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905B1 -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905B1
KR101816905B1 KR1020170049097A KR20170049097A KR101816905B1 KR 101816905 B1 KR101816905 B1 KR 101816905B1 KR 1020170049097 A KR1020170049097 A KR 1020170049097A KR 20170049097 A KR20170049097 A KR 20170049097A KR 101816905 B1 KR101816905 B1 KR 10181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evacuation
emergency ligh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설
원철상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5B37/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설치된 층의 층별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며, 비상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 조명등 및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코드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층별 내부구조가 반영된 대피도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위치정보 및 이동방향을 산출하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이 반영된 상기 대피도를 화상정보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 USING EMERGENCY LIGHTS}
본 발명은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등에서 사용자 단말로 층별 대피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이 발달하고 건물의 고층화 및 다양화로 인해, 제한된 면적을 최대한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설계되는 최근 건물들은 내부구조가 점차 복잡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건물 내부에 화재나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이 적절한 대피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건물 내부에는 비상조명등이 구비되어 있다.
비상조명등은 건물의 각종 출입구나 비상계단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임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써, 현행 소방법상에는 건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비상조명등을 포함하는 방재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로 안내 기술은 비상조명등의 조명을 제어하여 대피로를 알려주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건물의 내부구조가 복잡한 곳이나, 특정 건물을 처음 방문하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비상조명등의 위치를 일일이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비상조명등이 배치되지 않은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경우 적절한 대피로를 제공받기 힘들뿐 아니라, 특정 대피로에 다수의 인원이 집중되는 경우 2차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 시 건물의 주요 위치에 구비된 비상조명등을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된 개인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자 맞춤형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535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74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조명등이 관리서버의 제어 없이 독립적으로 비상상황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일부만 전송되더라도 비상상황별로 필수적인 대피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조명등이 관리서버의 제어 없이 독립적으로 비상상황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일부만 전송되더라도 비상상황별로 필수적인 대피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비상조명등은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좌표화된 문자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므로 데이터 전송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조명등이 비상상황의 종류를 스스로 판단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코드정보의 전송순서를 가변함으로써 상황별 맞춤 대피정보를 신뢰성 있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조명등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대피도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1000)은,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조명등(10)과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비상조명등(10)은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장치일 수 있다. 즉, 비상조명등(10)은 화재나 재난이 발생하는 등의 비상시에 비상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건물 내에 있는 인원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의 방향이나 위치를 알려주는 유도등, 조명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종래에 개시된 일반적인 비상조명등과는 다르게, 본원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10)은 다른 비상조명등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2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20)로 대피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10)은 설치된 층의 층별 내부구조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비상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비상상황이 발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 단말(20) 또는 다른 비상조명등(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조명등(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비상조명등(10)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과 비상조명등(10)은 적외선(IrDA), 블루투스, 무선 LAN, ZigBee, UWB, 소출력 RF, WiFi,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여 화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층별 내부구조 및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의 위치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은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인 대피도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자신의 현재위치 및 이동방향을 대피도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1000)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경우 실행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실행되거나 종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비상조명등(1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조명등(10)은, 통신부(11), 저장부(12), 감지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20) 또는 다른 비상조명등에 구비된 다른 통신부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며, 후술하는 제어부(1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인 이벤트정보를 방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통신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와 더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조명등(10)이 배치된 주변에 화재감지센서와 통신하여 센싱된 데이터인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층별 내부구조 및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을 표현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데이터는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정보와, 각각의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조명등(10)이 3층에 설치되어 있고, 3층 내부에는 복도, 소화기, 비상조명등, 비상계단, 엘리베이터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복도, 소화기, 비상조명등, 비상계단, 엘리베이터는 서로 다른 코드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다. 하지만, 건물 내부에 구비되는 시설물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물의 목적, 특징, 층수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즉, 코드정보는 층별 내부구조에 배치된 복수의 서로다른 시설물 중 어느 하나의 시설물을 다른 시설물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좌표정보는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이 어느 위치에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좌표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표정보는 특정 비상조명등(10)이 설치된 층에 대한 데이터와, 해당 층의 내부구조상에서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2차원 좌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10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비상조명등(10)을 특정 위치에 설치한 후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조명등(10)의 저장부(12)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감지부(13)는 비상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는 외부로부터 비상조명등(10)에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거나, 비상조명등(10) 주변에 배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비상조명등(10)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비상조명등으로부터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받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3)는 발생된 비상상황이 어떠한 종류의 비상상황인지를 구분하여 그 결과에 따른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는 경우 정전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조명등(10)은 평상시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하지만, 정전이 발생하면 이러한 상용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비상조명등(10)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보조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시간 구간을 카운팅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차단되는 경우 정전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부(13)는 비상조명등(10) 주변에 배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센싱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 연기에 대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모두 초과하는 경우 화재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상술한 통신부(11), 저장부(12) 및 감지부(13)를 포함하는 비상조명등(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부(12)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는 감지부(13)에 의해 상황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저장부(12)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와, 감지부(13)에 의해 생성된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4)는 이벤트정보에 포함되는 코드정보의 전송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는 감지부(13)에서 생성되는 상황정보의 종류에 따라 코드정보간에 서로 다른 전송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를 구성하는 코드정보 및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정보는 코드정보별로 부여된 전송순위에 따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도와 같은 대피로에 대한 코드정보에 1순위의 전송순위가 부여되고, 엘리베이터에 대한 코드정보에 2순위의 전송순위가 부여되는 경우, 제어부(14)는 이벤트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들 중 대피로에 대한 코드정보를 우선적으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에 대한 코드정보를 다음 순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생성되는 상황정보별로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코드정보에 서로다른 전송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는 정전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비상조명등 및 차단기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소화기 및 소화전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건물 내부에 정전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전원이 차단되어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상조명등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소화기가 배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사용자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 반면, 제어부(14)는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비상조명등 및 차단기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소화기 및 소화전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낮도록 설정할 수 있다. 화재사고 발생하는 경우, 불길로 인해 시야 확보가 정전 상황에 비해 용이하며, 화재의 진압이 시야 확보보다 우선시되므로 화재진압과 관련된 시설물에 대한 코드정보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상황정보의 종류와 관계없이 건물 내부의 전체적인 형태와 내부에 형성된 복도 등과 같은 대피로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다른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항상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14)는 코드정보별로 전송순위가 결정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비상상황 시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방사되는 이벤트정보가 일부만 전송되더라도, 사용자 단말(20)은 비상상황별로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될 최소한의 시설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는 비상조명등(10)이 배치된 층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14)는 저장부(12)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좌표값에 포함된 층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조명등(10)이 비교적 저층에 배치된 경우, 창문과 같은 외부 탈출 시설물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통신부(11)의 통신반경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로 특정 코드정보 및 이에 매칭된 좌표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는 상황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시간 구간동안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될 코드정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는 비상상황 발생시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시설물인 건물 내부구조, 비상구, 대피로에 대한 코드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20)이 비상조명등(10)의 통신반경 내에 진입하는 경우 비상상황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미리 결정된 코드정보 및 이에 대한 좌표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이벤트정보를 수신받지 못하더라도 기본적인 대피로, 비상계단 등에 대한 정보를 화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에서 화상정보로 표시되는 대피로의 일 예가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20)은 주변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벤트정보를 분석하며, 구체적으로 이벤트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는 건물의 층별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의 종류를 구분하는 코드정보와, 코드정보에 매칭된 좌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코드정보가 어떠한 시설물인지, 해당 시설물이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좌표정보는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 유도등과 같은 시설물에 대한 코드정보는 위치를 나타내는 단일 좌표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반면, 건물의 외곽, 건물 내부의 통로(대피로) 등은 지도상에 영역으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코드정보에는 복수의 좌표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조명등(10)의 저장부(12)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건물 외곽에 대한 코드정보 및 좌표정보는 <outline, ((x1, y1), (x2, y2), …, (x6, y6)), z1>과 같은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행인 'outline'은 코드정보이고, 두번째 행인 ((x1, y1, …, x6, y6))은 해당 시설물의 2차원 좌표값들이고, 세번째 행인 z1은 층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사용자 단말(20))은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하나의 코드정보에 복수의 2차원 좌표값들이 매칭되어 있는 경우 이를 기준점(기준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좌표계상에 투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2차원 좌표값들을 배열된 순서대로 연결하여 외곽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은 다른 형식으로 표현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사용자 단말(20)이 대피로 영역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는 <way, ((x11, y11, d1), (x12, y12, d1), (x13, y13, d2), (x14, y14, d2)), z1>와 같은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여기서, 두번째 행의 d1과 d2는 너비를 나타내는 수치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x11, y11)과 (x12, y12)를 이용하여 대피로 영역의 너비를 d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은 특정 좌표(x11, y11)을 기준으로 좌우로 d1/2만큼씩 확장된 영역을 대피로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영역으로 표시되지 않는 시설물에 대한 코드정보에는 하나의 좌표정보만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기준점(기준좌표)을 기준으로 시설물이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대피도(100)를 생성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건물 외곽, 대피로, 비상계단, 소화기 등 고정되어 있는 시설물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조명등(10)은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상조명등(10)은 이벤트정보의 생성과정에서, 비상상황을 최초로 감지한 비상조명등 또는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비상조명등(10)은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감지센서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키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는 경우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이벤트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정보로 출력되는 대피도 상에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더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이벤트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어느 장치에 대한 정보인지를 분석하고, 대피도 상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장치의 위치를 비상상황이 발생한 장소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비상조명등(1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대신 다른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전송된 이벤트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비상조명등(10_1)이 비상상황을 최초로 감지하는 경우, 제1 비상조명등(10_1)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방사할 수 있다. 이후, 제1 비상조명등(10_1)에 의해 방사된 이벤트정보는 근처에 위치한 제2 비상조명등(10_2)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비상조명등(10_2)은 자체적으로 비상상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비상조명등(10_1)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정보를 다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제1 비상조명등(10_1)의 통신반경 내에 위치해 있지 않더라도 제1 비상조명등(10_1)에 의해 감지된 비상상황을 전파받을 수 있으며,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대피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대피도상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의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정보의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20)의 위치정보 및 이동방향을 검출하는 기술은 상술한 예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실내 측위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의 기법을 적용하여 실시간 측위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비상조명등(10)으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정보로부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 특정 대피로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 출구와의 거리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가용한 대피경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안전한 대피경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이 하나 이상의 가용한 대피경로를 표시하는 것은, 수신된 이벤트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코드정보 중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출구와 관련된 코드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20)의 현재위치를 고려하여 출구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정보를 대피로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이 하나 이상의 안전한 대피경로를 표시하는 것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와 특정 대피로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를 분석하여 비상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로정보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 개수 이하인 경로정보를 대피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조명등(10)은 통신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수를 카운팅하여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조명등(10)은 사용자 단말(20)을 감지하는 신호를 방사하여 수신되는 응답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조명등(10)은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수를 이벤트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은 특정 대피로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대피로 대신 다른 대피로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대피경로를 대피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산출된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대피도 지도의 방위를 동적으로 가변하거나, 이벤트정보에 포함된 상황정보를 분석하여 대피도 상에서 특정 시설물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거나, 생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비상조명등
2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건물 내부에 설치되고, 설치된 층의 층별 내부구조에 배치된 시설물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며, 비상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포함된 이벤트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 조명등; 및
    상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코드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층별 내부구조가 반영된 대피도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정보를 분석하여 위치정보 및 이동방향을 산출하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이 반영된 상기 대피도를 화상정보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정보는 비상상황의 종류를 구분하는 상황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조명등은,
    상기 상황정보의 종류에 따라 코드정보별로 서로 다른 전송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이벤트정보의 전송 시 상기 전송순위에 따라 복수의 코드정보간의 전송순서를 결정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명등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거나, 상기 비상조명등 주변에 배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비상조명등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정보는 비상상황을 최초로 감지한 비상조명등 또는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피도 상에 비상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더 반영하여 화상정보로 출력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명등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키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는 경우 상기 비상조명등의 식별정보를 상기 이벤트정보에 포함시키며,
    상기 다른 비상조명등으로부터 외부 이벤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대신 상기 외부 이벤트정보를 중계하여 전송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명등은,
    비상상황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정보에 상기 상황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차단되는 경우 정전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조명등 주변에 배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명등은,
    상기 정전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비상조명등 및 차단기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소화기 및 소화전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높도록 설정하고,
    상기 화재상황으로 판단되는 상황정보가 생성되면, 비상조명등 및 차단기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소화기 및 소화전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낮도록 설정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조명등은,
    건물외곽, 대피로 및 비상계단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를 비상조명등 및 차단기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와, 상기 소화기 및 소화전에 대한 코드정보의 전송순위보다 높도록 설정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는 2차원 좌표값과 층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2차원 좌표값을 기준좌표에 투영하여 상기 대피도를 생성하고, 상기 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피도가 건물의 어느 층에 대한 내부구조인지를 판단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코드정보가 상기 대피도상에 영역으로 표시되는 시설물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2차원 좌표들 중 어느 하나의 2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다른 2차원 좌표를 연결하여 외곽 영역을 생성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추출된 상기 이벤트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실행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코드정보가 상기 층별 내부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시설물 중 어느 시설물에 대한 정보인지를 구분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상기 이벤트정보로부터 비상상황이 발생한 위치, 특정 대피로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 출구와의 거리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가용한 대피경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안전한 대피경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KR1020170049097A 2017-04-17 2017-04-17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KR10181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97A KR101816905B1 (ko) 2017-04-17 2017-04-17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97A KR101816905B1 (ko) 2017-04-17 2017-04-17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905B1 true KR101816905B1 (ko) 2018-01-09

Family

ID=6100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97A KR101816905B1 (ko) 2017-04-17 2017-04-17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94A1 (ko) * 2018-05-22 2019-11-28 주식회사 시그마랩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CN112399684A (zh) * 2020-11-26 2021-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照明控制系统、照明方法、照明控制方法
CN117236655A (zh) * 2023-11-13 2023-12-15 新黎明科技股份有限公司 疏散指示灯与应急疏散系统的信息智能关联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571A (ja) * 2003-02-18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避難誘導装置
KR100995977B1 (ko) 2010-06-09 2010-11-22 혜민산업(주)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알림시스템
KR101448461B1 (ko) * 2013-04-23 2014-10-15 김광우 비상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정보 표시방법
KR101485167B1 (ko) * 2014-09-01 2015-01-26 (주)한국유닉스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728521B1 (ko)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571A (ja) * 2003-02-18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避難誘導装置
KR100995977B1 (ko) 2010-06-09 2010-11-22 혜민산업(주)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알림시스템
KR101448461B1 (ko) * 2013-04-23 2014-10-15 김광우 비상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정보 표시방법
KR101485167B1 (ko) * 2014-09-01 2015-01-26 (주)한국유닉스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728521B1 (ko) 2016-10-31 2017-04-19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94A1 (ko) * 2018-05-22 2019-11-28 주식회사 시그마랩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90133091A (ko) * 2018-05-22 2019-12-02 주식회사 시그마랩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157552B1 (ko) * 2018-05-22 2020-09-18 일백씨앤씨(주)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CN112399684A (zh) * 2020-11-26 2021-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照明控制系统、照明方法、照明控制方法
CN112399684B (zh) * 2020-11-26 2023-08-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照明控制系统、照明方法、照明控制方法
CN117236655A (zh) * 2023-11-13 2023-12-15 新黎明科技股份有限公司 疏散指示灯与应急疏散系统的信息智能关联方法及系统
CN117236655B (zh) * 2023-11-13 2024-02-20 新黎明科技股份有限公司 疏散指示灯与应急疏散系统的信息智能关联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BIM integrated smart monitoring technique for building fire prevention and disaster relief
KR101771579B1 (ko)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JP5667187B2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840560B1 (ko) 화재 발생에 따른 3차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53063A1 (en) Emergency resource location and status
KR101816905B1 (ko)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KR102312310B1 (ko) 화재시 피난 동선의 유도가 가능한 시스템
KR101783002B1 (ko)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JP7434498B2 (ja) 防災システム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JP6681981B2 (ja) 災難警報及び災難訓練機能を備えたled照明灯システム
KR20160034125A (ko) 건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대응방법
KR2018008664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20200003303A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KR20210157118A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