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68B1 -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 Google Patents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68B1
KR101128368B1 KR1020110121160A KR20110121160A KR101128368B1 KR 101128368 B1 KR101128368 B1 KR 101128368B1 KR 1020110121160 A KR1020110121160 A KR 1020110121160A KR 20110121160 A KR20110121160 A KR 20110121160A KR 101128368 B1 KR101128368 B1 KR 10112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window
escape
building
window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이종재
장정환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텍
Priority to KR102011012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한 개의 유리창을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으로 형성하며, 이때 상기 탈출창은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상기 탈출창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탈출창 위치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방서에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한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건물(110)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리창이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의 내면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위치가 표시된 탈출창 위치 표시부(210)가 착설되는 한편,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된 실내의 벽면(150)에는 건물 내부에서 탈출을 위한 완강기(160)가 설치되는 완강기 보관박스(170)가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화재 비상용품 보관함(180)이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a building escape window of marking in emergency admission part}
본 발명은 일반 빌딩이나 건물 또는 아파트등에 화재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비상계단등을 이용하여 탈출하지 못할 경우, 소방대원 진입창임을 경고하는 문자가 표기된 소방대원 진입표시부가 착설된 탈출장으로 대피하여, 탈출창 표시부를 통하여 소방대원 및 구난 요원의 진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고층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한 개의 유리창을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으로 형성하며, 이때 상기 탈출창은 건물 각 층의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탈출창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역삼각형 또는 정삼각형 등과 같은 일정한 형상의 탈출창 표시부를 착설하여, 건물 외부에서 상기 탈출창 표시부가 부착된 탈출창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출창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상기 탈출창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탈출창 위치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방서에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탈출창은 일반 유리와는 전혀 다른 안전유리로 구성하여, 이를 파손시 유리 파편으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출창이 설치된 실내의 내벽면에는 완강기 보관박스가 설치되어, 상기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창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건물 화재에 따른 인명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한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한 모든 건물이 대형화, 고층화로 건설 되어가고 있으며, 특히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건물 및 주거 환경의 내부 가구와 내장재가 고급화로 변해,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재질을 많이 사용하여 화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면에, 화재시 인명을 구출하는 종래의 장비는 턱없이 미약한 상태인 것이다
특히, 고층 빌딩이나 건물 또는 아파트등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기의 작동에 의해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고 엘리베이터나 비상 계단등을 이용하여 탈출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이다.
그러나, 고층 건물등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또는 비상 계단등을 이용하여 탈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건물내의 창문이나 아파트 베란다측으로 대피한 후 그 곳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관계로, 화재 연기등에 의해 구조할 사람의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미처 구조를 받지 못한 피난인들은 불길과 유독가스로 인해 희생 되거나, 건물 밖으로 뛰어 내려 인명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층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한 개의 유리창을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으로 형성하며, 상기 탈출창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상기 탈출창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탈출창 위치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방서에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탈출창은 일반 유리와는 전혀 다른 안전유리로 구성하여, 이를 파손시 유리 파편으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출창이 설치된 실내의 내벽면에는 완강기 보관박스가 설치되어, 상기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창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건물 화재에 따른 인명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는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을 제공 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 중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리창이탈출창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창은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탈출창표시부가 착설되며, 상기 탈출창의 내면에는 소방대원 진입창임을 경고하는 문자가 표기된 소방대원 진입표시부가 착설되는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있어서,
상기 탈출창은 안전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탈출창의 내면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고, 상기 탈출창이 설치된 실내의 벽면에는 내부에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설치되는 완강기 보관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화재 비상용품이 구비된 화재 비상용품 보관함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을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인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의하면, 고층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한 개의 유리창을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으로 형성하며, 상기 탈출창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상기 탈출창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탈출창 위치 표시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방서에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탈출창은 일반 유리와는 전혀 다른 안전유리로 구성하여, 이를 파손시 유리 파편으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출창이 설치된 실내의 내벽면에는 완강기 보관박스가 설치되어, 상기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창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건물 화재에 따른 인명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탈출창 표시부가 착설되는 안전유리 건물 탈출창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탈출창으로 대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인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출창 외면에 착설되는 탈출창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탈출창 표시부가 착설되는 안전유리 건물 탈출창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탈출창으로 대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및 도 3은 본 발명인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건물(110)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리창이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은 각 층의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120)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역삼각형 또는 삼각형 등과 같은 일정한 형상의 탈출창 표시부(130)가 착설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각 층의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탈출창(120)의 내면에는 소방대원 진입 표시부(140)가 착설되며, 상기 각 층의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탈출창(120)의 내면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의 위치가 표시된 탈출창 위치 표시부(210)가 착설되는 한편,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된 실내의 벽면(150)에는 건물 내부에서 탈출을 위한 완강기(160)가 설치되는 완강기 보관박스(170)가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화재 비상용품 보관함(18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건물(110)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중에 건물의 좌측단부 및 건물의 우측단부 또는 건물의 중간부위에 위치한 유리창등과 같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리창이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으로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은 각 층의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이때 상기 탈출창(120)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빨간색 또는 주황색등과 같은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역삼각형,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등과 같은 일정한 형상의 탈출창 표시부(130)가 착설토록 된다.
이에따라, 상기 건물(110) 외부에서 상기 탈출창 표시부(130)가 표시된 탈출창(120)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고층 건물(110)의 화재 발생시 소방대원 및 구난 요원의 진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탈출창(120)의 외면에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탈출창 표시부(130)는, 야간 식별이 용이한 야광 테이프로 구성하여, 야간에도 상기 야광 테이프로 구성된 탈출창 표시부(130)의 육안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야간 화재에도 소방대원의 신속한 인명 구조작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탈출창(120)의 내면에는 소방대원 진입창임을 경고하는 문자가 표기된 소방대원 진입표시부(140)가 착설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탈출창(120)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소방대원의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탈출창(120)의 내면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의 위치가 표시된 탈출창 위치 표시부(190)가 착설됨으로써,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상기 탈출창(120)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 및 각 층에 위치된 탈출창(120)의 탈출창 위치 표시부(210)인 10-1(10층의 좌측단부 유리창), 10-2(10층의 우측단부 유리창) 또는 9-1(9층의 좌측단부 유리창)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방서에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어, 화재 연기등에 의해 구조할 사람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더라도, 상기 탈출창 위치 표시부(210)를 사전에 연락받은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탈출창(120)은 일반 유리와는 전혀 다른 안전유리로 구성하여, 이를 파손시 유리 파편으로 인한 인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된 실내의 벽면(150)에는 건물 내부에서 탈출을 위한 완강기(160)가 설치되는 완강기 보관박스(17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완강기 보관박스(170) 내의 완강기(160)를 인출하여 탈출창(120)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대원의 진입 이전의 급박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탈출을 유도하여, 건물(110) 화재에 따른 인명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출창(120)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내부에 마스크, 손전등 및 햄머등이 내장되는 비상용품 보관함(180)이 설치토록 됨으로써, 상기 탈출창(120)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비상용품 보관함(180)을 개방하여 신속하게 마스크를 착용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에 따른 정전시 손전등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햄머등을 이용하여 안전유리로 구성된 탈출창(120)을 파손하여 소방대원의 신속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출창 외면에 착설되는 탈출창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탈출창(120)의 외면에 착설되는 탈출창 표시부(130)는, 빨간색 합성수지관(190) 내부에 LED(200)가 다수개 내설토록 된 후, 이를 전선(미도시)으로 연결 함으로써, 야간에도 상기 빨간색 합성수지관(19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200)의 불빛에 의해 빨간색 합성수지관(190)이 발광하여, 야간에도 육안 확인이 가일층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야간 화재의 발생시에도 소방대원 및 구급요원들의 신속한 인명 구조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110...건물 120...탈출창
130...탈출창 표시부 140...소방대원 진입 표시부
150...벽면 160...완강기
170...완강기 보관박스 180...화재 비상용품 보관함
190...합성수지관 200...LED
210...탈출창 위치 표시부

Claims (4)

  1.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창 중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리창이탈출창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출창은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탈출창표시부가 착설되며, 상기 탈출창의 내면에는 소방대원 진입창임을 경고하는 문자가 표기된 소방대원 진입표시부가 착설되는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에 있어서,
    상기 탈출창은 안전유리로 구성되며, 상기 탈출창의 내면에는 현재 구조받을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각층에 있는 탈출창의 일련번호가 병기되어 있는 탈출창 위치 표시부가 착설되고, 상기 탈출창이 설치된 실내의 벽면에는 내부에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설치되는 완강기 보관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탈출창이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 일측에는 화재 비상용품이 구비된 화재 비상용품 보관함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21160A 2011-11-18 2011-11-18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KR10112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60A KR101128368B1 (ko) 2011-11-18 2011-11-18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60A KR101128368B1 (ko) 2011-11-18 2011-11-18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368B1 true KR101128368B1 (ko) 2012-03-23

Family

ID=4614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60A KR101128368B1 (ko) 2011-11-18 2011-11-18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2003A1 (en) * 2018-10-04 2020-04-09 Exxel Technology Pte Ltd Lighted fire-fighting access panel signage
KR20210066179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창호
KR102554546B1 (ko) 2023-01-31 2023-07-13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완강기용 안전 발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746A (ja) * 1993-03-02 1994-09-06 Misawa Homes Co Ltd 勾配屋根付建物
JPH09305869A (ja) * 1996-05-10 1997-11-2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火災通報器を備えたビルディング
KR200323412Y1 (ko) 2003-05-26 2003-08-19 정희범 방화문
JP2008266997A (ja) 2007-04-20 2008-11-06 Fujisash Co 外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746A (ja) * 1993-03-02 1994-09-06 Misawa Homes Co Ltd 勾配屋根付建物
JPH09305869A (ja) * 1996-05-10 1997-11-2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火災通報器を備えたビルディング
KR200323412Y1 (ko) 2003-05-26 2003-08-19 정희범 방화문
JP2008266997A (ja) 2007-04-20 2008-11-06 Fujisash Co 外装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2003A1 (en) * 2018-10-04 2020-04-09 Exxel Technology Pte Ltd Lighted fire-fighting access panel signage
JP2022515922A (ja) * 2018-10-04 2022-02-22 エクセル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照明付き消防用アクセスパネル標識
KR20210066179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창호
KR102383311B1 (ko) * 2019-11-28 2022-04-06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창호
KR102554546B1 (ko) 2023-01-31 2023-07-13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완강기용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25062U (zh) 一种小区火灾报警系统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WO2012080534A1 (es) Método de evaluación del riesgo en caso de incendio en la edificación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128368B1 (ko)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KR20090009138U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2025382B1 (ko)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0437697Y1 (ko) 피난 유도 체험장
CN211349680U (zh) 一种消防安全体验装置
Akıncıtürk An evaluation of hospital evacuation strategies with an example
RU161992U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CN210091332U (zh) 一种楼宇智能逃生指示牌
RU2694850C1 (ru)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с средств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здания при аномальном развитии пожара
NO322238B1 (no) Lysanordning for plassering i et antall, fortrinnsvis samtlige, rom i en bygning for lokalisering av personer, dyr og verdier ved brann eller annen krisesituasjon i bygningen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112019813A (zh) 一种适用于高层火灾警情的智能疏散系统及方法
KR20100135447A (ko) 건물 내의 재난 발생시 인명 파악을 통한 인명 대피 안내시스템 및 인명 대피 안내 방법
CN112173909B (zh) 消防电梯以及消防电梯系统
KR102157897B1 (ko) 소방용 선형 비상유도장치
CN217131054U (zh) 带感温的可变消防疏散指示灯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