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65A -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65A
KR20130123965A KR1020120047517A KR20120047517A KR20130123965A KR 20130123965 A KR20130123965 A KR 20130123965A KR 1020120047517 A KR1020120047517 A KR 1020120047517A KR 20120047517 A KR20120047517 A KR 20120047517A KR 20130123965 A KR20130123965 A KR 2013012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xyz
floor
fire
alarm
scenar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949B1 (ko
Inventor
이근우
한웅
이현태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94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에 의한 경보 알림 문제점을 해결하여 입주자 안전을 위한 화재발생 알림 경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발생한 화재의 변화 상황을 입주자에게 신속히 알리며 화재 발생 위치 및 변화된 위치/상황 정보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이에 따라 동적으로 입주자에게 경보 및 해제를 제공하고, 현재 보급 중인 홈 기기에 첨단 IT 기술을 실현하여 음성경보 및 시각 경보 기능을 적절하게 동작하게 함으로써 입주자들이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홈기기, 경보장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관리 서버를 구성으로 하고, 관리 서버에 화재 위치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공동 주거지 역 내 또는 세대 내 입주자에게 신속한 화재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재알림 경보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화재 발생 위치정보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설정 시나리오를 산출하고 이에 따른 화재 알림 경보를 제공하여 입주자가 화재 위치와 현재 상황에 맞는 정보와 안내에 따라 안전한 대피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Dynamic Priority Scenario for Fire Alarm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Fir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본 발명은 화재 알림 경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알림 경보 제공 시에 화재 발생 위치를 추출하고 위치 정보에 기반을 둔 동적 우선순위 설정 시나리오를 산출하고,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입주자들에게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 위험에 대처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필수적이다. 특히 국내 주거 양상을 고려해볼 때,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상황에서의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그 중요성을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러한 화재경보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종래의 홈기기나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경보 방법은 화재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발생 신호에 대해 경종 또는 램프 점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화재를 알리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화재수신기 동작에 의해 관리자 또는 소방대로의 화재발생 통보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입주자에게 지능적이고 효과적인 화재 발생 경고 알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외부 소음의 각 세대 내 인입을 차단하고자 최근 건축 차음 기술의 발달로 그 차단 수준이 높아 주거 환경 질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공간 형태상 각 세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특징과 함께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발생 인지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재발생 시 피난 안전성 측면에서 화재인지 지연 문제점을 해소해야 하며 한편으로 소음차단 및 밀폐공간이 특징인 공동주택에서 정확한 화재발생 및 화재위치 정보를 입주자에게 전달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화재위치 정보 제공으로 화재발생 위치와 관련이 없거나 적은 곳의 입주자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야기시키는 기존 대응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은 화재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설정 시나리오를 구현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위치정보에 기반한 화재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라는 본원 발명의 제 1 목적에 대응되는 종래 기술은 도 1a 내지 도 1c에 보이고 있다. 도 1a 및 도 1b를 대표도로 하는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아파트의 세대 내와 복도에 세트로 구비되는 감지기와 세대 내에 설치되는 비디오폰을 포함한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세대 내와 복도에 설치된 감지기를 세트로 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 발생 위치를 경보 관리부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단말 통지기능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각 화재발생 감지기를 개별위치 식별형 감지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관리실 등에 설치된 경보 관리부에 통지하도록 하고 있을 뿐,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각 입주자에게 통보해 주는 등의 구성 및 기능이 없어 효율적인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b의 특허문헌 2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경보시스템에 활용하고 있으나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달리하는 경보가 단순히 (1) 화재발생 세대 (2) 화재발생 세대의 좌우 (3) 화재발생 세대의 위, 아래 세대 순으로 단순화 되어 있어 공동주택의 구조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대피로 안내 구성이나 타 세대의 불안감 해소 등은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도 1c의 특허문헌 3은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은 아니나,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의 우선순위를 도입한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화재 발생이 감지될 경우 이의 우선순위를 높여 비상 방송, 경보한다는 단순한 구성만을 제안하고 있어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그 위치에 따라 세대별로 차등적으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거나 대피로를 안내한다는 구성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화재발생 위치의 정확한 감지와 함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세대별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효율적 경보 및 차등적 대피로 안내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위치정보에 따라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제공한다는 본원 발명의 제 2 목적에 대응되는 종래기술은 도 1d의 비특허문헌 1에 보이고 있다.
도 1d의 비특허문헌 1은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특성 분석을 통한 모델링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화재 위치나 건물 위치 등의 피난 특성을 분석하고 모델링하고자 하나 이를 통합하여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 구성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차음이 잘 되어 있고 밀폐공간이 형성된 공동주택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되어 경보가 울리더라도 각 세대 내부에 정보 전달이 어려우며 또한 단순한 화재 발생의 경보는 각 세대별로 불안감만을 가중시키고 안전한 대피를 더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및 오피스 건물이 일반화되는 현시점에서 화재 발생 위치 감지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이를 활용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 및 이에 따른 화재경보 제공 등은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 본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본원 발명은 이의 해결을 위해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 감지, 위치 정보 및 건축물의 특성, 화재 위치 정보를 고려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제공을 제안한다.
1. 등록특허공보 10-0643790호 (2006. 11. 10.) 2. 등록특허공보 10-0643791호 (2006. 11. 10.) 3. 등록특허공보 10-0908413호 (2009. 07. 21.)
최준호,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특성 분석을 통한 성능위주 설계 및 모델링 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활용한 화재경보시스템을 제공하되, 화재 전파 순서 및 위치에 따라 산출되는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화재 경보 제공을 도모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은 초고층건물, 아파트, 주택 등에 화재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화재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탐지 설비인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및 각 세대별 홈넷기기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단지서버로 구성된다. 화재경보시스템은 화재수신기와의 화재 위치 정보 처리를 위한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세대 내 화재 알림을 하게 하기 위한 홈넷기기를 관리하는 단지서버에 화재경보를 개시하거나 해지하도록 하는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화재 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는 화재경보구동부, 화재경보구동부와 연동하여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화재 경보를 반복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동적화재경보개시부, 화재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경보 세대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화면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모니터부 및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로토콜 및 통신포트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화재경보구동부는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단지서버에 화재경보를 개시하도록 하며, 화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을 위한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경보구동부는 저장된 화재 위치 정보와 함께 세대로 화재경보개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화재경보 개시부와 화재 경보종료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화재경보 해제부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공동주택의 구조 특징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시 경보를 위한 세대 그룹화 정보,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산출된 세대별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더 포함한다.
관리모니터부의 상세한 구성으로는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디스플레이 구성, 화재 처리 완료 신호 입력부, 대피경로 및 안내 범위, 그룹화 정보 입력 및 제어가 가능한 관리자 접근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동적화재경보개시부는 위치정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부,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요청하는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을 포함하고, 최초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이후 화재상태변화에 따른 갱신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메모리에서 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초기 매트릭스를 액세스하여 세대별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세대별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신호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는 화재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되, 화재위치정보, 통신방식정보 및 메시지방식정보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며 실시간 통신처리 상태를 로그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는 단지서버와의 실시간 통신처리 상태를 로그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지서버는 월패드 등으로 구성된 세대 별 홈넷기기, 세대별 그룹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세대에 대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음성과 시각 경보를 동시에 하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은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로 구성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또한 제안하고 있으며,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주기적으로 입력받은 화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엑세스하고, 위치정보와 경보개시신호를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 송신하는 화재경보 개시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단지서버로부터 통신알림 요청 신호 입력시 통신부를 통해 저장된 세대별 유/무선 통신기기로 알람 메시지 송출 단계,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메모리에서 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세대별로 산출되는 경보신호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부로 송신하여 화재경보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단계, 화재종료신호를 관리모니터부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경보 해제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각 단계 처리 상태를 관리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은 화재 발생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화재 전파 순서에 따라 산정된 경우의 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단계, 액세스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대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단계, 우선순위에 따라 경보방법분류를 선정하는 단계, 세대별 산출된 우선순위와 경보방법분류의 조합에 따라 경보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전파 순서에 따라 산정된 경우의 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화재 전파 특성, 건물 구조 특성, 건물 용도 및 시간대별 입주원 특성을 고려하여 기 산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를 들어 초고층 주상 복합 건물의 경우 오전 7시 이전과 오후 11시 이후의 상가층과 주거층에서 예상되는 입주자수와 오전 7시에서 오후 11시 사이에 예상되는 입주자수 및 시간대별 대피가 필요한 입주원의 연령이나 성별의 차이가 있게 된다. 건물 용도의 경우 오피스 전용 건물, 상가 건물, 공동주택 건물, 아파트형 공장 건물 등 다양한 용도가 있으며 이러한 용도에 따라 시간대별 입주자수, 입주자 연령 및 성별 분포가 자동으로 세팅 가능하다. 화재 전파 특성은 불은 위로 전달되는 성질과 옆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으며 질식사를 고려할 때 연기의 확산 순서 또한 고려하여 산정되어야 한다. 상기 세대별 우선순위는 초긴급, 긴급, 중요, 일반으로 구분되고 경보방법 분류는 초긴급 경보, 긴급 경보, 일반 경보로 구분된다. 일 실시예로 초긴급 경보는 응급벨 3회, 음성경보 3~4회, 붉은색 화재 광원 3회 및 시각경보로 구성할 수 있다.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 및 홈넷기기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해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은 화재경보시스템은 관리자모니터부로부터 화재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화재경보시스템은 단지서버로 화재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화재경보시스템은 시스템의 화재관련 파라미터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초기화 하는 단계, 단지서버는 화재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세대 홈넷기기로 화재종료 신호를 송출하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세대 그룹화 정보 및 기 송출된 경보분류를 이용하여 화재종료 신호 및 화재 관련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세대 홈넷기기는 오디오를 사용한 음성알림과 광원 및 문자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 알림으로 화재 종료 정보를 각 세대에 통보하고 1-2회 반복 경보해제 알림을 하는 단계, 각 세대 홈넷기기는 경보해제 완료 신호를 단지서버로 응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 방법을 살펴보면, 화재경보시스템은 층, 호의 건축물 입실 정보를 행렬 구조의 매트릭스로 저장하는 단계, 화재 전파 순서 및 가상 화재 위치 호실 정보에 따라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매트릭스에 저장하는 단계, 방화벽 위치에 따라 매트릭스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 복도 구조에 따른 호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방화 벽체로 둘러싸인 엘리베이터 유무 및 위치에 따라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건물 외부 돌출 대피 구역 유무 및 위치, 타건물 연결통로에 따라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건물 용도와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호실 별 우선순위를 산정하고 이를 매트릭스 값에 반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종래 기술의 천편일률적 화재경보로 정확한 화재 위치 및 정보를 알리지 못하여 입주자 불안을 가중시키고, 일시에 대피하려는 입주원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해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 화재 위치 정보 및 화재상황 변화에 따른 화재 위치의 갱신 정보를 세대로 제공하며 건물의 용도, 화재 특징 등을 고려하여 위치 정보에 따른 세대별로 동적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차등적 경보 제공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전파 순서 및 위치, 건축물 특정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대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경보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경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경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제공에 따른 세대 내 경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경보 순서 설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와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전체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은 초고층건물, 아파트, 주택 등에 화재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의 화재감지기(500)를 포함하는 화재탐지 설비인 화재수신기(400), 화재경보시스템(100) 및 각 세대별 홈넷기기(300)(월패드)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단지서버(200)로 구성된다.
화재수신기(400)는 복수의 화재감지기(500)를 포함하며 세대 및 위치 식별형 홈넷기기(300)에 단지서버(200)와는 별개로 연동된다. 또한 화재발생 감지 시에 화재경보시스템(100)에 이를 송신하도록 연동 통신부(600)를 포함한다.
단지서버(200)는 PDA, 월패드 등으로 구성된 세대 별 홈넷기기(300), 세대별 그룹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세대에 대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음성과 시각 경보를 동시에 하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미도시), 화재경보시스템(100)과의 연동 통신부(600)로 구성된다.
화재경보시스템(100)은 화재수신기(400)와의 화재 위치 정보 처리를 위한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120), 단지서버(200)에 화재경보를 개시하거나 해지하도록 하는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130), 화재 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는 화재경보구동부(140),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화재 경보 및 해제를 요청하는 동적화재경보개시부(190), 화재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경보 세대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70),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화면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관리모니터부(115) 및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로토콜 및 통신포트를 제공하는 통신부(600)를 포함한다.
화재경보구동부(140)는 화재수신기(400)로부터 화재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하고, 단지서버(200)에 화재경보를 개시하도록 하며, 화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을 위한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경보구동부(140)는 저장된 화재 위치 정보와 함께 세대로 화재경보개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화재경보 개시부(150)와 화재 경보종료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화재경보 해제부(160)로 구성되며, 데이터베이스부(170)는 공동주택의 구조 특징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시 경보를 위한 세대 그룹화 정보,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산출된 세대별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더 포함한다.
관리모니터부(115)의 상세한 구성으로는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디스플레이 구성, 화재 처리 완료 신호 입력부, 대피경로 및 안내 범위, 그룹화 정보 입력 및 제어가 가능한 관리자 접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동적화재경보개시부(190)는 위치정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부(미도시),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요청하는 화재경보구동부 연동부(미도시)을 포함하고, 최초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이후 화재상태변화에 따른 갱신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70)로부터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메모리에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세대별로 산출되는 경보신호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400), 화재경보시스템(100), 단지서버(200)로 구성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의 운용방법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화재경보시스템(100)은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및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수신기(400)와 단지서버(200)가 이상없이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하고(S100), 화재 발생시에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S104), 화재경보개시부(150)를 구동시키고(S106) 화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S114). 화재경보개시부(150)를 통해 단지서버(200)로 화재경보개시 신호를 송신하여 처리한다(S108). 화재 종료 신호를 단지서버(200)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화재경보를 종료하도록 하고, 화재 종료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복 경보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하여 경보하도록 한다(S11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400), 화재경보시스템(100), 관리모니터(115)로 구성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관리모니터부(115)는 화재경보시스템(100)의 작동여부를 일정 주기로 감지하고(S200), 화재경보시스템(100)과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S212)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 파일로 기록하고(S218), 통신 실패 신호를 화재경보시스템(100)과 관리자 GUI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S216). 화재경보시스템(100)이 작동되는 경우 화재경보 발생시 화재경보시스템(100)은 이를 화재수신기(400)와의 연동프로토콜을 통해 감지하고 화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S204). 화재알림개시 신호를 각 세대 내 홈넷기기(300)로 송신하고(S206) 화재종료 신호의 입력을 기다린다. 관리자모니터부에서 화재종료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화재종료 신호를 화재경보시스템(100)에 송신하여 경보를 종료하도록 하고 초기 화재 감지 모니터링 상태로 복귀한다(S21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시스템(100), 단지서버(200) 및 홈넷기기(300)로 구성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의 운용방법에서 세대 내 경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화재경보시스템(100)에서 화재경보신호를 입력받은 단지서버(200)는 각 세대 홈넷기기(300)로 경보개시 신호를 송출하여 오디오를 사용한 음성알림(S302)과 광원 및 문자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 알림을 각 세대에 통보한다(S304). 이때 단지서버(200)는 화재경보시스템(100)으로부터 화재 위치, 화재 상태변화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수신받아 이에 따라 세대별 차등적 경보를 송출한다. 또한, 화재종료시 경보해제신호를 화재경보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S312), 홈넷기기(300)로 경보해제를 명령하고 각 세대 홈넷기기(300)는 경보해제 완료 신호를 단지서버(200)로 응답하도록 하고(S314)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400), 화재경보시스템(100), 단지서버(200)로 구성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화재경보시스템(100)은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및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수신기(400)와 단지서버(200)가 이상없이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하고(S100) 화재 발생시에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S104), 화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화재경보 개시부를 구동시킨다(S106). 화재경보 개시부를 통해 단지서버로 화재경보개시 신호를 송신하여 처리한다(S108). 화재 종료 신호를 단지서버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화재경보를 종료하도록 하고, 화재 종료신호가 일정시간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적경보 태그 변수를 True로 세팅한다(S110). 동적경보 태그 변수가 True로 세팅되면 동적화재경보개시부(190)는 위치정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초기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엑세스하고 최초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이후 화재상태변화에 따른 갱신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70)로부터 액세스하여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세대별로 산출되는 시나리오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으로 송신한다. 갱신된 화재 위치정보 및 산출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반복 경보가 필요 없는 경우 동적경보 태그 변수를 False로 세팅한다(S124). 화재경보구동부는 일정시간 이상 동적경보 태그 변수가 False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S122) 화재 종료로 판단하고 화재경보 해제부를 구동하여 경보를 종료한다.
동적 우선순위 화재 알림 경보 시나리오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세대 내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감지기(500)로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세대 내 월패드에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동/단지 관리서버로 화재발생위치를 알린다. 동/단지 관리서버에서는 화재경보처리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화재발생위치정보와 함께 각 동별 서버를 경유하여 다른 세대 내 월패드로 화재경보알림을 한다. 세대 내 월패드에서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음성경보와 시각경보를 동시에 하되, 3 ~ 4회의 반복 경보를 하여 입주민들이 신속하게 정확하고 어디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가를 알게 하고 화재위치에 따라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초기 화재 알림 경보 후에 화재 진압이 되지 않고 화재가 계속 변화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동적 우선순위 화재 알림 경보 시나리오를 구동하며 경보를 하며 이때 우선순위 분류와 경보방법 분류를 조합하여 처리 한다.
우선순위 분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초긴급(Crital): 화재발생에 대한 인명 및 물적 즉시(3분 이내) 피해 대상, 화재 발생처 및 주변으로 초긴급 대피 필요
2. 긴급(Urgent): 화재로 인한 인명 및 물적 곧(잠시 후, 약 3 ~ 5분 이내) 피해 대상, 화재 발생 바로 위층 및 아래층으로 긴급 대피 필요,
3. 중요(Major): 화재로 인한 인명 및 물적 피해는 당장 없을 것 같으나 혹시 화재가 확산될 경우 대상일 수 있으므로, 신속히 대피 필요함
4. 일반(Minar): 화재로 인한 인명 및 물적 피해는 당장 없을 것 같으나 화재상황을 알고 대피 필요함
경보방법 분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초긴급 경보: 매우 긴급한 표현의 뛰~뛰~뛰~ 3회 후 음성경보 3 ~ 4회 , 붉은색 화재표시 광원 3회 깜박인 후 시각 경보 3 ~ 4회
2. 긴급 경보: 다소 급한 표현의 챠임 안내 후 음성 경보 3 ~ 4회, 붉은색 화재표시 광원 3회 깜박인 후 시각 경보 3 ~ 4회
3. 일반 경보: 챠임 안내 후 음성 경보 3 ~ 4회, 붉은색 화재표시 광원 3회 깜박인 후 시각 경보 3 ~ 4회
화재 발생 후 화재 진압이 되지 않고 계속 화재 중(10분 경과 이상)이거나 화재진압 시간이 길어질 경우 화재 발생한 단지/동/층/세대에 대하여 2분 단위로 반복하여 경보한다. 단, 이 반복 경보의 단위는 조정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A동 707호에서 화재발생의 경우를 가정하여 본원 발명의 동적 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매트릭스는 아래와 같이 도출 될 수 있다.
< 표 1 : 화재위치 및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 경보 적용 방법 (A동 707호에서 화재발생의 경우)>
Figure pat00001
동적 우선순위 화재 알림 경보해제 시나리오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화재 진압 후에는 모든 화재경보시스템(100)을 원상복구하며, 동/단지 관리서버에서는 화재종료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화재진압이 종료되었음을 각 동별 서버를 경유하여 세대 내 월패드로 화재진압종료 알림 절차를 수행 한다. 세대 내 월패드에서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화재가 진압되어 종료되었음을 음성경보와 시각경보를 동시에 한다. 1 ~ 2회의 반복 경보해제 알림을 하여, 이제 화재상태가 아님을 입주민들이 잘 알게 하여 불안감에서 안전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본원 발명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을 위해서는 화재 발생 위치 및 동적으로 변화하는 화재 상황에 따른 경보/대피 순서를 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산출한다. 건축물의 층, 호수, 용도, 구조(방화벽/방화문의 위치)를 고려한 화재 전파 순서 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전파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불은 위로 전달되는 성질(뜨거운 공기 위로 올라감)과 옆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으며 건축물의 준공 년도에 따른 건축법상 층간 방화기능, 외부 돌출 대피소, 대피계단 등이 고려되어 순서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실제 화재에서 주요 사인의 원인인 질식사 예방을 위해 연기 확산 순서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정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5층과 6층 사이, 20층과 21층 사이에 방화층이 설치된 건물의 경우로 보급된 소방 사다리차의 높이 또한 고려되었다. 층별로 구분되어 순서값이 산출되며, 행렬로 구성된 매트릭스로 저장한다. 순서값 산출의 알고리즘 예에 따라 초기값을 설정하며, 방화벽 및 외부 대피소, 대피계단 위치를 고려하여 값이 조정된다. 현재는 화재시 엘리베이터 사용이 불가하나, 미국의 WTC 911 참사 시 약 17% 정도의 입주원이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한 경우를 고려해보면 법률의 개정 또는 방화 강화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의 위치 정보 또한 매트릭스에 반영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제 2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의 경우 모든 입주원이 계단만을 이용하여 대피한다면 고령자, 장애자의 경우 안전한 대피가 어렵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초기값 설정 항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1층 화재
2. 2층 화재
3. 3층 화재
4. 4층 화재
5. 5층 방화층
6. 6층 ~ 20층 화재
7. 21층 화재
8. 22층 화재
9. 23층 화재
10. 24층 화재
11. 25층 화재
상기와 같이 초기값 11 개의 변수를 갖는 벡터에 화재가 x호에 발생한 경우 초기 매트릭스 값 설정은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다.
1) 순서1
x호 + 1층 = (x+1)층호, (x+1층)-1호 , (x+1층)+1호
x호 - 1층 = (x-1)층호,
x호 + 1호
x호 - 1호
2) 순서2
x호+2층 = (x+2)층호, (x+2층)-1호, (x+2층)-2호, (x+2층)+1호, (x+2층)+2호
3) 순서3
x호+3층 = (x+3)층호, (x+3층)-1호, (x+3층)-2호, (x+3층)-3호, (x+3층)+1호,
(x+3층)+2호, (x+3층)+3호
위와 같은 초기값 설정 이후 건축물 특성(방화벽 위치, 건물 용도와 화재발생 시간 관계) 등을 고려한 값을 반영하여 동적으로 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산출하도록 한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경보 순서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건축물 정보를 입력 받되, 입력 조건은 다음과 같은 한국 실정을 반영하도록 한다.
첫째, 한국의 고층 빌딩 또는 공동 주택은 대부분 10층 이상 100층 미만이 주를 이룬다.
둘째, 고층 빌딩 또는 공동 주택의 정보 입력은 앞 두자리는 층수(열), 뒤 두자리수는 호수(행)을 나타내는 4자리수로 표현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6자리수, 8자리수 등으로 확장하여 표현 가능하며,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윙, 단지, 연결빌딩 등의 정보를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다.
셋째, 화재 위치(세대 또는 호실)의 정보는 층, 열의 조합으로 정해진 자리수의 숫자로 입력한다.
고층인 경우의 일 실시예는 도 9와 같다. 모든 화재 경보는 5분 안에 순차적으로 개인 세대에 모두 알려야 한다. 아파트 또는 빌딩의 정보는 abcd호와 같이 입력받는다. 앞의 두 자리(ab)는 층수를 뒤 두 자리(cd)는 호수를 의미한다. 고층인가 저층인가의 기준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층으로 하되, 입력받은 4자리 빌딩 정보를 이용하여 10층 < ab < 100층이면 고층으로 판단하고, ab≤ 10층이면 저층으로 판단한다. 화재가 난 층 호수의 정보는 wxyz호로 역시 4자리수로 입력받는다. 다음 각 시나리오 기준에 따라 해당 경보 방법으로 경보를 한다. 도 9의 [경보 1] 내지 [경보 9] 는 다음과 같다. 5층은 방화층으로 가정한다.
1. [경보 1]
4층<ab-wx≤ab-4층과 3<cd-yz< cd-3호의 경우를 만족하는 경우로서 경보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경보 1-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호-1호,wxyz-1층-2호, wxyz-1층+1호,wxyz-1층+2호, wxyz+1층, wxyz+1층-1호,wxyz+1층-2호,wxyz+1층-3호,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경보
[경보 1-2] wxyz-2층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1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에 경보
[경보 1-3] wxyz+4층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5층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6층호, wxyz+6층-1호, wxyz+6층-2호, wxyz+6층-3호, wxyz+6층-4호, wxyz+6층-5호, wxyz+6층-6호, wxyz+6층-7호, wxyz+6층-8호, wxyz+6층-9호, wxyz+6층-10호, wxyz+6층+1호, wxyz+6층+2호, wxyz+6층+3호, wxyz+6층+4호, wxyz+6층+5호, wxyz+6층+6호, wxyz+6층+7호, wxyz+6층+8호, wxyz+6층+9호, wxyz+6층+10호에 경보
[경보 1-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경보
[경보 2]
ab-wx≤4층과 3<cd-yz<cd-3호의 경우를 만족하는 경우 모든 층 경보 (예를 들어, ab-wx = 4, ab-wx = 3, ab-wx = 2, ab-wx = 1, ab-wx = 0 층)
[경보 2-1] 맨 위층에서부터 아래로 4개층(화재층호 포함) 모든 호실에 경보
[경보 2-2] 나머지 모두 경보 (※ 상위층에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 전파 속도 빠름)
[경보 3]
ab-wx≥ab-3층과 3<cd-yz< cd-3호의 경우를 만족하는 경우
[경보 1]의 경우와 같은 순서로 경보를 하되, 화재 발생층, 호의 아래층이 없는 경우는 해당 층, 호는 경보에서 제외한다.
[경보 4]
4층< ab-wx≤ab-4층과 cd-yz≤3호를 만족하는 경우
[경보 4-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에 경보
[경보 4-2] wxyz-2층호, wxyz-2층호-1호,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 wxyz+3층+1호, wxyz+3층+2호에 경보
[경보 4-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에 경보
[경보 4-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경보
[경보 5]
4층<ab-wx≤ab-4층과 cd-yz≥cd-3호를 만족하는 경우
[경보 5-1] wxyz호, wxyz-1호,wxyz-2호,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경보
[경보 5-2] wxyz-2층호, wxyz-2층호-1호, 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 wxyz+2층-1호,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에 경보
[경보 5-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1호, wxyz+4층+12호에 경보
[경보 5-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경보
[경보 6]
ab-wx≥ab-3, cd-yz≥cd-3 호를 만족하는 경우
[경보 6-1] wxyz호, wxyz-1호,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3호, wxyz-1층호, wxyz-1층호-1호, wxyz-1층-2호, wxyz+1층,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경보
[경보 6-2] wxyz-2층호, wxyz-2층호-1호, wxyz-2층-2호, wxyz-2층호+1호, wxyz-2층호+2호, wxyz-2층호+3호, wxyz+2층,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xyz+3층+8호에 경보
[경보 6-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9호, wxyz+4층+8호, wxyz+4층+10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에 경보
[경보 6-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한 번에 경보
[경보 7]
ab-wx ≥ab-3, cd-yz≤3호를 만족하는 경우
[경보 7-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3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호, wxyz+1층-1호,wxyz+1층-2호,wxyz+1층-3호,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에 경보
[경보 7-2] wxyz-2층호, wxyz-2층호-1호,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호, wxyz+2층-1호,wxyz+2층-2호,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3층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 wxyz+3층+1호, wxyz+3층+2호에 경보
[경보 7-3] wxyz+4층, wxyz+4층-1호,wxyz+4층-2호,wxyz+4층-3호,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에 경보
[경보 7-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한 번에 경보
[경보 8]
ab-wx≤4, cd-yz≤3호를 만족하는 경우
모든 층, 호에 한 번에 경보한다.
[경보 9]
ab-wx≤4, cd-yz≥cd-3호를 만족하는 경우
모든 층, 호에 한 번에 경보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는 화재의 일반적인 전파 순서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의 값으로 설정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경보를 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매트릭스의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본원 발명의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은 화재 발생 위치, 변화 상황, 건물 특성 등을 종합 고려하여 동적으로 산출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세대별 차등적으로 경보가 제공되어 안전한 대피와 질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8)

  1. 화재경보시스템을 이용한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알림 방법에 있어서,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주기적으로 입력받은 화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엑세스하고, 위치정보와 경보개시신호를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 송신하는 화재경보 개시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단지서버로부터 통신알림 요청 신호 입력시 통신부를 통해 저장된 세대별 유/무선 통신기기로 알람 메시지 송출 단계;
    화재종료신호를 관리모니터부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화재 경보 해제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각 단계 처리 상태를 관리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시지 송출 단계 이후에,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메모리에서 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세대별로 산출되는 경보신호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부로 송신하여 화재경보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른 경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방법.
  3.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방법에 있어서,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및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수신기와 단지서버가 이상 없이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화재수신기 또는 단지서버와의 통신 실패 시 이를 메모리에 로그파일로 저장하고, 통신 실패 신호를 화재수신기, 단지서버, 관리자모니터부로 송신하고 종료하는 제 1-2 단계;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화재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화재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화재경보 개시부를 구동시키는 제 3 단계;
    화재경보개시부를 통해 단지서버로 화재경보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제 4 단계;
    화재경보개시부는 동적경보 태그 변수를 True로 세팅하는 제 5-1 단계;
    동적경보 태그 변수가 True로 세팅되면 동적화재경보개시부는 동적우선순위 시나리오를 산출하고 세대별로 산출되는 시나리오를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으로 송신하는 제 5-2 단계;
    상기 제 5-2 단계에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을 위해 엑세스한 갱신된 화재 위치 정보에 따라 화재 종료로 판단되면 동적화재경보개시부는 동적경보 태그 변수를 False로 세팅하는 제 5-2단계;
    화재경보 개시부는 동적화재경보개시부로부터 세대별 시나리오 정보를 수신받는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단지서버로 화재경보개시 신호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및
    화재 종료 신호를 단지서버로부터 입력받거나 동적경보 태그가 False인 경우 화재경보를 종료하도록 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 운용방법.
  4.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방법에 있어서,
    화재 발생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화재 전파 순서에 따라 산정된 경우의 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단계;
    액세스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대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단계;
    우선순위에 따라 경보방법을 선정하는 단계;
    세대별 산출된 우선순위와 경보분류에 따라 경보개시 신호를 단지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 알림 경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전파 순서에 따라 산정된 경우의 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화재 전파 특성, 건물 구조 특성, 건물 용도 및 시간대별 입주원 특성을 고려하여 기 산정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분류는 초긴급 경보, 긴급 경보, 일반 경보로 구분되고 초긴급 경보는 응급벨 3회, 음성경보 3~4회, 붉은색 화재 광원 3회 및 시각경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
  7.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 및 홈넷기기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해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에 있어서,
    화재경보시스템은 관리자모니터부로부터 화재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화재경보시스템은 단지서버로 화재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화재경보시스템은 시스템의 화재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는 단계;
    화재경보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초기값으로 세팅하는 단계;
    단지서버는 화재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세대 홈넷기기로 화재종료 신호를 송출하되 화재경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른 세대별 정보 및 기 송출된 경보방법 분류를 이용하여 화재종료 신호 및 화재 관련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각 세대 홈넷기기는 오디오를 사용한 음성알림과 광원 및 문자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 알림으로 화재 종료 정보를 각 세대에 통보하고 1-2회 반복 경보해제 알림을 하는 단계;
    각 세대 홈넷기기는 경보해제 완료 신호를 단지서버로 응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화재 알림 경보해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구동 방법.
  8.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 방법에 있어서, 화재경보시스템은
    층, 호의 건축물 입실 정보를 행렬 구조의 매트릭스로 저장하는 단계;
    화재 전파 순서 및 가상 화재 위치 호실 정보에 따라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매트릭스에 저장하는 단계;
    방화벽 위치에 따라 매트릭스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
    복도 구조에 따른 호실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방화 벽체로 둘러싸인 엘리베이터 유무 및 위치에 따라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건물 외부 돌출 대피 구역 유무 및 위치, 타건물 연결통로에 따라 매트릭스 값을 조정하는 단계;
    건물 용도와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호실 별 우선순위를 산정하고 이를 매트릭스 값에 반영하는 단계;
    산출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 방법.
  9. 화재수신기, 화재경보시스템, 단지서버로 구성된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경보 방법에 있어서, 화재경보시스템은
    앞의 두 자리는 층을 의미하고 뒤의 두 자리는 호수를 의미하는 4자리수 abcd로 층호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화재 발생 층호 정보를 4자리수 wxyz로 입력받는 제 2 단계;
    4층<ab-wx<ab-4층과 3<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1]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3단계;
    ab-wx≤4층과 3<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2]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4단계;
    ab-wx≥ab-3층과 3<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3]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5단계;
    4층<ab-wx ab-4층)과 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4]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6단계;
    4층<ab-wx≤ab-4층과 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5]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7단계;
    ab-wx≥ab-3층과 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6]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8단계;
    ab-wx≥ab-3층과 cd-yz≤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7]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9단계;
    ab-wx≤4층과 cd-yz≤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8]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10단계;
    ab-wx≤4층과 cd-yz≥cd-3호를 만족하는지 계산하고 만족하면 [경보 9]의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하도록 하는 제 11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경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1]의 시나리오는,
    [경보 1-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호-1호,wxyz-1층-2호, wxyz-1층+1호,wxyz-1층+2호, wxyz+1층, wxyz+1층-1호,wxyz+1층-2호,wxyz+1층-3호,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먼저 경보를 하는 단계;
    [경보 1-2] wxyz-2층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1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로 경보하는 단계;
    [경보 1-3] wxyz+4층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5층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6층호, wxyz+6층-1호, wxyz+6층-2호, wxyz+6층-3호, wxyz+6층-4호, wxyz+6층-5호, wxyz+6층-6호, wxyz+6층-7호, wxyz+6층-8호, wxyz+6층-9호, wxyz+6층-10호, wxyz+6층+1호, wxyz+6층+2호, wxyz+6층+3호, wxyz+6층+4호, wxyz+6층+5호, wxyz+6층+6호, wxyz+6층+7호, wxyz+6층+8호, wxyz+6층+9호, wxyz+6층+10호로 경보하는 단계;
    [경보 1-4] 나머지 모든 층호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2]의 시나리오는
    [경보 2-1] 맨 위층에서부터 아래로 4개층(화재층호 포함) 모든 호실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2-2] 나머지 모든 호실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3]의 시나리오는
    [경보 1]의 경우와 같은 순서로 경보하되, 화재 발생층, 호의 아래층이 없는 경우는 해당 층호는 경보에서 제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4]의 시나리오는
    [경보 4-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4-2] wxyz-2층호, wxyz-2층호-1호,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 wxyz+3층+1호, wxyz+3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4-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4-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5]의 시나리오는
    [경보 5-1] wxyz호, wxyz-1호,wxyz-2호,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5-2] wxyz-2층호, wxyz-2층호-1호, 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 wxyz+2층-1호,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5-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1호, wxyz+4층+1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5-4] 나머지 모든 층, 호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 6]의 시나리오는
    [경보 6-1] wxyz호, wxyz-1호,wxyz-2호, wxyz+1호, wxyz+2호, wxyz+3호, wxyz-1층호, wxyz-1층호-1호, wxyz-1층-2호, wxyz+1층,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3호, wxyz+1층+4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6-2] wxyz-2층호, wxyz-2층호-1호, wxyz-2층-2호, wxyz-2층호+1호, wxyz-2층호+2호, wxyz-2층호+3호, wxyz+2층,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3층,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xyz+3층+8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6-3] wxyz+4층,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4층+3호, 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9호, wxyz+4층+8호, wxyz+4층+10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6-4] 나머지 모든 층, 호 한 번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7]의 시나리오는
    [경보 7-1] wxyz호, wxyz-1호, wxyz-2호, wxyz-3호, wxyz+1호, wxyz+2호, wxyz-1층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1호, wxyz-1층-2호, wxyz+1층호, wxyz+1층-1호,wxyz+1층-2호,wxyz+1층-3호,wxyz+1층-4호, wxyz+1층+1호, wxyz+1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7-2] wxyz-2층호, wxyz-2층호-1호,wxyz-2층-2호, wxyz-2층-3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2층호, wxyz+2층-1호,wxyz+2층-2호,wxyz+2층-3호, wxyz+2층-4호, wxyz+2층-5호, wxyz+2층-6호, wxyz+2층+1호, wxyz+2층+2호, wxyz+3층호, wxyz+3층-1호, wxyz+3층-2호, wxyz+3층-3호, wxyz+3층-4호, wxyz+3층-5호, wxyz+3층-6호, wxyz+3층-7호, wxyz+3층-8호, wxyz+3층+1호, wxyz+3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7-3] wxyz+4층, wxyz+4층-1호,wxyz+4층-2호,wxyz+4층-3호,wxyz+4층-4호, wxyz+4층-5호, wxyz+4층-6호, wxyz+4층-7호, wxyz+4층-8호, wxyz+4층-9호, wxyz+4층-10호, wxyz+4층+1호, wxyz+4층+2호, wxyz+5층, wxyz+5층-1호, wxyz+5층-2호, wxyz+5층-3호, wxyz+5층-4호, wxyz+5층-5호, wxyz+5층-6호, wxyz+5층-7호, wxyz+5층-8호, wxyz+5층-9호, wxyz+5층-10호, wxyz+5층-11호, wxyz+5층-12호, wxyz+5층+1호, wxyz+5층+2호에 경보하는 단계;
    [경보 7-4] 나머지 모든 층, 호 한 번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8]의 시나리오는
    [경보 8-1] 모든 층, 호로 한 번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 9]의 시나리오는
    모든 층, 호로 한 번에 경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화재경보시스템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산출에 따른 경보 방법.
  11. 건축물에 화재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기를 포함한 화재탐지 설비인 화재수신기와의 화재 위치 정보 처리를 위한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세대 내 화재 알림을 위한 홈넷기기를 관리하는 단지서버에 화재경보를 개시하거나 해지하도록 하는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
    화재 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는 화재경보구동부;
    상기 화재경보구동부와 연동하여 위치정보와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동적 화재 경보 개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동적화재경보개시부;
    화재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경보 세대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화면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모니터부; 및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화재 발생 위치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로토콜 및 통신포트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화재경보구동부는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단지서버에 화재경보를 개시하도록 하며, 화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을 위한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처리하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에 따라 화재경보를 반복 개시하며 화재상태 변화에 따라 소정의 주기에 따라 화재위치정보를 갱신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보구동부는,
    저장된 화재 위치 정보와 함께 세대로 화재경보개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화재경보 개시부; 및
    화재 경보종료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화재경보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공동주택의 구조 특징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시 경보를 위한 세대 그룹화 정보,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서버는
    월패드 등으로 구성된 세대 별 홈넷기기;
    세대별 그룹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세대에 대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음성과 시각 경보를 동시에 하도록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는 화재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되, 화재위치정보, 통신방식정보 및 메시지방식정보를 갖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는 화재수신기와 실시간 통신처리 상태를 로그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지서버 연동 프로토콜 처리부는 단지서버와의 실시간 통신처리 상태를 로그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니터부는
    화재 발생 위치 표현 및 처리 상태를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디스플레이;
    화재 처리 완료 신호 입력부;
    대피경로 및 안내 범위, 그룹화 정보 입력 및 제어가 가능한 관리자 접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화재경보개시부는
    위치정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초기 매트릭스를 저장한 메모리부;
    화재경보 개시 및 해제를 요청하는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을 포함하고,
    최초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이후 화재상태변화에 따른 갱신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인자로 하여 메모리에서 이에 따른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초기 매트릭스를 액세스하여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매트릭스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동시에 화재경보구동부 연동수단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경보 시스템.
KR1020120047517A 2012-05-04 2012-05-04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4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17A KR101348949B1 (ko) 2012-05-04 2012-05-04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17A KR101348949B1 (ko) 2012-05-04 2012-05-04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65A true KR20130123965A (ko) 2013-11-13
KR101348949B1 KR101348949B1 (ko) 2014-01-10

Family

ID=4985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517A KR101348949B1 (ko) 2012-05-04 2012-05-04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94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8A1 (ko) * 2014-01-13 2015-07-16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CN109686037A (zh) * 2018-12-05 2019-04-26 义乌市吉龙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报警系统
CN110264659A (zh) * 2019-05-22 2019-09-20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复合型电气火灾监控探测器及其监控方法
KR102220328B1 (ko) * 2019-09-24 2021-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379814B1 (ko) * 2021-12-16 2022-03-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와 대피로 정보 제공 및 소방차 연동 시스템
KR102437433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방법
KR102437437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 시스템
CN115471796A (zh) * 2022-11-14 2022-12-13 河北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电网工程监理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572B1 (ko) 2015-07-08 2017-02-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경보방법 및 화재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12B1 (ko)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101132316B1 (ko) 2011-08-02 2012-04-05 (주)아이엠피 대피 시나리오를 갖는 방송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8A1 (ko) * 2014-01-13 2015-07-16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CN109686037A (zh) * 2018-12-05 2019-04-26 义乌市吉龙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报警系统
CN110264659A (zh) * 2019-05-22 2019-09-20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复合型电气火灾监控探测器及其监控方法
CN110264659B (zh) * 2019-05-22 2024-03-01 应急管理部沈阳消防研究所 一种复合型电气火灾监控探测器及其监控方法
KR102220328B1 (ko) * 2019-09-24 2021-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379814B1 (ko) * 2021-12-16 2022-03-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와 대피로 정보 제공 및 소방차 연동 시스템
KR102437433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방법
KR102437437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 시스템
CN115471796A (zh) * 2022-11-14 2022-12-13 河北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电网工程监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949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94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7948368B2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2304B1 (ko)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698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mart building rescue
KR101352488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KR101783002B1 (ko)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JP6280370B2 (ja) 支援システム
JP6352622B2 (ja) 支援システム
KR102323026B1 (ko) 소방 장비의 위치 기반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JP2008282181A (ja) 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の端末、防災サービス提供方法、火災報知サービスの契約方法および火災報知装置
JP7158940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KR102448752B1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JP6742209B2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JP6245996B2 (ja) 支援システム
JP2012168989A (ja) 火災報知装置、火災報知サービスの契約方法および防災サービス提供方法
KR20210148155A (ko) 이질적인 비상사태 검출 및 대응 성능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JP6186285B2 (ja) 支援システム
TWM547727U (zh) 智慧型消防控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