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98A -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98A
KR20230077498A KR1020210164828A KR20210164828A KR20230077498A KR 20230077498 A KR20230077498 A KR 20230077498A KR 1020210164828 A KR1020210164828 A KR 1020210164828A KR 20210164828 A KR20210164828 A KR 20210164828A KR 20230077498 A KR20230077498 A KR 2023007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arking
control unit
light emitting
andr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쿼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쿼드
Priority to KR102021016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498A/ko
Publication of KR2023007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발광램프;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발광램프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임의의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양산된 스마트폰 개조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촬영기능에 대한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NDROID-BASED SMARTPHONE CAMERA}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갖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 주차공간을 관리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주차면의 차량 유무 및 번호판 등을 식별하고, 주차가능 유무 표시등(만공차등)의 점등, 주차 전광판에 주차가능 대수 정보 표시, 키오스크로 차량위치정보 전달 등과 같이 차량의 운전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주차/출차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주차면의 차량 인식은 현재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지 방법과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검지 방법은 초음파 센서 1개당 1개의 주차면에 주차면 검지가 가능한 반면,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은 카메라 렌즈의 화각 조절을 통해 카메라 1대로 여러 주차면의 검지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차량 및 번호판 검지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주차면 검지용 카메라에는 전방위(어안)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와 일반 또는 광각렌즈를 적용한 단방향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면 검지용 카메라에는 카메라 전용의 시스템 온칩(System on Chip, SoC)이 장착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카메라 기능 위주로 설계가 이루어져 카메라 외에 부가적인 기능 구현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며, 원가와 유지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6583호(2012.05.0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9752호(2010.08.27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갖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 주차공간을 관리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발광램프;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발광램프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임의의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발광램프는,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주차인식모듈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주차장 내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틸팅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본체의 틸팅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촬영각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는 관리자 인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앱의 IP, 상기 카메라의 IP, 상기 발광램프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을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의 작동, 상기 본체의 틸팅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인식모듈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차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카메라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안드로이드 보드를 탑재한 제어부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따라 발광램프를 제어하면서 앱을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양산된 스마트폰 개조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촬영기능에 대한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앱을 활용하는 제어부 및 관리서버를 통해 각 구성에 대한 소프트웨어 관리기능, 관리자 인증기능, 원격제어기능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앱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 및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어부 및 발광램프가 블루투스 통신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관리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주차장 관리기능을 대체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주차장 관리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이 이용한 주차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은 본체(110), 카메라(120), 발광램프(130), 제어부(140) 및 관리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후술될 카메라(120) 및 제어부(140)가 수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외형틀로서,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단말의 외형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기 본체(110)는 카메라(120) 및 제어부(140)가 상기 중공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120) 및 제어부(14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10)는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장 내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차장은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물 내부 주차장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건물 내부 주차장에는 해당층의 천장측에 임의의 높이로 레일프레임(부호 미표시)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일프레임은 후술될 카메라(120) 및 발광램프(130) 등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을 위한 구성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틀로서, 각 구성 간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수납되기도 한다.
즉,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일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10)의 틸팅동작을 위한 구조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수직설치되는 틸팅프레임(111)과, 상기 틸팅프레임(111)에 지지되면서 상기 틸팅프레임(111)을 기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구(미도시)와, 상기 회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을 위한 구조는 힌지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상기 틸팅구조 및 회동구조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꼭 한정되지는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상술한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후술될 제어부(140)의 카메라 구동모듈(142)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면서 렌즈(부호 미표시)가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렌즈가 주차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결합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본체(1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120)는 기존 스마트폰 단말에 장착되는 스마트폰 전용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CMOS형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가 적용될 수도 있고, 스피드돔 카메라, 핀홀 카메라, 팬틸트줌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카메라가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12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완성도를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발광램프는(130)는 광신호를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광원으로서,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레일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후술될 발광제어모듈(144)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여 주차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발광램프(130)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광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설명은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술한 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120) 및 발광램프(13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141), 카메라 구동모듈(142), 주차인식모듈(143), 발광제어모듈(144), 촬영각도 조절모듈(145),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46), 관리자 인증모듈(1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후술될 관리서버(150)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단말의 외형을 따르는 본체(110) 및 스마트폰 전용의 구성을 취하는 카메라(120) 함께 스마트폰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안드로이드 보드와 상기 발광램프(130)를 제어하는 기능의 제어보드(발광제어모듈, 144)를 결합한 제어기판(제어부, 140)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미 양산된 종래의 스마트폰을 개조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41)은 블루투스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램프(130)와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광램프(130)에도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광램프(130) 및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방식의 연결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이더넷이 사용될 수 있고, 전원을 위해 POE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141)의 블루투스 통신기술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42)은 미리 설정된 구동환경으로 상기 카메라(1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로부터 수동적으로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거나, 후술될 관리서버(150)로부터 원격으로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주차인식모듈(143)은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픽셀을 분석하여, 백터로 정의된 화소들의 물체에 대한 색상, 음영, 위치, 크기 등을 인식하거나, 물체의 경계선 및 윤곽선 등의 에지, 윤곽에 근사하는 선분, 곡선 등을 구하여 인식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모서리점, 불변인 점, 또는 회전변환이나 크기 변화 등에 대하여 불변인 특징점을 이용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 인식은 물론, 주차면에 대한 입차/출차 진행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차량번호와 관련된 번호판과 같은 관심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형상까지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인식모듈(143)은 상술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면에 입차하거나, 상기 주차면으로부터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까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주차인식모듈(143)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발광램프(130)의 다양한 광신호 출력을 위해 조명패턴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패턴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광램프(130)가 연출할 수 있는 조명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점멸패턴정보, 디밍패턴정보, 색상패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멸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관리자가 일정한 주기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주기패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발광램프(130)가 ON/OFF 스위칭을 통해 점멸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디밍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의 밝기를 가변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상기 발광램프(13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다양한 밝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색상패턴정보는 발광램프(130)의 색상이 가변하도록 하는 광신호를 저장한 정보로서, 상기 발광램프(130)가 임의의 주기패턴으로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광램프(130)는 각각 다른 색상을 가진 광원을 복수개로 설치하는 방식, 적/녹/청의 색상을 갖는 광원을 혼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RGB(red-green-blue) 방식, 광원의 색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색상 제어기(미도시)를 별도로 더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색상을 제어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주차인식모듈(143)을 통해 임의의 주차면에 지정차량이 입차하여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적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임의의 주차면에 지정차량이 출차하여 '미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녹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주차인식모듈(143)을 통해 임의의 주차면에 외부차량이 입차하여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황색'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임의의 주차면에 차량이 '입차' 또는 주차면으로부터 차량이 '출차' 진행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차면에 대응하는 상기 발광램프(130)가 '황색'으로 점멸되는 광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위치는 곧, 주차이용자가 인지하고자 하는 주차면의 위치와 직결되므로, 상기 발광램프(130)의 개수와 상기 주차면의 개수가 동일해야함이 필수사항이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당 1개의 상기 발광램프(130)가 1:1 대응 설치되는 구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이 1개의 카메라(120') IP를 1개의 상기 발광램프(130') IP와 매칭시켜 상기 카메라(120')의 영상에 따라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복수개의 카메라(120) IP 및 복수개의 발광램프(130) IP를 포함한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반면, 도 4를 참조하여, 시스템의 원가 절감을 위해 상기 카메라(120)의 개수당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발광램프(130)가 1:1+N 설치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카메라(120") IP를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램프(130") IP와 매칭시켜야 하므로, 상기 주차인식모듈(143)이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주차면과 관련된 ROI(관심영역)을 미리 구분 설정하여, 상기 구분된 관심영역 각각의 상기 주차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은 상기 구분된 관심영역 각각에 상기 각각의 발광램프(130") IP를 매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각도 조절모듈(145)은 본체(110)의 틸팅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본체(110)의 틸팅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12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촬영각도 조절모듈(145)은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회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46)은 제어부(14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42), 주차인식모듈(143)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을 포함한 상기 제어부(140)를 구성하는 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자 인증모듈(147)은 제어부(140)에 설치되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50)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인증정보는 관리자의 아이디(ID), 패스워드(PW) 등의 개인정보 또는 관리자의 생체정보 등 관리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고유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관리서버(150)는 제어부(140)와 통신하며, 상기 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주차장에 카메라(120)와 별도로 설치되는 보안용 CCTV(미도시)를 통해 상기 주차장 내의 영상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구성된 관리자의 PC(150a)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150b)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앱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단말기기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서버(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142)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143)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144)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146)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50)는 앱의 IP, 상기 카메라(120)의 IP, 상기 발광램프(130)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120)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130)의 작동, 상기 본체(110)의 틸팅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원격제어모듈(14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원격제어모듈(148)은 다양한 공지의 원격지원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15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주차인식모듈(143)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외부차량에 대하여 직접 단속을 수행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카메라(12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안드로이드 보드를 탑재한 제어부(140)가 카메라(12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따라 발광램프(130)를 제어하면서 앱을 통해 관리서버(150)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양산된 스마트폰 개조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의 촬영기능에 대한 원가를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앱을 활용하는 제어부(140) 및 관리서버(150)를 통해 각 구성에 대한 소프트웨어 관리기능, 관리자 인증기능, 원격제어기능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앱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현 및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140) 및 발광램프(130)가 블루투스 통신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관리서버(15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주차장 관리기능을 대체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뢰도 높은 주차장 관리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주차장 관리 시스템 110 : 본체
111 : 틸팅프레임 120 : 카메라
130 : 발광램프 140 : 제어부
141 : 블루투스 통신모듈 142 : 카메라 구동모듈
143 : 주차인식모듈 144 : 발광제어모듈
145 : 촬영각도 조절모듈 146 : 소프트웨어 관리모듈
147 : 관리자 인증모듈 148 : 원격제어모듈
150 : 관리서버 150a : 관리자 PC
150b : 관리자 스마트폰

Claims (10)

  1. 복수개의 주차면이 구비된 주차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면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발광램프;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발광램프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면서 상기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일부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안드로이드 보드가 탑재되어, 임의의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앱 생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발광램프는,
    상호 간에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주차인식모듈을 통해 판단된 주차여부에 따라 해당 주차면에 대응되는 발광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주차장 내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틸팅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본체의 틸팅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촬영각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 상기 주차인식모듈 및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가 실시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 생성될 경우,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의 구동환경, 상기 주차인식모듈의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환경, 상기 발광제어모듈의 제어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및 변경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필요 시에, 상기 소프트웨어 관리모듈로 업데이트 요청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임의의 관리자 인증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미리 설정된 관리자 식별 데이터와 매칭시켜 관리자를 인식하는 관리자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앱의 IP, 상기 카메라의 IP, 상기 발광램프의 IP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구동, 상기 발광램프의 작동, 상기 본체의 틸팅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인식모듈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차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0210164828A 2021-11-25 2021-11-25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30077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28A KR20230077498A (ko) 2021-11-25 2021-11-25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28A KR20230077498A (ko) 2021-11-25 2021-11-25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98A true KR20230077498A (ko) 2023-06-01

Family

ID=8677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828A KR20230077498A (ko) 2021-11-25 2021-11-25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022B1 (ko) * 2023-11-04 2024-03-25 송인철 원격 및 자동 연동 제어가 가능한 지하주차장 사각지대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52B1 (ko) 2008-06-25 2010-09-02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583B1 (ko)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52B1 (ko) 2008-06-25 2010-09-02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583B1 (ko)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022B1 (ko) * 2023-11-04 2024-03-25 송인철 원격 및 자동 연동 제어가 가능한 지하주차장 사각지대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39B1 (ko)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0912176B2 (en) Vehicle lamp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56400B1 (ko) 다기능 영상처리 모듈이 탑재된 지능형 주차면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KR100991106B1 (ko)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JP2008059846A (ja)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CN112655279A (zh) 基于相机的调试
KR100958497B1 (ko)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JP2011081982A (ja) 照明制御装置及び方法
US20170206785A1 (en) Vision sensing system for smart parking
US11200408B2 (en) Bio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KR20160034064A (ko) 차량 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77498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55913Y1 (ko) 조명등이 구비된 주차면 멀티카메라
GB2418482A (en) Method for locating luminaires using optical feedback
KR20230077499A (ko)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85851A (ko) 줌배율에 따른 적외선 엘이디 디밍기능을 가진 카메라
KR101633777B1 (ko) 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KR101303230B1 (ko) 카메라 모듈이 채용된 led 보안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97237B1 (ko) 블루투스 만공차등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258747B1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25323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광판 방송장비 모니터링 원격제어시스템
KR20040062302A (ko) 적외선을 이용한 씨씨디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