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507B1 -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507B1
KR100985507B1 KR1020080021737A KR20080021737A KR100985507B1 KR 100985507 B1 KR100985507 B1 KR 100985507B1 KR 1020080021737 A KR1020080021737 A KR 1020080021737A KR 20080021737 A KR20080021737 A KR 20080021737A KR 100985507 B1 KR100985507 B1 KR 10098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alarm
human body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566A (ko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이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민 filed Critical 이강민
Priority to KR102008002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레이저 화살표를 통해 사람들이 비상구 위치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구조 대원들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명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경보영역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바닥에 레이저 빛의 레이저 화살표를 표시하는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 상기 인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인체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과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 점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이저, 비상구, 인체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인명구조

Description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fire alarm system}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물의 실내에 화재시 비상구나 탈출구를 표시하거나 안내할 수 있는 유도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경우 형광등이나 전구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 화재시 짙은 연기에서는 형광램프나 전구의 불빛은 산란되어 보이지 않게 되므로 비상구나 탈출구를 못 찾게 되어 질식에 의한 인명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등 인명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한 실내에 있는 사람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 효과적인 인명 구조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소중한 인명 피해를 보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레이저 화살표를 통해 사람들이 비상구 위치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구조 대원들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명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경보영역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바닥에 레이저 빛의 레이저 화살표를 표시하는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 상기 인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인체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과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 점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천장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의 화재 감지 센서가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온도의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열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레이저 유도 발생기가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바닥에 비상구를 가리킬 수 있는 화살표 모양의 레이저 빛을 비추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적외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 생성 단계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점등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가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화재경보영역 및 다른 화재경보영역 각각의 외벽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가 위치하는 화재경보 영역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의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중앙 수신반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수신반이 상기 화재경보영역 및 다른 화재경보영역의 화재 경보기들과 대응되게 설치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 구조 배치도에서 상기 위치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가 위치하는 화재 경보기에 대응되게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 발생시 레이저 화살표를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비상구 위치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구조 대원으로 하여금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명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 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S1),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S2),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S3),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S4), 및 발광다이오드(LED) 점등 단계(S5)를 포함한다.
먼저, 도 2를 예로 들면, 화재경보영역(11)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화재경보영역(11)은 화재 경보기(110; 110a, 110b, 110c, 110d)가 설치되는 영역을 말하며, 건물 또는 지하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S1)는 화재경보영역(11)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S1)에서는 상기 화재경보영역(11)의 천장(11a)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110)에 내장되어 있는 화재 감지 센서(미도시)가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온도의 열을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화재 경보기(110)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바이메탈 기능을 갖는 열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S2)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 경보영역(11)의 바닥(11a)에 레이저 빛의 레이저 화살표(210; 210a, 210b, 210c, 210d)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S2)에서는 상기 화재 경보기(110)에 설치된 레이저 유도 발생기(미도시)가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화재경보영역(11)의 바닥(11a)에 가까운 비상구(310)를 가리킬 수 있도록 화살표 모양의 레이저 빛을 비춘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유도 발생기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레이저 빛을 생성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빛은 투과성과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시 짙은 연기 속에서도 퍼지지 않고 선명하게 비춰져 사람들이 쉽게 레이저 빛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화재 발생시, 짙은 연기 속에서도 사람들이 상기 레이저 화살표(210)에 의해 상기 비상구(310)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어 인명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S3)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11)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S3)에서는 상기 화재 경보기(110)에 설치된 인체 감지 센서(미도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온도의 열 또는 적외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열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열감지 센서는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므로, 화재 발생시 짙은 연기 속에서도 사람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S4)는 상기 인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S4)에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온도의 열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면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점등 단계(S5)는, 도 3a, 도 3b를 예로 들면, 상기 인체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11)과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체 감지 신호가 도 3a에 도시된 건물의 1층, 2층, 3층 중에서 건물 3층의 화재경보영역(11)에 인체(P)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갖는 신호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점등 단계(S5)에서는, 먼저 상기 화재 경보기(110)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미도시)가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화재경보영역(11) 및 상기 화재경보영역(1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다른 화재경보영역(12,13) 각각의 외벽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수신기(미도시)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수신기는 RF 수신기일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RF 무선 송신기는 상기 인체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인체(P)가 위치하는 화재경보영역(11)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110) 위치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RF 수신기는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인체(P)가 위치하는 화재경보영역(11)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점등 단계(S5)에서는,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P)가 위치하는 화재경보영역(11)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110)의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중앙 수신반(미도시)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신호는 상기 인체(P)가 위치하는 화재경보영역(11)의 화재 경보기(110)에 해당하는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수신반은 컴퓨터와 같은 중앙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점등 단계(S5)에서는, 상기 중앙 수신반이 상기 화재경보영역(11) 및 다른 화재경보영역(12,13) 등의 화재 경보기들(110,120,130)과 대응되게 설치한 발광다이오드들(110',120',130')를 포함한 구조 배치도에서 상기 위치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P)가 위치하는 화재 경보기(110)에 대응되게 설치된 발광다이오드(110')를 점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수신반은 구조 대원들이 구조 배치도에서 점등된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인체(P)의 위치(즉, 건물 3층 중 화재경보영역(11))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 대원들이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짙은 연기 속에서도 레이저 화살표를 통해 비상구를 원할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인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하여 구조 대원들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명구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다른 예시도이다.

Claims (9)

  1. 화재경보영역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바닥에 레이저 빛의 레이저 화살표를 표시하는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에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
    상기 인체의 존재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인체 감지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인체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영역과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하는 발광다이오드 점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발생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천장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의 화재 감지 센서가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온도의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점등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무선 송신기가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화재경보영역 및 다른 화재경보영역 각각의 외벽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상기 무선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가 위치하는 화재경보 영역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의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중앙 수신반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수신반이 상기 화재경보영역 및 다른 화재경보영역의 화재 경보기들과 대응되게 설치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 구조 배치도에서 상기 위치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인체가 위치하는 화재 경보기에 대응되게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열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화살표 표시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레이저 유도 발생기가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화재경보영역의 바닥에 비상구를 가리킬 수 있는 화살표 모양의 레이저 빛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존재 유무 감지 단계는
    상기 화재 경보기에 설치된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적외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생성 단계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인체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80021737A 2008-03-08 2008-03-08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98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737A KR100985507B1 (ko) 2008-03-08 2008-03-08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737A KR100985507B1 (ko) 2008-03-08 2008-03-08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66A KR20090096566A (ko) 2009-09-11
KR100985507B1 true KR100985507B1 (ko) 2010-10-05

Family

ID=4129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737A KR100985507B1 (ko) 2008-03-08 2008-03-08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58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 위치를 알리는 지능형 led 등기구
KR102132357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위치 알림 led 등기구
KR102226530B1 (ko) * 2020-10-19 2021-03-11 (주)우원엠앤이 소방피난유도장치
KR102226529B1 (ko) * 2020-10-19 2021-03-11 (주)우원엠앤이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22Y1 (ko) * 2014-06-26 2014-11-20 주식회사 쓰리하이엘렉트로닉스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20160073555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지피티 자기식 안정기와 전자식 안정기 모두에 호환되는 led 조명 회로
KR101668014B1 (ko) * 2015-06-10 2016-10-20 박인철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KR102021879B1 (ko) * 2018-06-26 2019-09-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전자 도어락
CN110033586A (zh) * 2019-04-18 2019-07-19 新联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火灾区域人体侦测方法及系统
KR102272914B1 (ko) * 2019-10-17 2021-07-05 한국전력공사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CN113920671B (zh) * 2021-09-15 2024-04-02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火灾联动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27A (ko) * 2005-03-28 2006-10-04 이효성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58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 위치를 알리는 지능형 led 등기구
KR102132357B1 (ko) * 2019-12-11 2020-07-09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화재 발생시 인명위치 알림 led 등기구
KR102226530B1 (ko) * 2020-10-19 2021-03-11 (주)우원엠앤이 소방피난유도장치
KR102226529B1 (ko) * 2020-10-19 2021-03-11 (주)우원엠앤이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566A (ko)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US7619538B1 (en) Programmable, directing evacu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US8810415B2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US6249221B1 (en) Emergency detector door illumination escape system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US20170140619A1 (en) Wireless home safety 911 system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0547919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20130094876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WO2010105825A1 (en) Escape guidance apparatus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KR101668014B1 (ko) 비상통로 방향 안내장치
US11466846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