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780B1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Google Patents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780B1
KR101716780B1 KR1020160132706A KR20160132706A KR101716780B1 KR 101716780 B1 KR101716780 B1 KR 101716780B1 KR 1020160132706 A KR1020160132706 A KR 1020160132706A KR 20160132706 A KR20160132706 A KR 20160132706A KR 101716780 B1 KR101716780 B1 KR 10171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support frame
expans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riority to KR102016013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780B1/ko
Priority to PCT/KR2017/011265 priority patent/WO20180708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비상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피통로가 시공되지 않은 벽체에 구멍을 뚫어 시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화재 시에 대피자가 타 세대로 대피함에 있어 타 세대원의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시간 대피를 지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는 세대를 구획하는 벽에 형성된 구멍과, 구멍에 위치하며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신축벽과, 팽창된 신축벽이 구멍 내부에 위치하여 구멍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구멍의 양측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의 측부에 정합하는 뚜껑과, 뚜껑과 신축벽의 사이에 채워져 위치하는 제1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A INSERT TYPE OF EMERGENCY EVACUATE PATH}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구획하는 벽체 또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비상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피통로가 시공되지 않은 벽체에 구멍을 뚫어 시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화재시 대피하기 위하여 기존의 경량벽체와 경량칸막이을 파괴하고 대피하는 방법의 문제점으로 파괴에 일정한 강도의 힘이 요구되며 파괴 힘이 부족한 어린이와 노약자는 자력파괴가 용이하지 않아 화염과 유독가스에 노출되어 생명이 위협받는 점을 개선하여 신축벽을 이용하여 어린이와 노약자도 신축벽에 부착된 코크을 제거하고 일정시간(30초 - 3분) 동안 대기하면 신축벽이 수축되어 대피통로을 개설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대기하는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신축벽 속에 채워지는 충진재의 물성(예; 액체, 구슬, 분말) 선택과 코크의 구멍크기로 수축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화재 시에 대피자가 타 세대로 침입하는 소요시간을 조절하여 타 세대원이 대피자 또는 외부 침입자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심각한 사생활 침해와 외부 침입자에 의한 위협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피통로 통과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세대·다가구 건물 또는 아파트(이하 통칭하여 '공동주택'이라 함)의 경우, 화재 시에 신속하게 타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경량벽체를 설치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5316호(발명의 명칭;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탈출구의 양측에 방화문을 장착하고 방화문 사이에 경계칸막이가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에 방화문을 개방하고 경계칸막이를 파괴 후 타 세대로 대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
기존의 방식은 벽을 구획하는 경량벽체 및 경계칸막이를 파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경량벽체 및 경계칸막이를 파괴하고 대피함에 있어 상당한 힘이 필요하여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경우에는 힘이 부족하여 쉽게 경량벽체 및 경계칸막이를 파괴할 수 없어 화재시 화염과 유독가스에 의한 생명 위협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로 수많은 화재 중에서 단 1명이라도 경량벽체 및 경계칸막이를 파괴하지 못하고 사망할 수 있는 개연성이 존재하므로 이는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960호(고안의 명칭;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의 기술 내용에 따르면, 벽에 설치된 문틀의 양측에 도어를 장착한 경우로서, 이 경우 화재 발생 시에 대피자가 신속하게 타 세대로 대피할 수 있는 있으나, 대피자의 대피 중에 경고음 발생으로부터 타 세대로 진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타 세대원의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외부침입자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피자 또는 외부 침입자의 신속한 통과는 타 세대원의 사생활 침해와 외부 침입자에 의한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상용화된 경량벽체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531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경계칸막이가 설치된 경우,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경우 경량벽체 또는 경계칸막이를 파괴하고 대피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960호에 기술된 내용과 같이 문틀의 양측에 도어를 설치하고 양측 도어를 개방한 후 대피하는 방식의 경우 신속한 통과에 따른 타 세대의 심각한 사생활 침해와 외부 침입자에 의한 신변안전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 대피 통로와 관련된 기술들은 벽체를 시공할 시에 대피 통로를 설계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대피 통로가 구성되지 않은 벽체의 경우 기존 대피 통로의 구성을 벽체에 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피 통로가 구성되지 않은 벽체에 대피 통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를 허물고 다시 벽체를 재건함에 있어 대피 통로를 함께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5316호(공개일; 2010.01.1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960호(공개일; 2008.06.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818호(공개일; 2011.07.21)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벽체 시공 시에 형성된 구멍 또는 시공 완료된 벽체에 구멍을 뚫어 구멍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신축벽이 내장된 비상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과 같이 화재가 발생한 급박한 상황하에서도 경량벽체 또는 경계칸막이를 파괴하고 대피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어린이와 노약자는 경량벽체 또는 경계칸막이를 파괴하고 대피하는 파괴힘이 부족하여 대피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에서는 벽체를 관통한 통로를 대피자가 통과함에 있어 힘이 약한 어린이 또는 노약자도 통로를 폐쇄하고 있는 신축벽을 간단히 코크만 제거하고 일정시간 대기하면 신축벽 케이스 속의 충진재 물성에 의하여 충진재가 코크 밖으로 자동 배출되어 신축벽을 수축시켜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종전과 같이 파괴하지 않고도  대피가 쉽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대피자라 할지라도 신축벽이 축소되는  동안 일정시간을 대기하게 하여 침입당하는 세대가 대피자 또는 외부 침입자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세대 간의 사생활과 신변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구성한 신축벽이 내장된 비상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는 세대를 구획하는 벽에 형성된 구멍과, 구멍에 위치하며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신축벽과, 팽창된 신축벽이 구멍 내부에 위치하여 구멍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구멍의 양측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의 측부에 정합하는 뚜껑과, 뚜껑과 신축벽의 사이에 채워져 위치하는 제1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벽은 팽창되었을 때에 벽에 형성된 구멍을 폐쇄할 수 있는 면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케이스의 하단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를 배출하는 1개 이상의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벽의 케이스의 중앙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제2패드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은 신축벽의 양측에 위치하며 벽에 형성된 구멍의 양측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에 뚜껑이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이중 관 구조로서 신축벽의 양측에 위치하여 신축벽을 지지하며, 상기 벽에 형성된 구멍의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단차에는 뚜껑이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은 이중 관 구조로서, 지지프레임의 내측 관의 길이 중간에 위치한 신축벽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내측 관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체와, 벽에 형성된 구멍의 양측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에 뚜껑이 정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에는 뚜껑 또는 제1패드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센서와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 또는 지지프레임의 내부에는 조명등이 장착되며, 지지프레임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발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관에는 보조 계단 손잡이가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세대를 구획하는 벽에 구멍을 뚫거나 뚫린 구멍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비상대피통로로서, 기존에는 시공 시에 대피통로를 형성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시공 완료된 벽체에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통로는 대피자가 비상통로캡슐을 통해 타 세대로 대피함에 있어 타 세대원이 이를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신축벽이 수축되어 통로가 확보될 때까지 일정시간 대기하여야 한다. 따라서, 타 세대원은 경고를 통해 대피자 또는 외부침입자가 비상대피통로를 통과하는 중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에 대비함으로써, 심각한 사생활 침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런 특징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면 종전에는 경량벽체 또는 경량칸막이 등을 파괴할 수 없어 대피가 용이하지 않았던 어린이와 노약자,임산부,장애인 등도 신축벽의 코크만 제거하고 일정시간(약 30초 내지 3분) 대기하면 신축벽의 충진재가 신축벽 외부로 배출되면서 신축벽이 수축되어 통로가 자동으로 개설되어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체격이 적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신축벽의 신축 이전에 신축벽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관통공을 통하여 어린이만 신속하게 통과할 수도 있고, 관통공을 통하여 대피세대 또는 구조대원와 대화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벽체에 형성한 구멍에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대피 과정 중에 대피자가 신축벽을 수축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신축벽이 완전히 수축되어 통로가 확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가 슬라브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신축벽에 장착된 코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벽체에 형성한 구멍에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대피 과정 중에 대피자가 신축벽을 수축시키는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신축벽이 완전히 수축되어 통로가 확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여러 세대 중 같은 층에 위치한 인접 세대들 사이에는 벽이 설치되어 세대 간을 구획하고 있다.
통상 발코니 쪽에도 세대를 구획하는 벽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벽(3)에 구멍(3H)을 뚫고 구멍(3H)에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벽(3)을 시공할 시에 구멍(3H)이 형성되도록 미리 구멍을 완성한 후에 구멍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를 구획하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이 위치하며,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는 신축벽(130)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신축벽(130)이 구멍(3H)의 내부 중심에 위치한 상태로 신축벽(130)의 양측에 지지프레임(110)이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신축벽(130)이 구멍(3H)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구멍(3H)을 폐쇄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0)이 신축벽(130)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단차(112)가 형성되는데 단차(112)의 두께는 뚜껑(120)의 두께와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벽(3)의 구멍(3H)에 끼워진 지지프레임(110)에 있어서, 구멍(3H)의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외측에는 외경을 따라 형성된 단차(112)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에 형성된 단차(112)에는 뚜껑(120)이 정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뚜껑(120)은 지지프레임(110)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판(120H)과 상기 원판(120H)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120L)가 형성된 구조로서, 구멍(3H)에 지지프레임(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벽(3)의 구멍(3H) 내주면과 지지프레임(110)의 단차(112) 사이에 뚜껑(120)의 절곡부(120L)가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뚜껑(120)은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을 폐쇄한다.
한편,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이 구멍(3H)에 끼워져 위치함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의 양쪽 외측에 각각 뚜껑(120)이 정합됨으로써, 벽(3)에 형성된 구멍(3H)은 폐쇄된다.
아래에서는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위치한 신축벽(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벽(130)은 벽(3)에 형성된 구멍(3H)을 폐쇄할 수 있도록 팽창되었을 때에 구멍(3H)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스(131)와, 케이스(131)의 내부에 채워져 케이스(131)를 팽창시키며 케이스(131)에서 배출되어 케이스(131)를 수축시키는 충진재(133)와, 충진재(133)를 케이스(131)의 내부로 주입하며 주입된 충진재(133)가 배출되도록 케이스(131)에 장착된 개폐부인 코크(13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31)는 외부 힘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방탄섬유, 고장력 소재인 케블라, 합성섬유, PVC, 실리콘 및 유연하고 부드러운 금속선(金屬線)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케이스(131)가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수성과 케이스(131)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31)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방수물과 케이스 강도 강화제로 코팅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충진재(133)가 채워지는데, 충진재(133)는 액체(물) 또는  점도가 있는 액상물, 구슬, 모래, 분말, 등과 같은 작은 입자들로, 케이스(131)의 내부에 채워진 양에 따라 케이스(131)는 팽창하게 되고, 케이스(131)에서 충진재(133)가 배출되면 케이스(131)는 수축하거나 수축하지 않더라도 가압하면 쉽게 수축되며 수축된 케이스을 당겨서 통로 외부로 인출도 가능하며, 대기시간은 케이스의 개폐부인 코크(135)의 크기와 물성이 각기 다른 충진재를 이용하면 시간 조절이 가능하다.
충진재(133)가 채워진 케이스(131)는 구멍(3H)을 폐쇄할 수 있도록 두께를 갖는 원판형 또는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다. 원판 구조의 케이스(131)에는 충진재(133)를 케이스(131)의 내부에 채우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코크(135)가 원판 케이스(131)의 양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양면의 코크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코크가 개방될 경우 케이스(131) 내부의 충진재(133)가 개방된 코크(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케이스(131)는 수축된다. 설사 수축되지 않더라도 내부에 충진재(133)가 제거된 상태로서 외부에 가한 작은 힘에도 수축된다.
또한 신축벽(130)의 중심에 관통공(131H)이 형성되고, 관통공(131H)에는 제2패드(137)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신축벽(130)에 관통공(131H)이 형성되고, 관통공(131H)에 제2패드(137)가 끼워져 위치함으로써, 몸집이 왜소한 어린이의 경우 제2패드(137)를 밀어 신축벽(130)에 관통공(131H)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131H)을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반면에, 성인의 경우 코크(135)를 열고 충진재(133)가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대기함으로써, 타 세대원은 대피자 또는 외부 침입자가 자신의 집으로 대피함에 있어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발생한다.
또한, 케이스(131)의 양면에 코크(135)가 형성됨에 따라 타 세대원은 대피자가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를 통해 대피하는 사실을 인식하고 타 세대 쪽에 위치한 케이스(131)의 한 쪽 코크(135)를 개방시켜 줌으로써 충진재(133)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어 신축벽(130)의 신축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충진재(133)가 충진되어 팽창된 케이스(131) 즉 신축벽(130)은 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안쪽에 위치하며, 신축벽(130)의 양측에는 제1패드(140)가 각각 위치하고, 지지프레임(110)의 외측 단차(112)에 뚜껑(120)이 정합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단차(112)에는 뚜껑(120)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1센서(171)가 장착되고, 지지프레임(110)의 내주면에는 제1패드(140)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2센서(172)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양측에 위치한 뚜껑(120) 중 어느 한 쪽의 뚜껑(120)이 개방되면 제1센서(171)에서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그 신호는 각 세대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한다.
제1패드(140)가 위치하는 곳에 별도의 스피커(163), PCB(165) 및 배터리(161)를 장착하여 자체 배터리(161)의 전원에 의해 스피커(163)에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피커(163), PCB(165) 및 배터리(161)의 위치는 다른 곳으로 위치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뚜껑(120)이 제거되고 제1패드(140)가 제거되면 세대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자체 스피커(163)를 통해 다른 종류의 경고음이 발생한다.
타 세대원은 상기 경고음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를 통해 대피자가 대피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대피자는 제1패드(140)의 제거 후 코크(135)를 개방하여 충진재(133)를 배출시킴으로써 신축벽(130)이 수축되는 데에 필요한 시간 동안 대기하게 되고, 따라서 타 세대원은 노출될 수 있는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통로를 개설하는데 파괴력이 배재되어 파괴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도 코크만 개방하고 일정시간 대기하면 신축벽이 수축되어 통로 개설이 가능하게 구성한 점이다.
이는 종전의 경량벽을 파괴하거나 기계를 이용한 통로개설방법을 배재하고, 신축벽의 케이스 코크를 열면 충진재가 자동배출되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축벽의 수축시간을 조절하고 신축벽에서 충진재가 배출되는 동안 일정시간 대기하면 자동으로 신축벽이 수축되어 대피통로가 개설되는 구성이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임산부, 힘이 약한 여성, 장애인의 대피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종전의 경량벽을 파괴하는 대피방법은  상기와 같이 힘이 약한 대피자에게는 화재시 대피 골든타임 5분을 초과는 사례가 발생되기 쉬워 생명에 위험이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왜소한 어린아이의 경우 신축벽(130)의 위치한 제2패드(137)를 밀어 반대편의 제1패드(140) 및 뚜껑(120)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신축벽(130)에 형성된 관통공(131H)을 통해 타 세대로 대피하거나, 경고음을 들은 타 세대원이 대피자의 대피를 도와줄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한 신축벽(130)과,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정합하는 양측 뚜껑(120)과, 신축벽(130)과 뚜껑(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패드(140)를 포함하며, 신축벽(130)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공(131H)이 형성되고 관통공(131H)에는 제2패드(137)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에 있어서, 케이스(1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축벽(130)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131)의 내주면에 한 쌍의 환형 판(136)이 용접 고정되며, 지지체인 한 쌍의 환형 판(136)의 사이에 신축벽(130)이 위치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벽(3)에 형성한 구멍(3H)에 삽입할 수 있도록 뚜껑(120)과 지지프레임(110)의 외주면이 매끈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은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단차(112)가 형성되며, 뚜껑(120)이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정합할 수 있도록 뚜껑(120)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120L)는 단차(1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단차(112)에 자석(129)이 고정되어 정합된 뚜껑(120)을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112)에 뚜껑(120)이 정합함으로써, 지지프레임(110)의 외주면과 뚜껑(120)의 외주면이 매끈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를 삽입하여 설치 가능하다.
한편 제2실시예의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에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120) 또는 제1패드(140)가 제거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는 센서(171, 172)가 각각 장착되고, 센서(171, 172)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세대별 설치된 스피커 또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안쪽에 위치한 신축벽(130)과, 신축벽(130)의 양측에 위치하여 신축벽(130)을 지지하며 대피자가 통과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지프레임(110)은 이중 관 구조로서 외측 관(110E)의 내부에 내측 관(110I)이 위치하며 지지프레임(110)은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양측 입구에 위치하여 구멍 안쪽에 위치한 신축벽(130)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의 일측 즉 구멍(3H)의 양측 입구에는 지지프레임(110)의 외측 관(110E)에 정합하는 뚜껑(120)이 장착된다.
또한 내측 관(110I)과 외측 관(110E)의 사이에는 배터리(161), 스피커(163) 및 PCB(165)가 장착되며, 센서(171, 172)는 PCB(165)에 접속되어 센서(171, 172)에서 입력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스피커(163)에서 경고음이 발생하며 조명등(123A)을 발광시킨다. PCB(165)에는 배터리(161)가 접속되어 센서(171, 172) 및 스피커(163)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그리고 내측 관(110I)의 안쪽에는 제1패드(140)가 위치한다.
한편, 센서(171, 172)는 내측 관(110I)과 외측 관(110E)의 사이에 위치하여 뚜껑(120)이 제거됨을 감지하는 제1센서(171)와 내측 관(110I)에 설치되며 제1패드(140)가 제거됨을 감지하는 제2센서(172)로 구분된다.
뚜껑(120)이 제거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한 제1센서(171)에서 신호가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제2조명등(123B)이 발광하며 경고음이 발생하며, 제1패드(140)가 움직일 경우 제2센서(172)가 이를 감지하고 발생한 신호에 의해 다른 경고음이 발생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이중 관 구조이며 내측 관(110I)은 외측 관(110E)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됨에 있어 외측 관(110E)의 하단 일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외측 관(110E)과 내측 관(110I)의 직경 차에 의해 형성된 상부 공간(S)에는 배터리(161), 스피커(163) 및 PCB(165)가 장착된다.
한편,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안쪽에는 신축벽(130)이 위치하고, 지지프레임(110)이 신축벽(130)의 양측에 대응하여 관통공(131H)에 삽입됨으로써 신축벽(130)은 양측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멍(3H)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멍(3H)의 양 입구 쪽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10)의 외측 관(110E)의 일측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단차(112)가 형성되며, 뚜껑(120)은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단차(112)에 정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뚜껑(120)이 외측 관(110E)에 형성된 단차(112)에 정합함에 있어 뚜껑(120)의 절곡된 부위 외주면과 외측 관(110E)의 외주면은 일치하여 매끈하게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10)의 외측 관(110E)과 뚜껑(120)의 외주면이 매끈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 지지프레임(110)을 삽입할 경우 걸림 없이 원활하게 구멍(3H) 내부로 진입해 들어간다.
그리고 내측 관(110I)의 내부에 제1패드(140)가 위치함으로써, 방음 기능을 갖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벽(130)에 형성된 관통공(131H)에는 제2패드(137)가 위치하여 힘이 약한 어린아이 등이 제2패드(137)를 제거하고 노출된 신축벽(130)의 관통공(131H)을 통해 타 세대로 대피하며, 관통공(131H)을 통과할 수 없는 어른의 경우 신축벽(130)에 형성된 코크(135)를 개방하여 수축된 신축벽(130)을 넘어 타세대로 대피하게 된다.
한편, 뚜껑(120)의 외측면에는 사용방법을 알리는 스티커(121A)가 부착되고, 뚜껑(120)의 상면에는 LED의 제1조명등(123A)이 장착되어 메시지를 조명함으로써 대피방법을 쉽게 숙지할 수 있으며, 제1조명등(123A)을 통해 대피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뚜껑(120)에는 손잡이(125)가 형성되어 대피자가 메시지가 인쇄된 스티커(120H)를 제거한 후에 노출된 손잡이(125)를 잡고 대피자 쪽으로 당김으로써 뚜껑(120)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뚜껑(120)이 제거되면 제1센서(171)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스피커(163)에는 경고음이 출력되며 제2조명등(123B)이 밝혀져 제1패드(140)를 조명한다.
또한 내측 관(110I)에 위치한 제1패드(140)가 제거될 경우 이를 제2센서(172)가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며 스피커(163)에서는 제2센서(172)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제1센서(171)에서 발생한 경고음과 다른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후 신축벽(130)을 신축시켜 대피통로를 확보하거나 신축벽(130)에 위치한 제2패드(137)를 제거한 후 반대편의 제1패드(140) 및 뚜껑(120)을 제거하고 타 세대로 대피한다. 이와 같은 대피방식은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이를 대신한다.
[제4실시예]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 하나의 지지프레임(110)이 위치하며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관(110I)에 신축벽(130)이 위치한 구조에서 제3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3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면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110)을 구비하며, 지지프레임(110)은 이중 관 구조로서 외측 관(110E)과 내측 관(110I)으로 구분된다.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은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양측 입구에 대응하며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112)에 뚜껑(120)이 정합한다.
그리고 내측 관(110I)의 내부에는 내측 관(110I)의 길이 중앙에 신축벽(130)이 위치하며 내측 관(110I)의 내주면에 한 쌍의 환형 판(136)이 간격을 두고 용접 고정되고, 한 쌍의 환형 판(136) 사이에 신축벽(130)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환형 판(13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신축벽(130)의 양측에는 제1패드(140)가 위치하며 신축벽(1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1H)에는 제2패드(137)가 위치한다.
또한 뚜껑(120)에는 제1조명등(123A)이 장착되고, 내측 관(110I)의 양단에는 제2조명등(123B)이 위치하며 내측 관(110I)과 외측 관(110E)의 사이에는 배터리(161), PCB(165), 스피커(163)가 위치한다.
한편, 도면에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식 비상대피통로가 슬라브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는 상층과 하층을 구획하는 슬라브(5)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대피통로(100)에 있어서 내측 관(110I)의 길이 중간에는 보조 계단 손잡이(117)가 고정된다.
지지프레임(110)을 슬라브(5)의 구멍(5H)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 장착함에 있어서, 벽체에 형성된 계단 손잡이(7S)와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보조 계단 손잡이(117)가 일렬로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110)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 슬라브(5)에 형성된 구멍(5H)에 지지프레임(110)을 끼워 장착한다.
이와 같이 슬라브(5)에 장착된 지지프레임(110)을 통해 대피자는 아래 층으로 대피가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래 층의 대피자가 위 층으로 대피 또한 가능하다.
한편, 슬라브(5)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0)에서 뚜껑(120)과 제1패드(140)를 모두 제거하고 신축벽(130)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대피자는 벽체에 형성된 계단 손잡이(7S)와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보조 계단 손잡이(117)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상하층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보조 계단 손잡이(117)의 위치가 신축벽(130)과 대응하여 위치할 경우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계단 손잡이(117)에 신축벽(130)이 밀려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통로(100)의 경우 신축벽에 장착된 코크의 형태는 도면에서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자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4실시예의 삽입식 비상대피통로(100)에 있어서, 내측 관(110I)에 보조 계단 손잡이(117)를 고정한 이유는 키가 작은 아이, 균형감이 떨어지는 노인, 임산부 및 여성 등이 비상대피통로(100)를 통과함에 있어 케이스(131)의 내측에 고정된 보조 계단 손잡이(117)를 잡고 두려움 없이 안전하게 상,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신축벽(130)의 케이스(131)에 코크(135)가 장착되어 코크(135)의 마개를 열면 코크(135)가 개방되어 충진재(133)가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벽(130)의 케이스 양면에 대응하게 코크(135)가 위치할 경우 양 코크(135)에 삽입되는 한 개의 플러그(135P)를 위치시켜 양측 코크(135)가 동시에 개방될 수 있게 구성하거나, 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135)의 마개를 대신하여 스티커(135S) 등으로 봉인할 수 있다.
3 : 벽
3H : 구멍
110 : 지지프레임
110I : 내측 관
110E : 외측 관
112 : 단차
120 : 뚜껑
130 : 신축벽
131 : 케이스
133 : 충진재
135 : 코크
136 : 환형 판
137, 140 : 패드
161 : 배터리
163 : 스피커
165 : PCB

Claims (9)

  1. 세대를 구획하는 벽(3)에 형성된 구멍(3H)과,
    구멍(3H)에 위치하며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33)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신축벽(130)과,
    팽창된 신축벽(130)이 구멍(3H) 내부에 위치하여 구멍(3H)을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과,
    구멍(3H)의 양측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측단에 정합하는 뚜껑(120)과,
    뚜껑(120)과 신축벽(130)의 사이에 채워져 위치하는 제1패드(140)를 포함하며,
    신축벽(130)은 팽창되었을 때에 벽(3)에 형성된 구멍(3H)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33)와, 케이스(131)의 하단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133)를 배출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신축벽(130)의 케이스(131)의 중앙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31H)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31H)에는 제2패드(137)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0)은 신축벽(130)의 양측에 위치하며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양측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단차(11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112)에 뚜껑(120)이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프레임(110)은 이중 관 구조로서 신축벽(130)의 양측에 위치하여 신축벽(130)을 지지하며, 상기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된 단차(112)에는 뚜껑(120)이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0)은 이중 관 구조로서,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관(110I)의 길이 중간에 위치한 신축벽(13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내측 관(110I)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체와, 벽(3)에 형성된 구멍(3H)의 양측 입구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112)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112)에 뚜껑(120)이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0)에는 뚜껑(120) 또는 제1패드(140)를 감지하는 센서(171, 172)와, 센서(171, 172)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163)와, 센서(171, 172)와 스피커(163)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1)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8. 제7항에 있어서,
    뚜껑(120) 또는 지지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조명등(123A, 123B)이 장착되며, 지지프레임(110)에 내장된 배터리(161)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110I)에는 보조 계단 손잡이(117)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KR1020160132706A 2016-10-13 2016-10-13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KR10171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06A KR101716780B1 (ko) 2016-10-13 2016-10-13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PCT/KR2017/011265 WO2018070811A1 (ko) 2016-10-13 2017-10-12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06A KR101716780B1 (ko) 2016-10-13 2016-10-13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92A Division KR101723060B1 (ko) 2016-10-13 2017-03-02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780B1 true KR101716780B1 (ko) 2017-03-15

Family

ID=5840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06A KR101716780B1 (ko) 2016-10-13 2016-10-13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412Y1 (ko) * 2003-05-26 2003-08-19 정희범 방화문
KR20080001960U (ko) 2006-12-15 2008-06-19 장의준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
KR20090123571A (ko) * 2008-05-28 2009-12-02 라파즈코리아 석고 주식회사 와이어식 피난구가 구비된 벽체 구조물
KR20100005316A (ko) 2008-07-07 2010-01-15 이규환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KR101023683B1 (ko) * 2010-09-13 2011-03-25 주식회사 비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다세대 건축물의 화재 대피구
KR20110083818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412Y1 (ko) * 2003-05-26 2003-08-19 정희범 방화문
KR20080001960U (ko) 2006-12-15 2008-06-19 장의준 이중 도어를 갖춘 공동주택의 세대간 비상 대피통로
KR20090123571A (ko) * 2008-05-28 2009-12-02 라파즈코리아 석고 주식회사 와이어식 피난구가 구비된 벽체 구조물
KR20100005316A (ko) 2008-07-07 2010-01-15 이규환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KR20110083818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23683B1 (ko) * 2010-09-13 2011-03-25 주식회사 비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다세대 건축물의 화재 대피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56B1 (ko) * 2019-12-20 2020-07-31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WO2021125414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라이프원 적층블록을 구비한 비상대피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640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2167186B1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CN108780598A (zh)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US9056210B2 (en) Public building and school evacuation system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60102323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WO2006015255A3 (en) Window mounted rescue assistance apparatus
KR101716780B1 (ko)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723060B1 (ko)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KR1015034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KR101847534B1 (ko) 벽체 또는 슬라브의 구멍에 삽입되는 비상통로캡슐
WO2003097165A3 (en) Externally concealable modular high-rise emergency evacuation apparatus with pre-qualified egress
WO2012177109A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капсула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KR101747163B1 (ko) 식별기능을 구비한 비상통로캡슐
KR100773455B1 (ko)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200449996Y1 (ko) 비상 대피룸
KR200323412Y1 (ko) 방화문
KR100942312B1 (ko) 장애인용 화장실 종합시스템
KR20180138471A (ko) 피난용 사다리 덮개장치
CN200998536Y (zh) 高楼救生梯
WO2018070811A1 (ko)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JP2000023753A (ja) ボックス型避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