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962B1 -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962B1
KR101794962B1 KR1020170115205A KR20170115205A KR101794962B1 KR 101794962 B1 KR101794962 B1 KR 101794962B1 KR 1020170115205 A KR1020170115205 A KR 1020170115205A KR 20170115205 A KR20170115205 A KR 20170115205A KR 101794962 B1 KR101794962 B1 KR 10179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emergency
exit
passa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7011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의 내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로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감지 메시지를 화재 감지 위치와 함께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비상문 개방 명령을 비상문 개폐기로 전송하며, 상기 비상문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대피 안내 명령을 대피 안내 광조사기로 전송하는 비상 대피 관리 서버; 비상문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비상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비상문 개방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을 개방시키는 비상문 개폐기; 및 교차 통로의 출구마다 각각 마련되어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의 수직으로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조사기로서,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는 출구를 대피 방향 출구라 하고,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지 않는 출구를 대피 금지 출구라 할 때,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대피 안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와 상기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가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로서 표시되도록 하는 대피 안내 광조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Auto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exit open and shut}
본 발명은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으로서, 화재시에 비상문을 자동 개방시키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에는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위험한 상황시에 구비하고 긴급피난을 위한 비상문이 마련되어 있다. 비상문에는 통상 어떠한 긴급사태 통보장치가 부속되어 있다. 난방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위험이 높아지고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되면서 구조변경이 급증, 유일한 대피처인 옥상 개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비상문 자동 개폐시스템은 각종 공공건물 및 빌딩, 호텔, 아파트, 학교 등의 다중이용시설물에 대한 인명의 안전대피를 위해 소방법 제30조의 2항, 동법 31조에 따라 설치, 유지가 되어야 한다.
기존의 비상문 자동 개폐시스템은 다음의 상황에 대한 대처에 미흡하며 각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을 대피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 개시된 발명들은 비상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기술과 전원의 차단시 비상전원이 적용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실제 화재나 재해가 발생시 비상문이 개방되었음을 알리는 수단이 미흡하여 대피자가 비상문을 찾을 수 없으며 비상시의 위급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비상문을 찾을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비상문이 개방되었더라도 일반 공공건물에서 이용자들이 비상문을 손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에 개시된 발명은 화재 및 화신호의 수신시 비상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기술과 화재전원의 차단시 비상전원이 적용 되는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실제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 당황하여 비상문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상문 위치를 연속적으로 안내해 주어야 하나 화재발생으로 인한 매연발생으로 시계가 불량해 진다. 비상문은 소방법상 비상문 위치에는 비상문 표시등을 설치하여 위치를 표시하게 되어 있으나 짙은 매연이 통로천장 상위부분부터 채워 오기 때문에 비상문 상단에 부착된 비상문 표시등은 화재 발생시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초기에 긴급대피를 하지 않으면 유독성 매연으로 인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비상문 위치를 쉽게 찾아 대피할 수 있는 안내장치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공공 건물의 배연창은 평상시 닫혀있다가 화재시 내부의 연기를 내보내기 위하여 화재신호를 받아 창문을 자동으로 열어주는 시스템이다.
화재 발생시에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는 경우, 호홉을 위하여 개방된 배연창에 얼굴을 내밀고 구조를 요청한다. 그런데 외부의 소방관들은 화재 연기로 인하여 배연창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을 즉시 파악하지 못하여, 구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 비상문 위치를 효율적으로 안내해줄 수 있는 수단과, 만약, 비상문으로 대피를 못한 사람이 배연창 근처에 있을 경우 이를 외부의 소방관들이 즉시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10-175746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시에 비상문과 배연창을 제어하여 효율적인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시에 대피자들이 비상문이 있는 출구를 찾지 못해 당황하지 않도록 통로 교차로에서 효율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의 내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로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감지 메시지를 화재 감지 위치와 함께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비상문 개방 명령을 비상문 개폐기로 전송하며, 상기 비상문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대피 안내 명령을 대피 안내 광조사기로 전송하는 비상 대피 관리 서버; 비상문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비상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비상문 개방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을 개방시키는 비상문 개폐기; 및 교차 통로의 출구마다 각각 마련되어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의 수직으로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조사기로서,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는 출구를 대피 방향 출구라 하고,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지 않는 출구를 대피 금지 출구라 할 때,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대피 안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와 상기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가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로서 표시되도록 하는 대피 안내 광조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상기 대피 방향 출구의 통로천장에서 통로바닥으로 수직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임을 알리는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이며, 상기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에서 통로바닥으로 수직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가 아님을 알리는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홀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홀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홀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소방관 홀로그램이며, 상기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불꽃 홀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방관 홀로그램은,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에 따라서 소방관 홀로그램의 성별이 결정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피 안내 명령은, 수신받을 비상문 개폐기의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헤더 필드;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대피 허가 출구, 대피 금지 출구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출구 정보 필드; 상기 대피 허가 출구에 표시될 소방관 홀로 그램의 성별 정보가 기록된 성별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는,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을 파악하여 파악된 성별과 반대되는 성별의 소방관 홀로그램이 상기 성별 정보 필드에 기록되도록 하며, 상기 대피 안내 광조사기는, 상기 성별 정보 필드에 기록된 성별을 가지는 소방관 홀로그램을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배연창의 개방을 요청하는 배연창 개방 명령을 배연창 개폐기로 전송하며, 상기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은, 화재시에 화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연창의 창틀 프레임에 마련되어 발광하는 배연창 램프; 배연창마다 마련되어 배연창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는 배연창 감지 센서; 상기 배연창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다가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만을 수신하는 경우 배연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을 수신하고, 아울러, 상기 배연창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배연창 개방과 함께 상기 배연창 램프를 발광시키는 배연창 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연창 램프를 발광시키는 것은, '구조', 'HELP'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발광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시에 대피자들이 교차 통로 지점에서 비상문이 있는 방향의 출구에만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홀로그램을 투영함으로써, 비상문이 있는 출구를 찾지 못해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비상문 방향으로 대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차 통로의 출구에 마련된 대피 안내 광조사기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차 통로의 각 출구마다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방향 출구에 '○'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과 대피 방향 출구에 '×'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방향 출구에 객체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안내 명령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낸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연창 개폐기가 마련된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연창이 닫혀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시에 배연창이 개방되고 구조 요청이 발광되는 배연창 램프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차 통로의 출구에 마련된 대피 안내 광조사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차 통로의 각 출구마다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방향 출구에 '○'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과 대피 방향 출구에 '×'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방향 출구에 객체 형상의 홀로그램이 수직으로 표시된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피 안내 명령의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의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200),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 비상문 개폐기(400), 및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200)는, 건물의 내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따라서 화재 감지기(200)는, 화염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중의 1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각종 감지기가 포함될 수 있다. 화재 감지기(200)는,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감지 메시지를 화재 감지 위치, 화재 감지기(200) 고유 아이디와 함께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참고로 화재 감지기(200)와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간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는, 화재 감지기(200)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비상문 개방 명령을 비상문 개폐기(4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는, 화재 감지기(200)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대피 안내 명령을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로 전송한다.
비상문 개폐기(400)는, 비상문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비상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부터 비상문 개방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을 개방시킨다.
이를 위하여, 비상문 개폐기(400)는, 외부 개폐요구신호에 따라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각 비상문에 설치되어 비상문들을 기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 공지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주제어기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전시켜 유도전류에 의해 잠금쇠(미도시)의 전진을 제어하고, 비상시에는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상문 개방 명령에 따라 주제어기들이 전원을 차단시켜 유도 전류가 차단되어 스프링에 의한 잠금쇠의 후퇴에 의해 비상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한다.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는, 교차 통로의 출구마다 각각 마련되어 교차 통로 출구의 하부 바닥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내의 통로(복도)가 교차하는 교차 통로의 출구의 모퉁이에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광조사기는, 통로천장에서 통로바닥의 수직으로 된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 당황하여 비상문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비상문 위치를 연속적으로 안내해 주어야 하나 화재발생으로 인한 매연발생으로 시계가 불량해 진다. 짙은 매연이 통로천장 상위부분부터 채워 오기 때문에 비상문 상단에 부착된 비상문 표시등은 화재 발생시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는, 화재 발생시에 화재 매연으로 인하여 비상문을 찾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차원(3D)의 수직으로 된 비상문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3차원의 형상으로 대피 안내 이미지가 교차 통로의 각 출구마다 표시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시에 대피자는 교차 통로에 어느쪽에 비상문이 있는지 즉각 파악하고 빠른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기존의 벽에 붙어 있는 비상문 안내 램프의 경우 벽에 부착되어 있어 식별이 어려운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직으로 된 입체적인 3차원 안내 이미지는 빠른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비상문을 향하는 출구를 대피 방향 출구라 하고,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비상문을 향하지 않는 출구를 대피 금지 출구라 할 때,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부터 대피 안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와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가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로서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대피 방향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임을 알리는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이다. 반대로,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가 아님을 알리는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이다.
이러한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기호 형상의 홀로그램 또는 객체 형상의 홀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홀로그램(hologram)은, 3차원 영상으로 된 입체 사진으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즉,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이다. 홀로그램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기준광(reference beamㆍ참조광)과 물체광(object beam)으로 된 2개로 나눠서 비춤으로써,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며 이때의 간섭무늬가 3차원 입체 영상인 홀로그램으로 보이게 된다.
우선,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가 기호 형상의 홀로그램으로 표시되는 예를 도 4와 함께 상술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 통로에서 비상문이 있는 방향의 통로 출구인 제1통로의 출구에는 '○' 형상의 이미지가 통로천장에서 아래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며, 비상문이 없는 방향의 통로 출구인 제2,3,4통로의 출구에는 '×' 형상의 이미지가 통로천장에서 아래를 향해 수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통로를 따라 대피하는 사람들은, 교차 통로에서 ○' 형상의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된 제1통로 출구의 방향으로 대피하게 되고, '×' 형상의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된 제2,3,4통로 출구로는 대피하지 않게 된다.
한편,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가 객체 형상의 홀로그램으로 표시되는 예를 도 5와 함께 상술한다.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홀로그램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객체 형상의 홀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소방관 홀로그램으로서 표시된다. 이는 대피하는 대피자들이 소방관 홀로그램을 통하여 심적인 안정을 얻으며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에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불꽃 홀로그램으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통로를 따라 대피하는 사람들은, 교차 통로에서 소방관 홀로그램의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된 제1통로의 출구의 방향으로 대피하게 되고, 불꽃의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된 제2,3,4통로의 출구로는 대피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불꽃 홀로그램이 아니더라도 다른 다양한 혐오스러운 홀로그램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밖에 사람들이 해당 홀로그램 방향으로 대피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다른 다양한 형상의 홀로그램이 모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관 홀로그램은,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에 따라서 소방관 홀로그램의 성별이 결정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자 대학교 기숙사의 경우 남자 소방관 홀로그램이 표시되도록 하며, 남자 고등학교의 경우 여자 소방관 홀로그램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대피하는 대피자들이 소방관 홀로그램을 통하여 심적인 안정을 얻으며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이성의 모습을 가지는 소방관 홀로그램을 표시해주는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평균 성별이라 함은, 건물내 입주민들의 성별을 분석한 결과 50%를 초과하는 성별을 말한다.
이러한 소방관 홀로그램의 출력을 위하여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하는 대피 안내 명령의 데이터 패킷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받을 비상문 개폐기(400)의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헤더 필드(10)와,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대피 허가 출구, 대피 금지 출구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출구 정보 필드(21)와, 상기 대피 허가 출구에 표시될 소방관 홀로 그램의 성별 정보가 기록된 성별 정보 필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는,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을 파악하여 파악된 성별과 반대되는 성별의 소방관 홀로그램이 성별 정보 필드(22)에 기록하여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로 전송한다. 대피 안내 광조사기(300)는, 성별 정보 필드(22)에 기록된 성별을 가지는 소방관 홀로그램을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로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들은, 화재를 대비하여 비상문 이외에도 배연창을 개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배연창이라 함은, 화재시에 화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창문을 말한다. 본 발명은 비상문이외에도 배연창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개폐 관리하도록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연창 개폐기가 마련된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연창이 닫혀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시에 배연창이 개방되고 구조 요청이 발광되는 배연창 램프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연창 램프(530), 배연창 감지 센서(510), 및 배연창 개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는, 화재 감지기(200)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배연창(520)의 개방을 요청하는 배연창 개방 명령을 배연창 개폐기(500)로 전송한다.
배연창 램프(530)는, 화재시에 화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연창(520)의 창틀 프레임에 마련되어 발광하는 램프이다. LED 램프, OLED 램프, 형광 램프, 전구 램프 등의 다양한 형상의 발광 램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연창 감지 센서(510)는, 배연창(520)마다 마련되어 배연창(520)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배연창 감지 센서(510)는, 카메라 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등의 다양한 센싱 감지기를 구비하여, 배연창(520)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한다.
배연창 개폐기(5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연창(520)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다가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만을 수신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연창(520)을 개방시킨다.
또한 배연창 개폐기(500)는, 비상 대피 관리 서버(100)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을 수신하고, 아울러, 배연창 감지 센서(510)를 통하여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배연창(520) 개방과 함께 배연창 램프(530)를 발광시킨다. 이러한 배연창 램프(530)를 발광시키는 것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 'HELP'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발광시킨다.
따라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문으로 대피하여야 하지만,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실내에 갇히는 경우, 개방되는 배연창(520) 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이러한 배연창(520) 주변에 사람들이 감지되는 경우, 배연창 개폐기(500)는, 구조', 'HELP'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배연창 램프(530)를 통해 발광하여, 외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구조 요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비상 대피 과리 서버
200:화재 감지기
300:대피 안내 광조사기
400:비상문 개폐기

Claims (9)

  1. 건물의 내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로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감지 메시지를 화재 감지 위치와 함께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의 개방을 요청하는 비상문 개방 명령을 비상문 개폐기로 전송하며, 상기 비상문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대피 안내 명령을 대피 안내 광조사기로 전송하는 비상 대피 관리 서버;
    비상문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비상문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비상문 개방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비상문을 개방시키는 비상문 개폐기; 및
    교차 통로의 출구마다 각각 마련되어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의 수직으로 대피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광조사기로서,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는 출구를 대피 방향 출구라 하고,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상기 비상문을 향하지 않는 출구를 대피 금지 출구라 할 때,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대피 안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와 상기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가 서로 다른 형상의 이미지로서 표시되도록 하는 대피 안내 광조사기;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배연창의 개방을 요청하는 배연창 개방 명령을 배연창 개폐기로 전송하며,
    화재시에 화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배연창의 창틀 프레임에 마련되어 발광하는 배연창 램프;
    상기 배연창마다 마련되어 배연창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는 배연창 감지 센서; 및
    상기 배연창을 닫힘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연창을 개방시키며,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로부터 배연창 개방 명령을 수신하고, 아울러, 상기 배연창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배연창 개방과 함께 상기 배연창 램프를 발광시키는 배연창 개폐기;를 더 포함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방향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상기 대피 방향 출구의 통로천장에서 통로바닥으로 수직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임을 알리는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이며,
    상기 대피 금지 출구에 표시되는 대피 안내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에서 통로바닥으로 수직 표시되어 비상문을 향하는 대피 통로가 아님을 알리는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와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홀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홀로그램을 가지며,
    상기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 형상의 홀로그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소방관 홀로그램이며,
    상기 대피 금지 3차원 이미지는, 상기 대피 금지 출구의 통로천장부터 통로바닥까지의 수직으로 표시되는 불꽃 홀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 홀로그램은,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에 따라서 소방관 홀로그램의 성별이 결정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피 안내 명령은,
    수신받을 비상문 개폐기의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헤더 필드;
    교차 통로 출구들 중에서 대피 허가 출구, 대피 금지 출구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출구 정보 필드;
    상기 대피 허가 출구에 표시될 소방관 홀로 그램의 성별 정보가 기록된 성별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 대피 관리 서버는, 건물내 입주민들의 평균 성별을 파악하여 파악된 성별과 반대되는 성별의 소방관 홀로그램이 상기 성별 정보 필드에 기록되도록 하며,
    상기 대피 안내 광조사기는, 상기 성별 정보 필드에 기록된 성별을 가지는 소방관 홀로그램을 대피 방향 3차원 이미지로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연창 램프를 발광시키는 것은,
    '구조' 또는 'HELP'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시지를 발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1020170115205A 2017-09-08 2017-09-08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10179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05A KR101794962B1 (ko) 2017-09-08 2017-09-08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05A KR101794962B1 (ko) 2017-09-08 2017-09-08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962B1 true KR101794962B1 (ko) 2017-11-07

Family

ID=6038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05A KR101794962B1 (ko) 2017-09-08 2017-09-08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9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55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온품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127845B1 (ko) * 2020-01-22 2020-06-29 (주)정엔지니어링 소방 전기 통신 공용의 비상문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133541B1 (ko) * 2020-01-22 2020-07-13 (주)정엔지니어링 소방 전기 통신 공용의 화재 대비 피난 안내 시스템
KR20230068108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55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온품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056467B1 (ko) * 2018-05-17 2020-01-22 주식회사 온품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127845B1 (ko) * 2020-01-22 2020-06-29 (주)정엔지니어링 소방 전기 통신 공용의 비상문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133541B1 (ko) * 2020-01-22 2020-07-13 (주)정엔지니어링 소방 전기 통신 공용의 화재 대비 피난 안내 시스템
KR20230068108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3085652A1 (ko) *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19956B1 (ko) 2021-11-10 2024-01-02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962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JP6794339B2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AU764012B2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KR101920894B1 (ko) 화재 수신기에 의한 제연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1288936B1 (en) Emergency incident detection, response, and mitigation using autonomous drones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164449B1 (ko) Ai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352488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20200013218A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BRPI0708413A2 (pt) método para evacuar edifìcios divididos em seções
KR20130123965A (ko)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1897899A (zh) 一种人员紧急疏散引导方法及系统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18605B1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102111212B1 (ko)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201901283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101360897B1 (ko) 건축물 소방안전시스템
CN109140585B (zh) 分布式空调系统及其空调室内机和消防方法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JP3924114B2 (ja) 滞在限界状態検出方法
KR20210080145A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