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28B1 -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328B1
KR102220328B1 KR1020190117455A KR20190117455A KR102220328B1 KR 102220328 B1 KR102220328 B1 KR 102220328B1 KR 1020190117455 A KR1020190117455 A KR 1020190117455A KR 20190117455 A KR20190117455 A KR 20190117455A KR 102220328 B1 KR102220328 B1 KR 10222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cenario
building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찬솔
김두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건축물에 복수로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시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재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안전관리자 및 재실자에게 위험도 및 대피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amages of building fire}
실시예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미리 구축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을 미리 예측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정확하고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필수적이다. 특히 국내 주거 양상을 고려해볼 때,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을 포함한 공동주택 상황에서의 신속한 화재경보 알림은 그 중요성을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러한 화재경보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종래의 홈기기나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경보 방법은 화재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화재발생 신호에 대해 경종 또는 램프 점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화재를 알리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화재수신기 동작에 의해 관리자 또는 소방대로의 화재발생 통보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초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우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화재 및 연기의 확산방향에 따른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실자에게 위험도를 알리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9912호.
실시예는 화재의 성장 전망에 대한 시간별 예보를 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간 화재 상황과 화재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실시간 화재에 적합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건축물에 복수로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시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재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재실자에게 위험도 및 대피여부를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아날로그식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건축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화재 성장조건, 화재 확산조건, 건축물 평면구조, 건축물 수직 관통로 구조, 재실자밀도 및 건축물의 사용용도 중 적어도 4개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zone model 또는 field model을 이용하여 수치해석 시물레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나리오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판단부는 인덱스화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값을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수신된 정보의 기설정된 시간동안의 변화값과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수신되는 신호 정보와 일치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사범위의 복수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그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서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에 따라 화재의 위험도를 다르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구획내 화재, 수평확산화재 또는 수직 확산화재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알림부로 경보 신호를 다르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건축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신호수신 단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시나리오와 상기 화재신호를 매칭하는 시나리오 매칭 단계; 및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예측하고 대피정보를 송출하는 대피정보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신호수신 단계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나리오 매칭 단계에서 시나리오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수신정보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유사시나리오 추출단계 및 유사시나리오 중 위험도가 가장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정보 송출 단계는 시나리오에 의한 화재 및 연기의 확산정보에 따라 위험 경보를 다르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정보 송출 단계는 구획내 화재, 수평확산화재 또는 수직 확산화재를 구별하여 위험 경보를 다르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전 송출신호와 현재 신호를 비교하는 신호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비교 단계에서 이전 송출 신호와 현재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 신호와 시나리오를 재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화재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한 예보를 통해 화재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에 관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실시간 화재 정보와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정보와 일치하는 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화재 피해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대피 명령을 송출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100), 감지부(200), 판단부(300) 및 알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00)는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화재 시나리오는 일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및 연기가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00)는 미리 저장된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따른 화재 및 연기의 확산정보를 시나리오로 구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분석하는 화재 시나리오는 건축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화재 성장조건, 화재 확산조건, 건축물 평면구조, 건축물 수직 관통로 구조, 재실자밀도 및 건축물의 사용용도 중 적어도 4개를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화재 시나리오는 화재 및 연기의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되, 건축물의 설계조건과 사용조건, 사용상태 조건 등을 고려하여 화재 및 연기의 확산 시나리오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나리오는 화재 위험도평가 및 시나리오 추출 방식에 따라 추론하여 전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화재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2차원 모델인 zone model 또는 3차원 모델인 field model을 이용하여 수치해석 시물레이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화재 모델 생성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00)는 구축된 시나리오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수많은 시나리오의 정보를 모두 비교하고 시나리오를 매칭시키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화재에서 시나리오 선정에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나리오가 추출되는 초기 조건에 대한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시나리오 선택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지부(200)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시 화재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는 건축물의 중점 지역에 복수로 설치되어 화재 정보를 판단부(300)로 송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락식 감지기의 경우, 설정된 온도에서 화재 발생신호를 1회만 송출하는 바, 화재의 발생여부는 감지할 수 있으나 화재 상황에 대한 추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센서는 화재에 대한 감지를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하기 위해 아날로그식 감지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날로그식 감지기가 사용되는 경우, 화재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온도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동안의 화재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감지부(2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초기의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400)를 통해 관제실로 통보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초기의 화재사실을 알린 후, 수신된 화재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연기온도감지기, 연기농도감지기 및 연기속도감지기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감지값과 인덱스화 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00)의 정보를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수신되는 정보의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변화값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판단부(300)는 연기온도감지기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의 추세 (ex: Line Fitting, Temperature-Time 기울기 등), 연기농도감지기의 시간에 대한 농도의 변화 추세 (ex: Line Fitting, Concentration-Time 기울기 등), 연기유속감지기의 시간에 대한 유속의 변화 추세 (ex: Line Fitting, Velocity-Time 기울기 등)를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화재 정보와 시물레이션의 결과가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 이 경우, 판단부(300)는 수신되는 신호 정보와 일치되는 시나라오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사범위의 복수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그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판단부(300)는 변화값이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고온도, 최고농도 및 최고 속도가 일치하는 시나리오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유사한 시나리오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재실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 선택은 통계적 방법과 같은 공지된 위험도 평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판단부(300)는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서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에 따라 화재의 위험도를 다르게 평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판단부(300)는 구획내 화재, 수평확산화재 또는 수직 확산화재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알림부(400)로 경보 신호를 다르게 전달할 수 있다.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확산되는 것보다 수직 방향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더 위험하다. 따라서, 판단부(300)는 시나라오 상에서 화재가 일정구역내에 존재하는 경우와 수직 또는 수평확산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경보 신호를 다르게 송출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판단부(300)의 정보를 이용하여 건출물의 안전관리자 및 재실자에게 위험도 및 대피여부를 알릴 수 있다. 알림부(400)는 관재실로 화재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화재의 위험도에 따라 여러 단계의 경고를 재실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실시예로, 알림부(400)는 구획내 화재인 경우 1단계 경고로, 수평확산 화재인 경우 2단계 경고 신호로, 수직 확산 화재인 경우 3단계 경고로 재실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알림부(400)는 시각이나 청각 등 재실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의 설명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0), 화재신호 수신 단계(S200), 시나리오 매칭 단계(S300) 및 대피정보 송출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0)는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100)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0)는 각 시나리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할 수 있다.
화재신호 수신 단계(S200)는 건축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재신호 수신 단계(S200)는 판단부(300)가 건축물에 설치된 감지부(20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며,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화재신호 수신 단계(S200)는 일정시간동안의 연기 온도 변화량, 연기 농도 변화량 및 연기 유속의 변화량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 및 연기의 확산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나리오 매칭 단계(S300)는 판단부(300)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0)에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시나리오 정보와 감지부(200)로부터 수신된 화재 신호정보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시나리오 매칭 단계(S300)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정보와 일치하는 시나리오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대피정보 송출 단계(S600)가 진행된다.
그러나, 시나리오 매칭 단계(S300)에서 시나리오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유사시나리오 추출 단계(S400) 및 시나리오 선택 단계(S500)가 진행된다.
유사시나리오 추출 단계(S400)는 수신되는 화재 정보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시나리오를 선택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일정조건은 연기의 최고 온도, 연기의 최고농도 및 연기의 최고 속도 등의 일정 수치정보를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시나리오 선택 단계(S500)는 유사시나리오 추출 단계(S400)에서 선택된 복수의 시나리오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위험도는 공지된 화재 위험도 평가 기법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대피정보 송출 단계(S600)는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예측하고 대피정보를 송출하는 단계이다.
대피정보 송출 단계(S600)는 시나리오에 의한 화재 및 연기의 확산정보에 따라 위험 경보를 다르게 송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구역내 화재인 경우 1단계 경보 신호를 송출하며, 수평확산 화재인 경우 2단계 경보 신호를 송출하고, 수직확산 화재인 경우 3단계 경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대피정보를 송출한 후 실시간 화재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신호 비교 단계(S700)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신호 비교 단계(S700)는 시나리오 선택에 기초가 된 감지부(200)의 이전 송출신호와 현재 감지부(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정보를 비교하여 화재의 진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비교 단계(S700)에서 이전 송출신호와 현재 수신 신호가 달라진 경우, 화재 및 연기의 진행방향이 달라지거나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 경보신호를 유지하는 것은 무의미해지는 바, 실시간 화재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현재 신호와 화재 시나리오을 재매칭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300)는 감지기로부터 전송된 변화값을 초기 화재 패턴으로 변환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나리오를 재매칭하여 실시간 화재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화재 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부
200 : 감지부
300 : 판단부
400 : 알림부

Claims (17)

  1.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건축물에 복수로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시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재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안전관리자 및 재실자에게 위험도 및 대피여부를 알리는 알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건축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화재 성장조건,화재 확산조건, 건축물 평면구조, 건축물 수직 관통로 구조, 재실자밀도 및 건축물의 사용용도 중 적어도 4개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아날로그식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zone model 또는 field model을 이용하여 수치해석 시물레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6.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건축물에 복수로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시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화재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시나리오를 매칭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안전관리자 및 재실자에게 위험도 및 대피여부를 알리는 알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시나리오 정보를 인덱스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판단부는 인덱스화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값을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수신된 정보의 기설정된 시간동안의 변화값과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수신되는 신호 정보와 일치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사범위의 복수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그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서 화재 및 연기의 확산 방향에 따라 화재의 위험도를 다르게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구획내 화재, 수평확산화재 또는 수직 확산화재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알림부로 경보 신호를 다르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11. 건축물에서 발생가능한 화재 및 진행에 관한 시나리오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건축물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신호수신 단계;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시나리오와 상기 화재신호를 매칭하는 시나리오 매칭 단계; 및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예측하고 대피정보를 송출하는 대피정보 송출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는 건축물의 환기조건, 화재 발생조건, 화재 성장조건, 화재 확산조건, 건축물 평면구조, 건축물 수직 관통로 구조, 재실자밀도 및 건축물의 사용용도 중 적어도 4개를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신호수신 단계는 연기 온도, 연기 농도 및 연기 유속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매칭 단계에서 시나리오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수신정보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유사시나리오 추출단계 및
    유사시나리오 중 위험도가 가장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 송출 단계는 시나리오에 의한 화재 및 연기의 확산정보에 따라 위험 경보를 다르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정보 송출 단계는 구획내 화재, 수평확산화재 또는 수직 확산화재를 구별하여 위험 경보를 다르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이전 송출신호와 현재 신호를 비교하는 신호 비교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비교 단계에서 이전 송출 신호와 현재 신호가 달라지는 경우 신호와 시나리오를 재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방법.
KR1020190117455A 2019-09-24 2019-09-24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22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55A KR102220328B1 (ko) 2019-09-24 2019-09-24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55A KR102220328B1 (ko) 2019-09-24 2019-09-24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28B1 true KR102220328B1 (ko) 2021-02-25

Family

ID=7473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55A KR102220328B1 (ko) 2019-09-24 2019-09-24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4833A (zh) * 2021-03-02 2021-06-25 梅州市悦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人工智能信息管理系统
KR20230035793A (ko) * 2021-09-06 2023-03-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재난환경에서 건물 기본구조요소 별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재난확산 영역의 앙상블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6934983A (zh) * 2023-09-14 2023-10-24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火场环境模拟与虚拟构造方法及系统
CN117634206A (zh) * 2023-12-08 2024-03-01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基于bim的建筑物火灾数值模拟方法
CN117745083A (zh) * 2024-02-20 2024-03-22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消防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12B1 (ko)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20120087226A (ko) * 2010-11-29 2012-08-07 한국원자력연구원 명시적 화재전파 경로 탐색 방법 및 배중적 화재 시나리오 식별법
KR20130123965A (ko) * 2012-05-04 2013-11-1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12B1 (ko)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20120087226A (ko) * 2010-11-29 2012-08-07 한국원자력연구원 명시적 화재전파 경로 탐색 방법 및 배중적 화재 시나리오 식별법
KR20130123965A (ko) * 2012-05-04 2013-11-1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4833A (zh) * 2021-03-02 2021-06-25 梅州市悦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人工智能信息管理系统
CN113034833B (zh) * 2021-03-02 2022-06-14 广东悦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人工智能信息管理系统
KR20230035793A (ko) * 2021-09-06 2023-03-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재난환경에서 건물 기본구조요소 별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재난확산 영역의 앙상블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537964B1 (ko) * 2021-09-06 202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재난환경에서 건물 기본구조요소 별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재난확산 영역의 앙상블 예측 방법 및 장치
CN116934983A (zh) * 2023-09-14 2023-10-24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火场环境模拟与虚拟构造方法及系统
CN116934983B (zh) * 2023-09-14 2023-12-15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一种火场环境模拟与虚拟构造方法及系统
CN117634206A (zh) * 2023-12-08 2024-03-01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基于bim的建筑物火灾数值模拟方法
CN117745083A (zh) * 2024-02-20 2024-03-22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消防管理系统及方法
CN117745083B (zh) * 2024-02-20 2024-05-24 山东居安特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消防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328B1 (ko) 건축물 화재의 피해 예측 시스템 및 방법
EP3695392B1 (en) Fire detection system
CN107564231B (zh) 基于物联网的建筑物火灾预警及火灾态势评估系统及方法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24067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2124097B1 (ko)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33999A1 (zh) 基于空调器的火灾报警方法与系统
KR102440097B1 (ko) 전력시설에 대한 재난 예측 및 방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209821986U (zh) 火灾监控系统
CN112116775A (zh) 一种多联机设备的火灾检测方法及多联机系统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11476970A (zh) 一种火灾监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185050B (zh) 安全等级确认方法、装置和消防系统
CN101162545A (zh) 高层建筑火灾光温复合智能监测预报装置
KR20150080127A (ko)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CN105938648A (zh) 一种家庭安全综合管理系统及方法
CN111359132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慧消防警报方法及系统
CN113205669A (zh) 一种融合式的消防物联网监测预警方法
KR20100074445A (ko) 비상상황 대처시스템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