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86B1 -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86B1
KR101985286B1 KR1020180162952A KR20180162952A KR101985286B1 KR 101985286 B1 KR101985286 B1 KR 101985286B1 KR 1020180162952 A KR1020180162952 A KR 1020180162952A KR 20180162952 A KR20180162952 A KR 20180162952A KR 101985286 B1 KR101985286 B1 KR 10198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isaster
announcement
transceiver
t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루테크
Priority to KR102018016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와 댁 내 송수신기가 디지털 통신을 함으로써 방송 난청 지역이 해소되고 방송이 명료하게 전달되며, 무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유선의 단락으로 인한 재난 방송 비전송을 방지할 수 있고,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방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출되고 이를 선택하여 재 청취 가능하므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면의 텍스트를 확대 혹은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 가능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수신하는 마을 방송 서버;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모바일;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댁 내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모바일;을 포함하되, 상기 댁 내 송수신기는 상기 마을 방송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되며, 상기 댁 내 송수신기 상호간에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Smart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을 방송 서버와 댁 내 송수신기가 디지털 통신을 함으로써 방송 난청 지역이 해소되고 방송이 명료하게 전달되며, 무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유선의 단락으로 인한 재난 방송 비전송을 방지할 수 있고,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방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출되고 이를 선택하여 재 청취 가능하므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면의 텍스트를 확대 혹은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 가능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을 방송은 통상 마을 회관 내에 비치된 방송 장비를 통해 이장 등 관리자가 방송을 하면 방송 내용이 유선으로 연결된 방송탑 또는 마을회관 옥상에 구비된 확성기를 통하여 음성으로 표출되는 방식이 주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건물의 방음 품질이 대폭 향상되고, 또한 비교적 먼 지역의 가정까지 방송 음성이 도달하지 못해 중요한 알림이나 재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치 않게 발생되어왔다.
또한, 종래의 마을방송은 유선 아날로그 통신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선로의 노후화 및 전자기장의 간섭에 의해 방송 음성에 많은 노이즈가 포함되어 방송 내용이 명료하게 들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방송 품질이 명료하고, 방송 음영 지역 없이 모든 가정 내에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581247(등록번호) 2015.12.23.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와 댁 내 송수신기가 디지털 통신을 함으로써 방송 난청 지역이 해소되고 방송이 명료하게 전달되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유선의 단락으로 인한 재난 방송 비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방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출되고, 이를 선택하여 재 청취 가능하므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의 텍스트를 확대 혹은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한 재난 상황의 감지 및 전파가 가능한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의 종류와 강도에 비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피해 예방이 가능한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수신하는 마을 방송 서버;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모바일;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댁 내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모바일;을 포함하되, 상기 댁 내 송수신기는 상기 마을 방송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되며, 상기 댁 내 송수신기 상호간에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옥외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내 또는 마을 주변 원격지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 또는 수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의 상급 기관에 설치되어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거점 방송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감지 장치는,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에 관측값 또는 재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댁 내 송수신기는 설치되는 장소별로 일련번호가 지정되고, 상기 댁 내 송수신기가 설치된 가정에 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은 상기 댁 내 송수신기와 동일한 일련번호가 지정되며,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중 일련번호를 선택하여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재난의 종류를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지형 정보, 수목 정보, 하천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 정보 및 기온, 습도, 풍향,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 정보가 저장되고, 분류된 재난의 종류와 상기 측량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토대로 재난 방송이 전송될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의 일련번호를 특정한다.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와 댁 내 송수신기가 디지털 통신을 함으로써 방송 난청 지역이 해소되고 방송이 명료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와 댁 내 송수신기가 무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유선의 단락으로 인한 재난 방송 비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방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창에 표출되고, 이를 선택하여 재 청취 가능하므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의 텍스트를 확대 혹은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감지 장치가 구비되어 신속한 재난 상황의 감지 및 전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방송의 수신 타겟이 되는 댁 내 송수신기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재난의 종류와 강도에 비례하여 적절한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방송의 수신 타겟이 되는 댁 내 송수신기의 특정에 측량 정보와 기상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피해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댁 내 송수신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댁 내 송수신기의 음성 방송 리스트 표출 화면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댁 내 송수신기의 문자 방송 리스트 표출 화면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댁 내 송수신기의 문자 방송의 표출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댁 내 송수신기의 화면 설정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재난 방송 타겟 지역 선정 제1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의 재난 방송 타겟 지역 선정 제2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수신하는 마을 방송 서버(100)와, 마을 방송 서버(10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송수신기(200)와, 마을 방송 서버(10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모바일(210)과,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댁 내 송수신기(300)와,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모바일(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을 방송 서버(100)는,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마을 회관 등에 설치되어 구비된다. 마을 방송 서버(100)는 다양한 루트로부터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우선, 관리자 송수신기(200)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로부터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 송수신기(200)는 마을의 이장, 동장, 통장 등의 집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마을 회관 등의 마을 방송 서버(100)에 장착 또는 마을 방송 서버(100)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모바일(210)은 마을의 이장, 동장, 통장 등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관리자 모바일(210)을 통해 녹음한 음성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로부터 작성된 텍스트가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안내 방송은 사용자로부터 생성될수도 있는데, 애경사 정보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재난 방송은 화재, 수해, 산사태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수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 정보는 무분별한 방송 정보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사 송수신기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을 통해 관리자의 확인을 거친 후 각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마을 방송 서버(100)는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전송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정보를 관리자 송수신기(200)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에 전송하고 승인 여부 또는 방송 내용의 재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재난 상황의 경우 일일이 관리자의 승인을 요청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또는 관리자가 미처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수해, 산사태 등의 재난 상황시에는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전송된 재난 상황에 대하여 관리자의 승인 여부에 관계 없이 우선 다른 가정의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 재난 방송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시, 군, 구, 읍, 면 등에 설치된 거점 방송 서버(110)로부터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통상의 경우 시, 군, 구, 읍, 면 등에서 발생된 안내 방송에 대한 정보는 동, 리에 전달될 때 공문 형태로 송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배제하지는 않으나 발명의 특징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거점 방송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재난 방송에 대해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마을 방송 서버(100)는 마을 내 복수 지점 또는 마을 외부 복수 지점에 설치된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관측값 또는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이 판별되면 재난 방송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댁 내 송수신기(300), 사용자 모바일(310), 관리자 송수신기(200), 관리자 모바일(210) 또는 옥외 수신기 등에 전송한다.
또한, 마을 방송 서버(100)는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화재인 경우 또는 댁 내 송수신기(300), 사용자 모바일(310) 등으로부터 수신된 재난 방송 정보가 화재인 경우 소방서 등에 지원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원 요청 정보에는 재난 감지 장치의 위치, 댁 내 송수신기(300)의 일련번호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의 GPS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을 방송 서버(100)는 댁 내 송수신기(300) 및 관리자 송수신기(200)와 디지털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난청 지역 없이 명료한 방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관리자 송수신기(200)는, 마을 방송 서버(10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 송수신기(200)는 마을의 이장, 동장, 통장 등의 집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마을 회관 등의 마을 방송 서버(100)에 장착 또는 마을 방송 서버(100)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자는 마을의 이장, 동장 또는 통장이 될 수 있으며, 가장 작은 지역 단위의 장이 그 대상이 된다. 관리자는 관리자 송수신기(200)를 통해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한다.
관리자는 한편, 관리자 모바일(210)을 통해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한다.
관리자는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마을 방송 서버(100)로 전송된 안내 방송 정보를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이의 승인 또는 안내 방송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관리자 송수신기(200)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을 통해 진행되며, 관리자에 의해 승인되거나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재생성된 안내 방송은 다시 관리자 송수신기(200)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로부터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된다.
한편,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로부터 생성되어 마을 방송 서버(100)를 통해 전파된 재난 방송의 정보는 관리자 송수신기(200) 또는 관리자 모바일(210)로 전송되며, 관리자는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각 건별로 통합 또는 분류하여 상급 기관에 통보할 수 있다.
댁 내 송수신기(300)는, 마을의 각 가정 내에 설치되며,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댁 내 송수신기(300)는 음성을 방출하기 위한 스피커(302)와, 텍스트 및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3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창(301)은 평상시 시간 정보, 양력 음력 등의 날짜 정보,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 등의 날씨 정보 등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 수신시에 해당 방송의 문자 방송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종료 후 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방송은 미청취 방송으로 분류되어 도3 및 도4와 같은 형태로 음성 방송, 문자 방송의 리스트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이때, 미청취 방송의 유무는 방송 리스트가 계속적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미청취 방송 리스트를 열 수 있는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방송 내용을 표출하는 문자 또는 미청취 리스트의 텍스트는 줌-인, 줌-아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창(301)은 터치 패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 청취한 방송이라 하더라도 리스트에 표출되어 다시듣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방송의 리스트를 표출하는 화면에는 도3과 같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설정 버튼이 표출되고, 문자 방송의 리스트를 표출하는 화면 및 문자 방송 표출 화면에는 도4 및 도5와 같이 글씨 크기를 조절하는 설정 버튼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정 화면에는 도6과 같이 주간 또는 야간의 디스플레이 창 밝기를 조절하는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창(301)은 수신되어 출력되는 방송의 종류에 따라 화면의 컬러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정 정보의 안내 방송인 경우 파란색, 마을 주민의 애경사 안내 방송인 경우 녹색, 화재 등의 재난 방송인 경우 빨간색으로 배경 또는 텍스트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창(301)의 일측에는 긴급 버튼이 표출될 수 있다. 긴급 버튼은 터치와 동시에 보건소, 소방서, 경찰서, 관리자, 옆집 등에 현재 사용자가 긴급 상황임을 전송할 수 있으며, 터치 실수로 긴급 버튼이 눌렸을 때를 대비하여 화면 중앙에 취소 버튼이 활성화되고 설정 시간동안 취소 버튼이 선택되지 않을 경우 긴급 상황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긴급 상황의 종류에 따라 보건소, 소방서, 경찰서, 이장, 옆집 등의 송신처를 선택하거나 또는 화재, 응급, 범죄 등의 긴급 유형을 선택하도록 취소 버튼의 일측에 긴급 상황의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 역시 설정 시간 동안 아무 입력이 없는 경우 소방서, 경찰서, 관리자, 옆집 등에 긴급 상황이 전송될 수 있다. 이는, 긴급 상황시에 사용자가 미처 메뉴들을 선택하지 못하고 대피하거나 쓰러지는 경우에도 인명 구조를 우선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댁 내 송수신기(300)는 마을 방송 서버(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을 주 통신 수단으로 하는 이유는 산불, 산사태, 태풍 등에 의해 유선 선로가 유실되는 경우에도 재난 방송을 송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또한, 이를 통해 각 가정의 댁 내 송수신기(300) 상호간에도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화재 상황의 경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가정에 이를 알림으로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의 전파에 무선 통신이 보다 유리하며, 각 가정을 잇는 유선 선로를 모두 가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어느 댁 내 송수신기(300)가 근처에 위치한 것인지 판별하기 위해 각 댁 내 송수신기(300)는 고유의 일련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때, 일련번호는 도로명 주소를 기반으로 부여되거나 또는 댁 내 송수신기(300)가 설치된 각 가정의 GPS 위치 정보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즉, 일련번호가 서로 이어지는 댁 내 송수신기(300) 상호간은 옆집으로 설정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모바일(310)은,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며, 이를 위하여 음성을 방출하기 위한 스피커와, 텍스트 및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 모바일(310)은 각 가정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댁 내 송수신기(300)와 유사한 화면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모바일(310)은 기본적으로 댁 내 송수신기(300)와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며, 댁 내 송수신기(300)와 동일한 일련번호를 부여받는다. 다만, 긴급 상황의 전송시에 댁 내 송수신기(300)가 일련번호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면, 사용자 모바일(310)은 현재 GPS 위치 정보를 우선으로 하고 일련번호 정보를 차순으로 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댁 내 송수신기(300) 및 사용자 모바일(310)은 자체적으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생성하여 이를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하거나 옆집 또는 지근거리의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방송의 경우 마을 방송 서버(100)에 전송된 후 관리자의 승인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고, 재난 방송의 경우 관리자 승인 없이 송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댁 내 송수신기(300) 및 사용자 모바일(310)에는 방송 정보의 음성 녹음을 위한 마이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정보는 음성 뿐만 아니라 텍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댁 내 송수신기(300) 및 사용자 모바일(310)에는 키패드가 화면상에 표출되어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관리자 역시 해당 마을의 주민이므로, 관리자 송수신기(200) 및 관리자 모바일(210)도 기능적인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으로 댁 내 송수신기(300) 및 사용자 모바일(310)로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옥외 수신기는, 실외에 설치되어 마을 방송 서버(100)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옥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마을의 방송탑 또는 마을 회관 등에 설치되는 고출력 스피커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 전광판이 옥외 수신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의 디스플레이 전광판은 댁 내 송수신기(300)와는 다르게 방송 내용을 간략히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들이 방송 내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은 농어촌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화재, 산불, 산사태, 수해 등의 촌각을 다투는 재난이 사실상 재난 재해의 거의 전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농어촌은 도심지에 비해 그 인구가 적어 재난 상황을 사람이 인지할 확률이 낮고 따라서 재난 상황의 전파가 느린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재난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이를 재난 재해의 종류에 맞게 전파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가 구비된다. 재난 감지 장치는 마을 내 또는 마을 주변 원격지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 또는 수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이러한 재난 재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카메라, 지진계, 수위계 등 다양한 장치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난 감지를 위한 센서들 또는 기구들은 공지의 구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감지 장치는 관측값을 생성하여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재난 유무를 판별하여 재난 발생 정보를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관측값 또는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한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이들 정보를 토대로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한다. 이때, 거점 방송 서버(110)로부터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한다는 의미는 직접 무선 통신으로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하는것 뿐만 아니라, 마을 방송 서버(100)를 통해 전송하는 것 역시 포함됨은 자명하다.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측값의 분석 결과 재난으로 판별되거나 또는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가 전송되면 재난 방송을 생성하여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전송한다.
이때,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재난의 종류에 따라 전송될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을 특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류 지역의 수위가 급격히 불어나는 경우 홍수로 분류된 재난 방송이 생성되고, 해당 하천의 하류 지역에 위치된 댁 내 송수신기(300) 및 해당 댁 내 송수신기(300)와 일련번호가 동일하게 배정된 사용자 모바일(310)에 재난 방송이 전송되는 것이다. 이는 재난 상황에 따라 긴급히 대피해야 하는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를 구분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재난 상황에 따라 방송 타겟이 되는 댁 내 송수신기(300)의 일련번호를 지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에는 해당 마을의 지형 정보, 수목 정보, 하천 정보 등의 측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기온, 습도, 풍향, 강수량 등의 기상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이러한 측량 정보와 기장 정보를 토대로 재난 종류별로 타겟 일련번호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상류에서 급격히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하류에 위치된 댁 내 송수신기(300)에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데, 강수량 정보에 따라 향후 수위가 계속적으로 상승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하류의 보다 넓은 지역에 위치된 댁 내 송수신기(300)에도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재난 종류가 산불인 경우, 산불이 관측된 위치로부터 설정 반경 내의 댁 내 송수신기(300)에 재난 방송을 송신하나, 만일 당시의 풍향이 서풍이라면 동쪽 방향으로 보다 확장된 지역의 댁 내 송수신기(300)에도 재난 방송을 송신하게 된다. 이때, 풍향 정보만을 변수로 두지 않고 지형 정보와 수목 정보 등의 측량 정보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과 같이, 산불이 발생되었고 동풍이 불고 있는 상태에서 서쪽의 지형이 논, 밭 등 개활지이거나 수목이 없는 지형인 경우 산불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거나 진행 속도가 느려지므로 해당 방향으로는 더이상 재난 방송 송출 지역을 확대하지 않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재난 방송을 전혀 전송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재난 방송의 반복 주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함에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반대로, 도7과 같이, 만일 산불이 발생되고 서풍이 불고 있는 상태에서 동쪽의 지형이 수목이 무성한 산악 지형인 경우, 산불이 급속히 번질 우려가 있으므로 동쪽으로 보다 넓고 먼 지역까지 재난 방송의 송출 지역을 확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재난 방송의 전송 타겟이 된 일련번호의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재난 방송이 수신된 경우, 해당 방송을 청취하였다는 수신 확인을 완료하지 않으면 반복적으로 재난 방송이 표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재난 방송이 1회 방송으로 끝난 경우 취침, 소음 등의 원인에 의해 이를 청취하지 못하고 대피를 늦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난 방송의 타겟이 된 일련번호를 갖고 있는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은 해당 방송을 청취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방송의 표출이 중지된다. 그리고,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로부터 해당 재난 상황의 등급이 설정 등급 이상인 경우에는 댁 내 송수신기(300)의 볼륨 설정과 무관하게 최대 볼륨으로 방송이 표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재난 상황의 발생시 즉시 대피가 필요한 지역, 대피를 준비해야 하는 지역, 재난 상황을 인지해야 하는 지역 등으로 지역별 위기 등급을 구분하여 재난 방송을 송신하며, 즉시 대피가 필요한 지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을 청취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방송의 연속 표출이 중지되도록 하고, 대피를 준비해야 하는 지역은 연속이 아닌 설정 시간 간격마다 방송이 표출되고 마찬가지로 방송을 청취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방송의 표출이 중지되도록 하며, 재난 상황을 인지해야 하는 지역은 재난 방송을 1회 표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재난 방송에는 재난의 종류 및 현재 상황뿐만아니라, 주민 행동 요령, 대피소 안내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재난 방송은 국가적으로 소방방재청 등에서 생성하여 송출할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거점 방송 서버(110)를 거쳐 직접 또는 마을 방송 서버(100)를 중계하여 댁 내 송수신기(300) 또는 사용자 모바일(310)에 재난 방송이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마을 방송 서버(100) 또는 거점 방송 서버(110)는 댁 내 송수신기(300)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며, 댁 내 송수신기(300)의 전원 온-오프 유무, 고장 유뮤 등을 판별함으로써 방송 음영 지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100)와 댁 내 송수신기(300)가 디지털 통신을 함으로써 방송 난청 지역이 해소되고 방송이 명료하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을 방송 서버(100)와 댁 내 송수신기(300)가 무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유선의 단락으로 인한 재난 방송 비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의 방송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창(301)에 표출되고, 이를 선택하여 재 청취 가능하므로,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의 텍스트를 확대 혹은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감지 장치가 구비되어 신속한 재난 상황의 감지 및 전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방송의 수신 타겟이 되는 댁 내 송수신기(300)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재난의 종류와 강도에 비례하여 적절한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방송의 수신 타겟이 되는 댁 내 송수신기(300)의 특정에 측량 정보와 기상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피해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0 : 마을 방송 서버 110 : 거점 방송 서버
200 : 관리자 송수신기 210 : 관리자 모바일
300 : 댁 내 송수신기 301 : 디스플레이 창
302 : 스피커 310 : 사용자 모바일

Claims (7)

  1.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수신하는 마을 방송 서버;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송신하는 관리자 모바일;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댁 내 송수신기;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모바일;
    을 포함하되,
    상기 댁 내 송수신기는 상기 마을 방송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되며, 상기 댁 내 송수신기 상호간에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며,
    마을 내 또는 마을 주변 원격지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 또는 수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
    마을의 상급 기관에 설치되어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상기 마을 방송 서버에 전송하는 거점 방송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 감지 장치는,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에 관측값 또는 재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에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하며,
    상기 댁 내 송수신기는 설치되는 장소별로 일련번호가 지정되고, 상기 댁 내 송수신기가 설치된 가정에 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모바일은 상기 댁 내 송수신기와 동일한 일련번호가 지정되고,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중 일련번호를 선택하여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전송하며,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재난의 종류를 분류하고,
    상기 마을 방송 서버 또는 상기 거점 방송 서버는 지형 정보, 수목 정보, 하천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 정보 및 기온, 습도, 풍향,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기상 정보가 저장되고, 분류된 재난의 종류를 토대로 재난 방송이 전송될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의 일련번호를 특정하되, 상기 측량 정보 및 상기 기상 정보를 토대로 재난 방송이 전송될 상기 댁 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의 일련번호를 가변하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마을 방송 서버로부터 송신된 안내 방송 또는 재난 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옥외 수신기;
    를 포함하는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62952A 2018-12-17 2018-12-17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KR10198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52A KR101985286B1 (ko) 2018-12-17 2018-12-17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52A KR101985286B1 (ko) 2018-12-17 2018-12-17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286B1 true KR101985286B1 (ko) 2019-06-05

Family

ID=6684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952A KR101985286B1 (ko) 2018-12-17 2018-12-17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8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408B1 (ko) 2019-09-10 2020-09-01 에스지컴테크 주식회사 마을방송 관제 시스템
KR102150404B1 (ko) 2019-09-10 2020-09-01 에스지컴테크 주식회사 마을방송 상쇄지역에 대한 마을방송 시스템
KR102186158B1 (ko) * 2019-08-08 2020-12-03 주식회사 에이디엠 디지털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258895B1 (ko) * 2020-04-28 2021-05-31 (주) 가네트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9943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시스템
KR20210069940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수신 장치
KR102444523B1 (ko) 2022-02-23 2022-09-20 주식회사 빌트 재난 단계별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KR20220135925A (ko) 2021-03-31 2022-10-07 (주)넥솔위즈빌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KR102507953B1 (ko) * 2022-07-19 2023-03-08 박진효 자가통신망을 통해 재난 및 환경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마을·특정지역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9558B1 (ko) *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WO2023225711A1 (en) * 2022-05-24 2023-11-30 Emergency Warning Systems Ltd Ma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813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엘씨와이시스템즈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이용한 기상특보 발령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581247B1 (ko) 2015-04-08 2015-12-31 (주)유진테크시스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15877A (ko) * 2016-08-04 2018-02-14 (주)맵시전자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정용수신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80066700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JP2018124954A (ja) * 2017-02-02 2018-08-09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813A (ko) * 2005-02-22 2006-08-28 주식회사 엘씨와이시스템즈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이용한 기상특보 발령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581247B1 (ko) 2015-04-08 2015-12-31 (주)유진테크시스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180015877A (ko) * 2016-08-04 2018-02-14 (주)맵시전자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정용수신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80066700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알파이앤시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JP2018124954A (ja) * 2017-02-02 2018-08-09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158B1 (ko) * 2019-08-08 2020-12-03 주식회사 에이디엠 디지털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50404B1 (ko) 2019-09-10 2020-09-01 에스지컴테크 주식회사 마을방송 상쇄지역에 대한 마을방송 시스템
KR102150408B1 (ko) 2019-09-10 2020-09-01 에스지컴테크 주식회사 마을방송 관제 시스템
KR102359807B1 (ko) * 2019-12-04 2022-02-09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시스템
KR20210069943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시스템
KR20210069940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수신 장치
KR102355275B1 (ko) * 2019-12-04 2022-01-25 주식회사 온품 Uhd 재난 방송 수신 장치
KR102258895B1 (ko) * 2020-04-28 2021-05-31 (주) 가네트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35925A (ko) 2021-03-31 2022-10-07 (주)넥솔위즈빌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KR102470001B1 (ko) * 2021-03-31 2022-11-25 (주)넥솔위즈빌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KR102444523B1 (ko) 2022-02-23 2022-09-20 주식회사 빌트 재난 단계별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WO2023225711A1 (en) * 2022-05-24 2023-11-30 Emergency Warning Systems Ltd Ma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07953B1 (ko) * 2022-07-19 2023-03-08 박진효 자가통신망을 통해 재난 및 환경 정보의 전파가 가능한 마을·특정지역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9558B1 (ko) *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86B1 (ko) 스마트 무선 마을 안내방송 시스템
US7683792B2 (en) In home multi disaster alarm system
US9171446B2 (en) Shelter evacuation response system
US20090303993A1 (en) Emergency alerting device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JP2007066034A (ja) 災害報知システム
JP202018772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509558B1 (ko)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KR20070024321A (ko) 이동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906256B1 (ko) Dmb 재난방송 수신데이터를 활용한 전관안내방송 시스템
JP2006277384A (ja) 災害伝達装置
KR102186158B1 (ko) 디지털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455B1 (ko)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056467B1 (ko) 인구 밀집 지역의 재난 경보 시스템
KR101616205B1 (ko) 댁내형 dmb 재난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JP6742209B2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JP6661182B1 (ja) 防災放送システム
JP2015170162A (ja) 報知支援装置
TW201008159A (en) System using wireless signals to transmit emergency broadcasting messages
JP6158533B2 (ja) 災害報知システム
JP2018041250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JP2017033513A (ja) 防災無線音声メッセージ屋内発報システム
JP2018049326A (ja) 地域防災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