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202A -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202A
KR20160023202A KR1020140109143A KR20140109143A KR20160023202A KR 20160023202 A KR20160023202 A KR 20160023202A KR 1020140109143 A KR1020140109143 A KR 1020140109143A KR 20140109143 A KR20140109143 A KR 20140109143A KR 20160023202 A KR20160023202 A KR 20160023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formation
box
control sys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397B1 (ko
Inventor
윤승식
Original Assignee
윤승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식 filed Critical 윤승식
Priority to KR102014010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97B1/ko
Priority to PCT/KR2015/008532 priority patent/WO2016028035A1/ko
Publication of KR2016002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및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수들 중 제1오디오 박스는, 상기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예컨대, 빌딩 등)의 비상상황(예컨대, 화재 등) 발생을 감지하고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곳곳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로부터 각각의 위치와 상황에 따라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에 가장 적합한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즉각적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장소, 빌딩이나 시설, 대형 운송수단 등 다양한 곳에서 크고작은 사고나 재난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공간 예컨대, 빌딩이나 지하철 역, 대형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 등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규모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에는 재난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사람들에게 경고하거나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상상황의 감시 및 대처관리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0766955,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화재사고 감시, 대처관리 시스템", 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무선통신패턴을 통해 화재감지 데이터, 기기 제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면서 화재사고 발생상황에 맞추어 무선노드들을 제어/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람들의 대피 유도를 위해 곳곳에 대피유도 발광기를 구비하여 대피방향으로 화살표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이 안전지대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대피유도 발광기를 통해 대피유도를 수행하는 경우, 특히 빌딩 등의 공간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등으로 인해 사람들의 시야가 극히 제한적이 되는 특성상 상기 대피유도 발광기의 화살표 방향을 구분하기가 쉬운일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유독한 연기를 피하기 위해서는 대피할 때 낮은 자세를 유지해야하며, 이러한 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큰 장애물이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 외에도 기존의 비상상황의 대처관리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구내 방송 등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사람들의 대피를 권하는 대피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대피안내방송의 경우, 관리실 등에서 관리자가 직접 대피안내방송을 수행하거나, 미리 저장된 음성방송이 반복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되고 있다.
예컨대 소정의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빌딩 내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빌딩의 관리실에서 구내 방송을 통해 사람들의 대피안내방송을 송출하는데 그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빌딩 내에 있던 사람들은 화재가 정확히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어 대피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구내 방송 시스템으로는 빌딩 전체, 또는 빌딩의 어느 한 층과 같이 일정 구역 별로 동일하게 방송이 송출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위치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대피를 안내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예컨대, 빌딩의 어느 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한 층의 윗층에 위치한 사람들은 빌딩의 위쪽으로 대피하거나 화재가 발생한 층의 아랫층에 위치한 사람들은 빌딩의 아래쪽으로 대피하는 등 각각의 장소에 따라 사람들의 대피 방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화재가 발생한 층에 있던 사람들은 화재가 발생 중인 위치에서 벗어나 다른 층으로 대피하거나, 해당 층 내에서 최대한 안전한 구역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려야 하지만 화재가 발생중인 위급한 상황에서 안전한 구역이 어디인지 판단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통해 각각의 위치와 상황에 적합한 음성정보가 개별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이 비상상황이 발생한 상황에서 안전지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및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수들 중 제1오디오 박스는, 상기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오디오 박스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거나 타 오디오 박스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제어신호들 중, 상기 제1오디오 박스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타겟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위치정보를 저장하는 DB,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복수의 제1위치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룰을 생성하는 룰 생성부, 및 상기 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만을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오디오 박스에 있어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오디오 박스에 있어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오디오 박스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거나 타 오디오 박스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제어신호들 중, 상기 제1오디오 박스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타겟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시스템이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1위치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만을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하나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통해 각각의 위치와 상황에 적합한 음성정보가 각각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이 비상상황이 발생한 상황에서 안전지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오디오 박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및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및 상기 제어 시스템(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20)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공간(예컨대, 빌딩 등) 내에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와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종래의 비상상황 대처관리 시스템 또는 관제 시스템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20)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의 위치와 상황(예컨대,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적합한 음성정보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따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화재나 건물붕괴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소정의 관제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경보음이나 대피방송 등을 송출하고 있으나, 비상상황이 발생한 공간 내에서 각각의 장소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순히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만을 알리거나 막연히 대피하라는 방송만을 일괄적으로 수행하여 사람들이 안전한 장소를 직접 찾아다니며 대피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에는 기존의 구내방송 시스템 등을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나 비상상황이 발생했으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방송이 상기 공간 내에 동일하게 송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비상상황 시에는 주로 시각적인 안내방식(예컨대, 비상 안내등, 조명 장치를 이용한 가이드 기능 등)으로 사람들을 대피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수행되어 왔었지만, 시각적인 안내방식만으로는 비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시각적인 안내방식은 사람의 눈과 안내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과 같이 각각의 위치별로(오디오 박스의 위치별로) 적응적인 오디오 안내를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비상상황의 발생을 감지한 상기 제어 시스템(120)이 비상상황의 발생위치나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이 출력할 음성정보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들 중 가장 적합한 음성신호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도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및 상기 제어 시스템(120)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박스(예컨대,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오디오 박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어느 하나인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통신부(111), 저장부(112), 스피커부(113), 및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제어 시스템(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11)는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오디오 박스로 재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시스템(120)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디오 박스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 홉(multi-hop) 릴레이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신호가 대상으로 하는 타겟 오디오 박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가 될 오디오 박스 즉, 상기 타겟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상기 제어 시스템(120)뿐 아니라 다른 오디오 박스들로부터도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의 거리나 비상상황의 발생에 따른 장애요인들로 인해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직접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다른 오디오 박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서 각 상황에 적합한 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20)은 복수 개의 타겟 오디오 박스를 대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상기 타겟 오디오 박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박스는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오디오 박스가 수신하는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타겟 제어신호라 정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오디오 박스로의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11)는 수신된 제어신호가 타겟 제어신호가 아닌 경우에만 상기 제2오디오 박스를 향해 상기 제어신호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타겟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통신부(111)를 제어하여 상기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상기 제2오디오 박스로 상기 제어신호를 재전송하여 복수 개의 타겟 오디오 박스가 모두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12)는 사용자가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함)에서 수행하야여 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행위정보만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만이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위치와 무관하게, 다양한 음성정보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행위정보는 비상상황 발생시 사람들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에서 행동해야할 행동요령이나 대피요령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위치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인 갈림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행위정보는 "오른쪽으로 이동" 또는 "왼쪽으로 이동"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위치가 비상계단인 경우에는 상기 행위정보가 "윗층으로 이동" 또는 "아래층으로 이동"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행위정보는 이처럼 사람들의 대피방향이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소화기/소화전의 위치, 작동법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여 이를 이용해 화재 등을 진압하거나, 또는 방독면, 비상조명 등 안전장비의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행위정보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기초하여 사람들이 취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12)에는 이러한 행위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음성정보들(예컨대, "왼쪽으로 이동하세요", "여기서 구조를 기다리세요" 등)이 모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들 즉,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될 수 있는 음성정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위치와 상관없이 가능한 모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행위정보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이 저장하고 있는 음성정보들은 다른 오디오 박스들과 적어도 일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와 제2오디오 박스(예컨대, 110-1)는 각각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최초 상기 저장부(112)에 음성정보들이 저장되는 시점에서 각각의 위치(즉, 오디오 박스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에 서로 다른 음성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저장부(112)에는 가능한 모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들이 모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제어 시스템(12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되어 있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에 따른 적합한 음성정보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될(남겨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T자형태의 갈림길에서 왼쪽 방향에 비상상황(예컨대,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우측(오른쪽)으로 대피하세요"라는 음성정보를 출력하여 사람들이 비상상황이 발생한 장소로 가지 않고 보다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결국,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소정의 공간 내의 모든 장소에 일괄적인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이 설치된 장소 각각별로 현재 위치나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음성정보들이 출력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보다 즉각적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113)는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스피커부(113)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통신부(111)에 의해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정보가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통신부(111)로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될 음성정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시스템(120)에 의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에서 출력될 음성신호가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음성정보들 중 어떤 음성정보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음성정보들 중 해당하는 음성정보가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 시스템(120)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이 어떠한 음성정보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될 음성정보는 상기 제어부(114)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음성정보를 출력하라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111)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4)가 상기 저장부(112)에 자신이 포함된 오디오 박스의 위치와 비상상황의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음성정보들 중 출력될 음성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음성정보가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20)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또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자체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제1위치(즉, 상기 제1위치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제어부(114)는 자신의 위치 즉,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제1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제1위치(정보)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될 음성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4의 예에서 T자형 갈림길에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T자형 갈림길의 좌측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부(111)는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현재 위치정보(즉, 제1위치정보) 및 화재가 발생한 위치(즉, 제2위치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제1위치정보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왼쪽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장부(112)에 "오른쪽으로 이동", "왼쪽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모든 음성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는 반드시 하나의 음성정보(즉, 하나의 행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된 위치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수행해야할 행위가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제1위치)에서 대피 가능한 방향이 두 방향(예컨대, 우측 및 직진)인 경우,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우측으로 대피"와 "직진하여 대피" 두 가지 행위정보에 따른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은 우선 "우측으로 대피"라는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다가, 일정 시간 후 다음 일정 시간 동안에는 "직진하여 대피"라는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 개의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들이 소정의 안내 순서대로, 또는 무작위로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4)는 복수의 행위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은 제1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그 후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복수의 행위정보 중 제2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행위정보를 계속하여 출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밀집 등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대처 또는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소화기나 손전등과 같은 안전장비가 구비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정보와 대피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연달아서 출력될 수도 있다. 즉, 복수 개의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번갈아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연달아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스피커부(113)를 통해 출력될 음성정보들에 대한 판단은 상기 제어 시스템(120)에 의해 수행되어 제어가 수행될 해당 오디오 박스 즉, 타겟 오디오 박스로 타겟 제어신호가 복수 번 전송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어부(114)가 상기 제1위치(즉,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와 상기 제2위치정보(즉,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1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제어 시스템(120)은 DB(121), 감지부(122), 룰 생성부(123), 및 전송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DB(121)에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이 설치된 장소(예컨대, 빌딩 등)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제1위치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제어 시스템(120)이 관제 또는 통제하는 공간(예컨대, 건물, 대형 운송수단 등)의 구조, 경로, 시설물 등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공간을 표현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정보는 공간의 설계정보,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링 정보 등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정보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보 또는 표준화된 공간설계정보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정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공간정보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오디오 박스들의 위치에서 수행하여야 할 적합한 행위를 판단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상기 공간을 표현하거나 정의하는 정보이면 족하다.
상기 감지부(122)는 센서 네트워크 또는 영상획득수단(예컨대, 카메라, CCTV 등) 등의 관제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지부(122)는 온도 및/또는 충격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 또는 영상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나 지진, 건물붕괴 등의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센서 또는 영상획득수단을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룰 생성부(123)는 상기 복수 개의 제1위치정보들 및 비상상황이 발생한 장소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피 룰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공간의 공간정보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구조 또는 위상정보(예컨대, 상기 공간에 포함된 위치별 상태, 연결구조 등)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룰 생성부(123)는 비상상황의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피할 방향 또는 대피할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대피 룰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도면의 우측이 안전지대라 가정하면, 사람들을 상기 안전지대로 유도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람들이 대피하면서 제일 먼저 마주치는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위치에서는 사람들이 우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 갈림길에서 마주치는 제2오디오 박스(예컨대, 110-1)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직진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을 상기 안전지대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룰 생성부(123)는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이 저장하고 있던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각각의 오디오 박스들이 어떠한 음성정보를 출력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대피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즉, 제2위치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의 위치에 따라 대피경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피경로 상에 위치한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 및 제2오디오 박스(예컨대, 110-1))이 상기 대피경로에 맞게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 룰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우측으로 대피하세요"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오디오 박스(예컨대, 110-1)는 "직진하세요"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오디오 박스(예컨대, 110-1)의 식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부(124)는 상기 룰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전송부(124)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각각으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시스템(120) 인근에 위치한 일부의 오디오 박스로 우선 전송된 후, 상기 일부의 오디오 박스에 의해 나머지 오디오 박스들로 재전송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이 상기 제어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에는 전술한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제어할 제어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박스(타겟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처럼 상기 타겟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타겟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오디오 박스(타겟 오디오 박스)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 중 어느 하나인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자신이 설치된 위치(제1위치)에서 사람들이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의 음성정보들을 저장(s10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와는 무관하게 가능한 모든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위치에 따라 적합한 음성정보들만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는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상기 제어 시스템(12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s110)하고, 저장된 상기 복수의 음성정보들 중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s120)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20)은 소정의 공간 내에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 및/또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예컨대, 110, 110-1, 및/또는 110-2)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오디오 박스만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20)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제1위치정보)와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제2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1위치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행위를 수행하여야 하는지(예컨대, 대피할 방향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음성정보가 상기 제1오디오 박스(예컨대, 1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프랠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위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컨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및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수들 중 제1오디오 박스는,
    상기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오디오 박스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거나 타 오디오 박스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제어신호들 중, 상기 제1오디오 박스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타겟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위치정보를 저장하는 DB;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복수의 제1위치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룰을 생성하는 룰 생성부; 및
    상기 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만을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6. 오디오 박스에 있어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7. 오디오 박스에 있어서,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8.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저장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위치정보 및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임-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오디오 박스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제어할 제어대상인 오디오 박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거나 타 오디오 박스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제어신호들 중, 상기 제1오디오 박스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타겟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성정보가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공간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시스템이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1위치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시스템이 상기 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 룰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정보만을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13.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 중 제1오디오 박스가 자신이 출력할, 상기 제1오디오 박스의 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할 행위정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박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2위치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오디오 박스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음성정보들 중 하나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공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09143A 2014-08-21 2014-08-21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3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43A KR101638397B1 (ko) 2014-08-21 2014-08-21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CT/KR2015/008532 WO2016028035A1 (ko) 2014-08-21 2015-08-13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43A KR101638397B1 (ko) 2014-08-21 2014-08-21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384A Division KR20160023623A (ko) 2015-11-09 2015-11-09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02A true KR20160023202A (ko) 2016-03-03
KR101638397B1 KR101638397B1 (ko) 2016-07-13

Family

ID=5535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43A KR101638397B1 (ko) 2014-08-21 2014-08-21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8397B1 (ko)
WO (1) WO2016028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877A (zh) * 2021-01-20 2021-08-10 江苏理工学院 一种火灾智能监控与逃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8B1 (ko) * 2011-12-21 2012-05-15 최두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687A (ko) * 2012-06-22 2014-01-10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KR20140022494A (ko) * 2012-08-13 2014-02-25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091U (ko) * 2010-10-27 2012-05-07 김성일 비상유도등 화재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38B1 (ko) * 2011-12-21 2012-05-15 최두순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687A (ko) * 2012-06-22 2014-01-10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KR20140022494A (ko) * 2012-08-13 2014-02-25 정정애 재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472941Y1 (ko) * 2012-12-24 2014-06-03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8035A1 (ko) 2016-02-25
KR101638397B1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936B1 (en) Emergency incident detection, response, and mitigation using autonomous drones
KR20170004913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640167B1 (ko) 스마트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1090B1 (ko) 건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대응방법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2058939A (zh) 建筑火灾态势评估与人员疏散指示方法和系统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US11557014B2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JP2006317160A (ja) 地震警報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7085918A (zh) 生命安全传感器的基于位置的感知的系统和方法
KR20200003303A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JP2017527496A (ja) 乗客待避方向案内システム
KR102504330B1 (ko) 피난약자 실시간 피난 유도 시스템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US20190027015A1 (en) Crowdsourcing and active learning to support evacuation of a building
KR101638397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23623A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01815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JP2005242660A (ja) 地震時行動指示システム
KR20210055428A (ko)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140253328A1 (en) Hazard warn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2448752B1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KR101697762B1 (ko) 구조물의 재난정보 관리시스템
Kim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based real-time evacuation scenarios for large-scale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