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87A -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87A
KR20140003687A KR1020120067506A KR20120067506A KR20140003687A KR 20140003687 A KR20140003687 A KR 20140003687A KR 1020120067506 A KR1020120067506 A KR 1020120067506A KR 20120067506 A KR20120067506 A KR 20120067506A KR 20140003687 A KR20140003687 A KR 2014000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voice
information
evacuation
al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애
Original Assignee
정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애 filed Critical 정정애
Priority to KR102012006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687A/ko
Publication of KR2014000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및 재난발생시 피난인들 로 하여금 상황발생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음성,문자정보(주소지별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 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대피 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 피난장비위치, 행동요령 등)를 구체적이면서 간략하게 요약하여 요약된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상황발생시 피난인들에게 자동으로 음성정보를 알려주거나 화재,재난현장 상황에 따라 제어가 어려운 경보장치 및 기타장치들을 제어하여 피난인들 로 하여금 화재,재난상황을 인지,예측하게 하고 상황발생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유도하는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지기,발신기,기타장치의 위치한 장소의 구체적인 주소를 부여하고 각각의 주소지에 상황발생지점 및 발생상황과 발생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음성,문자정보(주소지별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 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대피 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 피난장비위치, 행동요령 등)를 구체적이면서 간략하게 요약하여 음성정보화하는 방법 및 음성정보를 저장부에 송신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수신된 외부정보와 부합된 주소별 음성정보 또는 수신부의 정보를 경보설비 및 방송설비, 기타장치를 제어하여 송출하는 제어부와; 상황발생 후 층별,지역별 경보설비와 기타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층별 지역별 통신이 두절된 이후에도 건물의 내,외부 및 현장상황을 잘 관측할 수 있는 안전하고 인접한 지역에서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와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제어운용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현장상황에 대처, 피난인들 을 대피유도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와; 층별,지역별 경보설비, 경보장치, 기타장치의 제어 및 통신이 두절됐을 경우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발신정보에 의하여 각각의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각각 독립된 개체로 전환 시키면서 양방향통신 및 발신기에 종속된 음향설비를 제어 운용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현장 진행상황에 따른 대피정보제공과 대피유도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발신기용송,수신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Fire, emergency voice alarm and voice evacuation device}
각종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심층화와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와 더불어 각종 가연성 내장재의 증가에 따른 화재,재난의 증가로 인명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재난상황 때문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상황판단, 대피방법의 부재 및 공항상태로 우왕좌왕하다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어 동선의 상충과 간섭 및 불필요한 병목현상을 유발하면서 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미처 대피하지 못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 되는 위험한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황발생 초기에 상황발생지점의 정보(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와 상황발생지점으로부터 피난할 수 있는 정보(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대피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피난장비위치,행동요령 등)를 피난인들 에게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상황발생지역의 정보와 피난방법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게 하여, 제반상황을 예측 가능하게 하고, 상황발생지점으로부터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화재,재난을 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로 피난인들 의 대피를 유도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경보설비를 크게 변형,변경시키지 않는 경제성과, 경보 및 대피유도기능을 크게 향상시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기존의 경보장치는 상황발생지점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기(벨)를 작동시키거나, 상황발생지점의 위험발생가능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 및 대피에 따른 기초적인 정보를 녹음하여 방송설비 및 기타장치를 통하여 내,외부에 송출하거나, 방송설비를 통하여 방송하는 방법 등이다.
따라서 화재발생과 위험에 대한 상황은 피난인 들로 하여금 인지하게 할 수 있으나, 상황발생지에 대한 세부정보(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 및 대피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 대피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 피난장비위치, 행동요령 등)의 부족으로 피난에 대한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경보설비를 관리하는 자 또는 화제 발생시 경보설비를 통제할 수 있는 자라도 화재발생후 상황발생장소에 남아 위험을 무릅쓰고 경보설비 및 기타방송장치, 경보장치, 안내장치를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 통제하면서 피난인들 을 대피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상황이 악화 되어 층별,지역별 경보설비와 방송설비 및 기타장치의 기능 및 통신이 조기 두절되어 통제 불가능한 경우 상황발생지로부터 피난인들 을 대피유도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다.
또한 종래의 경보설비장치는 건물의 외진 곳, 동선의 사각지대에 설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랜 시간 통제하기란 더더욱 어려운 문제점이라 하겠다.
KR202240000000 KR101102752000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재난이 발생 될 경우 자동으로 경보설비와 기타 방송설비,출력기,발신기 등을 연동시켜 화재,재난발생정보와 대피에 관련된 세부 정보를 피난인들 에게 음성으로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알려 줌으로써 상황 발생지의 세부적인 정보와 피난 방법을 인지,예측하게 하여 피난인들 로 하여금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피하게 하는 것과,
건물 내,외부에서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를 이용하여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와 경보설비와 방송장치, 출력기 및 발신기용송,수신부(양방향무선통신가능)를 장착한 발신부를 제어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장치를 제어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를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피난인들 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발생 정보를 수신분석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 방송장치, 경보장치,기타관련장치를 연동시켜 해당주소지의 저장된 음성정보 및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수신정보를 방송장치로 송출하거나 수신부 정보에 의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장치를 제어하는 는 제어부와;
감지기 및 발신기별 주소를 부여하여 주소별 음성,문자세부내역(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건물규모,대피통로별 위치,대피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피난장비위치,행동요령 등)을 음성정보화 하고 정보화된 음성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게 하는 입력부와;
화재정보를 수신감지하는 감지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건물 내,외부에서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신부와;
건물 내,외부에서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와 경보설비와 방송설비와 무선송,수신모듈을 장착한 발신기용송,수신부를 통제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와;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발신정보를 수신할 경우 양방향 무선통신과, 발신부와 발신부에 종속된 방송설비를 독립된 개체로 분리 운용하게 하는 충전지가 장착된 발신기용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제,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발명에 의하면 화재발생 초기에 피난인들 로 하여금 화재발생정보와 피난에 따른 정보를 인지,예측하게 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대형, 고층건물 및 기타 지역에서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뿐더러 기존장비와 시설을 크게 변형, 변경시키지 않고 그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매우 경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후 위험을 무릎 쓰고 누군가가 경보설비를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 조작하면서 피난인들 을 피난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본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는 화재발생 후 어떠한 장소에서나 지속적이면서 반복하여 음성으로 화재발생 정보와 대피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송출 및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현장상황의 악화로 경보설비와 층별, 지역별 기타장치들과의 통신이 두절되더라도 건물 내,외부의 현장상황 판단이 용이하고, 안전한 위치에서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를 이용하여 층별,지역별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독립된 개체로 분리시켜 양방향 무선통신과 발신기에 종속된 방송설비를 정상운용하게 하여 피난인들 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현장진행상황에 대처한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도이며,
도 2는 기존의 화재경보 설비에 관한 구성도이다.
이하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발신정보와 주소별 발신정보와 저장정보를 분석 적합한 정보를 방송장치로 송출하는 재어부(101)와;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2)와; 상황 발생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03)와; 음성 및 문자 정보를 음성정보로 저장부에 입력하는 입력부(104)와;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5)와;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와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106)와;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 모듈 및 충전지를 장착한 발신기용송,수신부(107)로; 구성된다.
도 1의 제어부(101)는 감지부(103)의 수신정보를 분석하여 수신된 정보와 부합한 주소지 음성정보를 저장부(102)에서 추출하여 경보설비 및 방송설비를 통하여 송출하게 하고,수신부 정보에 의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장치를 제어하게 하며,
또한 수신부(105)에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경보설비 및 방송설비 및 기타장치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송출하게 하는 제어부이다.
도 1의 저장부(102)는 입력부의 입력정보를 저장시키는 저장부이다.
도 1의 감지부(103)는 발생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발신하는 감지부이다.
도 1의 입력부(104)는 각각의 발신기 및 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각각의 주소로 지정하여 각각의 주소지별 세부정보와 상황발생 주소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음성 및 문자정보들을 음성정보로 변환 저장부에 입력시키는 입력부이다.
정보입력시 음성정보는 주소지별 구체적 위치정보(방향,위치)를 음성으로 입력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 20층 남측 2003호
20층 동쪽 2017호 앞 복도 또는 계단실입구복도
20층 북쪽 화장실
20층 중앙 2011호 등
또한 주소지 정보를 기초로 주소지별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는 방법(주소지별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건물의 규모, 비상계단위치, 피난도구위치, 대피장소 및 피난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구체적이면서 위기 상황에서 인지하기 쉽게 간략하게 요약 음성 녹음하여 입력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우리 건물은 지하 8층,지상 40층 건물입니다.
지상 20층 중앙 2011호에서 화재,재난 (개스누출, 기타 재난상황)가 발생했습니다.
건물 동쪽과 서쪽 남쪽에 비상계단이 있으며,
(엘리베이터 옆과 엘리베이터 반대편에 비상계단이 있으며)
복도 동쪽 끝에 피난통로가 있습니다.
지상 20층 윗 쪽은 옥상 쪽으로 대피하시고,
지상 20층 아래는 1층 쪽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피난도구사용과 피난통로를 아시는 분들은 주위사람들에게 대피를 안내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반복송출 >
도 1의 수신부(105)는 화재발생 후 건물 내,외부에서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신부이다.
도 1의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106)는 상황 발생 후 건물의 내,외부에서 화재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와 경보설비, 통신설비, 무선통신모듈을 장착한 발신기용송,수신부 등을 제어하여 안전하고, 현장상황파악이 유리한 위치에서 현장상황에 따른 피난인 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매우 큰 특성을 갖춘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이다.
도 1의 발신기용송,수신부(107)는 충전기가 설치된 수신부로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발신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각각의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독립된 개체로 전환 시키면서 발신기에 종속된 음향설비를 통제하게 함으로써 상황이 악화 되어 층별 지역별 경보 및 방송설비의 제어 및 통신 두절로 통제가 불가능할 경우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제어하여 종속된 음향설비를 정상적으로 운용하게 하여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106)의 발신정보에 따라 피난인들의 대피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성이 있는 발신기용송,수신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능을 가진 감지기, 발신기, 경보설비, 기타장치로부터 발생 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각각의 기능을 가진 감지기, 발신기, 기타장치의 설치위치에 각각의 주소를 부여하고 부여된 주소별 세부적인 위치정보와 부여된 주소별 위치로부터 상황발생시 피난하는 방법(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 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대피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 피난장비위치, 행동요령 등)에 대한 문자,음성내용 구체적이면서 간략하게 요약 음성정보화 하는 방법과 음성정보를 저장하게 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의 발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수신부와;
    충전지가 설치된 발신기용송,수신부로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 및 무선마이크의 발신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와의 송수신과 각각의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독립된 개체로 전환 시키면서 각각의 발신기와 발신기에 종속된 음향설비를 휴대용무선음성발신기로 하여금 정상운용가능 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 발신기용송,수신부와;
    건물 내,외부에서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와 경보설비, 경보장치를 제어하여 방송장치 및 기타관련장치와 연동하게 하거나 발신기용송,수신부가 장착된 발신기 및 종속된 방송설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와;
    감지부 및 수신부의 화재,재난정보를 수신,분석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 방송설비, 경보설비, 기타 관련장치를 제어 운용하게 하거나 주소별 음성정보 및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정보를 방송장치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
  2.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각각의 기능을 가진 감지기, 발신기, 경보설비, 기타장치들의 기능과 설치 위치에 따라 부여된 주소지의 세부정보와 상황발생주소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정보(주소지별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위치정보 및 발생상황, 건물규모, 대피통로별 위치,대피장소별 위치 및 방향,경유지, 피난장비위치, 행동요령 등)을 구체적이면서 간략하게 요약하여 피난인들 로 하여금 화재,재난상황을 인지하고 상황발생지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반 문자 및 음성내용을 음성 정보화하는 방법과 정보화된 자료를 음성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발신기용송,수신부는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각각의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독립된 개체로 전환 시키면서 발신기에 종속된 음향설비를 제어하게 함으로써 상황이 악화 되어 층별 지역별 경보 및 방송설비의 제어 및 통신 두절로 현장통제가 불가능할 경우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를 제어하여 종속된 음향설비를 정상적으로 운용하게 하여 주는 충전지가 장착된 발신기용송,수신부.
  4.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는 화재,재난발생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경보설비 및 기타장치를 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건물내,외 또는 안전한 위치, 현장상황을 잘 관측할 수 있는 위치에서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 장치를 통하여 경보설비, 음향설비를 제어하거나, 발신기용송,수신부를 장착한 발신기 및 종속된 방송설비를 정상운용하여 현장상황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여 상황발생지역으로부터 피난인들 로 하여금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으면서,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음성유도 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
  5. 제1항에 있어서 감지부(103)에서 수신정보를 분석하여 수신된 정보와 부합한 주소지 음성정보를 저장부(102)에서 추출하여 경보설비 및 방송설비를 통하여 음성정보를 송출하게 하고, 휴대용무선음성발신부가 수신부에 발신한 수신부 정보에 의하여 경보설비 및 기타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제어부.
KR1020120067506A 2012-06-22 2012-06-22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Ceased KR20140003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506A KR20140003687A (ko) 2012-06-22 2012-06-22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506A KR20140003687A (ko) 2012-06-22 2012-06-22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87A true KR20140003687A (ko) 2014-01-10

Family

ID=5014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506A Ceased KR20140003687A (ko) 2012-06-22 2012-06-22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6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35A1 (ko) * 2014-08-21 2016-02-25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31651A (ko) * 2015-05-08 2016-11-16 강동은 음성 레코드의 화재 진압형 감지기
KR20170004913A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익성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954107B1 (ko) 2018-07-17 2019-03-06 주식회사 썬더테크놀로지 실시간 재난정보 수집 및 자동 대피방송 송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35A1 (ko) * 2014-08-21 2016-02-25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23202A (ko) * 2014-08-21 2016-03-03 윤승식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31651A (ko) * 2015-05-08 2016-11-16 강동은 음성 레코드의 화재 진압형 감지기
KR20170004913A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익성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954107B1 (ko) 2018-07-17 2019-03-06 주식회사 썬더테크놀로지 실시간 재난정보 수집 및 자동 대피방송 송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23B1 (ko)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564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TW201638898A (zh) 大樓救援資訊系統
KR20140003687A (ko)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JP6576775B2 (ja) 支援システム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650774B1 (ko)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6152612A1 (ja) 指示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KR102019455B1 (ko) 재난 경보 시스템
JP5111765B2 (ja) 建物内状況確認システム
JP6193769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JP6687368B2 (ja) 支援システム
KR102101815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1970986B1 (ko) 소화기 작동 감지 시스템
KR20160143899A (ko)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