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76B1 -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76B1
KR102358776B1 KR1020200041885A KR20200041885A KR102358776B1 KR 102358776 B1 KR102358776 B1 KR 102358776B1 KR 1020200041885 A KR1020200041885 A KR 1020200041885A KR 20200041885 A KR20200041885 A KR 20200041885A KR 102358776 B1 KR102358776 B1 KR 10235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oke
evacuation route
fla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849A (ko
Inventor
윤효철
김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우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100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0169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우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우유니온
Priority to KR102020004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를 포함하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는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는 촬영된 영상을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FIRE, SMOKE AND VIDEO}
본 발명은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 및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조기 화재감지가 가능하며, 관리자 부재 시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가 가능한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관리에서 조기 화재감지 및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불꽃이나 연기를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열에 의한 공기 팽창으로 열을 감지하는 차동식 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감지기 주변의 온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이미 화재가 어느 정도 확산된 이후이기 때문에 초기 화재 감지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오작동을 줄이면서도 조기에 화재를 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 및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조기 화재감지가 가능하며, 관리자 부재 시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가 가능한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를 포함하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는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는 촬영된 영상을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및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및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은, 서버 통신부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회신을 못 받은 경우, 대피경로 안내부가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재 판단부에 의한 화재 판단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의 기초가 된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나 상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은,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 및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조기 화재감지가 가능하며, 관리자 부재 시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 및 대피경로의 혼잡률을 반영하여 대피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 안내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1000)은 건물(P)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CCTV(150_1 내지 150_3) 및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1000)은 관리자 단말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는, 측정범위 내에서 발생한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불꽃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감지하여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에서 불꽃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는 산란광을 이용해 감지를 하는 광산란식,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연기에 의해 광량이 감소되어 수광소자에 입사되는 현상을 이용한 감광식, 연기에 의한 이온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이온화식 등 다양한 방식의 연기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건물(P)의 각 공간(P1, P2, P3)에 설치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유무선 통신망(50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전송된 CCTV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의 내부에 구비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실시간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라이브러리인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를 활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에서 실시간 영상처리를 통해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촬영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망(500)을 이용하여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에서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일정 프레임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실시간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가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실시간 이미지를 전송했다는 것은, 상기 실시간 이미지에서 불꽃 또는 연기가 1차로 감지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에서 불꽃 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실시간 영상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CCTV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 또는 조기 화재감시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편의상 3층 건물(P) 및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를 간단히 도시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는 건물(P) 내부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서, 건물(P)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가 설치되기 어려운 장소에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또는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로 중복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자 단말기(700)로 화재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 상황 확인 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화재 알림을 수신한 후 직접 확인한 결과 화재 발생이 맞는 경우 이를 확인하여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일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화재 판단부에 의한 화재 판단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의 기초가 된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 오감지 정보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화재 알림을 수신한 후 직접 확인한 결과 화재 발생이 아닌 경우 이를 확인하여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하는 정보일 수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화재 상황 확인 정보나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부재중이거나 화재 알림을 확인하지 못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대피경로 안내를 계속 미뤄둘 수 없으므로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의 판단 결과를 신뢰하여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에는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가 건물(P)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건물(P)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추가로 상술하기로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무선 통신망(500)은,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700)가 서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으로서 통신 양태를 특별하게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망(500)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5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부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서 사용자 컴퓨터(700_1) 또는 모바일 단말기(700_2) 등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또는 전자 장비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중앙 상황실 등에 설치된 사용자 컴퓨터(700_1)일 수 있으며, 관리자가 직접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700_2)일 수도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화재 알림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실제 화재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화재 알림을 전송받았으나 화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화재 오감지 정보를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화재 판단부(330) 및 화재 알림부(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대피경로 안내부(370) 및 데이터베이스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건물(P)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고, 건물(P)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는 화재 알림부(350)로부터 수신된 화재 알림을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전송된 화재 상황 확인 정보 및 화재 오감지 정보를 화재 판단부(330) 및 대피경로 안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 및 관리자 단말기(700)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법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및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종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건물(P) 내부의 모든 공간에 CCTV(150_1 내지 150_3)가 설치되기 어려우므로 CCTV(150_1 내지 150_3)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는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를 설치하여 CCTV(150_1 내지 150_3)와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판단부(330)는 상기 CCTV(150_1 내지 150_3)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불꽃 또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는, 화재 판단부(330)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화재 알림부(350)는, 화재 판단부(330)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700)로 화재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화재 알림은 문자메시지 형태나 푸쉬 메시지 등의 형태로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화재 의심 구역의 위치, 화재가 감지된 CCTV의 영상 등도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알림음 등을 통해 화재 알림 수신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가 화재 알림을 수신한 경우 관리자는 화재 상황이 맞는지 다시 한 번 눈으로 직접 화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화재 상황이 맞는 경우 화재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을 구동시켜 건물 내의 인원들이 최단경로를 통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혼잡률은 CCTV 영상을 분석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밀집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70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화재 상황 확인 정보나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관리자의 부재 등으로 알림을 확인하지 못할 경우, 특정 시간 후에 대피경로 안내부(370)가 자동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응답이 없는 상태에서, 화재 의심 구역의 혼잡도가 증가하거나 화재 의심 구역에서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정상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화재 판단부(33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대피경로 안내부(370)를 통해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화재 판단부(330)는 화재 의심 구역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구역에 사람이 많아져서 혼잡도가 증가하거나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하여 급박해진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판단부(330)는 CCTV를 통해 분석된 화재 의심 구역의 혼잡도 및 사람들의 이동 속도를 분석하여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판단부(330)는 상기 CCTV(150_1 내지 150_3)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이 감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불꽃이 감지된 경우에는, 2개의 불꽃 감지 결과가 일치하므로 대피경로 안내부(370)를 통해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2개의 감지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700)의 확인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피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재 판단부(330)가 상기 CCTV(150_1 내지 150_3)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연기가 감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도, 2개의 연기 감지 결과가 일치하므로 대피경로 안내부(370)를 통해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화재 알림을 확인한 후 화재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피경로 안내를 중지시킬 수 있다.
화재 판단부(33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 판단부(330)에 의한 화재 판단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의 기초가 된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오작동한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를 간편하게 특정할 수 있고, 교체나 수리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불꽃 또는 연기가 1차로 감지된 실시간 영상을 전송받을 수도 있다. 즉, 촬영된 영상에서 불꽃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1차 판단을 적어도 하나의 CCTV(1501 내지 150_3)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영상, 적어도 하나의 불꽃 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적어도 하나의 연기 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대피경로 안내를 위해 건물(P) 내의 사람들이 보유 중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 및 영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므로 정확한 조기 화재감지가 가능하며, 관리자 부재 시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서버 통신부(310)가 건물(P)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구역에서 불꽃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구역에서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서버 통신부(310)가 건물(P)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는 촬영된 영상을 1차로 판단하여 불이나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조기 화재감지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S23 단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S23 단계는 화재 판단부(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판단부(330)는 OpenCV 기반의 실시간 영상처리 방법에 따라 CCTV 영상에서 불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재 판단부(330)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 중 어느 하나에서도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S21 단계로 돌아가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및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로부터 감지 신호를 새롭게 전송받고 다시 S21, S2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화재 판단부(330)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700)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판단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110_1 내지 110_3), 연기센서(130_1 내지 130_3) 및 CCTV(150_1 내지 150_3)로부터 얻은 결과를 조합하여 다양하게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2000)은,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회신을 못 받은 경우, 대피경로 안내부(370)가 화재 발생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판단부(330)는,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 판단부(330)에 의한 화재 판단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의 기초가 된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 안내부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건물의 평면도를 간단히 도식화한 것으로서, R1 내지 R10은 사무실과 같은 공간을 나타내며 S1 내지 S4는 화재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계단을 나타낸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OpenCV를 활용하여 각 대피경로의 구역마다 인구 밀집 정도를 측정하여 혼잡률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재가 발생하지 않고 인구의 이동이 없을 때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상기 혼잡률을 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여 해당 구역의 비상구에 인원이 많이 모일 경우에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와의 유사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인원이 많이 몰려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반면에, 해당 구역의 비상구에 인원이 많지 않을 때에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와의 유사도가 크게 차이 나지 않으므로, 인구가 몰려 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혼잡률이 높지 않은 곳으로 원활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S1 계단 앞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R1, R2, R7, R8, R9, R10의 인원들에게는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S2 계단 및 S3 계단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고, R3, R4, R5, R6의 인원들에게는 S4 계단으로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대피가 이루어져 S2 계단 및 S3 계단에 인원이 몰리는 경우, S2 계단 및 S3 계단 부근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의 혼잡률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S2 계단 및 S3 계단의 혼잡률이 높아진 것을 감안하여 R1, R2, R7, R8, R9, R10의 인원들에게도 S2 계단 및 S3 계단이 아니라 S4 계단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혼잡률은 화재 발생 시 최적의 대피경로를 계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가 설치된 각 구역마다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CCTV(150_1 내지 150_3)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기반하여 최단경로 기반의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최단경로 기반의 대피경로 안내방법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또는 에이스타(A*) 알고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알고리즘의 가중치는 각 구역에 설치된 CCTV에서부터 대피로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고층이나 비상구까지의 거리가 먼 곳 등 대피가 힘든 지역부터 대피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구까지의 경로를 대피경로로 설정하되, 현재 위치에서 비상구 사이에 화재가 진행되었다면 그 비상구는 제외하고, 해당 비상구나 해당 비상구까지의 경로가 혼잡률이 높은 경우 해당 비상구는 제외할 수 있다.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대피경로 안내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최종적으로 검색된 비상구로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으며, 대피경로로 안내된 비상구와 연결된 다른 층들의 비상구에 대한 혼잡률을 증가시켜 대피경로의 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건물(P)에 설치된 방송용 스피커나 비상구 유도등 등으로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형광등을 통해 비상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회로 등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비상구 유도등과 같이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370)는 건물(P) 내에 있는 사람들의 사용자 단말기로 대피경로에 관한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_1 ~ 110_3 : 불꽃센서 130_1 ~ 130_3 : 연기센서
150_1 ~ 150_3 : CCTV 300: 조기 화재감지 서버
310: 서버 통신부 330: 화재 판단부
350: 화재 알림부 370: 대피경로 안내부
390: 데이터베이스부 500: 유무선 통신망
7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연기센서 및 CCTV를 포함하고, 조기 화재감지 서버를 포함하는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는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된 경우 감지 신호를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는 촬영된 영상을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조기 화재감지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 및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한 제1 감지 결과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감지한 제2 감지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를 통해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나 상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4.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고,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화재 알림부; 및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대피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한 제1 감지 결과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감지한 제2 감지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를 통해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나 상기 화재 오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서버.
  7. 서버 통신부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버 통신부가 건물의 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화재 판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및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 신호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불 또는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화재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대피경로 안내부가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상황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꽃센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한 제1 감지 결과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감지한 제2 감지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안내부는,
    상기 화재 알림을 전송받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회신을 못 받은 경우,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혼잡률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방법.
KR1020200041885A 2018-07-12 2020-04-07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5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85A KR102358776B1 (ko) 2018-07-12 2020-04-07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004A KR102101698B1 (ko) 2018-07-12 2018-07-12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200041885A KR102358776B1 (ko) 2018-07-12 2020-04-07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004A Division KR102101698B1 (ko) 2018-07-12 2018-07-12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49A KR20200041849A (ko) 2020-04-22
KR102358776B1 true KR102358776B1 (ko) 2022-02-07

Family

ID=8025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85A KR102358776B1 (ko) 2018-07-12 2020-04-07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59B1 (ko) 2022-05-24 2023-01-17 (주)빅트론 센서 확장형 복합 화재 감지기를 이용한 배터리 보관 랙 내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99854B1 (ko)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내화채움구조체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2599859B1 (ko)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화재 위험 설비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2613942B1 (ko) 2022-10-27 2023-12-14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화재감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06051A (zh) * 2021-04-12 2022-10-18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时空物联的烟雾检测方法及系统
CN114821996A (zh) * 2022-01-25 2022-07-29 深圳市朗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烟雾报警方法、系统、电子设备及其计算机存储介质
KR102623806B1 (ko) * 2023-03-07 2024-01-11 주식회사 정윤에이엠 건물 내 화재 대응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88B1 (ko) * 2012-09-13 2014-01-21 최성열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101775463B1 (ko) * 2016-09-21 2017-09-07 (주)전원테크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488B1 (ko) * 2012-09-13 2014-01-21 최성열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101775463B1 (ko) * 2016-09-21 2017-09-07 (주)전원테크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59B1 (ko) 2022-05-24 2023-01-17 (주)빅트론 센서 확장형 복합 화재 감지기를 이용한 배터리 보관 랙 내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99854B1 (ko)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내화채움구조체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2599859B1 (ko)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화재 위험 설비용 화재감지시스템
KR102613942B1 (ko) 2022-10-27 2023-12-14 주식회사 광운기술 화재 열에 의한 자기발전 기술을 적용한 화재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49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77968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934700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2164449B1 (ko) Ai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JP6472574B2 (ja) Led照明モジュールを用いた非常感知及び対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40092511A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4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60118515A (ko) 화재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739543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101426331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5539B1 (ko)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7132714B2 (ja) 火災報知設備
KR1021765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재경보 시스템
KR101447528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0628837B1 (ko) 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83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20200004599A (ko) 경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GB2623232A (en) Building security and emergency detection and advisement system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US20170371067A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KR10229066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