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467B1 -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467B1
KR102056467B1 KR1020180056281A KR20180056281A KR102056467B1 KR 102056467 B1 KR102056467 B1 KR 102056467B1 KR 1020180056281 A KR1020180056281 A KR 1020180056281A KR 20180056281 A KR20180056281 A KR 20180056281A KR 102056467 B1 KR102056467 B1 KR 10205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vice
disaster
wind
volume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655A (ko
Inventor
이승형
안병덕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품
Priority to KR102018005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4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재난 정보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난 정보를 근거로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재난 방송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재난 방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주변에 전파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바람의 이동 방향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DISASTER ALARM SYSTEM FOR DENSELY POPULATED AREA}
본 발명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재난 정보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재해, 방사능 유출 및 가스 폭발과 같은 인재는 예보 방송도 중요하지만, 사고 현장에 있는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이차적 피해를 예방하고 재난 지역 및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재해발생 지역의 국민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현재 재난 상황 및 행동 지침 요령을 전달하는 긴급 재난 방송이 매우 중요하다.
선행기술문헌정보: 등록특허공보 제10-1604554호(2016.03.17 공고)
본 발명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재난 정보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재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난 정보를 근거로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재난 방송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재난 방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주변에 전파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바람의 이동 방향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스피커들;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풍향 감지부; 및 상기 풍향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 및 바람의 속도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며;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바람의 속도가 높을수록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스피커들;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풍향 감지부; 상기 바람의 속도를 판단하는 풍속 감지부; 및 상기 풍향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 및 상기 풍속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대피 장소의 위치를 가리키는 화살표를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는 홀로그램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보 장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홀로그램 표시부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표시부를 동작시킨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경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지역들로 재난 방송이 잘 전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홀로그램 영상을 표시하여 대피 장소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도 원활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경보 장치를 이의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경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경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 지역 재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센서(102), 기상청 서버(103),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 및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는 소방방재청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와 연계될 수 있다.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는 전국 단위 또는 시도 중심의 비교적 규모가 큰 광역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 정보를 통합하여 모니터링한다. 광역 재난 정보는 예컨대, 화재발생, 구조정보, 교통사고(국도, 고속도로), 방사능누출사고, 가축질병, 해양사고, 지진발생, 산불발생, 전염병발생, 정전발생, 열차사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는 재난 발생 지점의 일정 반경 내의 주요 시설의 위치 및 광역 재난 정보를 확인하여 재난 상황에 대응하는 유관기관(경찰청, 소방서, 고속도로공사 등)의 종합적인 재난상황에 대한 판단 및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 정보를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지역 재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센서(102)는 사물이나 장소에 부착되고 이를 통하여 사물의 인식정보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지하여 실시간으로 재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재난 USN센서(102)는 센서 노드에 의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재난 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지진, 산불 등의 재난 발생시에 재난이 발생한 위치와 확산 경로, 확산 속도에 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다. 지역 재난 USN센서(102)는 재난 상황 모니터링 정보를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기상청 서버(103)는 현재날씨, 주간예보, 기상청 특보, 태풍정보, 레이더영상, 위성영상을 수집하여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로 제공하며, 특히 기상 특보의 경우에는 수집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의보/ 경보로 분류하여 주의보/경보에 각각 상응하는 재난 정보를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와 연계하여 광역 재난 정보를 수집하거나, 지역 재난 USN센서(102)로부터 지역 재난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기상청 서버(103)로부터 기상 특보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외부 단말(미도시)로부터 제보 전화 및 팩스를 이용한 외부 재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상청 서버(103)로부터 수집된 기상 특보는 기상에 갑작스러운 변화나 이상 현상이 생겼을 때 갑자기 기상청에서 하는 보도로서, 기상 주의보와 경보로 분류된다. 기상 주의보는 재해가 예상될 경우에 일반이나 각 기관 등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발표되는 예보이며, 기상 경보는 중대한 피해가 발생될 것이 예상될 때에 발표되며, 예컨대, 호우, 대설, 폭풍설, 해일, 태풍. 파랑 경보 등이 있다.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 지역 재난 USN센서(102), 기상청 서버(103) 및 외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재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난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재난 상황을 평상시 단계, 재난 주의 단계, 재난 경보 단계 및 대피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로 상응하는 재난 정보에 대한 소정의 임계 범위를 설정한다.
이후,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수집된 재난 정보가 평상시 단계, 재난 주의 단계, 재난 경보 단계 및 대피 단계를 포함하는 각 단계별로 상응하여 기설정된 소정의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초과된 재난 정보를 통해 재난 상황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수집된 재난 정보가 평상시 단계, 재난 주의 단계, 재난 경보 단계 및 대피 단계를 포함하는 각 재난 단계별로 상응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면 초과된 임계치를 통하여 재난 정보에 상응하는 재난 상황이 현재 어떤 단계(평상시 단계, 재난 주의 단계, 재난 경보 단계 및 대피 단계 중 하나)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판단된 재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콘텐츠 영상, CCTV 영상, 재난 메시지, 영상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난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여 경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기존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라이브(live) 채널을 활용하거나, 국지적 재난 방송을 위해 위험 지구에 설치된 CCTV 영상을 활용하여 사진, 음성, 자막이 조합된 재난 방송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 따라 재난 경보음 및 재난 메시지 표출 방식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재해발생 지역의 경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국지적 재난 방송을 위하여 위험지구에 설치된 실시간 CCTV 영상과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재난 메시지를 함께 경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수집된 재난 정보를 통해 판단된 재난 상황에 상응하여 생성된 재난 방송을 제공할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확인된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 1 채널 방식 또는 제 2 채널 방식, 및 제 1 채널 방식과 제 2 채널 방식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가 DMB 수신이 불가능한 DMB 음영 지역에 해당하면 제 1 채널 방식과 제 2 채널 방식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채널 방식은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재난 방송과 재난 상황에 따라 자동 생성된 재난 방송을 함께 경보 장치(120)로 제공하는 방식이고, 제 2 채널 방식은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별도의 방송 채널을 통해 재난 상황에 따라 생성된 재난 방송을 경보 장치(120)로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컨대,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가 재난 방송을 제공할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결과, 그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가 지상에서는 DMB 수신이 가능하지만 지하 공간과 같은 DMB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확인되면,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제 1 채널 방식을 선택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가 제 1 채널 방식을 선택하면, 지상에서 설치된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DMB 신호를 지하 공간의 DMB 중계기를 통해 신호를 증폭함과 동시에 수신된 DMB 신호에 재난 상황에 따라 자동 생성된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재난 메시지, 대체 영상 및 자막 방송을 삽입하여 경보 장치(120)로 재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가 재난 방송을 제공할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결과, 그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가 지상에서도 DMB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확인되면,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제 2 채널 방식을 선택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가 제 2 채널 방식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별도의 주파수 또는 비상 방송 채널을 통해 재난 상황에 따라 자동 생성된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재난 메시지, 대체 영상 및 자막 방송을 경보 장치(12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는 경보 장치(120)의 위치 정보가 DMB 수신이 불가능한 DMB 음영지역에 해당하면, 제 1 채널 방식과 제 2 채널 방식을 동시에 선택하여 중앙재난상황실 서버(101)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방송과 국지적 재난 상황에 상응하여 생성된 재난 방송을 경보 장치(120)로 모두 제공함으로써 DMB 음영 지역을 해소하고 재난 발생 시 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경보 장치(120)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경보 장치(120)를 이의 상측에서 바라다본 도면이다.
경보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또는 야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장치(120)는 인구가 밀집한 실외 또는 야외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SP1, SP2, SP3, SP4), 풍향 감지부(430), 풍속 감지부(440), 제 1 안테나(301) 및 제 2 안테나(30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예와 같이, 경보 장치(120)는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피커(SP1)는 제 1 방향(D1)을 향해 배치되며, 제 2 스피커(SP2)는 제 2 방향(D2)을 향해 배치되며, 제 3 스피커(SP3)는 제 3 방향(D3)을 향해 배치되며, 그리고 제 4 스피커(SP4)는 제 4 방향(D4)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스피커(SP1)의 음향 출력부는 제 1 방향(D1)의 화살표의 촉이 가리키는 곳을 마주보며, 제 2 스피커(SP2)의 음향 출력부는 제 2 방향(D2)의 화살표의 촉이 가리키는 곳을 마주보며, 제 3 스피커(SP3)의 음향 출력부는 제 3 방향(D3)의 화살표의 촉이 가리키는 곳을 마주보며, 그리고 제 4 스피커(SP4)의 음향 출력부는 제 4 방향(D4)의 화살표의 촉이 가리키는 곳을 마주본다. 이에 따라, 제 1 스피커(SP1)는 제 1 방향(D1)으로 재난 방송을 전파하고, 제 2 스피커(SP2)는 제 2 방향(D2)으로 재난 방송을 전파하고, 제 3 스피커(SP3)는 제 3 방향(D3)으로 재난 방송을 전파하고, 그리고 제 4 스피커(SP4)는 제 4 방향(D4)으로 재난 방송을 전파한다.
전술된 제 1 방향(D1), 제 2 방향(D2), 제 3 방향(D3) 및 제 4 방향(D4)은 동서남북의 방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D1)은 동쪽 방향이고, 제 2 방향(D2)은 서쪽 방향이고, 제 3 방향(D3)은 남쪽 방향이고, 그리고 제 4 방향(D4)은 북쪽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스피커(SP1)는 동쪽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제 2 스피커(SP2)는 서쪽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제 3 스피커(SP3)는 남쪽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그리고 제 4 스피커(SP4)는 북쪽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풍향 감지부(430)는 바람의 방향, 즉 바람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풍속 감지부(440)는 바람의 세기, 즉 바람의 속도를 감지한다.
풍향 감지부(430) 및 풍속 감지부(440)는 하나의 풍향/풍속 감지부(4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이 풍향/풍속 감지부(440)는 풍차식 풍향/풍속 감지부(440), 풍배식 풍향/풍속 감지부(440) 및 초음파식 풍향/풍속 감지부(44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송신부, 예를 들어 전술된 재난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재난 방송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재난 방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주변에 전파한다. 이때, 경보 장치(120)는 바람의 이동 방향을 근거로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경보 장치(120)는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 감지부(430)에 의해 바람이 제 2 방향(D2)을 향해 부는 것으로 감지될 때, 경보 장치(120)는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스피커(SP1)와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스피커(SP2)를 선택한다. 그리고, 경보 장치(120)는 제 1 스피커(SP1)의 음량을 제 2 스피커(SP2)의 음량보다 더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스피커(SP1)로부터 제 1 방향(D1)을 향해 출력된 재난 방송의 음량은 제 2 스피커(SP2)로부터 제 2 방향(D2)을 향해 출력된 재난 방송의 음량보다 더 크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즉 제 1 방향(D1)에 위치한 지역으로도 재난 방송이 잘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부는 경우, 경보 장치(120)는 제 3 스피커(SP3) 및 제 4 스피커(SP4)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음량으로 재난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3 스피커(SP3) 및 제 4 스피커(SP4)는 동일한 크기의 기준 음량으로 재난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경보 장치(120)는 상기 바람의 속도가 높을수록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바람이 불 때, 경보 장치(120)는 그 바람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값의 임계값들을 초과할 때마다 제 1 스피커(SP1)의 음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제 2 스피커(SP2)의 음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즉 제 1 방향(D1)에 위치한 지역으로도 재난 방송이 잘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경보 장치(120)의 블록 구성도이다.
경보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 풍향 감지부(430), 풍속 감지부(440), DMB 모듈(510), UHF 모듈(520), 제어부(500), 증폭부(555), 충전기(560), 배터리(570) 및 태양광 패널(5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 풍향 감지부(430) 및 풍속 감지부(440)는 전술된 도 2의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 풍향 감지부(430) 및 풍속 감지부(440)와 동일하다.
DMB 모듈(510)은 송신부(예를 들어 전술된 재난 방송 제공 장치(110))로부터 음향 신호 기반의 재난 방송을 공급받을 수 있다.
UHF 모듈(520)은 다른 송신부(예를 들어, 그 경보 장치(120)가 설치된 지역의 방송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 기판의 지역 재난 방송을 수신할 수신할 수 있다.
증폭부(555)는 DMB 모듈(510) 및 UHF 모듈(520)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음향 신호를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로 전송한다. 증폭부(555)는, 예를 들어, 고출력 증폭기(power amplifi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 풍향 감지부(430), 풍속 감지부(440), DMB 모듈(510), UHF 모듈(520), 증폭부(555), 충전기(560) 및 태양광 패널(580)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00)는 풍향 감지부(430)로부터의 감지 결과 및 풍속 감지부(440)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의 각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500)는 바람의 속도가 높을수록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키고, 그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충전기(560)는 태양광 패널(580)로부터 생성된 태양광 에너지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한편, 충전기(560)는 외부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58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경보 장치(1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 구성도이다.
경보 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또는 야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장치(120)는 인구가 밀집한 실외 또는 야외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경보 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SP1, SP2), 홀로그램 표시부(650), 조도 감지부(660), 제 1 안테나(301) 및 제 2 안테나(302)를 포함한다.
도 5의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 제 1 안테나(301) 및 제 2 안테나(302)는 전술된 도 2의 제 1 내지 제 4 스피커들(SP1 내지 SP4), 제 1 안테나(301) 및 제 2 안테나(302)와 동일하다.
홀로그램 표시부(650)는 대피 장소의 위치를 가리키는 화살표(777)를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조도 감지부(660)는 경보 장치(12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한다.
경보 장치(120)는 조도 감지부(660)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홀로그램 표시부(65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감지부(660)로부터 감지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낮을 경우, 경보 장치(120)는 홀로그램 표시부(6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야간 시간에 재난 방송이 수신된 경우, 경보 장치(120)는 홀로그램 방식으로 화살표(777)가 표시되도록 홀로그램 표시부(65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경보 장치는 전술된 풍향 감지부(430) 및 풍속 감지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1: 제 1 안테나 302: 제 2 안테나
120: 경보 장치 SP1: 제 1 스피커
SP2: 제 2 스피커 430: 풍향 감지부
440: 풍속 감지부 200: 지지부
D1: 제 1 방향 D2: 제 2 방향
D4: 제 4 방향

Claims (11)

  1. 재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난 정보를 근거로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재난 방송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재난 방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주변에 전파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바람의 이동 방향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스피커들;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풍향 감지부; 상기 바람의 속도를 판단하는 풍속 감지부; 및 상기 풍향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 및 상기 풍속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대피 장소의 위치를 가리키는 화살표를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시하는 홀로그램 표시부; 조도 감지부; 및 상기 경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경보 장치의 DMB 모듈에 연결된 제 1 안테나; 상기 경보 장치의 UHF 모듈에 연결된 제 2 안테나; 및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은, 상기 경보 장치의 제 1 측면에 배치된 제 1 스피커; 상기 제 1 측면을 마주보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제 2 측면에 배치된 제 2 스피커; 상기 제 2 측면에 인접한 상기 경보 장치의 제 3 측면에 배치된 제 3 스피커; 및 상기 제 3 측면을 마주보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제 4 측면에 배치된 제 4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표시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보다 더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람의 속도가 높을수록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바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배치된 스피커의 음량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상기 조도 감지부, 홀로그램 표시부, 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는 상기 경보 장치의 상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경보 장치의 하면에 배치된 재난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56281A 2018-05-17 2018-05-17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05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81A KR102056467B1 (ko) 2018-05-17 2018-05-17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81A KR102056467B1 (ko) 2018-05-17 2018-05-17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55A KR20190131655A (ko) 2019-11-27
KR102056467B1 true KR102056467B1 (ko) 2020-01-22

Family

ID=6872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281A KR102056467B1 (ko) 2018-05-17 2018-05-17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811A (ko) 2022-02-15 2023-08-22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외 재난 알림 신호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2660811B1 (ko) 2024-01-29 2024-04-26 주식회사 온품 경보신호의 무선출력기능을 구비한 모자국 경보장치, 및 그의 경보신호 출력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752B1 (ko) 2009-07-16 2012-01-0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형 화재경보 음향장치
JP2012028845A (ja) * 2010-07-20 2012-02-09 Nec Corp 拡声装置および拡声方法
KR101604554B1 (ko) * 2014-12-02 2016-03-17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94962B1 (ko) * 2017-09-08 2017-11-07 김상수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KR101798898B1 (ko) * 2016-07-28 2017-12-12 주식회사 아이아라 입체화 영상 표시 방법 및 입체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67B1 (ko) * 2014-07-03 2016-07-29 이민주 화재 경보 장치
KR101736048B1 (ko) * 2015-06-11 2017-05-16 주식회사 반석이레기술단 주택용 화재감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752B1 (ko) 2009-07-16 2012-01-0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형 화재경보 음향장치
JP2012028845A (ja) * 2010-07-20 2012-02-09 Nec Corp 拡声装置および拡声方法
KR101604554B1 (ko) * 2014-12-02 2016-03-17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98898B1 (ko) * 2016-07-28 2017-12-12 주식회사 아이아라 입체화 영상 표시 방법 및 입체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101794962B1 (ko) * 2017-09-08 2017-11-07 김상수 비상문 자동 개폐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811A (ko) 2022-02-15 2023-08-22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외 재난 알림 신호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2660811B1 (ko) 2024-01-29 2024-04-26 주식회사 온품 경보신호의 무선출력기능을 구비한 모자국 경보장치, 및 그의 경보신호 출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655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86B1 (ko)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US7755481B2 (en) Disaster warning system
KR101923494B1 (ko) 폴대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이동차량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US6169476B1 (en) Early warning system for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US7358855B1 (en) Local area warning system (laws)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56467B1 (ko)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1377184B1 (ko)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한 안전 및 재난 방지 시스템
KR101954107B1 (ko) 실시간 재난정보 수집 및 자동 대피방송 송출 시스템
KR10205419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경보 방송 시스템
KR102019455B1 (ko) 재난 경보 시스템
JP2000057492A (ja) バス停車場情報システム、及びバス停車場
JP2006277384A (ja) 災害伝達装置
JP2003006775A (ja) 土砂災害事前感知警報システムおよび土石流検知装置
KR101906256B1 (ko) Dmb 재난방송 수신데이터를 활용한 전관안내방송 시스템
KR102490053B1 (ko) 예경보방송 전달내용을 문자로 변환하여 응답하는 ai 예경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6854451B2 (ja) 災害検知システム、送信側装置、受信側装置、電力遮断システム及び災害検知方法
KR20040090044A (ko) 자동기상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및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JP6247489B2 (ja) 警報システム
JP6158533B2 (ja) 災害報知システム
JPH09162823A (ja) 多目的公共通信情報装置
KR100660124B1 (ko) 방재 기상경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60603B2 (ja) 災害検知システム、送信側装置、受信側装置、電力遮断システム及び災害検知方法
KR102660811B1 (ko) 경보신호의 무선출력기능을 구비한 모자국 경보장치, 및 그의 경보신호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