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564A -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564A
KR20200117564A KR1020190039856A KR20190039856A KR20200117564A KR 20200117564 A KR20200117564 A KR 20200117564A KR 1020190039856 A KR1020190039856 A KR 1020190039856A KR 20190039856 A KR20190039856 A KR 20190039856A KR 20200117564 A KR20200117564 A KR 20200117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failure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sig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537B1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102019003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3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71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involving logging of persistent data for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6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 is memory or memory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대상체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장애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대상체의 장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대상체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DEVICE FOR MANAGING FAULT AND SYSTEM FOR MANAGING FAUL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과 같은 영상 감시 시스템은 현대 사회에서 범죄 예방, 교통 안전, 또는 시설 보안 등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CCTV는 도로, 교통 및 주요 시설물의 외곽 경계, 우범지역 감시 등 다양한 응용 영역에 따라 성능, 형태 등이 다른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전국에 수십만 대에 이르는 CCTV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도 대다수의 CCTV가 오프라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장애를 탐지하고 이를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어려운 보안장비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안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어려운 대상체에 장애 관리 장치를 체결하고,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해서 장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이용해서 대상체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를 연동시켜 음영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용이하게 수집하고,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해서 음역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의 장애를 복구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장애 관리 시스템은 대상체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장애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는, 상기 대상체의 재부팅 신호, 상기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의 재부팅 신호, 또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기기의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LoRa(Long Rang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LoRa 통신 모듈은, 상기 충격감지데이터를 상기 장애 관리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RS232, RS485, 또는 USB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대상체와 접속되어 장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 장애 관리 장치, 상기 제1 장애 관리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장애 관리 장치, 그리고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3 장애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에서 탐지된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장애 관리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의 무선통신 가능영역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애 관리 서버는, 상기 장애신호의 수신 이력, 상기 대상체의 장애 원인, 상기 장애복구데이터의 전송 이력, 또는 상기 대상체의 복구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대상체의 관리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애 관리 장치는 대상체에 체결되어 상기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는 유선통신포트, 그리고 상기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복구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는, 상기 대상체의 재부팅 신호, 상기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의 재부팅 신호, 또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기기의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포트를 선택 받는 입력포트 변경 단자, 그리고 상기 입력포트 변경 단자의 입력포트 선택에 의해 RS232, RS485, 또는 USB 중 어느 하나로 통신포트를 변경하는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어려운 대상체에 장애 관리 장치를 체결하고,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Lora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함으로써, 원거리에 배치되는 대상체의 장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대상체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를 연동시켜 음영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집하고, 음역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여 복구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호를 분석해서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재부팅 신호를 통해 대상체 및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를 재부팅 함으로써, 간단한 장애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장애 수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체의 장애를 모니터링하되,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대상체의 도난을 방지하고, 대상체의 고의 손상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에 전달함으로써,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대상체간 시간정보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장애를 복구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장애원인을 진단하여 대상체를 재부팅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시간정보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배치된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복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배치된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복구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장애 관리 시스템(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대상체(20), 장애 관리 장치(100), LoRa 통신망(200), 장애 관리 서버(300), 그리고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에 체결되고,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상체(20)는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장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상체(20)는 CCTV(Closed Circuit TV: 폐쇄회로 TV),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 음향 장치,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등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20)가 녹화기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DVR이나 NVR 등의 녹화기 형태 및 종류와 관계없이 녹화기 자체의 장애 및 녹화기에 연결된 장애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DVR이나 NVR의 녹화기 자체가 판단하는 영상신호불량, 녹화중지, 하드디스크 장애, 네트워크 장애 등을 감지한다. 그리고, 복수의 카메라들이 NVR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애가 발생된 채널을 인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로부터 수집된 장애신호를 LoRa 통신망(200)을 통해서 장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장애 관리 서버(300)는 장애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진단한다. 이때, 장애 관리 서버(300)는 장애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해서 향후에 발생될 장애를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20)가 DVR인 경우, 하드디스크 장애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하드디스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향후에 발생될 기능상 장애 등을 예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복구할 수 있는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장애신호를 송신한 장애 관리 장치(100)로 장애복구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장애복구데이터는 대상체(20)의 재부팅 신호, 상기 대상체(20)와 연결된 기기의 재부팅 신호, 또는 상기 대상체(20)와 상기 기기의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대상체(20)의 장애신호의 수신 이력, 대상체(20)의 장애 원인, 상기 장애복구데이터의 전송 이력, 또는 대상체(20)의 복구 이력 등을 관리자 단말(400)에 전달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서 대상체(20)의 장애 여부, 장애 이력 및 복구 이력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격감지데이터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감지데이터는 대상체에 충격이 발생된 시간 정보, 충격이 발생된 위치 정보, 그리고 충격의 크기와 같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들을 연동시켜 음영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집하고, 음역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여 복구하고, 통신상의 이유 또는 보안상의 이유로 인한 장애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 및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LoRa 통신망(200)을 통해서 원거리에 배치되는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장애가 발생된 대상체(20)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제공해서 장애를 복구함으로써,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장비들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복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장애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유선통신포트(110),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120), 무선 통신 모듈(130), 충격센서(140), 위치센서(150), 저장모듈(160), 그리고 배터리부(170)를 포함한다.
유선통신포트(110)는 대상체(20)에 체결되는 통신포트를 포함한다. 유선통신포트(11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입력 포트(112) 및 제2 입력 포트(114)를 포함한다.
제1 입력 포트(112)는 USB 통신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 관리 장치(100)는 USB 통신포트를 통해서 대상체(20)에 체결되고,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입력 포트(114)는 RS232 또는 RS485 통신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애 관리 장치(100)는 RS232 또는 RS485 통신포트를 통해서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포트를 통해서 대상체(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포트를 변경한다.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1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입력포트 변경 단자(122)를 포함한다.
입력포트 변경 단자(122)는 장애 관리 장치(100)의 하우징부(미도시)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입력포트 변경 단자(122)는 사용자로부터 대상체(20)와 연결될 입력포트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포트 변경 단자(420)를 통해서 입력포트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1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포트에 따라 RS232, RS485, 또는 USB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로 통신포트를 변경한다.
무선 통신 모듈(130)은 장애 관리 서버(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0)은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130)은 LoRa(Long Range), 와이파이(Wi-Fi), LTE-M, 3G(generation) 이동통신망,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및 5G(generation)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모듈(13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LoRa 통신 모듈(132)을 포함한다.
LoRa 통신 모듈(132)은 LoRa 통신망(200)을 통해서 대상체(20)에서 수집된 장애정보를 장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LoRa 통신 모듈(132)은 장애 관리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장애복구데이터를 LoRa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유선통신포트(110)를 통해서 장애복구데이터를 대상체(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와 USB 통신포트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장애정보를 LoRa 통신 모듈(132)을 통해서 장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장애정보를 기초로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서 Lora 통신 모듈(132)로 전송한다.
충격센서(140)는 대상체(20)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충격센서(140)에서 생성된 충격감지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충격감지데이터를 LoRa 통신 모듈(132)을 통해 장애 관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위치센서(150)는 장애 관리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150)는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한다.
저장모듈(160)은 장애 관리 장치(100)에 수집되는 각종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160)은 유선통신포트(110)에서 수집되는 대상체(20)의 장애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모듈(160)은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복구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충격센서(140)에서 생성되는 충격감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모듈(160)은 위치센서(150)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170)는 장애 관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종료되어도 배터리부(17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에 장애가 발생되어 대상체(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부(17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서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장애를 복구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대상체(20)에 체결된 장애 관리 장치(100)가 상기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탐지한다(S102). 여기서, 대상체(20)는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장비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CCTV(Closed Circuit TV: 폐쇄회로 TV),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 음향 장치,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등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탐지된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무선으로 전달한다(S104).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장애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진단한다(S106).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상기 장애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상기 장애신호를 송신한 장애 관리 장치(10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S108, S110). 이때, 대상체(20)의 장애가 장애복구데이터를 통해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장애 관리 서버(300)는 장애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장애 알람 메시지와 장애 원인을 관리자 단말(400)에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장애복구데이터를 대상체(20)에 제공한다. 대상체(20)는 장애복구데이터를 기초로 장애를 복구하고, 복구 결과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통보한다(S112).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장애원인을 진단하여 대상체를 재부팅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장애신호를 탐지하고, 탐지된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S202).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20)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장애복구데이터를 수신한다(S204).
이때, 장애복구데이터가 재부팅 신호인 경우, 대상체(20) 또는 대상체(20)와 연결된 기기들은 수신된 재부팅 신호를 이용해서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다(S206).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장애를 복구한 경우에 장애 복구 결과를 장애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210, S212).
하지만, 장애 관리 장치(100)는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를 통해서 대상체(20)의 장애를 복구하지 못한 경우에, 장애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애 알람 메시지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보고한다(S214).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대상체(20)에 체결된 장애 관리 장치(100)를 통해서 대상체(20)의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02).
그리고, 대상체(20)에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장애 관리 장치(100)에 내장된 충격센서(140)가 상기 대상체(20)의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S304, S306). 여기서, 충격감지데이터는 대상체에 충격이 발생된 시간 정보, 충격이 발생된 위치 정보, 그리고 충격의 크기와 같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충격감지데이터를 저장모듈(160)에 저장한다(S308).
또한, 장애 관리 장치(100)는 LoRa 통신 모듈(132)를 통해서 상기 충격감지데이터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S3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장애를 모니터링하되, 대상체(20)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대상체(2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20)가 어린이집 등과 같은 장소에서 CCTV가 연결된 NVR이나 DVR인 경우, NVR이나 DVR에 체결된 장애 관리 장치(100)의 충격센서(140)에서 NVR이나 DVR에서 발생된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생성된 충격감지데이터는 NVR이나 DVR의 고의 손상에 의한 분쟁 등에서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대상체의 시간정보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402).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100)는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시간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되는 시간동기화 정보를 대상체(20)에 전달한다(S404, S406).
대상체(20)가 수신된 시간동기화 정보를 기초로 시간 정보를 보정하고(S408), 장애 관리 장치(100)는 대상체(20)의 위치정보와 함께 대상체(20)의 보정된 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S41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에 전달함으로써,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대상체간 시간정보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대상체(20)가 무정전 전원장치(UPS)인 경우,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체결된 장애 관리 장치(100)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502).
그리고, 무정전 전원장치(UPS)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S504), 장애 관리 장치(100)는 무정전 전원장치(UPS)로부터 상기 고장에 대한 장애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S506).
장애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장애신호를 기초로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고장이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서 상기 장애 관리 장치(100)에 전송한다(S508).
그리고, 장애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전달한다. 또한, 장애 관리 장치(100)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장애 복구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 복구에 실패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제공한다(S5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장애를 모니터링하고 간단한 장애의 경우 장애복구데이터를 통해서 복구함으로써,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배치된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복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는 장애 관리 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 상기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 그리고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는 장애 관리 서버(300)의 무선통신 가능영역(X)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는 장애 관리 서버(300)의 무선통신 가능영역(X)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는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는 장애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를 수신환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는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상기 장애 신호를 송신한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배치된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복구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시스템(10)은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가 음영지역에 배치된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한다(S602). 이때,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는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의 장애신호를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음영지역은 장애 관리 서버(300)의 무선통신 가능영역(X)을 벗어나는 지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는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로부터 수신된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제공한다(S604).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장애신호를 기초로 상기 장애신호를 최초로 송신한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를 식별하고,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가 체결된 대상체(20)를 식별한다(S606). 이때, 장애 관리 서버(300)는 상기 장애신호를 발생시킨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때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신호를 최초로 송신한 장애 관리 장치 및 대상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대상체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S608, S610). 예를 들어, 장애 관리 서버(300)는 장애신호가 수신되는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이와 역순으로 장애복구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 관리 서버(300)는 상기 장애복구데이터가 상기 전송 경로를 기초로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에 전송한다(S612). 예를 들어,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는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 및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를 거쳐서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애복구데이터를 수신한 제3 장애 관리 장치(100c)는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이용해서 대상체의 장애를 복구하고, 장애 복구 결과를 제1 장애 관리 장치(100a) 및 제2 장애 관리 장치(100b)를 통해서 장애 관리 서버(300)에 전달한다(S61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어려운 대상체에 장애 관리 장치를 체결하고,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Lora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함으로써, 원거리에 배치되는 대상체의 장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대상체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애 관리 장치를 연동시켜 음영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집하고, 음역지역에 배치된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여 복구함으로써,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신호를 분석해서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재부팅 신호를 통해 대상체 및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를 재부팅 함으로써, 간단한 장애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장애 수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체의 장애를 모니터링하되,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저장하거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대상체의 도난을 방지하고, 대상체의 고의 손상에 의한 분쟁을 예방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에 전달함으로써, 보안상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대상체간 시간정보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대상체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장애복구데이터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장애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대상체의 장애 원인을 진단하고, 상기 장애 원인을 복구하기 위한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를 생성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는,
    상기 대상체의 재부팅 신호, 상기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의 재부팅 신호, 또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기기의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LoRa(Long Range)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LoRa 통신 모듈은,
    상기 충격감지데이터를 상기 장애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RS232, RS485, 또는 USB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대상체와 접속되어 장애신호를 수신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 동기화 정보를 대상체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1 장애 관리 장치,
    상기 제1 장애 관리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장애 관리 장치, 그리고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3 장애 관리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에서 탐지된 장애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장애 관리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장애복구데이터를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제2 장애 관리 장치 또는 상기 제3 장애 관리 장치는,
    상기 장애 관리 서버의 무선통신 가능영역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장애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장애 관리 서버는,
    상기 장애신호의 수신 이력, 상기 대상체의 장애 원인, 상기 장애복구데이터의 전송 이력, 또는 상기 대상체의 복구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대상체의 관리자 단말에 전달하는 장애 관리 시스템.
  10. 대상체에 체결되어 상기 대상체의 장애신호를 수신하는 유선통신포트, 그리고
    상기 장애신호를 장애 관리 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장애복구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장애 관리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장애복구데이터는,
    상기 대상체의 재부팅 신호, 상기 대상체와 연결된 기기의 재부팅 신호, 또는 상기 대상체와 상기 기기의 업데이트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애 관리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장애 관리 서버로부터 시간 동기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장애 관리 장치.
  13. 제10항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포트를 선택 받는 입력포트 변경 단자, 그리고
    상기 입력포트 변경 단자의 입력포트 선택에 의해 RS232, RS485, 또는 USB 중 어느 하나로 통신포트를 변경하는 입력포트 스위칭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애 관리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대상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해서 충격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충격센서
    를 더 포함하는 장애 관리 장치.
KR1020190039856A 2019-04-04 2019-04-04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228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56A KR102288537B1 (ko) 2019-04-04 2019-04-04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856A KR102288537B1 (ko) 2019-04-04 2019-04-04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564A true KR20200117564A (ko) 2020-10-14
KR102288537B1 KR102288537B1 (ko) 2021-08-09

Family

ID=7284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856A KR102288537B1 (ko) 2019-04-04 2019-04-04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7518A (zh) * 2022-02-15 2022-05-31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设备状态的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04731B1 (ko) * 2020-12-01 2022-06-02 주식회사 멕서스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해결에 활용되는 블랙박스
KR20220135616A (ko) * 2021-03-31 2022-10-07 (주)넷틴스 Pos 통합 관제 시스템
WO2022215838A1 (ko) * 2021-04-07 2022-10-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통신 장애 복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네트워크 장애 상황에 강인한 로봇이 주행하는 건물
KR102664713B1 (ko) * 2024-03-14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l2 스위치를 활용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KR102664712B1 (ko) * 2024-03-13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758B1 (ko) * 2004-06-18 2006-09-20 김한철 디브이알 장애처리 장치
KR101314964B1 (ko) * 2013-04-11 2013-10-04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392126B1 (ko) * 2012-08-07 2014-05-07 최상수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55453B1 (ko) * 2018-10-29 2019-03-08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cctv 녹화기의 시간 동기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758B1 (ko) * 2004-06-18 2006-09-20 김한철 디브이알 장애처리 장치
KR101392126B1 (ko) * 2012-08-07 2014-05-07 최상수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314964B1 (ko) * 2013-04-11 2013-10-04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자동복구 기능이 있는 지능형 장비의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955453B1 (ko) * 2018-10-29 2019-03-08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cctv 녹화기의 시간 동기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31B1 (ko) * 2020-12-01 2022-06-02 주식회사 멕서스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 해결에 활용되는 블랙박스
KR20220135616A (ko) * 2021-03-31 2022-10-07 (주)넷틴스 Pos 통합 관제 시스템
WO2022215838A1 (ko) * 2021-04-07 2022-10-1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통신 장애 복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네트워크 장애 상황에 강인한 로봇이 주행하는 건물
CN114567518A (zh) * 2022-02-15 2022-05-31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设备状态的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67518B (zh) * 2022-02-15 2024-03-12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设备状态的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64712B1 (ko) * 2024-03-13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KR102664713B1 (ko) * 2024-03-14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l2 스위치를 활용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537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37B1 (ko) 장애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1671783B1 (ko)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0266B1 (ko) 카메라간 협업을 이용한 영상 감시 카메라 및 방법
US20100033575A1 (en) Event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network camera
US20070090944A1 (en) Home-monitoring system
US6549827B1 (en) Fire prevention automation commanding control system using satellite-location/geography-information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20120127318A1 (en) Surveillance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master sensor node, and server apparatus
KR101755560B1 (ko) Cctv 감시장치 스마트 제어시스템
CN101448146A (zh) 视频监控系统中的前端设备及前端设备中的信号处理方法
US20050066371A1 (en) Mobile digital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KR102435951B1 (ko) 멀티 사이트 통합 운영을 위한 스마트 ems 기반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20100067540A (ko)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KR101100419B1 (ko) 다중센서 및 노드 협업을 위한 센서노드 상황인지 무인감시방법
KR100907559B1 (ko) 울타리 침입 검지와 감시 영상 수집이 가능한 무인 경계 단말장치, 상기 무인 경계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경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KR101666652B1 (ko) 시설물유지관리 및 교통현장 관제시스템
KR101581400B1 (ko)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KR101641873B1 (ko) Cctv 감시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제어시스템
KR10047853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KR101955453B1 (ko)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cctv 녹화기의 시간 동기화 장치
KR101817203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0787972B1 (ko) 영상 및 음성 기반 비상 통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