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552B1 -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552B1
KR102157552B1 KR1020180058037A KR20180058037A KR102157552B1 KR 102157552 B1 KR102157552 B1 KR 102157552B1 KR 1020180058037 A KR1020180058037 A KR 1020180058037A KR 20180058037 A KR20180058037 A KR 20180058037A KR 102157552 B1 KR102157552 B1 KR 10215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091A (ko
Inventor
정연준
Original Assignee
일백씨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백씨앤씨(주) filed Critical 일백씨앤씨(주)
Priority to KR102018005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552B1/ko
Priority to PCT/KR2019/005688 priority patent/WO2019225894A1/ko
Publication of KR2019013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전면 패널,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mg diode),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한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건물 내에서의 화재 확산 경로를 판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재 확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화재 확산 경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FIRE DETECTOR WITH EMERGENCY EXIT LIGHT FUNCTION AND FIRE DETECT SYSTEM UISNG THE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 및 상기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물 내 사람들과 관리자, 소방서에 최대한 신속하게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방관에게 정확한 발화 지점과 화재 진행 상황을 알려 주어야 전략적인 화재 진압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연기와 함께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피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하고, 고립된 생존자를 찾아 최단시간 내에 구조를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소방법의 강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신축하는 건물에는 화재감지 시스템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기존 건물은 열감지에 의한 스프링클러나 사람이 눌러서 알려야 하는 화재 경보기 정도만 설치되어 있어,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방서에 신고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방관이 출동하여 진화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정보가 육안으로 보이는 불꽃이나 연기에 불과하여 정확한 화재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 내 사람들은 정확한 화재 위치를 알 수 없어 안전하지 않은 대피 경로를 선택하여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대피 도중 고립되어 구조를 기다리다 피해를 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6665호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이현기) 2017.09.2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연기 센서와 열 센서를 복합 감지하여 신속하게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한 발화 위치와 함께 무선으로 관리자 또는 소방서에 통보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화재 감지 장치의 설치 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최초 발화 지점 및 화재의 진행 상황을 건물 구조도와 함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소방 지휘관으로 하여금 진화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화재 감지 장치에 일산화탄소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일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건물 내 대피자의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로 전송하여, 안전한 대피 경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감지 장치에 비상 시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구조 버튼을 내장하여 구조를 바라는 대피자가 버튼을 누르면 구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중계기,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전면 패널,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mg diode),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한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건물 내에서의 화재 확산 경로를 판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재 확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화재 확산 경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건물 내의 특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하고, 해당 그룹 내의 화재 감지 장치들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그룹명, 주소, 관리자 연락처, 등록 단말기의 고유번호, 화재 감지 장치와 중계기의 위치, 건물 구조도, 건물 구조도 내 화재 감지 장치와 중계기의 좌표 정보가 저장되고, 각 그룹의 중계기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건물의 구조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건물의 구조 내 지정된 위치에 화재 감지 장치를 표시하고,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구조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구조 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구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조 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화재 감지 장치들에 대한 작동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이상 발생 시,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통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하부에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가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림막이 형성하는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Wi-SUN(Smart Utility Netwrok)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통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 유독 가스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 화재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유독 가스의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삭제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는,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전면 패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통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는,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mg diode),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부로 구조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 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구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조 신호를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연기 센서와 열 센서를 복합 감지하여 신속하게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한 발화 위치와 함께 무선으로 관리자 및 필요 시 소방서에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재 감지 장치는 초기 설치 시 정확한 위치 정보를 갖고 있어 최초 발화 지점 및 화재의 진행 상황을 건물 구조도와 함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소방지휘관으로 하여금 신속한 진화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재 감지 장치는 일산화탄소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일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전송하여 건물 내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 경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재 감지 장치에 비상 시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구조 버튼을 내장하여 구조를 바라는 대피자가 버튼을 누르면 구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화재 감지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구 유도등을 화재 및 일산화탄소 감지 장치 겸용으로 대체하여, 복합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와 일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스마트폰에 알려 화재 진압과 대피에 도움을 주는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에 구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구조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정확한 위치를 찾아 신속히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전개도이며,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유도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전면 패널(110), 전면 케이스(120), 회로 기판(130) 및 후면 케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예컨대, 화살표 이미지 또는 사람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120)는 상기 후면 케이스(140)와 결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1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전면 패널(110)이 안착되어 결합될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140)는 상기 전면 케이스(120)와 결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141, 143)가 형성될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면 케이스(140)의 상부에는 양측에 두 개의 통기구(141a, 1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다수의 통기구들(14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구(141, 143)는 상기 전면 케이스(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통기구(141)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통기구(143)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림막(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120)와 상기 후면 케이스(140)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상기 몸체 내부에는 회로 기판(130)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130)에는,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130)의 하부에 상기 센서부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림막이 형성하는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연기 감지 센서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독 가스 감지 센서는 유독 가스(예컨대, 일산화탄소)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130)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mg diode)(131),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131)가 빛을 발광함으로써 어두운 상황에서도 상기 전면 패널(110)에 표시된 이미지가 밝게 보일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30)에 배치된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132)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 케이스(120)의 외부로 구조 버튼(121)이 배치될수 있다. 상기 구조 버튼(121)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로 기판(130)에 배치된 제어부는, 구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조 신호를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 중계기(200),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재 감지 장치(100)는 건물 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상기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구 유도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 중계기(200),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등 각 시스템 구성 요소들은 서로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는 제어부(510), 무선 통신부(520), 화재 감지부(530), 가스 감지부(540), 구조 버튼(550), 전원부(560), 정보 출력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부(530)는 열 감지 센서(531) 또는 연기 감지 센서(5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감지부(540)는 유독 가스(예컨대, 일산화탄소) 감지 센서(5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 출력부(570)는 LED(571) 또는 스피커(572)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 상황들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각 화재 감지 장치(100)에 대한 작동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100)에 대한 이상 발생 시,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상기 서버(3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관리자 단말, 소방관 단말,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520)는 Wi-SUN(Smart Utility Netwrok)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은, 상기 Wi-SUN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에 구비된 구조 버튼(550)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구조 버튼(550)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10)에서는 구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조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520)를 통해 상기 서버(3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건물 내 화재로 인해 대피 중 고립된 대피자가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에 구비된 구조 버튼(550)을 누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어 신속한 인명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센서부(화재 감지부(530) 또는 가스 감지부(540))에 포함된 각 센서를 제어하여 감지된 정보를 중계기(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각 센서의 동작 이상 유무 또는 상시 전원의 이상 유무를 중계기(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현재 상태를 전송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 자체의 통신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200)는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그룹 내의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각 그룹의 중계기(200)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사용자 단말(4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모든 그룹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그룹명, 주소, 관리자 연락처, 등록 단말기의 고유번호, 화재 감지 장치(100)와 중계기(200)의 위치, 건물 구조도, 건물 구조도 내 각 화재 감지 장치(100)와 중계기(200)의 좌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전용 앱은 서버(300)로부터 화재 상황을 전송받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화재 감지 장치(100)별 상황 정보를 구조도 내 좌표에 그림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앱에서 저장하는 정보는 단일 그룹 정보로서, 건물 구조도, 화재 감지 장치(100)와 중계기(200)의 위치, 구조도 내 각 화재 감지 장치(100)와 중계기(200)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들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후술하는 데이터의 유형 및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에서 중계기(200)로의 전송 데이터는 중장 거리 통신(예: 와이썬, 로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상 시에는 1시간 주기로 설치 그룹 고유 번호(인접 그룹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 화재 감지 장치의 고유번호, 각 센서 및 전원의 이상 유무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평상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전원 이상 발생 시
데이터 0000 0008 0005 03
설치그룹 : 0000 0008
감지장치 : 0005
이상유무 : 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에서 중계기(200)로의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평상 시 보다는 빠른 주기(예: 1분 주기)로 설치 그룹 고유번호, 화재 감지 장치의 고유번호, 각 센서 및 전원의 동작 이상 유무 정보, 온도 정보, 연기 함량 정보, 유독 가스 함량정보, 구조 버튼 입력 정보(구조버튼이 눌리는 즉시)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동작 이상 없고 온도 80℃, 연기 20%, 유독가스 15%, 구조신호 없음
데이터 0000 0008 0005 00 80 20 15 00
설치그룹 : 0000 0008
감지장치 : 0005
이상유무 : 00
온도정보 : 80
연기정보 : 20
가스정보 : 15
구조신호 : 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계기(200)에서 서버(30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상 시에는 1시간 주기로 설치 그룹 고유 번호, 중계기의 고유 번호, 이상 발생 화재 감지 장치의 고유 번호, 이상 유무 및 종류(센서, 전원, 통신두절)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평상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전원 이상 발생 시 1번 중계기가 서버에 전송의 경우
데이터 0000 0008 01 0005 03
설치그룹 : 0000 0008
중계기 : 01
감지장치 : 0005
이상유무 : 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시 상기 중계기(200)에서 서버(300)로의 전송 데이터는 상기 평상 시 보다는 빠른 주기(예: 1분 주기)로 변동이 있는 화재 감지 장치의 내용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발생시 상기 중계기(200)에서 서버(300)로의 전송 데이터는 설치 그룹 고유번호, 중계기의 고유 번호, 이상 발생 화재 감지 장치의 고유 번호, 이상 유무 및 종류(센서, 전원, 통신두절), 온도 정보, 연기 함량 정보, 유독 가스 함량 정보, 구조 버튼 입력정보(구조버튼이 눌리는 즉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동작 이상 없고 온도 80℃, 연기 20%, 유독가스 15%, 구조신호 없음
데이터 0000 0008 01 0005 00 80 20 15 00
설치그룹 : 0000 0008
감지장치 : 0005
중계기 : 01
이상유무 : 00
온도정보 : 80
연기정보 : 20
가스정보 : 15
구조신호 : 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400)로는 이상 상황 발생 시에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상황 발생 시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400)로는 전송되는 정보는 설치 그룹 고유 번호, 이상 발생 화재 감지 장치(또는 중계기)의 고유 번호, 이상 유무 및 종류(센서, 전원, 통신두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상황 발생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통신이상 발생
데이터 0000 0008 0005 04
설치그룹 : 0000 0008
감지장치 : 0005
이상유무 : 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시 상기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400)로의 전송 데이터는 변동이 있는 화재 감지 장치의 내용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발생시 상기 서버(3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의 전송 데이터는 설치 그룹 고유번호, 이상 발생 화재 감지 장치(또는 중계기)의 고유 번호, 이상 유무 및 종류(센서, 전원, 통신두절), 화재 확산 정보, 연기 확산 정보, 유독 가스 확산 정보, 구조 버튼 입력정보(구조버튼이 눌리는 즉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 8번 그룹 5번 화재 감지 장치에 동작 이상 없고 화재, 연기, 유독가스 확산, 구조신호 없음
데이터 0000 0008 0005 00 01 01 01 00
설치그룹 : 0000 0008
감지장치 : 0005
이상유무 : 00
화재정보 : 80
연기정보 : 20
가스정보 : 15
구조신호 : 00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일부 장치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일부 장치가 복수의 세부적인 장치들로 분리되거나, 복수의 장치들이 하나의 장치 내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각 장치는 물리적으로, 공간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서버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서버는 도 5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를 이용한 화재 감지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 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키면(602) 장치 정보(예컨대, 장치 식별 정보(ID))가 서버(300)로 전송되어 장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각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치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의 등록 시 건물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함께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전용 앱(60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각 화재 감지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의 고유 번호를 등록하고 설치 위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300)에 등록 정보를 저장(606)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에서는 상기 장치 등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608)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상기 장치 등록 정보를 상기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저장(610)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상 시에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들 간에 주기적인 통신으로 각 화재 감지 장치(100) 개별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512)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작동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하여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400)에 알리거나 서버(300)에 통보(614)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이상 유무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616)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에서는 상기 이상 유무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618)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상기 이상 유무 정보를 상기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갱신(620)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상기 화재 발생한 위치에서 최근 거리에 있는 화재 감지 장치(100)는 센서부에 의해 연기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622)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서로 간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중계기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를 서버(300)로 전송(624)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 정보는 스마트폰 앱과 문자로 전송하고 필요시 소방서에 직접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화재, 연기 정보를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26)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화재 발생 정보 또는 화재, 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628)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서버(300)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화재, 연기정보를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30)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실시간 정보에 의해, 실시간으로 화재 진행 위치에 따라 화재 진압 전략 수립 후 소화 활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 내 대피자들에게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센서부의 유독 가스 감지 센서에 의해 일산화탄소를 감지(632)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서로 간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중계기를 통해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634)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는 스마트폰 앱과 문자로 전송하고 필요시 소방서에 직접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를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36)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638)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서버(300)로부터 일산화탄소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40)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실시간 정보에 의해, 실시간으로 화재 진행 위치에 따라 화재 진압 전략 수립 후 소화 활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바탕으로 건물 내 대피자들에게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에서 구조 버튼이 입력(642)되면, 제어부에서는 구조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644)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해당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구조 신호를 수신하고 구조 신호 발생 정보를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46)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구조 신호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648)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서버(300)로부터 구조 신호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기 저장된 건물의 구조도와 연동하여 화면상에 표시(650)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구 유도등을 화재 및 일산화탄소 감지 장치 겸용의 화재 감지 장치(100)로 대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는 복합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와 일산화탄소 확산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예: 스마트폰)에 알려줌으로써 화재 진압과 대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정보는 중계기(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520)는 Wi-SUN(Smart Utility Netwrok)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은, 상기 Wi-SUN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Wi-SUN 통신 프로토콜은 Zigbee 방식에 비해 전원 공급이 용이하고, 장치들 간의 통신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Wi-SUN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은 장애물에 제약을 덜 받고 보다 긴 통신 거리(예: 1Km)에도 송수신이 가능해 화재에 의해 소실되거나 파손된 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문제 없이 화재 및 유독 가스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된 전용 앱에 의해 화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 시스템 설치 시 건물의 구조도를 단순화하고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을 해당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건물의 구조도에 대한 이미지는 서버(300)에 저장해 두고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사용자 단말(400)에 다운로드하여 화재의 진행 상황, 유독가스의 확산 정보, 구조 신호 발신 위치 등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건물의 구조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각 화면상에 표시된 건물의 구조 내 지정된 위치에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100)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서는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100)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901, 902), 유독 가스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911, 912, 913, 914, 915), 화재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유독 가스의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각 화재 감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100)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400)(예: 관리자 단말, 소방관 단말, 개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전자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변형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예컨대, 사용자 단말(1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버스(1030), 입출력 인터페이스(1040), 디스플레이(1050), 통신 인터페이스(10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스(103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1010 내지 127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1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02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1024), 미들웨어(10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022),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10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1024), 미들웨어(1023), 또는 API(1022)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1024)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023), API(1022),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21))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030), 프로세서(1010), 또는 메모리(10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1024)은 상기 미들웨어(1023), 상기 API(10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2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1023)는, 예를 들면, 상기 API(10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21)이 상기 커널(1024)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102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21)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21)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10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030), 프로세서(1010), 또는 메모리(10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1022)는,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021)이 상기 커널(1024) 또는 상기 미들웨어(102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0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040)는 상기 전자 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06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0)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0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는,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 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감지 장치(비상구 유도등) 110 : 전면 패널
120 : 전면 케이스 121 : 구조 버튼
130 : 회로 기판 131 : LED
132 : 센서부 140 : 후면 케이스
141a, 141b : 상부 통기구 142 : 가림막
143 : 하부 통기구 200 : 중계기
300 :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10 : 제어부 520 : 무선 통신부
530 : 화재 감지부 531 : 열감지 센서
532 : 연기 감지 센서 540 : 가스 감지부
541 : 유독 가스 감지 센서 550 : 구조 버튼
560 : 전원부

Claims (10)

  1.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중계기,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전면 패널,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mg diode),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발생 관련 정보를 전송한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건물 내에서의 화재 확산 경로를 판단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재 확산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화재 확산 경로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건물 내의 특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중계기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을 그룹핑하여 관리하고, 해당 그룹 내의 화재 감지 장치들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그룹명, 주소, 관리자 연락처, 등록 단말기의 고유번호, 화재 감지 장치와 중계기의 위치, 건물 구조도, 건물 구조도 내 화재 감지 장치와 중계기의 좌표 정보가 저장되고, 각 그룹의 중계기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그룹 내 변동 상황을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건물의 구조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건물의 구조 내 지정된 위치에 화재 감지 장치를 표시하고,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구조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구조 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구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조 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화재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화재 감지 장치가 표시된 위치에 상기 수신된 구조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서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화재 감지 장치들에 대한 작동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이상 발생 시,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이상 발생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전면 패널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통기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하부에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가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림막이 형성하는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 장치들은,
    Wi-SUN(Smart Utility Netwrok)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통신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유독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 유독 가스의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 화재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유독 가스의 발생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58037A 2018-05-22 2018-05-22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15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37A KR102157552B1 (ko) 2018-05-22 2018-05-22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PCT/KR2019/005688 WO2019225894A1 (ko) 2018-05-22 2019-05-13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37A KR102157552B1 (ko) 2018-05-22 2018-05-22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091A KR20190133091A (ko) 2019-12-02
KR102157552B1 true KR102157552B1 (ko) 2020-09-18

Family

ID=6861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37A KR102157552B1 (ko) 2018-05-22 2018-05-22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552B1 (ko)
WO (1) WO20192258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900A (ko) 2022-08-31 2024-03-07 임제민 화재 대피용 비상구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043B1 (ko) * 2020-01-14 2022-03-30 임채영 회로적 해석을 통한 재난 복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피난구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구조시스템
KR102152696B1 (ko) 2020-03-11 2020-09-07 주식회사 미성 해충 퇴치용 피난 유도등
JP2022014391A (ja) * 2020-07-06 2022-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火災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2423B1 (ko) * 2020-07-20 2020-11-24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재난발생시 전자종이를 이용한 피난 방향 안내 시스템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CN113744108B (zh) * 2021-11-04 2022-04-08 聊城中赛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智慧消防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87B1 (ko) * 2014-09-04 2015-03-23 주식회사 세이브웨이 유도등
KR101816905B1 (ko) * 2017-04-17 2018-01-09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22A (ko) * 2008-03-21 2009-09-24 장인성 자연 통풍을 이용한 led 램프
KR101050479B1 (ko) * 2008-10-07 2011-07-21 (주)제이디옵틱 비상구 안내장치
KR101827733B1 (ko) 2016-03-14 2018-02-09 이현기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87B1 (ko) * 2014-09-04 2015-03-23 주식회사 세이브웨이 유도등
KR101816905B1 (ko) * 2017-04-17 2018-01-09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900A (ko) 2022-08-31 2024-03-07 임제민 화재 대피용 비상구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091A (ko) 2019-12-02
WO2019225894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552B1 (ko) 비상구 유도등 기능의 화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US11188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KR102023851B1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398819B1 (ko) 무인빌딩 환경감시 통합관리시스템
JP6900301B2 (ja) 防災支援システム
JP2017004083A (ja) 支援システム
JP201400255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
KR102237688B1 (ko) 현장인력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JP6461751B2 (ja) 端末装置
JP7149746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JP2017004084A (ja) 支援システム
TW202011361A (zh) 消防資訊整合系統
KR102532865B1 (ko) 화재 시뮬레이션 및 사물 인터넷 센서 융합 기반의 화재 대피로 안내 시스템
CN110969788A (zh) 个人化逃生导引系统
JP6051496B1 (ja) 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8085106A (ja) 支援システム
JP2020140453A (ja)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KR20200053154A (ko) 증강현실 기반 인명 대피 및 구조 시스템 및 방법
TWM473582U (zh) 具突發災害指示避難功能之避難逃生系統
JP2020139841A (ja) 位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CN110956563A (zh) 消防信息整合系统
US11388544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assisted mustering
WO2021192099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KR102342828B1 (ko) 사고 신고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US10922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s with life safet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