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320B1 -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320B1
KR102010320B1 KR1020170021964A KR20170021964A KR102010320B1 KR 102010320 B1 KR102010320 B1 KR 102010320B1 KR 1020170021964 A KR1020170021964 A KR 1020170021964A KR 20170021964 A KR20170021964 A KR 20170021964A KR 102010320 B1 KR102010320 B1 KR 10201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usehold
fire
occupancy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957A (ko
Inventor
한정태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주)현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주)현암앤티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17002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3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확인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개시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통신부와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Description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본 발명은 단독주택,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에서 사람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재실 확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에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독주택,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물에는 사람이 살거나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빌라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소방관 등의 구조자는 세대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는지 또는 몇 명이나 있는 지를 미리 알기 어렵다. 또한, 구조자는 사람이 세대 내부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세대 복도, 베란다, 비상계단, 또는 승강기 등과 같은 세대 근방에 위치하는지를 알기 어렵다.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세대원이 잠을 자고 있는 중이라면 세대원은 대피 방송이 발생된 경우에도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 스스로 대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세대원은 화재 발생 시에 생성되는 유독성 가스에 의해 순식간에 의식을 잃을 수도 있어 자력 대피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의 특정 세대에 거주하는 사람이 4명인 경우라고 하면 2명은세대 내부에 있고(재실) 나머지 2명은 외출 중이어서 세대와 멀리 떨어진 세대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구조자는 특정 세대에 접근 시 구조하여야 할 사람이 2명임을 알 필요성도 있다.
단독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관리시스템이나 관리실이 없을 수 있어 단독 주택의 세대에 누가 있는지 혹은 세대의 어디에 세대원이 위치되어 있는지를 더욱 알기 어렵다. 따라서 화재 재난의 발생 시에 대피와 구조가 공동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 발생 시에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 시에 세대원의 재실 유무 및 재실 중인 세대원의 위치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고 구조자나 관리자에게 세대원들의 위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실 식별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신고처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통신부와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통신부와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한다.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재실 판단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에 재실하고 있는 사람들이 몇 명이고 누구인지를 구조자가 미리 알 수 있으므로 구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재난 발생 시에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위치도 구조자가 미리 알 수 있으므로 구조 작업이 신속해진다. 또한, 재실하고 있지 않은 재외부자도 세대원의 구조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재실 식별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5는 도 1의 세대 내에 설치된 월패드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표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9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공건물용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블록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 서버, 및 방재 시스템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세대 건물 기기(100), 방재 시스템(20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 홈네트워크 서버(400), 및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 건물 기기(100)는 월패드(110), 스캐너(120), WiFi 장치(122), 동체 감지기(130), 비콘 장치들(140,142), 도어록(150), 및 감지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의 벽에 설치되어 아파트 단지 내의 전달 사항이나 방문자의 출입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월패드(110)는 홈네크워크 서버(400)와 연결되어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 내의 세대 기기 예컨대 보일러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세대 내의 조명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20)는 출입 패스를 위한 키이(20)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월패드(110)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캐너(120)는 키이(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스캐너(120)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설정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WiFi 장치(122)는 세대 건물의 내부(세대 건물의 근방 포함)에 위치된 통신 기기들(예 스마트 폰)을 WiFi 망에 연결한다.
동체 감지기(130)는 세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대 건물 내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비콘 장치들(140,142)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주파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비콘 장치들(140,142)은 상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거나, 구동 제어신호를 받아 활성화될 때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32-bit ARM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는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내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들(140,142)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록(150)은 세대 건물의 세대 출입을 위한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과 록킹을 수행한다. 도어록(150)은 무선이나 유선으로 도어 개방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록(150)은 미도시된 도어폰과 연결되어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기(160)는 세대 건물의 화재를 감지 시에 화재 감지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 건물의 내부나 근방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면 화재 시에 발생되는 연기나 뜨거운 온도에 의해 감지기(160)는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신호는 라인(L10)을 통해 방재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상기 라인(L10)은 유선 통신 라인 혹은 무선 통신 라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신호는 상기 라인(L10)을 통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도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감지기(160)는 세대 건물의 지진을 감지 시에는 지진 감지기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감지기(160)는 세대에서 일어나는 각종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기일 수 있다.
도 1에서, 세대 건물의 내부에는 무선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10)과 출입 패스를 위한 키이(2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세대 건물의 계단(103), 복도, 또는 엘리베이터 홀 등과 같은 세대 건물의 근방에도 스마트 폰(12)과 키이(2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세대 건물과는 멀리 떨어진 외부 예를 들어 세대 건물에서 30킬로미터 떨어진 직장 근무처에도 세대원의 스마트 폰(14)이 위치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은 아파트의 단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은 각 세대 건물의 감지기(160)와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방재 시스템(200) 은 복수의 감지기들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은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에 감지기(160)의 고유 ID를 판별하여 화재가 발생된 아파트의 동 및 세대 건물의 호수를 인식할 수 있다. 방재 시스템(200)는 특정 세대 건물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 예컨대 세대 화재신호(HFS)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세대 화재 신호(HFS)는 라인(L20)을 통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라인(L20)을 통해 방재 시스템(200)과 연결되고, 라인(L30)을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400:H/N)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상기 월패드(110)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또한 아파트 단지의 주차 위치 유도나 주차 위치 확인에 관련된 서비스를 담당하는 주차 위치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400)는 주차 위치 확인 정보를 통해서도 등록된 세대원의 세대 출입 상황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내부 단자(I1)을 통해 상기 세대 화재 신호(HFS)를 수신하고, 내부 단자(I3)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내부 단자(I2)을 통해 라인(L40)에 연결된 스마트 폰들(10,14)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L40)은 무선 통신 라인이며 WiFi 망이나 LTE 등의 이동 통신망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인(L40)에는 세대 건물 근방에 위치된 스마트 폰(12)도 연결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건물마다 설치된 월패드(110)와 통신하고, 특정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특정 세대의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들(10,12,14)과 통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세대 재난 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전송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들(10,12,14)로 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결국, 재실 확인신호는 재실 식별신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최종 판단신호일 수도 있다. 재실 확인신호(RCS)는 라인(L50)을 통해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는 재난 구조를 지휘하는 방재 센터가 될 수도 있다.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500)는 상황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5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10)의 화면 상에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해당 세대원들의 재실 유무 또는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표시 상황의 세부는 후술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통신부(320) 및 서비스 컨트롤러(310)를 포함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또한 입력부(330), 출력부(370), ROM(340), RAM(350), 및 플래시 메모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도 1의 라인들(L20,L30,L50, 및 L4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세대의 월패드(1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 예컨대 세대 화재 신호(HFS)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예:10)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세대 화재 신호(HFS)에 응답하여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예 10)로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예 10)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확인신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생성된 재실 확인신호(RCS)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CPU, FPGA, 혹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컨트롤러(310)는 예를 들어 "ATmega128L"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또는 전자 펜이 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키 입력 조작을 수신하기 위해 텐 키 및 기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모니터, 스피커, 사이렌, 또는 프린터가 될 수 있다.
ROM(340)은 리드 전용 메모리로서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부팅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RAM(350)은 랜덤 억세스 메모리로서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작업용 메모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전원이 오프되어도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서비스 컨트롤러(31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 및 재실 확인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0)는 무선 단말기들의 정보가 세대별로 등록된 등록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들의 정보는 세대원의 동 호수, 무선 단말기의 휴대자 이름, 전화번호, 무선 단말기 고유 ID(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10에서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재실 확인 요청신호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에서 스마트 폰(예 10)으로 인가되는 신호이다.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웹서버를 통해 스마트 폰에 다운 로딩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동안에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32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확인 요청신호의 수신 시에 화재 발생임을 인식한다. 스마트 폰(예 10)은 화재 발생을 인식 시에 화재 재난 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예 10)은 소방서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xx 아파트 x동 x호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음성이나 문자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은 음성 IC에 미리 저장된 음성이거나 상황에 맞게 전자적으로 생성되는 음성일 수 있다.
동작 S33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세대 건물 내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스마트 폰(예 10)이 세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은 WiFi, NFC,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예 10)은 비콘 장치(140)가 활성화되어 있고 스마트 폰(예 10)이 세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4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재실 결정 유무를 체크한다.
스마트 폰(예 10)은 GPS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 폰(예 10)이 존재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GPS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재실인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WiFi 장치(122)를 통해 무선 WiFi 통신이 연결될 경우에 WiFi 장치(122)의 ID번호를 인식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RFID 장치와 NFC 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NFC는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스마트 폰(예 10)은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세대 건물 내의 블루투스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 기능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예 10)은 비콘 장치(14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통신을 수행하여 재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비콘 장치(140)는 비콘 신호를 송신만 하는 송신 전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4.0(BLE)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송신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비콘 장치(140)로부터 최대 5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예컨대 스마트 폰 10)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에 의한 위치 구별은 5~10㎝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에 소량 데이터의 패킷 전송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위치 인식이 저비용이다.
또한, 상기 비콘 장치(140)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 송신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 비콘 장치(140)는 블루투스 통신 이외의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로 대치될 수 있다. WPAN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도 1에서 비콘 장치가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는 삼각 측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스마트 폰(10,1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삼각 측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을 통해 구현된다.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위는 dBm 이다. 수신 전계강도(RSSI)의 측정 시에 비콘 신호의 PDU(Protocol Data Unit)에 들어있는 데이터가 참조될 수 있다. 상기 PDU에 들어 있는 데이터 내에는 TX(송신) 파워에 대한 파워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송신 파워 데이터는 약 2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각각의 비콘 장치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스마트 폰(예 10)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전계 강도는 다른 비콘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들의 전계 강도보다 세다. 물론, 복수의 비콘 장치들에서 각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송신 파워 데이터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결국, 스마트 폰(예 10)은 3개 이상의 비콘 신호들에 관련된 수신 세기 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큰 수신 세기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찾은 수신 세기 정보에 대응되는 비콘 장치를 최근접 위치로서 인식한다.
스마트 폰들(예 10,12,14)은 2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 롱텀 에볼루션(LTE)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들(예 10,12,14)은 5G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5G 통신은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한다.
동작 S330 및 동작 S340은 동작 S310의 수행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스마트 폰 어플의 실행에 의해 미리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은 보다 신속한 처리 동작을 위해 재실 확인 요청신호의 수신 이전에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를 미리 파악해 둘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5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재실 식별신호는 재실 결정의 유무에 따라 후술되는 도 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동작 S360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도어록 개방 신호를 전송한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과 연결된 도어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150)으로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도어록(150)을 제어하는 월패드(110)로도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 개방 신호는 화재 재난 등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 세대 외부에 있는 구조자가 세대 출입문을 신속히 개방하고자 할 때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세대 보안이 우선시되는 경우에 동작 S360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S370에서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4)이 세대와 떨어진 곳에 있는 경우(예 세대원의 출근)에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 외부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미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80에서 스마트 폰(예 14)은 재외부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재외부 식별신호는 재실 식별신호와는 구별되는 신호이다. 재외부 식별신호의 전송은 LTE 통신이나 5G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S390에서 스마트 폰들(10,12,14)은 미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들(10,12,14)이 재실 식별신호나 재외부 식별신호를 생성하지 못할 경우에 스마트 폰들(10,12,14)은 미확인 신호를 생성 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재실 식별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10)은 도 1에서와 같이 세대 건물에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O과 (실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재실 O는 재실 중을 나타낸다. 재실 식별신호가 재실 0과 (실내)로서 생성되는 이유는 스마트 폰(예 10)이 WiFi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GPS 신호와 NFC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예 10)은 제2 비콘 신호를 제1 비콘 신호에 비해 약한 강도로 수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1에 따르면 제1 비콘 장치(140)는 세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고 제2 비콘 장치(142)는 세대 건물의 외부 근방 예컨대 세대 복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폰(예 12)은 세대 건물의 외부 근방에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O과 (복도)"로서 생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 폰(예 12)은 GPS 신호, WiFi 신호, 블루투스 신호,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NFC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예 12)은 제1 비콘 신호를 제2 비콘 신호에 비해 약한 강도로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4)은 세대 건물과는 멀리 떨어진 세대 외부에 완전히 위치된 경우이므로 재실 식별신호를 "재실 X(부재 중)와 외부"로서 생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마트 폰(예 14)은 GPS 신호, 블루투스 신호, NFC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WiFi 신호, 제1,2 비콘 신호를 미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재실 X(부재 중)와 (외부)"는 재실 식별신호가 아닌 상기 재외부 식별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스마트 폰들(10,12,14)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폰들은 GPS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비콘 수신,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상기 스마트 폰들(10,12,14)은 블루투스 통신의 수행 시 BLE 4.0 이상의 버젼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세대 내에 설치된 월패드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10에서 월패드(110)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화재발생 신호는 홈네트워크 서버(4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동작 S520에서 월패드(110)는 세대 건물 내에 설치된 스피커로 화재 재난 등에 관련된 경보를 전송한다. 동작 S530에서 월패드(110)는 동체 감지기(130)와 연결된 비콘 장치(1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S540에서 월패드(110)는 동체 감지기(130)로부터 받은 동체 감지 신호를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화재 재난이 발생 시에 도어록(150)이 강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록 개방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도어록(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어록(1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을 실행하여 도어록 잠금을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150)일 수 있다. 또한 월패드(110)는 도어폰 영상신호를 받아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폰 영상신호는 세대 건물 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는 도어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세대 현관 근방의 영상신호이다. 도어폰에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대 현관 근방의 영상신호는 월패드(110)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폰의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세대 현관 근방의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61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화재 재난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화재 신호(HFS)가 라인(L20)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세대 화재 신호(HFS)는 화재 발생 시에 방재 시스템(200)에 의해 발생 된다. 한편, 화재 재난 신호는 월패드(110)나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동작 S62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등록 테이블을 서치하여 등록된 세대의 스마트 폰들로 세대 화재신호를 전송하거나 중계한다. 여기서 세대 등록 테이블은 도 7의 일부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진다. 세대 등록 테이블에는 동,호, 세대원의 성명,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세대 화재 신호의 중계나 전송은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유무를 확인하여 줄 것을 나타내는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화재 신호에 포함하여 중계하거나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은 스마트 폰(10)으로 세대 화재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고, 중계는 스마트 폰(14)으로 세대 화재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S63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화재 재난 상황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로 신고한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화재 신호(HFS)가 수신되는 경우에 화재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신고 음성이나 알림 문자를 전송한다. 신고 음성이나 알림 문자는 사람에 의한 조작 없이도 국민 안전처나 소방서의 상황실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동작 S64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식별신호를 포함한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각종 신호는 재외부 식별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재외부 식별신호는 세대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스마트 폰(예를 들어 도 1의 14)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신호이다. 스마트 폰(14)은 재실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본 발명의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외부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재외부 식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신호는 또한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동체 감지신호, 주차위치 신호, 및 공동현관 출입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체 감지신호는 도 1의 동체 감지기(130)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이다. 세대 내부에 세대원이 존재하는 경우(재실의 경우)에 월패드(110)를 통해 동체 감지신호가 수신된다.
주차위치 신호는 아파트 단지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위치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주차위치 신호는 세대원의 등록된 차량이 입차되었는 지 혹은 출차되었는 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이다. 또한 주차위치 신호는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주차장 내의 주차 구역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주차위치 신호를 수신하면 세대원의 등록된 차량이 입차되었는 지 혹은 출차되었는 지가 확인된다. 또한, 주차위치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이 아파트의 주차장에 주차된 경우에 차량이 주차장 내의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 지가 확인된다. 주차위치 신호는 주차위치 관리 서버를 통해 도 1의 홈네트워크 서버(400)로 제공될 수 있다.
공동현관 출입 신호는 세대원이 아파트의 공동현관을 출입하였는 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출입정보이다.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들어오는 경우에 공통현관 출입문이 개방되고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호출될 수 있다. 이때 공동현관 출입 신호 즉 출입 정보는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들어온 것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한편,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나가는 경우에 공통현관 출입문이 개방되나 엘리베이터는 호출되지 않는다. 이때 공동현관 출입 신호는 세대원이 공동현관을 나간 것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동작 S65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수신된 신호들 및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30)을 통해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40:예를 들면 무선 채널)을 통해 스마트 폰들(10,12,14)로터 제공되는 재실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1의 라인(L30)을 통해 동체 감지신호, 주차위치 신호, 및 공동현관 출입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세대원의 재실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여부의 최종 결정 시에 재실 식별신호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각기 주어진 신뢰 가중치를 참조할 수 있다. 신뢰 가중치는 프로그램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낮게 설정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재실 확인신호의 의존도는 재실 식별신호에 비해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가 더 높다. 세대원이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서 차량을 몰고 출근한 경우라고 하면, 해당 세대원의 재실 확인신호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여 재실이 아닌 재외부로 인식된다. 한편, 재실 식별신호의 신뢰 가중치가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재실 확인신호의 의존도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비해 재실 식별신호가 더 높다. 따라서, 세대원이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서 출근한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세대원의 재실 확인신호는 재실 식별신호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여 재실로 인식될 것이다.
동작 S66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 여기서, 재실 확인신호에는 위치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S670에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외부자의 스마트 폰으로 같은 세대 내의 다른 세대원의 구조에 관련된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황정보는 문자 혹은 영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신호 생성의 예시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실 확인 신호는 최종결정인 확인신호 항목에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119동 708호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고 하면, 708호의 세대원들은 물론 608호와 808호의 세대원들도 화재재난 구조의 대상이 된다. 도 7의 등록 테이블을 통해 808호에는 3명, 708호에는 4명, 608호에는 5명이 미리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예를 들어 808호의 세대원인 강순길씨는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가 010-2105-9904이다. 강순길씨의 스마트 폰은 재실확인 요청신호를 받은 후에 재실 식별신호를 O(재실 중)으로 전송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도 6의 동작 S650을 수행한다. 즉,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재실 식별신호와 강순길 씨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강순길 씨가 재실 중(최종결정:O)이라는 것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808호의 월패드(110)로부터 동체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주차위치 서버로부터 강순길 씨의 주차 확인신호를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아파트의 공동현관 출입 정보를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강순길 씨의 재실 식별신호뿐 만 아니라 강순길 씨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한편, 708호의 세대원인 김미화 씨의 경우에는 재실 식별신호 및 주차위치 확인정보가 O(유효 정보)으로 수신되더라도 공동현관을 통해 들어온 최근의 공동현관 출입 신호(외출 중)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재실 확인신호는 X(재실 아님)로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의 신뢰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경우이다. 따라서, 김미화씨가 스마트 폰을 세대 내부에 두고 차량을 두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근한 경우에 재실 확인신호를 재실 중이라고 결정하는 오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출입 기록 데이터는 스마트 폰의 재실 식별신호가 참인지 거짓 인지를 판별하는 기준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708호의 세대원인 김기동 씨는 스마트 폰을 가지지 않고 세대 출입용 패스 키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재실 식별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0)는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O(재실 중)으로 결정한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재실 확인 표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세대원들의 재실 확인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유무 정보 및 각 세대원들의 존재 위치가 모니터(51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각 세대원들의 존재 위치는 필요 시에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으로도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서, 모니터(510)의 화면상에는, 예를 들어 808호의 강순길씨는 재실중(O)이고 실내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한편, 808호의 강민호씨는 부재중(x)이고 실내에 없는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708호의 김기동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복도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한편, 608호의 최성실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엘리베이터(E/V)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608호의 박초롱씨는 재실중(O)이고 세대의 계단에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5), 관제서버(202), 및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5)은 단독형 세대(308)의 내부에 있는 WiFi 장치(122)와 무선 단말기(예 스마트 폰:10)를 관제서버(202)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이다.
관제서버(202)는 통신망(105)을 통해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나 무선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관제서버(202)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204)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제서버(202)는 또한 소방서(502)나 국민 안전처(504)와도 연결될 수 있다.
관제서버(202)는 단독형 세대(308)의 외부에 있는 무선 단말기(예 스마트 폰:14)와도 통신할 수 있다.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302)는 단독형 화재 감지기(304)와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독형 화재 감지기(304)는 화재 감지부(304a), 스피커(304b), 및 발광 경보기(304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304a)는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304b)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소리를 발생한다. 발광 경보기(304c)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전기적으로 불빛을 발생한다.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는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모듈(306b),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 및 무선 통신부(306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6a)는 라인(L10)을 통해 화재 감지부(304a)와 연결된다. 구동부(306a)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통신 모듈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근거리 통신모듈(306b)은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 발생을 감지할 때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NFC,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6d)는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306d)는 도 9의 WiFi 장치(122)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도어록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한다.
도 10의 화재 감지부(304a),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 모듈(306b),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 및 무선 통신부(306d)는 동일한 하우징 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은 세대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직접적으로 혹은 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S111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화재발생의 유무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화재 감지부(304a)는 단독 세대에 화재가 발생하였는 지를 감지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스피커(304b)는 설정된 경고음을 송출하고, 발광 경보기(304c)는 예를 들어 빨강 색의 불빛을 낼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구동부(306a)는 통신 모듈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306b)은 2.4GHz의 블루투스 신호를 설정된 통신 포맷으로 단독 세대에서 송출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은 스마트 폰(예 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동작 S112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재실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스마트 폰(예 10)에서 발생되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수신되는 지를 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간 대기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은 GPS, WiFi, NFC,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306b)로부터 2.4GHz의 블루투스 신호가 송출되면 단독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한다. 스마트 폰은 GPS, WiFi, NFC,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의 통신 가능 유무를 체크하여 스마트 폰이 단독 세대에 위치한다고 판단 시에 상기 재실 응답 신호를 O(재실 유)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작 S1130에서,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재실 응답신호의 수신 유무에 따라 재실인지 부재인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스마트 폰(예 10)에서 발생되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재실임을 판단한다. 한편,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재실 응답신호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을 통해 설정된 대기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부재임을 판단한다.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부재라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동작 S1140을 수행하고, 재실이라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동작 S1150을 수행한다.
동작 S1140에서,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화재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306d)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306d)로 전송된 화재 발생신호는 도 9의 통신망(105)과 연결되는 WiFi 장치(122)를 통해 관제 서버(202)로 제공된다. 관제 서버(202)는 소방서(502)로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신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2)는 국민 안전처(504)로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신고할 수 있다. 관제서버(202)는 스마트 폰(10)과 그룹핑된 스마트 폰(14)이 그룹핑 테이블에 존재하는 것을 찾은 경우에 단독형 세대(308)의 외부에 있는 스마트 폰(14)과 통신하여 화재 상황(화재 발생 및 재실자 존재 여부)을 알릴 수 있다.
동작 S1150에서,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단독 세대에 설치된 도어록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록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재실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이 화재 상황 신고를 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은 도 9의 통신망(105)과 연결되는 WiFi 장치(122)를 통해 관제 서버(202)로 화재 상황을 알리는 재실 식별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202)는 스마트 폰을 통해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소방서(502)로 신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2)는 스마트 폰을 통해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단독 세대의 화재 상황을 국민 안전처(504)로 신고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1의 제어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며, 재실의 경우에도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가 재실 식별신호를 받아 화재 상황 신고를 직접적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 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는 화재 발생신호를 관제 서버(202)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은 관제 서버(202)로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받은 후에 재실 응답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폰으로부터 생성된 재실 응답신호는 LTE 통신을 통해 관제 서버(202)로 전송된다.
도 12는 도 9의 무선 단말기의 재실 식별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S1210에서,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은 화재 발생 시에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부터 부터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220에서, 스마트 폰(10)은 화재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 전송한다. 즉, 스마트 폰(10)은 2.4GHz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임을 인식하고 블루투스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응답신호는 재실 식별신호와 동일하다.
한편, 스마트 폰(10)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스마트 폰(10)은 관제 서버(202)를 통해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2)는 재실 판단 컨트롤러(306c)에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매칭된 통보 관련 등록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 폰(10)은 화재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한다. 재실 식별신호는 이동 통신 예컨대 LTE 통신을 통해 관제 서버(202)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S1230에서, 스마트 폰(10)은 화재 신고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도어록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공건물용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공건물용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는 화재 감지기(304)와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를 포함한다. 공공건물은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드는 건물로서 예컨대, 구청 등과 같은 관공서, 백화점 등과 같은 상업용 빌딩일 수 있다.
도 13에서, 화재 감지기(304)는 화재 감지부(304a), 스피커(304b), 및 발광 경보기(304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304a)는 공공건물의 설정 구역에 설치되어 설정 구역 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304b)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소리를 발생한다. 발광 경보기(304c)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전기적으로 불빛을 발생한다.
감지 통신 컨트롤러(306)는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모듈(306b),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306c), 무선 통신부(306d), 및 대피방향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6a)는 라인(L10)을 통해 화재 감지부(304a)와 연결된다. 구동부(306a)는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를 감지할 때 통신 모듈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306b)은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 발생을 감지할 때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NFC,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예 1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6d)는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306d)는 억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WiFi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화재 감지부(304a)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306a)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306a)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실 응답 신호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단말기에서 생성된 신호이며, 사람이 공공건물의 내부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건물내부 존재 신호이다. 상기 재실 응답 신호는 무선 통신부(306d)를 통해 통신망으로 전송될 수 있다.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306c)는 상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306d)로 전송할 수 있다.
대피방향 표시부(306e)는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306c)로부터 대피 방향 지시신호를 수신한다. 대피방향 표시부(306e)는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안전한 방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피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시각적 표시는 LED 발광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재 감지부(304a), 구동부(306a), 근거리 통신 모듈(306b), 건물내부 판단 컨트롤러(306c), 대피방향 표시부(306e), 및 무선 통신부(306d)는 동일한 하우징 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은 공공건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직접적으로 혹은 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의 경우에도 스마트 폰은 근거리 통신 모듈(306b)이나 관제 서버(202)를 통해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화재 발생신호의 수신 시에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예컨대 LTE 통신을 통해 관제 서버(202)로 전송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306b)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신고처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기(예 도 1의 10)는 표시부(1000),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 메모리(1200), 입출력부(1300),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전송부(1400), 주변장치(1500), 및 전원 공급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0)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혹은 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는 재실 식별신호를 신고처로 전송하기 위한 원터치 신고 버튼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원터치 신고 버튼을 터치 시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에 응답하는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신고처로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세대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재실 정보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는 곳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여,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신고처로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사용자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신고처로 전송하기 위한 원터치 신고 버튼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생성 시에 상기 세대에 설치된 도어 록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는 상기 재실 식별신호를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모니터링 센터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는 설정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싱글 코어)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듀얼 코어, 쿼드 코어, 옥타 코어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생성 및 전송 제어부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및 MCU(Micro Controller Unit)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ing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300)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버튼,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램프, 프로젝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전송부(140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매칭되어 있는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에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전송부(1400)는 유선 트랜시버 혹은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전송부(1400)는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근거리 통신 신호, 및 LTE 신호와 같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주변장치(1500)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각종 센서 장치, 및 각종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0)는 표시부(1000), 생성 및 전송 제어부(1100), 메모리(1200), 입출력부(1300), 신호 수신부 및 신호 전송부(1400), 및 주변장치(1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4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2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제공장치에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장치는 웹서버나 공동주택의 단지에 마련된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세대 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로부터도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에 설정된 주파수의 무선 통신 신호를 송출할 것이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재실 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재실 식별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신고처로 전송한다. 여기서 신고처는 소방서, 재난구조본부, 국민안전처, 아파트 관리실, 및 가족의 스마트 폰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생성되거나,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미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세대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재실 정보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는 곳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실행에 의해 도 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재실 식별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재실 식별신호가 재실로 결정될 때,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신고처로 상기 재실 식별신호가 사용자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신고 남발이나 사용자 선택권을 주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는 원터치 신고 버튼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000)에 생성할 수 있다.
도 14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되는 경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재실 식별신호를 신고처로 전송할 수 있다. 재실 식별신호는 문자, 음성, 숫자, 이모티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대 건물 기기
200: 방재 시스템
300: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400: 매니저 모니터링 장치

Claims (30)

  1.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세대 재난신호가 수신될 때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에 근거하여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에 따라 제공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상기 세대의 방재를 관리하는 방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지진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 시에 상기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또는 동체 감지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상기 세대의 월패드로 더 전송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신호를 통신신호로서 이용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2.4 GHz 대역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8. 세대의 월패드와 통신하고, 상기 세대에 재난이 발생 시 세대 재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세대의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세대 재난 신호의 수신 시에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재실 식별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때, 상기 재실 식별신호와 상기 세대의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재실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재실 식별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에 따라 제공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출입 기록 데이터는 상기 월패드, 상기 세대를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서버, 혹은 주차위치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상기 세대의 방재를 관리하는 방재 시스템이나 상기 세대의 단독형 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재난신호는 화재 신호, 지진 신호, 긴급 신호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컨트롤러는 상기 재실 확인 요청신호를 전송 시에 상기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상기 월패드 혹은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세대에 설치된 도어록이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록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신호를 통신신호로서 이용하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는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GPS, WiFi, NFC,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재실 확인신호에 위치 확인 신호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폰인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6.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으로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랜(WLAN)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재실 응답 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재실 판단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재실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이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에 따라 제공되는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판단 컨트롤러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재실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재실로 판단하고 도어록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폰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장치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재실 판단 컨트롤러는 동일한 하우징 내에 일체로 구성되는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은 재실 확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GPS, WiFi, NFC,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및 LTE 통신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상기 재실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스마트 폰인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1. 세대에 설치되어 세대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 감지부;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등록된 무선 단말기가 재실 식별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도록 하는 재실 판단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식별 신호는 상기 복수의 등록된 무선 단말기가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에 따라 제공되는 단독형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2. 공공건물에 설치되어 공공건물의 설정된 구역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설정된 주파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으로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랜(WLAN)을 통해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가 화재 발생을 감지 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으로부터 건물 내부 존재를 나타내는 재실 응답 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실 응답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이 GPS, WiFi, NFC, 블루투스, 및 비콘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였는 지에 따라 제공되는 공공건물용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내부 존재 판단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의 대피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대피 방향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공공건물용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70021964A 2017-02-19 2017-02-19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201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64A KR102010320B1 (ko) 2017-02-19 2017-02-19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64A KR102010320B1 (ko) 2017-02-19 2017-02-19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57A KR20180095957A (ko) 2018-08-29
KR102010320B1 true KR102010320B1 (ko) 2019-08-13

Family

ID=6343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964A KR102010320B1 (ko) 2017-02-19 2017-02-19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285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96B1 (ko) * 2020-12-28 2022-12-26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건물 내 화재 발생 시에 사람의 재실여부를 판단하는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5646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集合住宅居住者の安否確認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50B1 (ko) * 2012-01-12 2013-08-20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별 id 정보를 활용한 초고층 건축물 화재감지,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926B1 (ko) * 2013-02-27 2014-12-23 이수근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5646A (ja) * 2014-08-21 2016-04-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集合住宅居住者の安否確認支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285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실자 인원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영상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57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7685A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US9842479B1 (en) Systems including a smart device for receiving a prerecorded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prerecorded message to a detector
KR101292304B1 (ko) 화재발생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965961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2010320B1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201015267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セキュリティ方法
US11343543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965960B2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827336B2 (en) Using access control devices to send event notifications and to detect user presence
KR101866124B1 (ko) 비화재보 확인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7113330B2 (ja) 集合施設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火災情報伝達方法、及び火災情報伝達プログラム
US20200288178A1 (en)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6776167B2 (ja) 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警備装置、警備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94518B1 (ko) 긴급호출 시스템
JP6603546B2 (ja) 防災支援システム
KR101634927B1 (ko) 일반호출 기능을 갖는 비상호출 시스템
JP7463143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168964U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警報装置及びユーザ端末
KR20230068885A (ko) 화장실 응급 알림 장치
JP2016171484A (ja) 無線端末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
FI122235B (fi) Menetelmä ja laite turvajärjestelmän hälytysinformaation välittämiseksi
JP2023032670A (ja) 警備システム、警備装置、警備用基地局及び警備用携帯端末
KR101384983B1 (ko) 휴대기기를 이용한 모바일출동 지령 시스템
JP200927163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警報装置及びユーザ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