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250B1 -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50B1
KR102224250B1 KR1020190004148A KR20190004148A KR102224250B1 KR 102224250 B1 KR102224250 B1 KR 102224250B1 KR 1020190004148 A KR1020190004148 A KR 1020190004148A KR 20190004148 A KR20190004148 A KR 20190004148A KR 102224250 B1 KR102224250 B1 KR 10222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unauthorized
seat
locker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611A (ko
Inventor
쿤 웨이
정연주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10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으로서,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로커(Locker)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의 의자에 설치되는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로커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만이 해당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에 설치된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고 관리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배치되는 다수의 의자에 대한 불특정인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폭력 방지 센서 및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로커에 강제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여 파괴하는 등의 행동에 대한 경보를 울려 파손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앙 통제 장치에서 의자의 위치 변경이나 도난을 쉽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의자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 SYSTEM FOR PREVENTING USE OF UNAUTHORIZED CHAIR OF BASED IOT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의 의자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이나 기차, 또는 카페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고객이 착석할 수 있는 의자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영화관이나 기차의 의자는 고객이 구매하여 발행한 티켓에 좌석 번호가 표시되고, 고객은 자신의 티켓에 표시된 좌석 번호를 찾아 의자에 착석하게 된다. 즉, 영화관이나 기차의 티켓을 구매한 고객은 지정된 의자에만 착석할 수 있고, 타인이 무단으로 착석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나, 일부 사용자들의 경우 티켓에 지정된 의자에 착석하지 않고 다른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가 생겨 영화관이나 기차에서의 혼선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페와 같은 장소에서는 카페 내부 또는 테라스 주위로 테이블과 함께 고객이 착석할 수 있는 다수의 의자를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들은 카페를 이용하는 고객이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카페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이 몰래 착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경우 카페를 이용하는 정당한 고객들이 의자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공간이 부족한 카페와 같은 장소에서 의자의 무단 사용은 카페 영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카페의 외부 테라스에 배치되는 의자의 경우 도난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887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은 관람석 회동 조절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복수의 관람석 의자가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기립 또는 도복되도록 하는 편의성에 한정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의자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로커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만이 해당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에 설치된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고 관리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배치되는 다수의 의자에 대한 불특정인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폭력 방지 센서 및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로커에 강제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여 파괴하는 등의 행동에 대한 경보를 울려 파손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앙 통제 장치에서 의자의 위치 변경이나 도난을 쉽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의자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은,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으로서,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로커(Locker)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의 의자에 설치되는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의자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로커의 잠금 또는 풀림의 구동을 위한 로커 구동부;
상기 중앙 통제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상기 로커 구동부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로커의 잠금이 풀림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상기 로커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폭력 방지 센서; 및
상기 폭력 방지 센서의 감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경보를 울리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의자 도난 방지를 위한 GPS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는,
의자에 설치되어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되, 잠금 상태에서는 의자의 시트에 앉을 수 없도록 시트를 가로 질러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풀림 상태에서는 의자의 손잡이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에 착석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는,
봉 형태의 구조로서, 수축하는 다단 형태로 구성하되, 로커의 말단에는 컵이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홀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작동하는 서브 모터; 및
상기 서브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스핀 롤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력 방지 센서는,
상기 로커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의자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의 외부에는 가방을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홀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통제 장치는,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
상기 바코드 인식 장치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 및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1) 중앙 통제 장치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2) 중앙 통제 장치가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해당하는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3) 해당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가 상기 단계 (2)를 통해 전송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로커(Locker);
상기 로커의 잠금 또는 풀림의 구동을 위한 로커 구동부;
상기 중앙 통제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상기 로커 구동부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로커의 잠금이 풀림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상기 로커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폭력 방지 센서; 및
상기 폭력 방지 센서의 감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경보를 울리는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의자 도난 방지를 위한 GPS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는,
의자에 설치되어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되, 잠금 상태에서는 의자의 시트에 앉을 수 없도록 시트를 가로 질러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풀림 상태에서는 의자의 손잡이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에 착석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는,
봉 형태의 구조로서, 수축하는 다단 형태로 구성하되, 로커의 말단에는 컵이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홀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커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 하에 작동하는 서브 모터; 및
상기 서브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스핀 롤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력 방지 센서는,
상기 로커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는,
의자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의 외부에는 가방을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홀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통제 장치는,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
상기 바코드 인식 장치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 및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로커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만이 해당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에 설치된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고 관리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배치되는 다수의 의자에 대한 불특정인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폭력 방지 센서 및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로커에 강제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여 파괴하는 등의 행동에 대한 경보를 울려 파손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앙 통제 장치에서 의자의 위치 변경이나 도난을 쉽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의자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로커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대한 로커 잠금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대한 로커 잠금 풀림의 해제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로커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대한 로커 잠금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대한 로커 잠금 풀림의 해제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10)은,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 및 중앙 통제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로커(Locker)(11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의자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무단으로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서 비용을 지불한 사용자만이 의자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커(110)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설치되어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되, 잠금 상태에서는 의자의 시트에 앉을 수 없도록 시트를 가로 질러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풀림 상태에서는 의자의 손잡이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에 착석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로커(110)는 봉 형태의 구조로서, 수축하는 다단 형태로 구성하되, 로커(110)의 말단에는 컵이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홀드(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커(110)의 구조는 최대한 고객이 의자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홀드(111)에 휴대하고 있는 컵이나 우산의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커(110)는 홀드(111)의 사용이 필요 없는 경우, 로커(110)의 수축하는 다단 형태의 구조를 최소의 길이로 수축시켜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로커(11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110)는 스핀 롤(122)을 통해서 로커(110)의 위치가 540도로 조절 가능하고, 고객이 자리에 앉은 후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의자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로커(110)의 잠금 또는 풀림의 구동을 위한 로커 구동부(120)와, 중앙 통제 장치(2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0)와,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로커 구동부(120)의 구동 제어를 통해 로커(110)의 잠금이 풀림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로커 구동부(120)는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의 구동 제어 하에 작동하는 서브 모터(121)와, 서브 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스핀 롤(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로커 구동부(120)의 서브 모터(121)는 로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스핀 롤(12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로커 구동부(120)의 서브 모터(121)는 로커(110)의 다단 형태의 구조를 수축 또는 신장시킬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폭력 방지 센서(150)와, 폭력 방지 센서(150)의 감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경보를 울리는 알람 장치(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폭력 방지 센서(150)는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 도난 방지를 위한 GPS 장치(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GPS 장치(170)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를 등록 관리하는 중앙 통제 장치(200)에 의해 관리되고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즉, GPS 장치(170)의 측정 관리되는 위치의 변경 시에 중앙 통제 장치(200)에 의해 위치 추적됨으로써 도난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 장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손잡이 고정 장치(180)의 외부에는 가방을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홀드(18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고정 장치(180)는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은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의 형태에 따라서 고객이 선택 가능하며, 옵션 개념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방 홀드(181)는 손잡이 고정 장치(180)의 외부 끝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최대한 의자를 편하게 앉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200)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의 의자에 설치되는 로커(110)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중앙 통제 장치(200)는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들의 고유 식별 번호를 등록 관리하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가 설치된 의자들에 대한 자리사용 허가, 손상 감지, 도난 감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들과 알람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한 경보 발생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10)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220)와, 바코드 인식 장치(220)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230)와,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중앙 통제 장치가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10), 중앙 통제 장치가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해당하는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S120), 및 무단 사용 방지 장치가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중앙 통제 장치(200)를 포함하는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10)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중앙 통제 장치(200)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통제 장치(200)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의 의자에 설치되는 로커(110)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200)는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들의 고유 식별 번호를 등록 관리하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가 설치된 의자들에 대한 자리사용 허가, 손상 감지, 도난 감시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들과 알람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한 경보 발생이 연동된다.
단계 S120에서는, 중앙 통제 장치(200)가 단계 S110을 통해 생성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해당하는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통제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10)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220)와, 바코드 인식 장치(220)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230)와,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해당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가 단계 S120을 통해 전송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로커(110)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110)와 로커 구동부(120)와 무선통신부(130)와 제어부(140)와 폭력 방지 센서(150)와 알람 장치(160)와 GPS 장치(170)와 손잡이 고정 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들에 각각 설치되고, 고유 식별 번호가 할당되어 중앙 통제 장치(200)에 등록 관리될 수 있다. 이때,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는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의자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로커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단 사용 방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만이 해당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의자에 설치된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고 관리하는 중앙 통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영화관, 기차, 카페 등과 같이 비용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배치되는 다수의 의자에 대한 불특정인의 무단 사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폭력 방지 센서 및 알람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로커에 강제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여 파괴하는 등의 행동에 대한 경보를 울려 파손 발생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특히,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중앙 통제 장치에서 의자의 위치 변경이나 도난을 쉽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의자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100: 무단 사용 방지 장치
110: 로커
111: 홀드
120: 로커 구동부
121: 서브 모터
122: 스핀 롤
130: 무선통신부
140: 제어부
150: 폭력 방지 센서
160: 알람 장치
170: GPS 장치
180: 손잡이 고정 장치
181: 가방 홀드
200: 중앙 통제 장치
210: 무선통신부
220: 바코드 인식 장치
230: 퍼스널 컴퓨터(PC)
240: 알람 장치
S110: 중앙 통제 장치가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S120: 중앙 통제 장치가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해당하는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S130: 무단 사용 방지 장치가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로커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는 단계

Claims (20)

  1.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10)으로서,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로커(Locker)(110)를 구비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 및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고객의 의자에 설치되는 로커(110)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할 수 있도록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중앙 통제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의자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로커(110)의 잠금 또는 풀림의 구동을 위한 로커 구동부(120)와, 상기 중앙 통제 장치(2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0)와,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상기 로커 구동부(120)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로커(110)의 잠금이 풀림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상기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폭력 방지 센서(150)와, 상기 폭력 방지 센서(150)의 감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경보를 울리는 알람 장치(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 도난 방지를 위한 GPS 장치(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로커 구동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구동 제어 하에 작동하는 서브 모터(121)와, 상기 서브 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스핀 롤(12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10)는,
    의자에 설치되어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되, 잠금 상태에서는 의자의 시트에 앉을 수 없도록 시트를 가로 질러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풀림 상태에서는 의자의 손잡이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에 착석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10)는,
    봉 형태의 구조로서, 수축하는 다단 형태로 구성하되, 로커(110)의 말단에는 컵이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홀드(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폭력 방지 센서(150)는,
    상기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 장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180)의 외부에는 가방을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홀드(181)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 장치(200)는,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10);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220);
    상기 바코드 인식 장치(220)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230); 및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11.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 및 중앙 통제 장치(200)를 포함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10)의 제어 방법으로서,
    (1) 중앙 통제 장치(200)가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2) 중앙 통제 장치(200)가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해당하는 의자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에 전송하는 단계; 및
    (3) 해당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가 상기 단계 (2)를 통해 전송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로커(110)의 잠금을 풀림으로 해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특정 장소에 배치되는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며, 무단으로 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로커(Locker)(110)와, 상기 로커(110)의 잠금 또는 풀림의 구동을 위한 로커 구동부(120)와, 상기 중앙 통제 장치(2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30)와,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에 대응한 상기 로커 구동부(120)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로커(110)의 잠금이 풀림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자리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사용자가 무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잠금 상태의 상기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폭력 방지 센서(150)와, 상기 폭력 방지 센서(150)의 감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경보를 울리는 알람 장치(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 도난 방지를 위한 GPS 장치(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로커 구동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의 구동 제어 하에 작동하는 서브 모터(121)와, 상기 서브 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스핀 롤(12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10)는,
    의자에 설치되어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유지하되, 잠금 상태에서는 의자의 시트에 앉을 수 없도록 시트를 가로 질러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풀림 상태에서는 의자의 손잡이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에 착석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10)는,
    봉 형태의 구조로서, 수축하는 다단 형태로 구성하되, 로커(110)의 말단에는 컵이나 우산을 담을 수 있는 홀드(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폭력 방지 센서(150)는,
    상기 로커(110)에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는,
    의자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손잡이 고정 장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 고정 장치(180)의 외부에는 가방을 거치할 수 있는 가방 홀드(181)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 장치(200)는,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10);
    자리사용 허가를 받기 위한 고객이 갖고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리사용 허가를 인증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장치(220);
    상기 바코드 인식 장치(220)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인증 처리하고, 해당 의자의 자리사용 허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PC)(230); 및
    상기 의자들 각각에 설치되는 무단 사용 방지 장치(100)의 알람 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004148A 2019-01-11 2019-01-11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48A KR102224250B1 (ko) 2019-01-11 2019-01-11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48A KR102224250B1 (ko) 2019-01-11 2019-01-11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11A KR20200087611A (ko) 2020-07-21
KR102224250B1 true KR102224250B1 (ko) 2021-03-08

Family

ID=7183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148A KR102224250B1 (ko) 2019-01-11 2019-01-11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8818A1 (en) * 2004-12-14 2006-06-29 Douglas Stitt Seat lock
KR101533421B1 (ko) * 2013-05-23 2015-07-03 주식회사 선일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46866B1 (ko) * 2014-05-16 2015-08-28 주식회사 이에스 이동식 교통안전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8818A1 (en) * 2004-12-14 2006-06-29 Douglas Stitt Seat lock
KR101533421B1 (ko) * 2013-05-23 2015-07-03 주식회사 선일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46866B1 (ko) * 2014-05-16 2015-08-28 주식회사 이에스 이동식 교통안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11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820B2 (en) Locking device biometric access
US11928694B2 (en) System providing self-service access to locked merchandise
JP3222110B2 (ja) 個人識別フォブ
US2010026303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8060753B2 (en) Biometric platform radio identification anti-theft system
KR20140030140A (ko) 자립형 생체 인증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76550B2 (en) Authentication-capable apparatus and security system
JP2003271565A (ja) 本人認証システム、本人認証端末、読取装置および本人認証方法
EP1228433A1 (en) Security arrangement
KR102224250B1 (ko) IoT 기반 무단 의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150320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US20030014642A1 (en) Security arrangement
JP2005148982A (ja) 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情報取得装置、認証サーバ装置、ユーザ情報取得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
JP5796337B2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101905022B1 (ko) 보안이 강화된 자전거용 지문인식 잠금장치
JP2008248651A (ja) ロッカー装置
JP200515092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20230418924A1 (en) Execution device, instruction device, method executed by same, and computer program
US11887131B2 (en) System providing self-service access to locked merchandise
KR102437263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경비해제 미스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비 해제 미스 방지 시스템
JP2005248545A (ja) 入退館管理システム
JP3600469B2 (ja) 盗難防止機能付き設備及びセキュリティ装置
WO202314912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5314932A (ja) 入退室デバイスおよびアクセスコード記録装置
JP2005222211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