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412Y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3412Y1 KR200323412Y1 KR20-2003-0016298U KR20030016298U KR200323412Y1 KR 200323412 Y1 KR200323412 Y1 KR 200323412Y1 KR 20030016298 U KR20030016298 U KR 20030016298U KR 200323412 Y1 KR200323412 Y1 KR 2003234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door
- firewall
- open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防火門)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위급 상황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개방되어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시 탈출구로 사용하는 방화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문틀과, 상기 문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개구부로 구성되는 형틀과, 상기 형틀의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삽입부가 외측 사방으로 형성되며 전, 후면에 야광 표시부가 구비된 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방화문(防火門)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위급 상황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개방되어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시의 탈출을 위한 수단 및 세대간의 베란다(Veranda) 격벽을구성하기 위한 용도로 방화벽이 설치되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벽 양측으로 장식장이 밀착되어 전체가 격벽(隔壁)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화벽은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도록 별도의 표시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은 물론 물건이 적재된 장식장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방화벽의 위치 분간이 매우 어렵다.
더욱이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사람의 심리가 불안정하여 당황하게 되므로 사물의 인지력이 떨어져 방화벽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특히 방화벽에 대한 지각이 없는 어린이가 화재 상황에 처할 경우 방화벽의 위치를 정확히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방화벽의 위치를 평소에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방화벽을 가리고 있는 물건이 적재된 장식장을 치워야 하는 어려움과 방화벽을 붕괴하는데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들을 모두 극복하고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하기란 무척 힘들며,특히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의 힘만으로 방화벽을 붕괴하고 탈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현실적으로 기존의 방화벽은 회재시 탈출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시 주변이 밝은 상태는 물론 주변 파악이 어려운 어두운 상태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노약자와 어린이의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개방이 이루어져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방화문 11:문틀
11a:개구부 12:형틀
12a:개구부 12b:돌출부
13:문 13a:야광 표시부
13b:삽입부 14:격벽
14a:장식장 14b:방화벽
14c:공간부 15:베란다 난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시 탈출구로 사용하는 방화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문틀과, 상기 문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개구부로 구성되는 형틀과, 상기 형틀의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삽입부가 외측 사방으로 형성되며 전, 후면에 야광 표시부가 구비된 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화문(10)은, 문틀(11)과 상기 문틀(11) 내측에 결합되는 형틀(12)과 상기 형틀(12) 내측에 결합되는 문(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11)은,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14)을 구성하는 방화벽(14b)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형틀(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a)는 형틀(12)의 외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형틀(12)은, 상기 문틀(11)의 개구부(11a)에 결합 고정되고 내측에는 돌출부(12b)가 구비된 개구부(1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2a)는 일반성인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적당하나, 가로 600㎝ 세로 900㎝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b)는, 문(13)에 형성된 삽입부(13b)와 대응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나 개폐가 가장 용이한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13)은, 상하 좌우의 외측 사방으로 삽입부(13b)가 형성되며 전, 후면에는 어두울 경우에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표시부(13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b)는, 형틀(12)의 돌출부(12b)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한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야광 표시부(13a)는, 문자와 도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경각심과 용도를 인지 시켜주기 위해 불조심, 비상구 등의 문자와 상기 문자를 의미하는 도형이 함께 표시되며, 야간에 화재가 일어나 주변이 어두울 경우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문자와 도형 모두를 야광 물질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광 표시부(13a)의 식별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야광 물질 이외의 발광 다이오드나 형광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문틀(11)과 형틀(12) 및 문(13)의 재질은, 새시(Sash)와 같은 재료나 내화성과 차음성이 우수한 재질을 택하는 것이 좋다.
한편 구성에서 설명하지 않은 14a는 장식장을 나타내는 것이며, 14c는 공간부를 나타내고, 15는 베란다 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변이 밝은 상태는 물론 어두운 상태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노약자나 어린이의 힘만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의 방화문(10)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화문(10)은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14)을 구성하는 방화벽(14b)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비상시의 탈출구로 사용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방화문(10)은 문틀(11)과 형틀(12) 및 문(13)의 세트(set)로 구성되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이 대단히 간편하다.
이와 같이 방화문(10)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먼저, 탈출을 위해 방화문(10)을 찾게 되는데, 본 고안의 방화문(10)은 전, 후면에 식별이 용이한 야광 표시부(13a)가 형성되어 있어 주위가 밝은 경우는 물론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도 방화문(1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방화문(10)을 찾은 경우 탈출을 위해 발이나 신체 일부 또는 주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야광 표시부(13a)가 형성된 문(13)을 밀게 되면, 형틀(12)의 돌출부(12b)와 문(13)의 삽입부(13b)가 결합된 상태로 있다가 힘을 가하는 순간 상기 돌출부(12b)에서 삽입부(13b)가 이탈되면서 문(12)이 손쉽게 개방된다.
따라서 형틀(12)과 결합되어 있던 문(13)이 떨어져 나간 공간 즉, 형틀(12)의 개구부(12a)를 통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방화문(10)을 기존의 방화벽(14b) 일측에 설치 시 방화문(10)과 연결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방화벽(14b)의 양측으로 밀착된 장식장(14a)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방화벽(14b)에 방화문(10)을 설치해도 화재시 탈출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나, 방화문(10)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공간부(14c)가 형성되도록 장식장(14a)과 밀착된 방화벽(14b)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세대간의 격벽(14)을 구성한 다음, 상기 방화벽(14b) 일측에 방화문(10)을 설치하고 장식장(14a)에는 출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방화문(10)과 연결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4c)에는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기 또는 소화전 등의 화재 진압시설을 비치하여 어릴 때부터 반복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면 화재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설치장소가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을 지라도 이외에 아파트 세대별 방화구역, 고정 방화문이 설치된 장소, 기타 방화구역 등 비상구가 필요한 장소이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광 표시부가 있기 때문에 평소에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방화문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으며, 문의 설치 구조상 외력에 의해 문이 쉽게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사람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안전불감증이만연(漫然)한 현사회에 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화재로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세대간의 베란다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시 탈출구로 사용하는 방화문을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격벽을 구성하는 방화벽 일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문틀과;상기 문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개구부로 구성되는 형틀과;상기 형틀의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삽입부가 외측 사방으로 형성되며 전, 후면에 야광 표시부가 구비된 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298U KR200323412Y1 (ko) | 2003-05-26 | 2003-05-26 | 방화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298U KR200323412Y1 (ko) | 2003-05-26 | 2003-05-26 | 방화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3412Y1 true KR200323412Y1 (ko) | 2003-08-19 |
Family
ID=4941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6298U KR200323412Y1 (ko) | 2003-05-26 | 2003-05-26 | 방화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3412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455B1 (ko) | 2006-07-20 | 2007-11-0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상용 안전 대피소 |
KR20090011685U (ko) * | 2008-05-14 | 2009-11-18 | 이규환 | 인접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수평탈출구 |
KR101128368B1 (ko) | 2011-11-18 | 2012-03-23 | 주식회사 와텍 |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
KR101716780B1 (ko) * | 2016-10-13 | 2017-03-15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101723060B1 (ko) * | 2017-03-02 | 2017-04-05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CN106958355A (zh) * | 2015-09-15 | 2017-07-18 | 孙淳娘 | 公寓楼用紧急通道舱 |
WO2018070811A1 (ko) * | 2016-10-13 | 2018-04-19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102282715B1 (ko) * | 2021-02-18 | 2021-07-29 |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구 구조 |
-
2003
- 2003-05-26 KR KR20-2003-0016298U patent/KR2003234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455B1 (ko) | 2006-07-20 | 2007-11-0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상용 안전 대피소 |
KR20090011685U (ko) * | 2008-05-14 | 2009-11-18 | 이규환 | 인접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수평탈출구 |
KR101128368B1 (ko) | 2011-11-18 | 2012-03-23 | 주식회사 와텍 | 비상전용 진입구가 표시된 건물 탈출창 |
CN106958355A (zh) * | 2015-09-15 | 2017-07-18 | 孙淳娘 | 公寓楼用紧急通道舱 |
KR101716780B1 (ko) * | 2016-10-13 | 2017-03-15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WO2018070811A1 (ko) * | 2016-10-13 | 2018-04-19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101723060B1 (ko) * | 2017-03-02 | 2017-04-05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102282715B1 (ko) * | 2021-02-18 | 2021-07-29 |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구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09863A (en) | Fire safety window and interior door marker | |
KR100734475B1 (ko) |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 |
KR200323412Y1 (ko) | 방화문 | |
US8162105B1 (en) | Fire escape device | |
JP2017055992A (ja) | 消防用設備 | |
KR101022983B1 (ko) | 피난구 유도등의 그림문자 표시방법 | |
KR102561677B1 (ko) | 소방관 진입 안전유리창 파쇄장치 | |
KR200470058Y1 (ko) | 비상구 안전 장치 | |
CN102022067A (zh) | 防火防盗逃生网 | |
CN105649407A (zh) | 一种多功能门把手 | |
KR200302727Y1 (ko) | 소공간 벽면 매립식 소화기전용 보관함 | |
JPH11293879A (ja) | 手すり装置 | |
CN208481919U (zh) | 一种新型多功能消防柜 | |
CN201883897U (zh) | 防火防盗逃生网 | |
JP2010121392A (ja) | 光透過性素材を用いた電光表示付きドア機構 | |
KR20130024575A (ko) |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 |
KR200259221Y1 (ko) | 화재시 용이하게 열 수 있는 비상문 | |
KR101716780B1 (ko)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
US20030145521A1 (en) | Fire safety window | |
CN217612677U (zh) | 一种方便快速取用的消防装置 | |
CN207932846U (zh) | 一种电梯轿顶 | |
US20050017863A1 (en) | Emergency alert alarm locator | |
CN210013631U (zh) | 一种可进行预警的防火门 | |
CN218062104U (zh) | 一种带有人体感应彩灯照明功能的入户门 | |
CN215056930U (zh) | 一种带有指示灯的消防疏散门及其门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