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82B1 -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82B1
KR102025382B1 KR1020180081750A KR20180081750A KR102025382B1 KR 102025382 B1 KR102025382 B1 KR 102025382B1 KR 1020180081750 A KR1020180081750 A KR 1020180081750A KR 20180081750 A KR20180081750 A KR 20180081750A KR 102025382 B1 KR102025382 B1 KR 10202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sensor
led
scaffol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이하나
Original Assignee
이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나 filed Critical 이하나
Priority to KR102018008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건물 바닥에 설치되며, LED와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점등되는 복수의 발판; 상기 복수의 발판과 연결되는 리피터 및 상기 리피터 및 재난 감지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거나 피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판들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압력센서, 가속도센서, 무게센서, 초음파센서, 자외선센서,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부에서 피난 상황 발생 시에 상기 발판 중 피난방향으로 구비되는 발판들의 LED 점등을 제어하여 피난을 유도하며,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피난상황 발생 시 피난방향을 향해 건물 바닥에 설치된 발판의 LED를 점등하여 피난방향으로 유도하되, 경로가 차단된 대피로의 발판의 LED는 소등하며, 발판을 주기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타격할 시에는 구조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Active evacuation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서 피난 상황 발생 시에 LED로 피난방향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능동형 피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이나 지하철, 지하공간 등에는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법에 따라 비상구의 상측과 통로(복도)의 일정구간마다 대피방향이 출구쪽으로 안내 표시된 피난구 유도등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피난구 유도등은 상용전원의 공급과 정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상시적으로 일정 밝기를 점등케 하므로 화재시 대피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피난구 유도등은 화재시 먼지, 연기 등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는 등 시야확보를 할 수 없어 소정의 목적을 다할 수 없고, 또 피난구 유도등이 지시하는 대피방향의 출구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가 난 방향으로 안내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649201호와 같이 계단 핸드레일에 피난유도램프를 설치하여 안내를 유도하는 방식이 개시되었으나,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곳은 계단으로 한정적이며, 핸드레일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파지하기 쉬운 위치로 설치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아이들에게는 핸드레일을 따라 가기 쉽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화재가 난 방향으로 안내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핸드레일형 유도 시스템은 계단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노약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이용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ED가 구비된 발판을 바닥에 설치하여 피난상황 발생 시 피난방향을 향해 건물 바닥에 설치된 발판의 LED를 점등하여 피난방향으로 유도하되, 경로가 차단된 대피로의 발판의 LED는 소등하여 안전한 대피로로만 피난을 유도하고, 발판을 주기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타격할 시에는 구조신호가 전송되도록 하여 구조자가 대피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건물 바닥에 설치되며, LED와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점등되는 복수의 발판; 상기 복수의 발판과 연결되는 리피터 및 상기 리피터 및 재난 감지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거나 피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판들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압력센서, 가속도센서, 무게센서, 초음파센서, 자외선센서,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부에서 피난 상황 발생 시에 상기 발판 중 피난방향으로 구비되는 발판들의 LED 점등을 제어하여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기 설정된 행동 범위를 벗어나는 센싱신호가 감지될 시 피난 상황임을 스스로 판별하여 상기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피난방향의 경로차단여부를 판별하고, 경로차단으로 판별될 시에는 차단된 피난방향으로의 LED를 소등하여 다른 피난방향으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에 대해 일정 주기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타격이 감지될 시에 구조신호로 인식하며, 구조신호가 입력된 발판의 방향으로 LED의 색을 달리 점등하여 구조자에게 구조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판은 결합부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는, 스프링과 자석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상기 피난방향으로 형성된 출입문에 구비되는 카운터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센서는, 출입문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수를 항시 계수하고, 피난 상황 발생 시에 계수된 사람의 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건물 내부에 남겨진 사람의 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발판들은 구역화되며, 구역화된 발판들 중 끝단에 있는 발판들에는 건물 바닥에 대해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 또는 복귀되는 이동방지벽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방지벽은, 구역화된 발판들에 감지되는 무게 또는 압력에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은, 하단면에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피난에 대비하는 비상식품 또는 비상물품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피난상황 발생 시 피난방향을 향해 건물 바닥에 설치된 발판의 LED를 점등하여 피난방향으로 유도하되, 경로가 차단된 대피로의 발판의 LED는 소등하며, 발판을 주기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타격할 시에는 구조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피난 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면서도, 위험한 구역으로의 안내는 차단하여 안전하게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도 간단한 동작을 통해 피난을 보조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설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구성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일 구성인 발판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일 구성인 감지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제어부의 화재발생감지 방법을 예시한 알고리즘이다.
도 7은 감지센서를 통해 경로차단여부를 감지하였을 때의 다른 피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어부의 LED 제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제어부의 구조신호감지 방법을 예시한 알고리즘이다.
도 9는 도 8의 알고리즘을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10은 출입문 또는 비상구에 설치되는 카운터센서와 그 주변 발판을 이용한 건물 내 잔여 사람 수의 카운팅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이동방지벽의 설치 및 동작 예시도이며, (b)는 이동방지벽의 설치를 평면으로 개략화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설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구성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작동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발판(10), 리피터(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1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건물 바닥에 설치되며, LED(도 1 및 도 2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점등될 수 있다. 이때, 발판(10)은 피난방향(비상구)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건물 내에 비상구가 3개가 마련될 시 발판(10)은 3개의 비상구(1a, 1b, 1c)로부터 모두 시작되어 각 공간(5a, 5b)까지 길이가 이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판(10)은 각 공간으로부터 피난방향을 따라 일정 표식과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판(10)이 화살표 모양으로 배치되어 일정간격으로 피난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도 있다.
리피터(20)는 복수의 발판(10)과 연결되어 제어부(3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리피터(20)는 발판(10)들과 제어부(3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제어부(30)와 발판(10)과의 신호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며, 제어부(30)와 발판(10)과의 거리가 가까워 신호가 안정적일 때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리피터(20)는 발판(10)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하나 이상의 리피터(20)와 연동되어 복수의 발판(10)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0)는 건물 내부에서 화재나 정전 또는 지진 등으로 인해 피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발판(10)의 LED 점등을 제어하여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화재나 정전 또는 지진 등으로 인해 건물 내부의 피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제어부(30)로 피난 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부(30)는 리피터(20)를 통해 각 발판(10)으로 LED 점등 신호를 전달하고, LED 점등 신호를 전달 받은 LED들은 발광하여 대피자들이 발광된 발판(10)을 따라 비상구(1a 내지 1c)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LED의 발광은 연속적으로 발광되거나 비상구를 향해 순차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일정 주기로 점멸되는 방식 등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10)과 리피터(20), 제어부(30)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3G, 4G, 5G 등의 상용화된 통신방식은 물론 앞으로 상용화될 통신방식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로의 피난 신호 전달은 화재감지기(35), 소방본부(36), 재난관리실(37) 등 다양한 재난 감지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발판(10) 내에 구비된 감지센서(13, 도 4에 도시)로부터 실시간으로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30)가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다양한 재난 감지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와도 통신할 수 있고, 건물 내부 온도, 건물의 기울기, 발판에 대한 충격 등 피난 상황이 아닌 평상 시 기준의 행동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평상 시 기준의 행동 범위를 초과하게 되는 센싱신호가 제어부(30)로 전달되면, 제어부(30)는 피난 상황임을 판별할 수 있다.
감지센서(13)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피난 상황을 판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설명할 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어부(30)는 모바일 폰, 태블릿 PC,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원격 단말(40)과 연결되며, 원격지에서 애플리케이션, 위젯과 같은 응용프로그램 등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일 구성인 발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일 구성인 발판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판(10)은 발판 몸체(11), LED(12), 감지센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판 몸체(11)는 도면과 같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원통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원형 또는 다각형은 물론 화살표 형상, 손가락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몸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판 몸체(11)는 내부에 LED(12)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감지센서(13) 등이 장착될 부품 장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LED(12)는 발판 몸체(11)의 상단으로 발광하도록 발판 몸체(11)에 장착되며, 발판 몸체(11) 마다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구조자 안내를 위해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LED(12)는 2개 이상 구비 시에는 각기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LED는 빨간색을 조사하며, 다른 하나의 LED는 노란색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구조자 안내를 위함이다.
감지센서(13)는 온도센서(13a), 압력센서(13b), 가속도센서(13c), 무게센서(13d), 초음파센서(13e), 자외선센서(13f), 자이로센서(13g) 중 하나 이상의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13)는 건물 내부의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피난방향을 안내하거나 구조 요청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감지센서(13)를 통해 건물 내부 온도 감지, 건물의 기울기 감지, 발판에 대한 충격 감지 등 다양한 위험상황을 감지함과 더불어 구조 위치 확인 등 구조자의 위치 확인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13)의 사용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설명할 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발판(10)은 건물 바닥에 설치될 때에 서로 인접한 상태로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4)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14)는 스프링(미도시)과 자석(미도시)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판(10)이 마찰에 의해 이격되어도 복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발판(10)은 상술한 부품 장착공간 외에도 비상식품 또는 비상물품을 저장하는 공간인 수납공간(15)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수납공간(15)은 하단면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수납공간(15)은 평상시에는 노출되지 않으며, 비상 시에 대피자가 발판(10)을 분리한 후 뒤집어 수납공간(15)에서 비상식품 또는 비상물품을 꺼내어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감지센서(13)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본 발명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의 일 구성인 감지센서의 구성도인 도 5를 참조하여 감지센서(13)를 통한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온도센서(13a)는 발판(10)의 주변 온도 또는 발판에 접촉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물 내부에 대한 온도의 급격한 상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건물 바닥에 앉거나 쓰러진 대피자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3b), 무게센서(13c), 가속도센서(13d)는 발판(10)에 가해지는 압력, 무게, 가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발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낙하, 건물의 붕괴, 누수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인의적으로 충격을 가해 생성하는 구조신호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13e), 적외선센서(13f)는 발판(10)과 천장간의 거리 감지를 통해 낙하물의 적재, 건물의 붕괴 등을 감지하거나 사람 인식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이로센서(13g)는 건물의 기울어짐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이나 건물 붕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센서(13)를 통해 센싱되는 센싱신호는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이를 기 설정된 행동 범위와 비교하여 발판(10)의 LED(12)를 제어하거나, 연결된 재난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제어부의 화재발생감지 방법을 예시한 알고리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하였듯이 제어부(30)는 감지센서(13)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평상 시 기준의 행동 범위 내에 속하는지 이를 초과하거나 미달되는지를 판별 후, 행동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피난 상황임을 판별하여, LED(12)를 제어함과 동시에 재난 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재난 감지 부서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3)를 통한 화재감지의 경우 기준의 행동 범위는 건물 내부의 평상적인 온도를 고려하여 0 내지 60℃로 설정하였으면, 60℃를 초과하거나 60℃에 도달하는 시간이 급격하면 화재로 감지하여 제어부(30)는 발판의 LED(12)를 점등시키고, 스프링쿨러와 화재경보기 등 재난 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소방서 등의 재난 감지 부서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재감지 판별은 60℃의 온도를 초과하는 순간 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정시간 경과 후 지속적이면 화재감지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30)는 압력센서, 무게센서, 가속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일정 충격량을 초과하거나 충격이 반복되며 혹은 급작스런 충격이 비정상적인 주기로 발생시에는 구조물의 낙하 등을 판별하며, 주기적인 충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시에는 누수 등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초음파센서와 적외선센서로부터는 천장간의 거리 깊이의 차이를 통해, 자이로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기울기의 차이를 통해 피난 상황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감지센서를 통해 경로차단여부를 감지하였을 때의 다른 피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어부의 LED 제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감지센서(13)를 통해 피난방향의 경로차단여부를 판별하고, 경로차단으로 판별된 피난방향의 LED(12)는 소등하여 다른 피난방향으로 대피자들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구의 피난방향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발판 라인 중 하나의 발판 라인에서 감지센서(13)를 통해 온도가 너무 높거나 큰 무게 등이 감지되면, 화재나 건물잔해의 적재로 인한 대피로 경로차단을 판별하게 되고, 경로차단된 발판 라인의 LED(12)들을 모두 소등함으로써 다른 피난방향으로 대피자들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피자들의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제어부의 구조신호감지 방법을 예시한 알고리즘이며, 도 9는 도 8의 알고리즘을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발판(10)에 대해 일정 주기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타격을 감지하여 구조신호로 인식하며, 구조신호가 입력된 발판의 방향으로 LED의 색을 달리 점등하여 구조자에게 구조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약자나 환자 등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의 경우 주변에 있는 하나의 발판에 대해 일정 주기로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 이상)의 타격을 하게 될 시에는, 구조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비상구부터 구조신호가 입력된 발판까지의 LED의 색이 다른색으로 바뀌게 되고, 구조자는 비상구에 도착시에 그 바뀐색의 LED를 보고 따라가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를 구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피자가 직접 비상구로 가지 않아도 구조자에게 간단히 자신의 위치를 알림으로서 대피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하였듯이 LED가 발판마다 2개 이상이 구비되면 하나의 LED는 빨간색, 다른 하나의 LED는 노란색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대피자와 구조자간의 유도방향이 헷갈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피난 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면서도, 위험한 구역으로의 안내는 차단하여 안전하게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도 간단한 동작을 통해 피난을 보조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구조위치 안내는 모든 방향의 비상구로부터 안내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전을 위해 감지된 화재발생구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피난방향으로 형성된 출입문(비상구)에 구비되는 카운터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출입문 또는 비상구에 설치되는 카운터센서와 그 주변 발판을 이용한 건물 내 잔여 사람 수의 카운팅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카운터센서(50)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주변 발판(10)의 압력센서 등과 연계하여 출입문(비상구)으로의 입출입을 항시 계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피난 상황이 발생될 시에는 계수된 사람의 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건물 내부에 남겨진 사람의 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문(E)을 기준으로 출입문(E)의 안쪽과 바깥쪽에는 모두 압력센서가 마련되거나 압력센서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발판(10)이 설치되고, 바깥쪽에서 출입문을 통과 후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센서들이 감지될 때는 들어온 사람으로 계수하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센서들이 감지되는 반대의 경우는 나간 사람으로 계수하며, 이를 통해 들어온 사람에서 나간 사람을 차감하여 계수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을 파악할 수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경우도 이와 같이 계수되며, 함께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계수된 수는 구조자의 소지 단말이나 제어부(50)와 연계되는 장치들에 표기될 수 있으며, 출입문 옆에 디스플레이(55) 수단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55)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구조자는 내부의 사람의 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구조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복수의 발판들을 구역화 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의 (a)는 이동방지벽의 설치 및 동작 예시도이며, (b)는 이동방지벽의 설치를 평면으로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역화란 이동방지벽(60)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이동방지벽(60)은 구획화된 발판(10)들의 끝과 끝에 구비되어 발판들을 구역화할 수 있으며, 이동방지벽(60)은 구역화된 발판들에 감지되는 무게 또는 압력 등에 따라 건물 바닥(B)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복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방지벽(60)은 피난 상황 발생 시에 한 구역에 너무 많은 대피자들이 몰려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구역의 발판들에 설정된 무게나 압력을 초과할 시에 이동방지벽(60)이 작동되어 건물 바닥(B)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대피자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후, 앞 부분의 대피자들이 빠져나가면 다시 이동방지벽(60)이 건물 바닥(B)의 하방으로 복귀되어 뒷 부분의 대피자들이 순차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질서정연하게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동방지벽(60)에는 대피자들이 당황하지 않도록 요지를 안내하기 위해 스피커(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상구 등의 대피로뿐만 아니라, 소화전, 소화기 등의 소화시설 등으로 유도할 수 있고, 더불어 피난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 극장 등 어두운 곳에서 길을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발판
11 : 발판 몸체
12 : LED
13 : 감지센서
14 : 결합부
15 : 수납공간
20 : 리피터
30 : 제어부
40 : 원격 단말
50 : 카운터센서
55 : 디스플레이
60 : 이동방지벽
B : 바닥
E : 출입문 또는 비상구

Claims (9)

  1. 건물 바닥에 설치되며, LED와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점등되는 복수의 발판;
    상기 복수의 발판과 연결되는 리피터 및
    상기 리피터 및 재난 감지 설비 또는 재난 감지 부서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거나 피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판들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압력센서, 가속도센서, 무게센서, 초음파센서, 자외선센서,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부에서 피난 상황 발생 시에 상기 발판 중 피난방향으로 구비되는 발판들의 LED 점등을 제어하여 피난을 유도하고,
    상기 센서들을 통해 기 설정된 행동 범위를 벗어나는 센싱신호가 감지될 시 피난 상황임을 스스로 판별하여 상기 LED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들을 통해 피난방향의 경로차단여부를 판별하고, 경로차단으로 판별될 시에는 차단된 피난방향으로의 LED를 소등하여 다른 피난방향으로 피난을 유도하고,
    상기 발판에 대해 일정 주기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타격이 감지될 시에 구조신호로 인식하며, 구조신호가 입력된 발판의 방향으로 LED의 색을 달리 점등하여 구조자에게 구조 위치를 안내하되,
    상기 복수의 발판들은 구역화되며, 구역화된 발판들 중 끝단에 있는 발판들에는 건물 바닥에 대해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 또는 복귀되는 이동방지벽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방지벽은,
    이동방지벽을 기준으로 구역화된 발판들 중 앞 구역에 감지되는 무게 또는 압력이 설정된 무게나 압력을 초과할 시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앞 구역에 감지되는 무게 또는 압력이 설정된 무게나 압력에 미달될 시에 하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판은 결합부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는,
    스프링과 자석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조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방향으로 형성된 출입문에 구비되는 카운터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센서는,
    출입문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수를 항시 계수하고, 피난 상황 발생 시에 계수된 사람의 수를 이용하여 구조자가 건물 내부에 남겨진 사람의 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하단면에 상방으로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피난에 대비하는 비상식품 또는 비상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9. 삭제
KR1020180081750A 2018-07-13 2018-07-13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02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50A KR102025382B1 (ko) 2018-07-13 2018-07-13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50A KR102025382B1 (ko) 2018-07-13 2018-07-13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382B1 true KR102025382B1 (ko) 2019-09-25

Family

ID=6806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750A KR102025382B1 (ko) 2018-07-13 2018-07-13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82B1 (ko) * 2020-04-27 2020-08-10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물에 설치된 uwb 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용 통신 시스템
WO2022225101A1 (ko) * 2021-04-22 2022-10-27 케이아이티밸리(주) 메타버스를 이용한 재난훈련 및 경보전달 시스템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997B1 (ko) * 2008-08-22 2010-12-09 주식회사니즈텍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1099285B1 (ko) * 2009-10-08 2011-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96203B1 (ko) * 2011-09-15 2012-11-05 김봉석 보도블록을 이용한 위치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KR101658344B1 (ko) * 2015-01-16 2016-09-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5212A (ko) * 2015-12-03 2017-06-13 김재준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997B1 (ko) * 2008-08-22 2010-12-09 주식회사니즈텍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1099285B1 (ko) * 2009-10-08 2011-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96203B1 (ko) * 2011-09-15 2012-11-05 김봉석 보도블록을 이용한 위치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KR101658344B1 (ko) * 2015-01-16 2016-09-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상 탈출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5212A (ko) * 2015-12-03 2017-06-13 김재준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82B1 (ko) * 2020-04-27 2020-08-10 (주)신담엔지니어링 건축물에 설치된 uwb 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용 통신 시스템
WO2022225101A1 (ko) * 2021-04-22 2022-10-27 케이아이티밸리(주) 메타버스를 이용한 재난훈련 및 경보전달 시스템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382B1 (ko)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JP6139793B2 (ja) 避難誘導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AU2003271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a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n existing building with said system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010031437A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2145592B1 (ko)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TWI494901B (zh) 智慧型防災引導裝置與救援系統
KR101128368B1 (ko)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1539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