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487B1 -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0487B1 KR102540487B1 KR1020220086941A KR20220086941A KR102540487B1 KR 102540487 B1 KR102540487 B1 KR 102540487B1 KR 1020220086941 A KR1020220086941 A KR 1020220086941A KR 20220086941 A KR20220086941 A KR 20220086941A KR 102540487 B1 KR102540487 B1 KR 102540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idor
- fire
- guide
- housing
- evacu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 G08B5/1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with indicator element moving rectilinearly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건축물의 복도 양 가장자리에 각각 시공된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경사면이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제1 경사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실린더;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상기 제2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실린더; 및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인출실린더와, 상기 제2 인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건축물의 복도 양 가장자리에 각각 시공된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경사면이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제1 경사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실린더;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상기 제2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실린더; 및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인출실린더와, 상기 제2 인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확산과 더불어 유독가스가 발생되면서 재산 상의 피해는 물론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유독가스의 경우에는 인명사상의 첫번째 원인으로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독가스의 확산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축물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재는 일반 사람들이 자주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 화재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대피로를 잘못 선택 하여 연기에 질식되거나 추가 피해를 겪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건축물의 복도에 피난유도선을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돕고 있다.
피난유도선은 화재나 정전 시에 피난방향 안내 문자 또는 부호 등으로 피난을 유도하는 것으로 축광식 피난유도선과 광원점등식 피난유도선으로 구분되며, 광원점등식 피난유도선은 제어부와 표시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부에 사용하는 광원에 따라 LED 방식과 레이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레이저 방식의 피난유도선 장치는 투명한 필름에 피난방향 안내 문자 또는 부호를 표시하고, 여기에 레 이저빔을 투사하여 바닥이나 벽면에 피난방향 표시를 나타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난유도선은 피난유도선은 단순히 복도 바닥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된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피난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피난유도선은 시각장애인이 대피하는 데에는 도움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에게 화재발생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하도록 가이드 해 줄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건축물의 복도 양 가장자리에 각각 시공된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경사면이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제1 경사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실린더;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상기 제2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실린더; 및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인출실린더와, 상기 제2 인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도의 천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화재발생 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화재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벽체에 각각 매립되고, 화재발생시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에게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의 위치를 알리는 인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지부는, 상기 벽체에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빈 공간에 설치되고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복도를 향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 및 상기 본체부의 출입구 측 천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람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날리면서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를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는 비닐, 헝겊,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도 천장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부; 상기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평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박스부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며, 스폰지, 고무,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가이드부; 상기 제3 가이드부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박스부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부착부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고,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부착부와의 부착상태가 해제되는 전자석; 상기 박스부의 저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부저; 및 상기 박스부의 저면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부저를 포함하는 부가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부저 또는 제2 부저 중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부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3 가이드부들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상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복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이 건축물의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1 가이드부 및 제1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2 가이드부 및 제2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인지부를 도시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1 가이드부 및 제1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2 가이드부 및 제2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인지부를 도시한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이 건축물의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1 가이드부 및 제1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하우징과, 제2 가이드부 및 제2 인출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인지부를 도시한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이 복도의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1)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들이 화재현상을 신속하게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제1 하우징(10)과, 제1 가이드부(20)와, 제2 하우징(30)과, 제2 가이드부(40)와, 제1 인출실린더(50)와, 제2 인출실린더(60)와, 화재감지센서(80) 및 제어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은 건축물의 복도 양 가장자리에 각각 시공된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들은 복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제1 하우징(10)은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출입문이나 출입구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에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통과홀(10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20)는 제1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제1 통과홀(10a)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가이드부(20)는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경사면(21)을 포함하며,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사면(21)은 도 2를 기준으로 대피자가 손으로 만졌을 때, A 구역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면(21)을 통해 시각장애인을 안전한 방향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화재발생시 정전이 될 수도 있는 바, 제1 경사면(21)은 어두운 복도에 위치한 일반인에게도 대피방향을 가이드 한다.
이러한 제1 경사면(21)의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제2 하우징(30)은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제1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30)들은 복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제2 하우징(30)은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출입문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0)에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통과홀(30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40)는 제2 하우징(30)의 내부공간에서 제2 통과홀(30a)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가이드부(40)는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 경사면(41)을 포함하며,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41)은 대피자에게 대피방향을 안내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 경사면(41)은 제1 가이드부(20)의 제1 경사면(21)이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제1 경사면(2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2 경사면(41)은 도 3을 기준으로 대피자가 손으로 만졌을 때, B 구역으로 대피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면(41)을 통해서도 시각장애인을 안전한 방향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화재발생시 정전이 될 수도 있는 바, 제2 경사면(41)도 어두운 복도에 위치한 일반인에게도 대피방향을 가이드 한다.
제2 경사면(41)의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인출실린더(50)는 제1 하우징(10)의 내벽면에 설치된다.
제1 인출실린더(50)와 제1 가이드부(20)는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서로 1:1 결합될 수 있다.
제1 인출실린더(5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1 가이드부(20)가 제1 통과홀(10a)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되어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게 된다.
제2 인출실린더(60)는 제2 하우징(30)의 내벽면에 설치된다.
제2 인출실린더(60)와 제2 가이드부(40)는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서로 1:1 결합될 수 있다.
제2 인출실린더(60)의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제2 가이드부(40)가 제2 통과홀(30a)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되어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게 된다.
화재감지센서(80)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복도의 천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감지하여 제1 인출실린더(50) 또는 제2 인출실린더(60)에 작동에 필요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70)에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70)는 대피자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방향으로 대피하도록 제1 인출실린더(50) 또는 제2 인출실린더(6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복도의 B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B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한다.
이때, 복도의 B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A구역으로 대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B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B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1 인출실린더(5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1 인출실린더(50)들은 제1 가이드부(2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20)들의 모든 제1 경사면(21)도 제1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1 경사면(21)은 B구역방향에서 A구역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2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A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제1 경사면(2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A 구역으로 원활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복도의 A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A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한다.
이때, 복도의 A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B구역으로 대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A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2 인출실린더(60)들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제2 인출실린더(60)들은 제1 가이드부(20)를 각각 전진시켜 복도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40)들의 모든 제2 경사면(41)도 제2 하우징(30)의 외부로 인출되어 복도측으로 돌출되며, 제2 경사면(41)은 A구역방향에서 B구역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40)들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B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의 신체부위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제2 경사면(4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B 구역으로 원활하게 대파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이 화재지점으로 잘못 대피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눈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이라 하더라도 짧은 시간 안에 대피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이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소중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적용된 인지부(90)에 대해 설명한다.
인지부(90)는 화재발생시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에게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지부(90)는 본체부(91)와, 바람발생부(92) 및 타격부(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91)는 복도 양 가장자리에 위치한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된다.
즉, 벽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홈에 본체부(91)를 수용하면 된다.
본체부(91)는 제1 하우징(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체부(91)는 대략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출입구(91a)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부(91)는 출입문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바람발생부(92)는 본체부(91)의 빈 공간에서 설치된다.
바람발생부(92)는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팬(F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전술한 제1 인출실린더(50) 또는 제2 인출실린더(60)를 작동시키면서 바람발생부(92)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바람발생부(92)는 작동 시 출입구(91a)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킨다.
바람발생부(92)는 복도의 여러 곳에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발생부(9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화재발생시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일반인의 경우에도 화재에 의해 정전이 발생될 경우, 긴장하게 되어 방향감각을 잃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
그러나, 화재발생시 바람발생부(92)가 바람을 발생시키면,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에 쉽게 도달한 후,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도의 창문이 열려 있을 경우, 외기가 복도로 유입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바람발생부(9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과 외기를 구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격부(93)가 적용된다.
타격부(93)는 본체부(91)의 출입구(91a) 측 천장면에 설치된다.
타격부(93)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천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된다.
타격부(93)는 바람발생부(92)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날려 복도측으로 날릴 수 있도록 비닐, 헝겊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93)는 바람발생부(92)가 작동될 시 발생되는 바람에 날려 복도측으로 날리게 됨으로, 본체부(91)의 주변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의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에게 벽체에 설치된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때, 타격부(93)는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의 허벅지나 허리 부분을 타격할 수 있는 높이로 날리게 된다.
부가적으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본체부(91)에 가까워지면 타격부(93)와 접촉하게 됨으로, 이 경우에도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에게 벽체에 설치된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즉, 바람발생부(92)를 통해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방향감각을 잃더라도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고, 타격부(93)를 통해 제1 가이드부(20) 또는 제2 가이드부(40)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적용된 부가 가이드수단(100)에 대해 설명한다.
부가 가이드수단(100)은 박스부(101)와, 제3 가이드부(102)와, 부착부(103)와, 전자석(104)과, 제1 부저(105) 및 제2 부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부(101)는 복도 천장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3 가이드부(10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박스부(101)의 개구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부착부(103) 및 전자석(10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이 박스부(101)의 내벽면에 힌지 결합되며, 스폰지, 고무,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부착부(10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3 가이드부(10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자석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전자석(104)은 박스부(101)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부착부(103)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비화재시 전원이 공급되어 부착부(103)가 부착된다.
제어부(70)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전자석(10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전자석(104)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전자석(104)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전자석(104)과 부착부(103)의 부착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제3 가이드부(1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제3 가이드부(102)들을 순차적으로 잡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은 후술되는 제1 부저(105) 또는 제2 부저(106)를 통해 시각장애인이나 일반인이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저(105)는 박스부(101)의 저면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 부저(105)는 복도에 위치한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A구역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하도록 소리를 발생시킨다.
제2 부저(106)는 박스부(101)의 저면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2 부저(106)는 복도에 위치한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B구역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하도록 소리를 발생시킨다.
제1 부저(105) 및 제2 부저(106)는 전술한 제어부(7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복도의 B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B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70)는 제1 부저(105)들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때, 화재발생 시 전자석(104)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 제3 가이드부(102)들이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잡고 이동하도록 복도 상에 셋팅된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일반인은 제1 부저(105)들의 소리를 따라 제3 가이드부(102)를 순차적으로 잡고 이동하여 미화재구역인 B구역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복도의 A구역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A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8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70)는 제2 부저(106)들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때, 화재발생 시 전자석(104)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 제3 가이드부(102)들이 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잡고 이동하도록 복도 상에 셋팅된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일반인은 제2 부저(106)들의 소리를 따라 제3 가이드부(102)를 순차적으로 잡고 이동하여 미화재구역인 A구역에 도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인출실린더(50)와, 제2 인출실린더(60)와, 제어부(70)와, 화재감지센서(80)와, 바람발생부(92)와, 전자석(104)과, 제1 부저(105) 및 제2 부저(106)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제1 인출실린더(50)와, 제2 인출실린더(60)와, 제어부(70)와, 화재감지센서(80)와, 바람발생부(92)와, 전자석(104)과, 제1 부저(105) 및 제2 부저(106)는 상용전원에 의해 작동되다가 정전이 발생될 시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하우징 10a : 제1 통과홀
20 : 제1 가이드부 21 : 제1 경사면
30 : 제2 하우징 30a : 제2 통과홀
40 : 제2 가이드부 41 : 제2 경사면
50 : 제1 인출실린더 60 : 제2 인출실린더
70 : 제어부 80 : 화재감지센서
90 : 인지부 91 : 본체부
91a : 출입구 92 : 바람발생부
93 : 타격부 100 : 부가 가이드수단
101 : 박스부 102 : 제3 가이드부
103 : 부착부 104 : 전자석
105 : 제1 부저 106 : 제2 부저
20 : 제1 가이드부 21 : 제1 경사면
30 : 제2 하우징 30a : 제2 통과홀
40 : 제2 가이드부 41 : 제2 경사면
50 : 제1 인출실린더 60 : 제2 인출실린더
70 : 제어부 80 : 화재감지센서
90 : 인지부 91 : 본체부
91a : 출입구 92 : 바람발생부
93 : 타격부 100 : 부가 가이드수단
101 : 박스부 102 : 제3 가이드부
103 : 부착부 104 : 전자석
105 : 제1 부저 106 : 제2 부저
Claims (4)
- 건축물의 복도 양 가장자리에 각각 시공된 벽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1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통과홀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피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경사면이 가이드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제1 경사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1 인출실린더;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상기 제2 통과홀을 통해 복도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는 제2 인출실린더; 및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가 화재발생 지점의 반대 지점으로 대피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 인출실린더와, 상기 제2 인출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각각 매립되고, 화재발생시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에게 상기 제1 가이드부 또는 제2 가이드부의 위치를 알리는 인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지부는,
상기 벽체에 매립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빈 공간에 설치되고 화재신호를 수신할 시 복도를 향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 및
상기 본체부의 출입구 측 천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람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날리면서 복도에 위치한 대피자를 타격할 수 있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비닐, 헝겊,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941A KR102540487B1 (ko) | 2022-07-14 | 2022-07-14 |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6941A KR102540487B1 (ko) | 2022-07-14 | 2022-07-14 |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0487B1 true KR102540487B1 (ko) | 2023-06-13 |
Family
ID=8676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6941A KR102540487B1 (ko) | 2022-07-14 | 2022-07-14 |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048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92347U (ko) * | 1978-12-20 | 1980-06-26 | ||
KR0178302B1 (ko) | 1995-12-08 | 1999-05-01 | 김은영 | 양방향 병렬 파이프라인 구조에 근거한 탐색 이동 예측처리기 |
KR101760921B1 (ko) * | 2017-02-27 | 2017-07-24 | 박남신 |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
KR101881358B1 (ko) * | 2018-02-08 | 2018-07-25 | 김석원 |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
-
2022
- 2022-07-14 KR KR1020220086941A patent/KR1025404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92347U (ko) * | 1978-12-20 | 1980-06-26 | ||
KR0178302B1 (ko) | 1995-12-08 | 1999-05-01 | 김은영 | 양방향 병렬 파이프라인 구조에 근거한 탐색 이동 예측처리기 |
KR101760921B1 (ko) * | 2017-02-27 | 2017-07-24 | 박남신 |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
KR101881358B1 (ko) * | 2018-02-08 | 2018-07-25 | 김석원 |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3604B1 (ko) |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 |
KR101920894B1 (ko) |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5002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
JP2018060578A (ja) |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 |
KR101996827B1 (ko)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 |
KR101018583B1 (ko) |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 |
KR20160120561A (ko) |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 |
KR102133442B1 (ko) |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 |
KR101794962B1 (ko) |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 |
KR102050030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KR102540487B1 (ko) |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 |
KR200437697Y1 (ko) | 피난 유도 체험장 | |
KR102540491B1 (ko) | 건축물의 비상 대피장치 | |
KR102540492B1 (ko) |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대피가이드 시스템 | |
KR102579497B1 (ko) |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 |
KR20150114246A (ko) |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 |
KR102153935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 |
KR102689495B1 (ko) |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 |
KR20160143899A (ko) |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 |
CN208077342U (zh) | 楼房中火灾逃生辅助装置 | |
KR20160004025A (ko) | 비상 탈출용 방화문 | |
KR20170072859A (ko) |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 |
KR102529298B1 (ko) | 피난로 안내 시스템 | |
KR101306884B1 (ko) | 화재 피난 체험장 | |
KR101853098B1 (ko) | 소방 피난 유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