
100: 제어부
110: 알람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5)

  1. 금고(1)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와;
    상기 금고(1)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가 원거리에서 접근하는 것을 파악하고, 침입자가 서서히 금고쪽으로 접근하여 기준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토록 유도하여 촬영 작동 준비를 유도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부(20)와;
    상기 금고의 외부에 장착되며 외부 침입자의 근거리 접근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며, 외부 침입자가 근거리로 접근하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초음파 센서부(30)와;
    상기 카메라가 작동하면 금고의 내측이나 외측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메모리하는 대용량 녹화장치(4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금고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 센서부(50)와;
    상기 금고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전원 또는 인터넷 차단을 감지하고, 전원 또는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문자메세지나 소리메세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감시부(60)와;
    상기 금고의 외측에 설치되며 금고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부(70)와;
    상기 금고의 몸체에 설치되며, 충격감지 센서부가 작동하면 순간 전기 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 충격부(80)와;
    상기 금고의 내부에 장착되며 유동감지 센서에 의해서 금고의 이동이 감지되는 순간 주기적으로 금고의 위치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S 모듈(90)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용량 녹화장치에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아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에 충격이 전달되면 전기 충격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금고의 전원이나 인터넷이 차단되면 이를 외부에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금고의 유동이 감지되면 상기 GPS 송신부를 통해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금고의 비상상황시 경적 또는 빛을 통해 침입자에게 경고하는 알람부(11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또한 유동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제공받으며, 또한 전기 충격부 작동 여부를 제공받고, 금고의 전원 또는 인터넷의 차단 여부를 제공받으며, 또한 상기 GPS 송신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인가받아 금고의 위치를 추적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10)는, 금고의 내측이나 금고가 설치된 방에 설치되며, 또한 주위가 어두운 밤에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시 기능 또는 적외선 촬영 기능이 탑재되며,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가장 오래된 영상을 지우면서 최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10)는 주전원 차단시에도 일정시간동안 녹화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전원보조장치와 대용량 녹화장치(40)에 탑재되고,
    상기 금고(1)에 연결되는 메인전원이나 인터넷 전원이 차단될 경우 연속적으로 전원감시부(60)의 감시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금고(1) 내부에 비상전원이 설치되며,
    상기 유동감지 센서부(50)는 금고의 위치가 수평 상태에서 변화됨에 따라 변화 정보가 출력되는 4개의 수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58459A 2013-05-23 2013-05-23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3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59A KR101533421B1 (ko) 2013-05-23 2013-05-23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59A KR101533421B1 (ko) 2013-05-23 2013-05-23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8A KR20140138418A (ko) 2014-12-04
KR101533421B1 true KR101533421B1 (ko) 2015-07-03

Family

ID=5245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59A KR101533421B1 (ko) 2013-05-23 2013-05-23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11A (ko) * 2019-01-11 2020-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5783A (zh) * 2015-07-09 2015-10-14 梁波 一种防盗档案保险柜
CN204899589U (zh) * 2015-08-25 2015-12-23 关国安 保险柜用移动侦测装置
KR101699883B1 (ko) * 2016-03-16 2017-01-25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침입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는 무인 경비 장치,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N106223780A (zh) * 2016-09-27 2016-12-14 常熟理工学院 一种基于单片机的智能保险箱报警系统
CN107448095A (zh) * 2017-08-17 2017-12-08 哈尔滨万融云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面向银行专用钞箱的物联网智能系统及其工作方法
CN110045766A (zh) * 2019-04-24 2019-07-23 上海宝临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箱体智能监控识别系统
CN110206447A (zh) * 2019-05-20 2019-09-06 李贺清 无人值守银行保险柜系统
CN111489488A (zh) * 2020-04-09 2020-08-04 山东圣点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尾款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91A (ko) * 2003-06-27 2003-07-10 주식회사 에스원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46646A (ja) * 2003-11-14 2005-06-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貴重品保管装置及び保管装置管理サーバ
KR20060003565A (ko) * 2004-07-06 2006-01-11 손영석 도둑을 체포시키는 금고
KR101213748B1 (ko) * 2010-08-19 2012-12-18 주식회사 에스원 투입식 이중 금고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91A (ko) * 2003-06-27 2003-07-10 주식회사 에스원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46646A (ja) * 2003-11-14 2005-06-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貴重品保管装置及び保管装置管理サーバ
KR20060003565A (ko) * 2004-07-06 2006-01-11 손영석 도둑을 체포시키는 금고
KR101213748B1 (ko) * 2010-08-19 2012-12-18 주식회사 에스원 투입식 이중 금고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11A (ko) * 2019-01-11 2020-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250B1 (ko) * 2019-01-11 2021-03-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8A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21B1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87469B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CN105459954B (zh) 一种汽车报警方法及装置
KR101038913B1 (ko) 도난예방 알림 및 위치추적 시스템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7052583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778069B1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금고 동작 감시 시스템
US10748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JP475285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ノード、固定ノード、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139343A (ja) 防犯システム
KR20090004424U (ko)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US9818291B2 (en) System arm notification based on BLE position
US20110316682A1 (en)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of a vehicle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JP2014113866A (ja) 状態監視システム、状態監視方法、状態検知装置、および状態検知プログラム
CN107067635A (zh) 一种多模块控制机器人
US20150314753A1 (en) Portable, self-contained anti-theft alarm system for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JP2007312209A (ja) 据付型カメラの盗撮防止装置
US11417214B2 (en) Vehicle to vehicle security
KR2016009060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경보시스템 및 방법
CN109074710B (zh) 闭路电视机顶盒防盗方法及装置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WO2017099262A1 (ko) 영상화면비교부를 갖는 cctv 시스템 관리방법
KR20150004569U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