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48B1 -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448B1
KR101763448B1 KR1020130019484A KR20130019484A KR101763448B1 KR 101763448 B1 KR101763448 B1 KR 101763448B1 KR 1020130019484 A KR1020130019484 A KR 1020130019484A KR 20130019484 A KR20130019484 A KR 20130019484A KR 101763448 B1 KR101763448 B1 KR 10176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evacuation
control device
display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678A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박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덕 filed Critical 박종덕
Priority to KR102013001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44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백화점, 공공기관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왕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식별코드와 보안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감지기들이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감지기를 통해 전송된 식별코드와 보안코드를 토대로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피난유도 방향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피난 픽토그램을 표출하여 주는 방재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주변 장치들과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난의 경보, 피난유도를 지시하는 신속하고 오인식에 강인한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System for prevention of disasters}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백화점, 공공기관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왕래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콘텐츠 재생 및 발급기 등으로 이용되다가 비상시에는 주변 장치들과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난의 경보, 피난유도를 지시하는 신속하고 오인식에 강인한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지하철, 백화점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의 재난 방재는 어느 한가지로 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방재제어장치의 네트워크와 주변의 방재를 위한 장치들과의 연동, 특히 상황실의 관리자가 정확한 재난 상황을 파악 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하고, 주변의 시민들에게 경고하여 대비하게 하며 비상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 할 수 있도록 대처하여야한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초기 재난의 정확한 정보와 대처이다. 이를 위한 건물 내부에 다수개의 감지기들이 설치되고 살수장치와 경고 싸이렌, 비상연락망, 피난유도등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재난을 방재하기 위한 제어적인 네트워크와 그 장치들이 서로 연동되지 못하거나 실시간으로 변하는 재난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부족하며,
특히 불순한 의도를 가진 사람이 재난을 일으키고 상황실이나 재난 방재장치들을 미리 재난에 잘못 대처하게 한다면 많은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한편,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감지기나 그 장치들을 평상시에 점검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적 자원이 투입되어야 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도 쉽지 않다.더불어 방재장치 중 재난 감지기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현재의 감지기는 상황실과 싸이렌, 살수장치들에 단순 연결되어 있고 그 감지기가 정확히 작동되고 있는지도 불안하다
또한, 피난유도등의 경우에도 대부분 대피 경로상의 천정에 출구 방향을 근거로 일률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그 출구 쪽에 화재나 독가스등 재난이 발생하고 있을 시는 피난유도 등이 오히려 대피자를 재난 쪽으로 유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이러한 피난유도등은 화재나 연기 등에 의해 가려져 피난유도등의 표시부 노출을 막고 있고 그 조명 또한 미약하여 시인성 확보에 부족한 면이 있으며, 대피 경로상의 중요한 지점의 피난유도등이 열이나 물리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파손되게 되면 대피자는 대피방향을 설정하기에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판들이 나오기도 하는데 여기서의 문제는 초기 재난의 정보는 감지기의 신호로부터 알 수 있는데, 앞에서의 지적한 바와 같이 감지기의 고장이나, 오작동, 파손 등을 보안하는 장치나 시스템의 부족으로 재난의 예방, 진압, 피난유도의 정보를 얻는데 심각한 원인이 되며 다른 장치들과의 연동되는 부분도 매우 부족하다
지하철이나 백화점의 복잡한 시설물 안에서의 재난이 발생 시 대피자는 재난의 종합적인 정보가 절실한데 현재 대부분 경우 "비상시 대피로"의 약도를 표시하고 현재위치에서 출구 방향이 어디인지 제시하는 정도이다. 실제 상황이 발생하면 조명이 나갈 수 있어 인지하기도 어렵지만 재난의 변동되는 부분을 실시간으로 제공 할 수 없다. 또한 이렇게 제공되는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많은 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 크기도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그 공간의 활용과 사용빈도, 설치 재원(財源)도 고려해야 한다. 피난 대피자 중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는 음성 유도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시각 장애인이 손에 들고 음성유도기의 안내를 받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일반 대피자들도 단말기를 손에 들고 현장의 종합적인 재난의 정보를 화면과 음성으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방재에 있어서 방제제어장치, 감지기, 피난유도등, 경보장치, 방재장치, 비상조명, 등 관련 장치들이 고장이나 오작동으로부터 잘못 작동되는 것을 보안하거나 점검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특히 감지기의 경우는 재난의 초기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더욱 보안하는 장치와 점검하는 장치의 설치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변 장치들이 서로 연동되어 평상시에는 점검 장치를 통해 오작동이나 고장 난 장치들을 파악 교체하며 비상시 연동되어 재난으로부터 예방과 진압, 피난유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은 상황실과도 연동되어 상황실에서 정확히 대처할 수 있는 정보와 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콘텐츠 재생 및 발급기 등으로 이용되다가 비상시에는 주변 장치들과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난의 경보, 피난유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시하는 한편
상기 주변 장치들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잘못된 지시를 내리는 것을 보안하면서 주변 장치를 점검하는 지능형 종합 방제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각각의 도피자들에게 재난상황을 신속하고 자세히 안내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재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재장치;
대피 경로에 설치되어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피난유도등;
구획된 주변지역의 출구, 연결통로, 공간, 층간, 방재장치, 소화 장치. 피난유도의 위치 및 대피경로의 위치를 코드화하고, 방재의 중요도에 따라 설정된 보인등급에 맞춰 설치함으로써, 재난감지시 정해진 보안등급에 따라 각각의 위치정보 및 보안등급에 맞게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감지기;
센서네트위크를 형성한 복수의 감지기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오작동 여부를 및 보안등급을 확인하고 피난유도 방향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피난 픽토그램을 표출하여 주면서, 주변에 설치된 피난유도등을 컨트롤하여 피난 이동방향을 안내하게 지시하는 방재제어장치;
상기 방재제어장치로부터 재난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기지국 권역 내에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재난정보를 전송하는 운영서버;
재난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출하여 주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콘텐츠 재생 및 발급기 등으로 이용되다가 비상시에는 주변 장치들과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피난유도를 지시하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해지게 되었고, 특히 신속하고 오인식에 강인한 방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재난발생시 각각의 도피자에게 재난정보를 전송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런 와중에도 음성 또는 영상으로 안내되는 재난정보를 통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재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방재제어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방재제어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도 1의 감지기의 블럭도.
도 5는 도 1의 피난유도등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피난유도등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5의 피난유도등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5의 피난유도등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를 들어 보여준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는 다수개의 방제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제제어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기와 연동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방재제어장치(20)는 신호를 전송받아 피난유도 방향을 결정하고 도피픽토그램을 표출하여 주면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피난유도등(30)을 컨트롤하여 일측 혹은 타측으로의 피난을 지시하며,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방재장치(40)(스프링쿨러, 방재셔터 등등)를 컨트롤하여 재난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관제장치(50)로 재난 사실을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운영서버(60)를 통해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를 확보하고 주변에 있는 도피자의 스마트단말기(70)로 재난 사실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감지기(10)과 연동하여 방재제어장치(20)가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를 토대로 피난유도등(30) 및 방재장치(40)를 컨트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피난유도를 지시하면서 오인식에 강인한 방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재난발생시 각각의 도피자에게 재난정보를 전송하여 이동경로를 보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혼란스런 와중에도 음성 또는 영상으로 안내되는 재난정보를 통해 도피자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도 2과 도 3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재제어장치(20)를 설명하면, 상기 방재제어장치(20)는 운영서버(6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재난 감지시 상기 운영서버(60)를 컨트롤하는 한편 상황실의 관제장치(50)로 메시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의 방재제어장치(20)는, 평상시 일측면에 다수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부(29)를 형성하여 콘텐츠 재생기나 발급기 등으로 사용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주변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시장치(26)와, 재난상황을 알리는 혹은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비상조명등(28)과 음성유도안내장치(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감지기(10)나 방재장치(40)나 운영서버(60)나 관제장치(50)와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처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부(29)로 재난상황을 표출하여 주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운영서버(60)를 통해 재난앱이 설치되어 있는 도피자의 스마트단말기(70)로 재난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재제어장치(20)는, 본체 내부에 수신부(21)와, 보안부(22)와, 제어부(23)와, 송신부(24)와, 영상출력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방재제어장치의 수신부(21)는,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또 다른 방재제어장치와 연동되어 유/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는다.
이때 수신된 신호는 방재관련 신호와 컨텐츠 관련 신호로 크게 분류되고, 방재관련 신호는 상황실의 특별 신호와 연동되어 위치별, 코드별, 강약(强弱)등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보안부(22)에 보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안부(22)는 사전에 기설정된 보안 등급 A, B, C 등으로 구별하고, 인가받은 신호가 오작동(誤作動에) 의한 확률, 외부의 악의적인 확률 등을 계산하며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하여 제어부(23)에 인가 또는 인가를 보류한다.
그리고 상황실에서 특별 신호가 들어오면 사전에 설정된 보안 등급의 실시에 따라 즉각 제어부(23)에 인가하게 되는데, 연동되는 방재장치의 A급 보안 신호와 상반되면 상황실에 암호 코드를 요구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부(22)에서 정리된 신호들은 제어부(23)에 보내지게 되는데, 변경된 신호가 일정시간을 경과한 후 계속해서 꼬리를 물고 신호들을 보내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결과적으로 방재의 제어나 피난유도 등이 급격하게 변하는 현상을 초래하여 현장에서 혼란을 가져올 수 있게 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등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바로 보내지는 경우와 사전에 설정된 시간 단위로 보내는 경우로 분류하여 보낸다.
그러나 이때에도 상황실에서 실시간 보내는 특별 신호는 설정된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바로 제어부(23)나 송신부(24)로 보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보안의 설정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전 또는 실시간 인가 받은 관리자에 의해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방재관련 프로세서 모드와 타용도 관련 프로세서 모드로 나눈다. 타용도의 모드(예, 컨텐츠 재생, 발급기 등등)의 처리 과정에도 방재관련 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방재관련 프로세서의 모드로 전환된다. 방재관련 상황이 끝나면 원위치한다.
상기 제어부(23)에는 본기기의 설치와 관련된 방재관리지역의 출구, 연결통로, 층간(層間)구분. 약도, 방재장치, 피난유도등, 방화벽위치, 소화 장비등 기타 방재에 필요한 자료들이 주소록 또는 특별 코드화 되어 입력되어 있으며 제어부에서 연산시 각각의 신호 값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입력된 자료들은 인가받은 관리자에 의하여 수정, 삭제 및 보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어부(23)의 연산의 기준은 자체 내 입력된 신호와 연동되는 장치들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상황실의 신호를 바탕으로 비교, 결정하며, 제어부(23)의 연산의 결과는 디스플레이 표출신호, 음성 유도신호, 전산자료신호, 명령실행 신호등으로 디스플레이, 운영서버, 상황실, 방재장치, 피난유도등에 송신되도록 송신부(24)에 인가한다.
삭제
또한, 송신부(24)는 제어부(23)와 보안부(22)에서 받은 신호를 송신하며, 이때 송신된 내용은 대용량 기록 장치를 통하여 그 송신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먼저, 방재관리 지역을 구획화(區劃化) 하고 그 구획을 출구, 연결통로, 공간, 층간, 방재장치, 소화 장치. 피난유도등의 위치와 대피경로 등을 고려하여 그 위치를 코드화 및 방재의 중요도에 따라 보인등급을 A, B, C 등으로 분류하여 지정한다. 그리고 재난 감지에 필요한 감지기(10)들을 구획된 지역에 코드에 맞추어 설치하고 네트워크화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감지기(1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함께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감지기(10)들은, 각각의 주소와 코드(식별정보 및 위치정보) 및 보안등급이 정해지고, 이들을 방재제어장치와 연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기(10)는, 구동부(11)와 컨트롤러(12)와, 네트워크형성부(13)와, 송신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워크형성부(13)는, 주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감지기(10)와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컨트롤러(12)는, 네트워크형성부(13)와 구동부(11)를 컨트롤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부(11)는 오작동(誤作動)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잘못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나 무작동(無作動) 하는 것을 최소(最小)화기 위한 것이다.
삭제
이때의, 구동부(11)는, 종전의 어떤 감지기가 있었을 때(예: 연기 감지기) 감지기의 문제점은 그 감지기가 평상시 고장 난 상태에 있을 때 비상시에 작동을 하지 않거나, 감지기의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오작동 되면 잘못된 정보의 신호를 그 연결된 장치에 송신하게 된다. 구동부(11)는 이러한 확률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즉, 네트워크형성부(13)를 통해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받고, 구동부(11)는 그들 중 이질적인 신호는 제거하고 다수의 공동된 신호를 최종 송신신호를 결정함으로, 오작동(誤作動)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잘못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나 무작동(無作動) 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11)는 이질적인 신호를 확인하게 되면 고장이 났음을 확인할 수 있는 에러신호를 생성하고, 송신부(14)는 이를 연동하는 방재제어장치를 통해 운영서버나 관제장치로 전송하여 교체되도록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유도등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상기 피난유도등(30)은 대피 경로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방재제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송수신장치(38)와, 도피 픽토그램을 표출하여주는 표시부(31)와, 일측 혹은 타측으로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비상유도등(32) 및 레이저(35)와, 연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팬(33) 및 모터(3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의 피난유도등(30)은, 방재제어장치(20)의 지시를 받아 표시부(31)의 비상유도등(32)을 구동시켜 일측 혹은 타측으로의 대피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피난유도등(30)은, 케이스와 일체로 이루어져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한 연기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피난유도등(30)의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31b)를 따라 표시부(31)를 설정된 만큼 아래(下)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난유도등(30)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부(31) 혹은 케이스에 복수의 노출구멍(31a)을 형성하고 내측에 모터(34) 및 팬(33)을 설치하여, 주위의 연기를 외측으로 밀어내 퍼지게 하면서, 혹은 연기를 흡입하여 배기관을 따라 배출함으로써, 피난유도등(3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대피 경로 상의 중요한 지점에 설치된 피난유도등(30)이 화재나 기타원인으로 인하여 피난유도등(30)의 시인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양측면에 레이저(35)을 설치하여 비상유도등(32)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줌으로써, 피난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유도등(30)의 전면 상단에 돌출구(36)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구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는 반투명한 혹은 투명한 가이드 표지판(37)을 설치하여,
재난발생시 상기 가이드 표시판(37)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피난유도등(30)의 레이저(35)가 투명한 혹은 반투명한 가이드 표지판(37)의 표면에 조사되면서 일측방향으로 혹은 타측방향으로 확대된 피난방향을 안내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삭제
또한, 점검 장치는 상황실, 방재제어장치, 피난유도등, 감지기 네트워크 장치, 방재 장치, 특정 운영서버와 연동되어 지며 상황실 및 방재제어장치의 신호를 받아 연동 되어지는 장치가 정상 작동 되고 있는지와 운영서버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점검하는 장치로서, 사전에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검 장치는 점검을 시작하기 전에 연동되는 장치들에게 점검 신호를 보내면 연동되는 장치들이 점검 모드로 바뀌면서 실제 상황과 구별되어 진다. 이때 감지기는 감지기 네트워크 방식으로 설치된 것과 방재제어장치에 직접 설치한 것들이 있는데 이 두 가지 감지기들을 동시에 점검하지 않도록 사전에 설정하여 점검 중 일 때라도 점검중이 아닌 감지기로부터 비상 신호가 감지되면 방재제어장치나 상황실의 관제 장치를 통해 연동되는 장치들에게 점검모드에서 비상모드로 바로 전환 되도록 한다.
또한, 점검 장치는 데이터 및 전기적인 시뮬레이션 방식과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 및 전기적인 시뮬레이션 방법은 데이터 및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장치들의 비상 신호 처리, 흐름과 그 표시 장치들을 점검하며,
물리적인 시뮬레이션 방식으로는 연기, 불꽃, 가스 등을 사전에 설정한 량 만큼을 감지기에 분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연동되는 장치들을 점검하여 그 결과를 방재제어장치 및 상황실의 관제 장치에 보고한다.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점검을 감지기 설치 옆에 시뮬레이션 분사 장치가 각각 설치되며 이 장치들이 점검 장치의 신호 명령을 받아 작동된다.
점검 장치가 전기적, 물리적 시뮬레이션을 할 때 특히 전력량이나 물리적인 량을 충분히 제어하기 위하여 1회 점검 단위로 그 량의 한계 값을 넘지 못하도록 차단 회로가 보강되어진다.
점검 장치와 연동 되어 점검 시뮬레이션을 받는 장치들은 방재제어장치, 상황실 관제장치, 감지기 네트워크 장치, 그 외 감지기, 피난유도등, 방제장치, 등이며 이들 장치의 안에 점검 프로세스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운영서버(60)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관제장치(70) 혹은 방재제어장(20)치로부터 재난정보를 수신받아 인터넷망을 통하여 도피자의 스마트단말기(70)로 보내진다.
또한, 운영서버(60)는 실시 예에 따라 상황실에 방재제어장치에 상황실에 전송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는 방재제어장치(20)와 상황실 간에 송수신이 단절되었을 때 인터넷망을 통하여 방재제어장치의 동작 상황을 상황실에서 파악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방재제어장치(2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60)는 실시 예에 따라 방재 장치(40)와도 연결되어 방재장치(70) 주변의 재난진행 상황을 상황실에서 파악하도록 한다. 한편, 점검 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접속이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점검 받게된다.
또한 재난앱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기(70)는, 인터넷망과 접속되어 재난의 정보를 받게 되며, 재난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게 되면서 방재제어장치가 재난상황을 전송받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단말기(70)는 인터넷망이 접속되는 어떻한 지역 에서도 단말기 안에서 재난의 정보와 피난대피 정보를 화면과 음성유도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70)는 방재제어장치(20), 방재장치(40), 피난유도등(30), 감지기(10), 운영서버(60), 점검 장치들과 연동되며 통제된다.
통제자는 사전에 관제 장치에 인증된 사람이나 암호 코드를 입력한 사람이다. 상황실은 연동되는 장치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음성 유도 장치를 통해서 감독하며, 운영서버를 통하여 통제한다,
상황실의 재난 방지 운영 시스템은 각각의 연동되는 장치들을 사전에 설정한 프로세서에 의해, 또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제어하기도 하며 필요에 의해서 전환스위치를 전환하여 실시간 제어하기도 한다.
상황실의 관제장치의 최고 관리자는 연동되는 모든 장치들을 설정 및 수정 보안하고 연동되는 장치들을 원격 조정할 수도 있다.
평상시에는 점검 장치를 통하여 연동되는 장치들의 고장 유무나 오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장의 촬영 장치를 통하여 재난 상황을 파악하고 재난 현장에 있는 대피자를 음성유도 및 방재제어장치의 화면 등을 통하여 재난에 대처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피난유도등의 피난 방향이나 방재 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삭제
상황실의 관제 장치를 통해서 원격조정 할 때 방재장치의 결정 신호보다 상황실 신호가 우선하나 재난발생시 안내되는 신호와 반대되는 대피 경로 신호를 상황실에서 계속해서 보내오면
방재제어장치의 보안부에서 설정된 암호화 코드를 요구하고, 그 암호를 입력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황실의 통제신호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는 불손한 의도를 가진 자 및 실수에 의한 시민들의 안전을 위함이다. 상황실에서 운영되는 시스템은 최고 관리자에 의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10:감지기 11:구동부
12:컨트롤러 13:네트워크형성부
14:송신부 20:방재제어장치
21:수신부 22:보안부
23:제어부 24:송신부
25:영상출력부 26:감시장치
27:음성유도안내장치 28:비상조명등
29:디스플레이부 30:피난유도등
31:표시부 32:비상유도등
33:팬 34:모터
35:레이저 36:돌출구
37:가이드 표지판 38:송수신장치
40:방재장치 50:관제장치
60:운영서버 70:스마트단말기

Claims (6)

  1. 각각의 식별코드와 보안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센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를 통해 전송된 식별코드와 보안코드를 토대로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피난유도 방향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피난 픽토그램을 표출하여 주는 방재제어장치와,
    상기 방재제어장치에 의해 컨트롤되어 일측 혹은 타측으로의 피난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피난유도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난유도등(30)은 돌출구(36)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는 반투명한 혹은 투명한 가이드 표지판(37)을 설치하여,
    재난발생시 상기 가이드 표시판(37)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피난유도등(30)의 레이저(35)가 투명한 혹은 반투명한 가이드 표지판(37)에 빛을 조사하여 일측방향으로 혹은 타측방향으로 확대된 피난 이동방향을 안내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재제어장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휴대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권역 내에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재난정보를 전송하는 운영서버와,
    재난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전송받은 재난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안내해 주는 도피자의 스마트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유도등(30)은, 표시부(31) 테두리에 다수개의 노즐구멍(31a)을 형성하고, 상기 표시부(31) 내측에는 팬(33)과 모터(34)를 설치하여, 주변의 연무를 흡입하여 배기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주변의 연무를 밀어내주면서 표시부(31) 주변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유도등(30)은, 재난 발생시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1)가 가이드(31b)를 따라 하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6. 삭제
KR1020130019484A 2013-02-22 2013-02-22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KR10176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84A KR101763448B1 (ko) 2013-02-22 2013-02-22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84A KR101763448B1 (ko) 2013-02-22 2013-02-22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78A KR20140105678A (ko) 2014-09-02
KR101763448B1 true KR101763448B1 (ko) 2017-08-14

Family

ID=5175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84A KR101763448B1 (ko) 2013-02-22 2013-02-22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51B1 (ko) * 2019-11-25 2021-05-18 씨앤에스 주식회사 안전 체험시 사용가능한 이동식 안내판넬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5042A (zh) * 2016-08-26 2016-12-07 王起全 一种地铁拥挤踩踏事故预警联动系统及预警联动方法
KR102002068B1 (ko) * 2017-09-05 2019-07-22 (주)주성지앤비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1988791B1 (ko) * 2018-02-20 2019-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난 유도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678A (ja) * 1999-09-27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誘導灯システム
KR100789912B1 (ko) *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100896088B1 (ko) * 2008-06-17 2009-05-07 (주)스틸라인 승강형 조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678A (ja) * 1999-09-27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誘導灯システム
KR100789912B1 (ko) * 2006-11-17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경보/경로제공 서비스서버 및 그 방법
KR100896088B1 (ko) * 2008-06-17 2009-05-07 (주)스틸라인 승강형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51B1 (ko) * 2019-11-25 2021-05-18 씨앤에스 주식회사 안전 체험시 사용가능한 이동식 안내판넬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78A (ko)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US202300741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uilding evacuation
JP6472574B2 (ja) Led照明モジュールを用いた非常感知及び対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175202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US7948368B2 (en) Method for evacuating buildings divided into sections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63448B1 (ko) 지능형 종합 방재 시스템.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WO2015187775A1 (en) Integrated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20200007185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2488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식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10204908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28321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WO2017065689A1 (en) A rapid warning & evacuation system (rawes)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08547105A (ja) 緊急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