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791A -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791A
KR20030059791A KR1020030042379A KR20030042379A KR20030059791A KR 20030059791 A KR20030059791 A KR 20030059791A KR 1020030042379 A KR1020030042379 A KR 1020030042379A KR 20030042379 A KR20030042379 A KR 20030042379A KR 20030059791 A KR20030059791 A KR 2003005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ignal
intrusion
data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김철현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3004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791A/ko
Publication of KR2003005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며, 주요 위치에 설치한 연무발생장치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원격으로 연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원격 전송받아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와;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발생시 해당 경비대상처 내에서 캡쳐된 침입 영상정보를 원격 전송받아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측으로의 경비대상처 침입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캡쳐용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그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영상을 통해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침입시 상기 출동 단말기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고, 동시에 그 침입 영상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침입상황 관제시 도난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니터 및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내장된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며, 주요 위치에 설치한 연무발생장치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원격으로 연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2차 산업이 중심이 되었던 산업사회가 점차 지식 기반의 정보화사회로 변천됨에 따라서 그 과도기적인 사회변화에 의해 고실업률, 고물가, 저금리, 빈부격차 등의 역작용 잉태물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중 빈부격차와 고실업률은 각종 범죄에 노출된 사회풍토를 만들었으며, 이러한 사회속에서 개인의 안전 및 사유 재산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보안 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키게 하였다.
보안 산업의 역사는 개인의 안전 및 사유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사병 등이 존재했던 역사까지 거슬러 올라간 사회에서도 존재하였던 바, 최근에는 각종 전자 통신장비의 활성화에 의해 보안 시스템에 구성된 보안장비가 첨단화되었으며, 이러한 보안장비를 무력화시키는 범죄 장비 역시 첨단화되어 창과 방패같은 기능으로서, 지속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안시스템은 도난이나 침입감지를 행하는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신호가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보안센터로 원격 송신되어 출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도난이나 침입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각종 경고음이 발생되고, 경광등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외부와의 경계구간인 창문이나 문에 설치하여 일정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등이 있는 바, 이러한 감지 센서는 외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설정되어져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져 있다. 또한, 경광등이나 경고음의 발생은 침입자로 하여금 침입후 도난 행위시의 판단력을 순간 흐리게 함으로써 출동요원이 현장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사유재산의 약탈 행위가 더 많이 진행될 수 없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보안 시스템에서 감지센서를 이용한 출동시스템은 센서의 오동작에 의한 오보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어서, 실제로 출동한 후 확인하게 되면 침입상황이 아닌 경우가 매우 많음으로 인해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매우 컸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문제점은 출동요원의 경각심을 저해시키는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 시스템에서 경광등이나 경고음은 시청각적으로 침입자의 판단력을 순간적으로 통제할 수 있으나, 그 정도에 있어서 청각이 완전히 통제되지 않고, 시각 역시 경광등이 발생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그 통제효과가 매우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침입자에 대한 보다 확실한 통제 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며, 주요 위치에 설치한 연무발생장치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원격으로 연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침입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여 요원의 출동을 지시함과 동시에 해당 캡쳐 화상이나 경비대상처 침입정보를 원격의 가입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침입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침입 감지신호 발생시 출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특정 위치에 설치한 2차 도난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연무가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원격 보안관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보안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원격 보안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Dn:제1∼제N 보안단말기, C1∼Cn:출동단말기,
A1∼An:고객모바일 단말기, RSMS:원격 보안관제서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원격 전송받아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와;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발생시 해당 경비대상처 내에서 캡쳐된 침입 영상정보를 원격 전송받아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측으로의 경비대상처 침입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캡쳐용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그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영상을 통해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침입시 상기 출동 단말기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고, 동시에 그 침입 영상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침입상황 관제시 도난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니터 및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내장된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각종 모드설정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보안 단말기로 연무 발사 제어신호를 관제사가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촬상카메라 및 마이크를 매개하여 인가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처리부와;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및 가입자 신상정보, 가입자 모바일 단말기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부와; 침입신호 발생시 기등록된 고객핸드폰으로 SMS 및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고객 핸드폰 접속부와; 관제사가 상기 보안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통해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관제용 모니터와; 상기 관제용 모니터를 통해 관제사가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출동신호를 발생하면, 최근거리의 출동요원 위치를 파악하여 발생한 해당 출동단말기의 코드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출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동신호 발생부와; 상시 상기 촬상 카메라를 통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을 자동으로 순회하여 상기 관제용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 자동 영상순회부와; 가입자의 신상정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전화번호 정보, 가입자 핸드폰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DB와; 침입신호 발생시 독취된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 DB와; 침입상황 발생시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출동한 출동정보를 시간, 장소, 가입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출동정보 DB와;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캡쳐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고객의 핸드폰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핸드폰 정보 DB와; 상기 보안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하여 침입신호를 전송받으며, 촬상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면서 침입상황을 관제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기등록된 출동단말기 및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출동 지령신호와 침입상황, 촬상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관제사의 연무 발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안 단말기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가 보안단말기에 구비된 동작 제어버튼을통해 외출모드를 설정하면, 그 외출모드 설정정보를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원격 영상순회가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를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하고 원격 영상순회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해당 외출모드 설정정보가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되어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가 기등록된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영상순회를 행하는 과정과; 그 상황에서, 상기 침입 감지부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 단말기로 인가되는 과정과; 그 보안 단말기는 마이크, 촬상 카메라, 비상램프를 구동시키며, 스피커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촬상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상기 보안 단말기에 해제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 촬상카메라, 비상램프 및 스피커의 구동을 해제하는 과정과;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출동 단말기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에 상기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에서 촬상 카메라를 통한 원격 관제시 해당 침입자가 도난 행위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단말기에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연무발생기에서 연무를 발사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2차 도난신호의 발생시 자동으로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와;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감지 신호 및 음성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출동 단말기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제 N 보안단말기는 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감지센서, 접촉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경비대상처로의 침입자 1차 침입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기와; 안방이나 금고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나 접촉센서로 구성되어 도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도난 감지기와; 경비대상처 침입시 발생되는 음성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마이크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외출모드, 외출해제모드, 침입 상황통보 모드, 전원 오프모드, 비밀번호 재설정 모드 등을 조작하기 위한 동작제어버튼과; 침입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침입자에게 1차 경고를 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구동부와;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기등록된 경고 안내방송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와;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피커구동부와; 경비대상처 의 안방이나 금고 등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침입상황후 2차적으로 상기 도난감지기에서 도난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기와; 연무발생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연무발생 구동부와;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영상데이터 필터링 및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되고,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따른 제어신호 테이블이 저장되고, 상기 동작 제어버튼에로부터 발생된 코드신호에 따른 모드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안내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침입감지기로부터 침입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 및 비상램프를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기저장된 경고 안내음성데이터를 독취하여 스피커를 매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난감지기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연무발생기에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그 상황에서, 침입 감지부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침입 감지신호가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과정과; 원격 보안관리서버에서 출동단말기로 출동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그 보안 단말기가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 비상램프를 구동시키며, 스피커를 통해 기저장된 경고 안내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안방이나 금고등의 주요지점에 설치된 도난감지부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단말기가 자동으로 연무를 발사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캡쳐하여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관제중인 요원이 해당 침입감지 신호의 오동작 여부를 음성으로 확인하는 과정과; 그 확인시 현재 상황이 응급상황이라고 판단하면, 관제사는 상기 보안 단말기측으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며, 주요 위치에 설치한 연무발생장치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원격으로 연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침입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화상을 촬상하고,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아 침입상황을 원격 관제센터에서 정확하게 인식하여 요원의 출동을 지시함과 동시에 해당 캡쳐 화상 및 경비대상처 침입정보를 원격의 가입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침입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는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원격 전송받아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가 제공된다.
또한,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C1∼Cn)가 제공된다.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로부터 침입신호 발생시 해당 경비대상처 내에서 캡쳐된 침입 영상정보를 원격 전송받아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측으로의 경비대상처 침입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MEX)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로부터 침입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캡쳐용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그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영상을 통해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침입시 상기 출동 단말기(C1∼Cn)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고, 동시에 그 침입 영상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침입상황 관제시 도난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로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니터 및 데이터베이스(DB1, DB2)가 각각 내장된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2 데이터베이스(DB1, DB2)에는 고객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및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정보, 고객의 선택 옵션정보, 출동단말기(C1∼Cn)의 자동 호출 프로그램 등이 내장되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침입 감지부(10)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 단말기(D1∼Dn)로 인가되면, 그 보안 단말기(D1∼Dn)는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20)를 구동시키고, 촬상 카메라(40)를 구동시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고 동시에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며, 스피커(60)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예컨대, 현재 침입상태이며, 출동요원이 출동중에 있습니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촬상카메라(40) 및 마이크(20)를 통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데이터는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되어 관제중인 요원이 해당 침입감지 신호의 오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며, 그 확인시 실제 침입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출동 단말기(C1∼Cn)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상기 고객 단말기(A1∼An)에 상기 촬상 카메라(40)를 통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화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에서 촬상 카메라(40)를 통한 원격 관제시 해당 침입자가 도난 행위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측으로 연무 발사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보안 단말기(D1∼Dn)는 상기 연무발생기(70)에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발사되어 침입자의 도난 행위를 일정시간 통제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원격 보안관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원격 보안관제서버(RSMS)는 그 내부에 인터페이스부, 키입력부, 음성/영상 데이터처리부, 가입자 관리부, 고객 핸드폰 접속부, 관제용 모니터, 출동신호 발생부, 자동 영상순회부, 가입자 정보 DB, 음성/영상 데이터 DB, 출동정보 DB, 가입자 핸드폰 정보 DB,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200은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2는 각종 모드설정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보안 단말기(D1∼Dn)로 연무 발사 제어신호를 관제사가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4는 상기 촬상카메라(40) 및 마이크(20)를 매개하여 인가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처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6은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및 가입자 신상정보, 가입자 모바일 단말기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08은 침입신호 발생시 기등록된 고객핸드폰으로 SMS 및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고객 핸드폰 접속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10은 관제사가 상기 보안 단말기(D1∼Dn)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통해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관제용 모니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2는 상기 관제용 모니터(210)를 통해 관제사가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여 키입력부(202)를 통해 출동신호를 발생하면, 최근거리의 출동요원 위치를 파악하여 발생한 해당 출동단말기(C1∼Cn)의 코드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출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동신호 발생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4는 상시 상기 촬상 카메라(40)를 통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을 자동으로 순회하여 상기 관제용 모니터(210)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 자동 영상순회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6a는 가입자의 신상정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전화번호 정보, 가입자 핸드폰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16b는 침입신호 발생시 독취된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6c는 침입상황 발생시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출동한 출동정보를 시간, 장소, 가입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출동정보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6d는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캡쳐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고객의 핸드폰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핸드폰 정보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18은 상기 보안 단말기(D1∼Dn)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하여 침입신호를 전송받으며, 촬상 카메라(40) 및 마이크(20)를 통해 캡쳐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면서 침입상황을 관제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기등록된 출동단말기(C1∼Cn) 및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 출동 지령신호와 침입상황, 촬상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관제사의 연무 발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안 단말기(D1∼Dn)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218)는 가입자가 보안단말기(D1∼Dn)에 구비된 동작 제어버튼(30)을 통해 외출모드를 설정하면, 그 외출모드 설정정보를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하여 원격 영상순회가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를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하고 원격 영상순회를 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보안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보안단말기(D1∼Dn)는 침입감지기(10), 마이크(20), 동작 제어버튼(30), 영상촬상부(40: 촬상 카메라), 비상램프(50), 램프 구동부(52), 스피커(60), 스피커 구동부(62), 연무발생기(70), 연무발생 구동부(72), 데이터 송/수신부(90), 데이터 저장부(80), 제어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입감지기(10)는 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감지센서, 접촉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경비대상처로의 침입자 침입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이며, 마이크(20)는 경비대상처 침입시 발생되는 음성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버튼(30)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D1∼Dn)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외출모드, 외출해제모드, 침입 상황통보 모드, 전원 오프모드, 비밀번호 재설정 모드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상부(40)는 경비대상처 의 주요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침입감지기(10)에 의한 침입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경비대상처 의 영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비상램프(50)는 침입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침입자에게 1차 경고를 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램프이며, 상기 램프 구동부(52)는 상기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또, 상기 스피커(60)는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기등록된 경고 안내방송을 출력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스피커 구동부(62)는 스피커(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상기 연무발생기(70)는 경비대상처 의 주요지점에 설치되어 침입상황후 2차적으로 도난 상황의 우려가 있을 때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무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연무발생 구동부(72)는 그 연무발생기(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90)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수단이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80)는 영상데이터 필터링 및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되고,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따른 제어신호 테이블이 저장되고, 상기 동작 제어버튼(30)에로부터 발생된 코드신호에 따른 모드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할 안내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침입감지기(10)로부터 침입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20) 및 비상램프(50)를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80)로부터 기저장된 경고 안내음성데이터를 독취하여 스피커(60)를 매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영상 촬상부(40)를 자동으로 스위칭하여 캡쳐된 영상을 필터링과 압축과정을 통해 원격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가입자가 동작 제어버튼(30)을 통해 외출모드를 설정하면, 그 외출모드 설정정보를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하여 원격 영상순회가 가능하도록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D1∼Dn)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면, 해당 외출모드 설정정보가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되어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에기등록된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영상순회를 행한다. 영상 순회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로 원격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촬상부(40)를 원격으로 구동시켜 경비대상처 의 침입여부를 관제사의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제 1 단계: ST-1).
그 상황에서, 상기 침입 감지부(10)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 단말기(D1∼Dn)로 인가되면(제 2 단계: ST-2), 그 보안 단말기(D1∼Dn)는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20)를 구동시키고, 촬상 카메라(40)를 구동시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고 동시에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며, 스피커(60)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예컨대, 현재 침입상태이며, 출동요원이 출동중에 있습니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제 3 단계: ST-3).
동시에, 상기 촬상카메라(40) 및 마이크(20)를 통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데이터는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되어 관제중인 요원이 해당 침입감지 신호의 오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한다(제 4,5 단계: ST-4,5).
그 확인시 실제 침입상황이 아닌 기기 오동작으로 관제사가 판단하면, 관제사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에 해제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 촬상카메라, 비상램프 및 스피커의 구동을 해제한다(제 6,7 단계: ST-6,7).
반면에, 그 확인시 실제 침입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출동 단말기(C1∼Cn)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동시에 상기 고객 단말기(A1∼An)에 상기 촬상 카메라(40)를 통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화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제 8 단계: ST-8).
또한,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에서 촬상 카메라(40)를 통한 원격 관제시 해당 침입자가 도난 행위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측으로 연무 발사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보안 단말기(D1∼Dn)는 상기 연무발생기(70)에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발사되어 침입자의 도난 행위를 일정시간 통제하도록 한다(제 9, 10, 11 단계: ST-9, 10, 11).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한 이상 침입 감지신호 발생시 출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특정 위치에 설치한 2차 도난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연무가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침입자의 시야를 완전 차단시키도록 하여 출동요원이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침입행위 이외의 도난 행위를 행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촬상 카메라(40)를 통해 경비대상처 의 영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원격 보안관제서버(RSMS)에서 원격으로 연무발사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연무발생기(70)를 금고나 안방 등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여 금고나 안방에 설치된 접촉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침입신호가 발생되면 자동으로 연무가 발사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는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2차 도난신호의 발생시 자동으로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가 제공된다.
또한,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C1∼Cn)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D1'∼Dn')로부터 침입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출동 단말기(C1∼Cn)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 보안 관리서버(RSMS')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2 데이터베이스(DB1, DB2)에는 고객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및 고객의 선택 옵션정보, 출동단말기(C1∼Cn)의 자동 호출 프로그램 등이 내장되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에서 원격 보안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보안통제 시스템에서 보안단말기(D1'∼Dn')는 침입감지기(10), 도난감지기(12), 마이크(20), 동작 제어버튼(30), 비상램프(50), 램프 구동부(52), 스피커(60), 스피커 구동부(62), 연무발생기(70'), 연무발생 구동부(72'), 데이터 송/수신부(90), 데이터 저장부(82), 제어부(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입감지기(10)는 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감지센서, 접촉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경비대상처로의 침입자 1차 침입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이며, 도난감지기(12)는 안방이나 금고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나 접촉센서로 구성되어 도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감지기를 나타낸다.
마이크(20)는 경비대상처 침입시 발생되는 음성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버튼(30)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D1∼Dn)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외출모드, 외출해제모드, 침입 상황통보 모드, 전원 오프모드, 비밀번호 재설정 모드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비상램프(50)는 침입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침입자에게 1차 경고를 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램프이며, 상기 램프 구동부(52)는 상기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또, 상기 스피커(60)는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기등록된 경고 안내방송을 출력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스피커 구동부(62)는 스피커(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상기 연무발생기(70')는 경비대상처 의 안방이나 금고 등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침입상황후 2차적으로 상기 도난감지기(12)에서 도난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연무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연무발생 구동부(72')는 그 연무발생기(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90)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수단이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80)는 영상데이터 필터링 및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되고,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따른 제어신호 테이블이 저장되고, 상기 동작 제어버튼(30)에로부터 발생된 코드신호에 따른 모드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할 안내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침입감지기(10)로부터 침입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20) 및 비상램프(50)를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80)로부터 기저장된 경고 안내음성데이터를 독취하여 스피커(60)를 매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난감지기(12)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연무발생기(70')에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수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침입 감지부(10)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 단말기(D1∼Dn)로 인가되면, 그 보안 단말기(D1∼Dn)는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20)를 구동시키고,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며,스피커(60)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예컨대, 현재 침입상태이며, 출동요원이 출동중에 있습니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 침입신호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를 매개로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RSMS)로 전송되어 관제중인 요원이 상기 출동 단말기(C1∼Cn)에 출동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안방이나 금고 등의 주요장소에 설치된 상기 도난감지기(12)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보안 단말기(D1'∼Dn')는 해당 주요장소에 설치된 연무발생기(70')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발생되도록 제어하여 침입자의 도난 행위를 일정시간 통제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고객 단말기(A1∼An)에 해당 도난정보를 부가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관제사는 도난감지기(12)로부터의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보안 단말기(D1'∼Dn')를 통해 전송된 음성신호를 판단하여 연무가 발생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D1'∼Dn')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보안 단말기(D1'∼Dn')는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제 20 단계: ST-20).
그 상황에서, 상기 침입 감지부(10)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단말기(D1'∼Dn')로 인가되면(제 21 단계: ST-21), 그 보안 단말기(D1'∼Dn')는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2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비상램프(50)를 구동시키며, 스피커(60)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예컨대, 현재 침입상태이며, 출동요원이 출동중에 있습니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제 22 단계: ST-22).
동시에, 상기 마이크(20)를 통한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는 상기 원격 보안 관리서버(RSMS')로 전송되어 관제중인 요원이 해당 침입감지 신호의 오동작 여부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제 23 단계: ST-23).
그 확인시 현재 상황이 응급상황이라고 판단하면, 관제사는 상기 보안 단말기(D1'∼Dn')측으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제 24 단계: ST-24).
또한, 관제사가 침입상황이라고만 판단한 상태에서, 상기 도난 신호가 안방이나 금고등의 주요지점에 설치된 도난감지부(12)로부터 인가되면(제 25 단계: ST-25), 상기 보안 단말기(D1'∼Dn')는 자동으로 연무를 발사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그 도난정보를 상기 원격 보안관리서버(RSMS')로 전송하여 고객 단말기로 도난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제 26,27 단계: ST-26,2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외출상황시 경비대상처 침입정보에 따라 각종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캡쳐하여 원격 관제를 행할 수 있으며, 도난상황으로 판단될 때 원격으로 연무 발생기를 제어함으로써 침입자의 시각을 출동시간동안 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요 지점에 연무발생기를 설치하여 안방이나 금고등에 설치한 도난감지기가 2차적으로 작동하면 자동으로 연무가 발사되도록 함으로써 주요지점에 대한 침입자 접근시 침입자의 시각을 출동시간동안 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원격 전송받아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와;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신호 발생시 해당 경비대상처 내에서 캡쳐된 침입 영상정보를 원격 전송받아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측으로의 경비대상처 침입 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캡쳐용 카메라를 구동시키며, 그 카메라를 통해 캡쳐된 영상을 통해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침입시 상기 출동 단말기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고, 동시에 그 침입 영상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침입상황 관제시 도난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니터 및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내장된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는 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각종 모드설정 키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보안 단말기로 연무 발사 제어신호를 관제사가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촬상카메라 및 마이크를 매개하여 인가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처리부와;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및 가입자 신상정보, 가입자 모바일 단말기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부와; 침입신호 발생시 기등록된 고객핸드폰으로 SMS 및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고객 핸드폰 접속부와; 관제사가 상기 보안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통해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관제용 모니터와; 상기 관제용 모니터를 통해 관제사가 경비대상처 침입상황을 판단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출동신호를 발생하면, 최근거리의 출동요원 위치를 파악하여 발생한 해당 출동단말기의 코드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출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동신호 발생부와; 상시 상기 촬상 카메라를 통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을 자동으로 순회하여 상기 관제용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 자동 영상순회부와; 가입자의 신상정보, 가입자의 경비대상처 위치정보, 전화번호 정보, 가입자 핸드폰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DB와; 침입신호 발생시 독취된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영상 데이터 DB와; 침입상황 발생시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출동한 출동정보를 시간, 장소, 가입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출동정보 DB와;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캡쳐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고객의 핸드폰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핸드폰 정보 DB와; 상기 보안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하여 침입신호를 전송받으며, 촬상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면서 침입상황을 관제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기등록된 출동단말기 및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출동 지령신호와 침입상황, 촬상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관제사의 연무 발생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안 단말기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입자가 보안단말기에 구비된 동작 제어버튼을 통해 외출모드를 설정하면, 그 외출모드 설정정보를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원격 영상순회가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를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하고 원격 영상순회를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4.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해당 외출모드 설정정보가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되어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로 자동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가 기등록된 원격 영상순회 대상 경비대상처 정보를바탕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영상순회를 행하는 과정과;
    그 상황에서, 상기 침입 감지부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보안 단말기로 인가되는 과정과;
    그 보안 단말기는 마이크, 촬상 카메라, 비상램프를 구동시키며, 스피커를 통해 기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촬상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캡쳐된 경비대상처 내의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상기 보안 단말기에 해제신호를 발생하여 마이크, 촬상카메라, 비상램프 및 스피커의 구동을 해제하는 과정과;
    관제사의 키조작에 의해 출동 단말기에 출동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에 상기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에서 촬상 카메라를 통한 원격 관제시 해당 침입자가 도난 행위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안 단말기에 연무 발생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연무발생기에서 연무를 발사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
  5.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침입신호 발생시 경광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감지신호 발생시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을 캡쳐하여 원격 전송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2차 도난신호의 발생시 자동으로 연무 발생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발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경비대상처 내에 설치된 제 1∼제 N 보안 단말기와;
    출동요원의 차량이나 경찰청에 유무선망을 매개하여 출동 지시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출동정보 표시수단이 구비된 제 1∼제 N 출동단말기와;
    상기 제 1∼제 N 보안 단말기로부터 침입감지 신호 및 음성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출동 단말기를 매개로 출동지령을 하달하기 위한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N 보안단말기는 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 충격감지센서, 접촉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경비대상처로의 침입자 1차 침입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침입감지기와; 안방이나 금고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나 접촉센서로 구성되어 도난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도난 감지기와; 경비대상처 침입시 발생되는 음성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마이크와;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외출모드, 외출해제모드, 침입 상황통보 모드, 전원 오프모드, 비밀번호 재설정 모드 등을 조작하기 위한 동작제어버튼과; 침입신호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침입자에게 1차 경고를 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구동부와; 침입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스위칭되어 기등록된 경고 안내방송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와;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피커구동부와; 경비대상처 의 안방이나 금고 등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침입상황후 2차적으로 상기 도난감지기에서 도난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기와; 연무발생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연무발생 구동부와;데이터통신망에 대해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며, 해당 데이터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영상데이터 필터링 및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되고, 상기 원격 보안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따른 제어신호 테이블이 저장되고, 상기 동작 제어버튼에로부터 발생된 코드신호에 따른 모드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안내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침입감지기로부터 침입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마이크 및 비상램프를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기저장된 경고 안내음성데이터를 독취하여 스피커를 매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난감지기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연무발생기에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7. 가입자가 보안 단말기의 모드설정을 통해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그 상황에서, 침입 감지부로부터 침입상태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침입 감지신호가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과정과;
    원격 보안관리서버에서 출동단말기로 출동 지령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그 보안 단말기가 경비대상처 내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마이크, 비상램프를 구동시키며, 스피커를 통해 기저장된 경고 안내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안방이나 금고등의 주요지점에 설치된 도난감지부로부터 도난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단말기가 자동으로 연무를 발사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캡쳐하여 원격 보안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관제중인 요원이 해당 침입감지 신호의 오동작 여부를 음성으로 확인하는 과정과;
    그 확인시 현재 상황이 응급상황이라고 판단하면, 관제사는 상기 보안 단말기측으로 연무발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연무가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방법.
KR1020030042379A 2003-06-27 2003-06-27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9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379A KR20030059791A (ko) 2003-06-27 2003-06-27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379A KR20030059791A (ko) 2003-06-27 2003-06-27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791A true KR20030059791A (ko) 2003-07-10

Family

ID=3222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379A KR20030059791A (ko) 2003-06-27 2003-06-27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79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06B1 (ko) * 2005-08-01 2007-03-09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101008707B1 (ko) * 2010-08-23 2011-01-17 한빛디엔에스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와 지그비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도난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1263B1 (ko) * 2010-09-30 2012-04-12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자가 원격 자동감시 시스템
WO2013176526A1 (ko) * 2012-05-25 2013-11-28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방법
KR101435264B1 (ko) * 2012-08-09 2014-09-25 장의섭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KR101533421B1 (ko) * 2013-05-23 2015-07-03 주식회사 선일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11369756A (zh) * 2020-04-07 2020-07-03 无锡海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数据的智慧安防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06B1 (ko) * 2005-08-01 2007-03-09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방법
KR101008707B1 (ko) * 2010-08-23 2011-01-17 한빛디엔에스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와 지그비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도난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1263B1 (ko) * 2010-09-30 2012-04-12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자가 원격 자동감시 시스템
WO2013176526A1 (ko) * 2012-05-25 2013-11-28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방법
KR101387469B1 (ko) * 2012-05-25 2014-04-22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KR101435264B1 (ko) * 2012-08-09 2014-09-25 장의섭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KR101533421B1 (ko) * 2013-05-23 2015-07-03 주식회사 선일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11369756A (zh) * 2020-04-07 2020-07-03 无锡海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数据的智慧安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47B1 (ko) 감시 시스템
US8552863B2 (en) Integrated mobile identification system with intrusion system that detects intruder
US20070182543A1 (en) Intelligent Home Security System
US20060117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on-based security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11790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US9818290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merits of an alert signal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030059791A (ko)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보안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6686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200188880Y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20090100841A (ko) 빈 영업점의 자가 무인방범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9539A (ko) 인공지능 방범시스템
CN106842331A (zh) 具有紧急求助功能的手持金属探测器及金属探测方法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KR20010088971A (ko) 최첨단 방범 시스템
EP2698773A1 (en) An intruder alarm system and a method of arming an intruder alarm system
KR200203248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JP200407056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321417B1 (ko) 침입자 퇴치 기능을 가지는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U230328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охраны недвижимого имущества
KR20050005139A (ko)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102095154B1 (ko) 비상벨과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112 비상벨 호출 시스템
KR101131263B1 (ko) 자가 원격 자동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