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996Y1 - 비상 대피룸 - Google Patents

비상 대피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996Y1
KR200449996Y1 KR2020100002632U KR20100002632U KR200449996Y1 KR 200449996 Y1 KR200449996 Y1 KR 200449996Y1 KR 2020100002632 U KR2020100002632 U KR 2020100002632U KR 20100002632 U KR20100002632 U KR 20100002632U KR 200449996 Y1 KR200449996 Y1 KR 200449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vacuation room
vibration
earthquak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삼
Original Assignee
김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삼 filed Critical 김성삼
Priority to KR2020100002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 대피룸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출입구(12) 양단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는 축홀(20); 상기 축홀(20)상에 삽입되도록 도어(14)의 양단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단부가 레버(32)의 작동에 의해 선회되는 작동판(34)의 180도 등각위치에 각각 힌지(34a)로 결합되는 축봉(30); 및 상기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고, 진동감지부재(50)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따라 도어(14) 개방 및 경고 등ㆍ음을 통하여 대피신호를 표시하는 지진감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양단에 구비되는 축홈과 축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도어의 개폐방향이 변경가능하므로 지진으로 인해 도어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되더라도 도어개방이 용이하고, 또 지진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경고 음ㆍ등으로 표시하므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 대피룸{Emergency evacuation room}
본 고안은 비상 대피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발생시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비상 대피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으로, 사전예고없이 발생됨에 따라 인명피해가 클 수 밖에 없고, 구조시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근자에는 내진설계를 통하여 건축물의 지진피해를 줄이고 있지만, 이는 신규건축물에 해당될 뿐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일반 건축물은 지진 발생시나 그 징후시에 정해진 대피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더욱 많은 인명이 피해를 입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주요 비상 대피룸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79332호에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분리·결합되는 다수개의 강성판넬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본체부 판넬 일측에 형성되어 인원의 출입을 가능케하는 도어부로 구성되어 수용된 인원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바닷가나 산간지대와 같은 장소에 설치하여 방갈로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83345호에서 저판 상에 발포 폴리스티렌부재로 되는 고막이돌, 측벽, 천정의 분할편에 의하여 실내 전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돔과, 소정의 두께로 파고들어가서 균일한 형상의 구체(球)를 전면(全面)에 깐 개량지반을 구비하며, 돔을 개량지반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적치하여 지진의 충격 저감 및 시공이 용이하며, 면진(免振)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피소는 지진의 충격으로 부터 인명을 안전하기 보호하려는 것이나, 사용상에 있어 지진발생시 외력에 의해 도어의 힌지부분이 파손되거나 도어 전면에 구조물이 위치시 도어 개폐가 불가능하여 탈출에 어려움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지진이 발생시 순식간에 건물이 붕괴되거나 주변 물품이 낙하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열고 대피해야 하므로 지진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폐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힌지파손 및 장애물로 인한 도어의 개방불량이 방지되고, 지진발생시 도어개방에 따른 대피시간지연으로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비상 대피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내부에 대피공간이 형성되고,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구비되는 대피룸본체(10); 상기 출입구(12) 양단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는 축홀(20); 상기 축홀(20)상에 삽입되도록 도어(14)의 양단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단부가 레버(32)의 작동에 의해 선회되는 작동판(34)의 180도 등각위치에 각각 힌지(34a)로 결합되는 축봉(30); 및 상기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고, 진동감지부재(50)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따라 도어(14) 개방 및 경고 등ㆍ음을 통하여 대피신호를 표시하는 지진감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감지부재(50)는 일단에 형성된 수용홈(52a)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수치의 가변저항(52b)이 단계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블럭(52)과, 고정블럭(52)의 다른 일단에 탄력스프링(54a)을 통하여 돌출설치되는 램프(54)와, 상기 탄력스프링(54a) 내부로 설치되어 램프(54)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56)와, 와이어(56) 단부에 고정되고 수용홈(52a)상에 탄성스프링(58a)과 함께 설치되어 가변저항(52b)과 접지되는 접지판(58)으로 구성되고, 탄력스프링(54a)의 흔들림정도에 따라 와이어(56)에 의해 접지판(58)이 당겨지면서 그와 접지되는 가변저항(52b)의 수치를 통하여 진동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34)은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 전자석을 포함하는 구동수단(60)에 의해 선회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14)는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어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돌출되는 밀봉(70)에 의해 자동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룸본체(10)는 저면에 캐스터(11)가 구비되고, 캐스터(11)와 대응하는 바닥면에 반구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레일(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양단에 구비되는 축홈과 축봉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도어의 개폐방향이 변경가능하므로 지진으로 인해 도어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되더라도 도어개방이 용이하고, 또 지진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경고 음ㆍ등으로 표시하므로 늦장대응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지진발생시 도어가 자동개방되어 대피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대피룸본체가 바닥면에 형성된 반구레일상에서 유동되면서 지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대피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대피룸의 지진감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대피룸의 밀봉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대피룸의 캐스터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상태를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비상 대피룸에 관련되며, 이때 비상 대피룸은 지진발생시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대피룸본체(10), 축홀(20), 축봉(30), 지진감지부(40)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대피룸본체(10)는 내부에 대피공간이 형성되고,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구비된다. 대피룸본체(10)는 금속프레임을 용접 또는 볼트체결하여 제작되거나 일체의 콘크리트구조물로 형성되고, 전면에 출입구(12)가 개방되어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되, 도어(14)는 후술하는 축홀(20)과 축봉(30)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개폐된다.
이때, 도어(14)는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어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돌출되는 밀봉(70)에 의해 자동개방된다. 밀봉(70)은 도 3과 같이 도어(14)의 단부에 대응하는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고, 실린더 또는 랙과피니언기어를 통하여 직선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후술하는 진동감지부재(40)를 통하여 신속한 대피를 요하는 강진이 검출되면 밀봉(70)과 대응하는 위치의 축봉(30)이 축홀(20)상에서 분리된 상태로 밀봉(70)이 돌출되어 도어(14)가 자동개방되므로 대피가 시급한 비상상황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14)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밀봉(7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사용자의 신속한 대피를 도와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피룸본체(10)는 저면에 캐스터(11)가 구비되고, 캐스터(11)와 대응하는 바닥면에 반구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레일(11a)이 형성된다. 캐스터(11)는 360도방향으로 이송되는 볼형 캐스터를 사용하고, 대피룸본체(10) 저면 4개소에 구비된다. 그리고 캐스터(11)는 바닥면에 형성된 반구레일(11a)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됨에 따라 지진발생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도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충격이 흡수되고, 유동후에는 반구레일(11a)에 의해 캐스터(11)가 초기위치(반구레일의 중심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이어서 발생되는 충격을 연속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홀(20)은 출입구(12) 양단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된다. 축홀(20)은 출입구(12)의 내주면 상하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하는 축봉(30)이 삽입된 상태로 도어(14)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축홀(20)은 축봉(30)의 초기진입이 용이하도록 입구가 깔때기형상으로 확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봉(30)은 도어(14)상에서 레버(3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어 축홀(20)상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축봉(30)은 도어(14)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으로서, 도어(14)의 양단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고, 도어(14)를 개방시 어느 일측에 구비된 축봉(30)이 축홀(20)상에서 이탈된 상태로 다른 일측의 축봉(30)을 축으로 선회된다. 이때 레버(32)는 대피룸본체(10) 내외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도어(14)의 내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에 지진발생으로 어느 일측에 축봉(30)이 손상되거나 도어(14)의 어느 일측에 장애물이 위치시 양측 축봉(30) 중 어느 일측에 축봉(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도어(14)의 개방이 용이하고, 또 양측 축봉(30)을 축홀(20)상에서 모두 분리하면 대피룸본체(10)상에서 도어(14)가 완전분리가능하므로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도어(14)를 개방하여 탈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축봉(30)은 한 쌍이 1조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단부가 레버(32)의 작동에 의해 선회되는 작동판(34)의 180도 등각위치에 각각 힌지(34a)로 결합된다. 이때 작동판(34)의 중심은 도어(14)상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레버(32)의 일단이 작동판(34)상에 고정되어 레버(32)를 작동시 작동판(34)이 함께 선회되면서 한 쌍의 축봉(30)이 동시에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이송되어 축홀(20)상에 삽입/분리된다.
또한, 작동판(34)은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 전자석을 포함하는 구동수단(60)에 의해 선회되도록 구비된다. 즉 진동감지부재(40)를 통하여 신속한 대피를 요하는 강진이 검출되면 구동수단(60)의 작동에 의해 작동판(34)이 자동으로 선회되어 축봉(30)이 축홀(20)상에서 이탈되고, 이어서 상기한 밀봉(70)의 작동에 의해 도어(14)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도 1에서는 구동수단을 전자석으로 도시)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진감지부(40)는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고, 진동감지부재(50)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따라 도어(14) 개방 및 경고 등ㆍ음을 통하여 대피신호를 표시한다. 지진감지부(40)는 지진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경고 등ㆍ음의 대피신호를 표시하고, 갑작스러운 강진에 대비하여 대피룸본체(10) 내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어(14)를 자동개방하게 된다. 이때 진동감지부재(50)는 통상의 진동감지센서(도시생략) 또는 후술하는 기계식 진동감지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경고 등ㆍ음 및 작동판(34)을 선회시키는 구동수단(60), 도어(14)를 개방하는 밀봉(70)의 동력원으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피룸본체(10)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감지부재(50)는 일단에 형성된 수용홈(52a)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수치의 가변저항(52b)이 단계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블럭(52)과, 고정블럭(52)의 다른 일단에 탄력스프링(54a)을 통하여 돌출설치되는 램프(54)와, 상기 탄력스프링(54a) 내부로 설치되어 램프(54)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56)와, 와이어(56) 단부에 고정되고 수용홈(52a)상에 탄성스프링(58a)과 함께 설치되어 가변저항(52b)과 접지되는 접지판(58)으로 구성되고, 탄력스프링(54a)의 흔들림정도에 따라 와이어(56)에 의해 접지판(58)이 당겨지면서 그와 접지되는 가변저항(52b)의 수치를 통하여 진동강도를 검출한다.
즉, 도 2처럼 지진발생시 진동에 의해 탄력스프링(54a)이 램프(54)와 함께 흔들리고, 탄력스프링(54a)의 휨에 의해 와이어(56)가 당겨지면서 접지판(58)이 가변저항(52b)에 접지되어 진동이 감지된다. 이때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가진 가변저항(52b)이 단계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탄력스프링(54a)이 약하게 흔들릴 경우 저항값이 낮은 가변저항(52b)에 접지판(58)이 접지되어 주황색과 같은 주의신호를 램프(54)를 통하여 표시하고, 탄력스프링(54a)이 심하게 흔들릴 경우 접지판(58)이 이동거리가 확대되면서 저항값이 높은 가변저항(52b)에 접지되어 빨강색과 같은 대피신호를 램프(54)를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동감지부재(50)와 연계되어 지진발생시 현재좌표를 표시하는 GPS모듈을 설치하여 건물붕괴시 비상 대피룸의 매몰위치를 구조신호와 함께 발신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56)는 접지판(58)상에 나사결합되어 와이어(56)의 장력이 용이하게 조절되므로서 각각의 가변저항(52b)에 해당하는 진동강도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변저항(52b)은 릴레이를 통하여 작동판(34)을 선회시키는 구동수단(60) 및 도어(14)를 개방하는 밀봉(70)의 동력원과 연결되어 지진발생신호를 전달하므로서 비상시 도어(14)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10: 대피룸본체 20: 축홀 30: 축봉
40: 지진감지부

Claims (5)

  1. 내부에 대피공간이 형성되고,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2)가 구비되는 대피룸본체(10);
    상기 출입구(12) 양단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는 축홀(20);
    상기 축홀(20)상에 삽입되도록 도어(14)의 양단에 한 쌍이 1조로 구비되고, 서로 대응하는 단부가 레버(32)의 작동에 의해 선회되는 작동판(34)의 180도 등각위치에 각각 힌지(34a)로 결합되는 축봉(30); 및
    상기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고, 진동감지부재(50)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따라 도어(14) 개방 및 경고 등ㆍ음을 통하여 대피신호를 표시하는 지진감지부(40);
    상기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작동판(34)을 선회하도록 구비되는 모터, 전자석을 포함하는 구동수단(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부재(50)는 일단에 형성된 수용홈(52a) 내주면에 서로 상이한 수치의 가변저항(52b)이 단계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블럭(52)과, 고정블럭(52)의 다른 일단에 탄력스프링(54a)을 통하여 돌출설치되는 램프(54)와, 상기 탄력스프링(54a) 내부로 설치되어 램프(54)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56)와, 와이어(56) 단부에 고정되고 수용홈(52a)상에 탄성스프링(58a)과 함께 설치되어 가변저항(52b)과 접지되는 접지판(58)으로 구성되고, 탄력스프링(54a)의 흔들림정도에 따라 와이어(56)에 의해 접지판(58)이 당겨지면서 그와 접지되는 가변저항(52b)의 수치를 통하여 진동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룸.
  3. 삭제
  4.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는 대피룸본체(10)상에 설치되어 진동감지부재(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진동강도에 의해 돌출되는 밀봉(70)에 의해 자동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룸본체(10)는 저면에 캐스터(11)가 구비되고, 캐스터(11)와 대응하는 바닥면에 반구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반구레일(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대피룸.
KR2020100002632U 2010-03-15 2010-03-15 비상 대피룸 KR200449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32U KR200449996Y1 (ko) 2010-03-15 2010-03-15 비상 대피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632U KR200449996Y1 (ko) 2010-03-15 2010-03-15 비상 대피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996Y1 true KR200449996Y1 (ko) 2010-08-30

Family

ID=4424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632U KR200449996Y1 (ko) 2010-03-15 2010-03-15 비상 대피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99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3035A (zh) * 2020-12-16 2021-03-12 韩旭峰 一种地震救生系统
KR102383709B1 (ko) * 2021-08-18 2022-04-08 (주)코넥 지진재해에 대응 가능한 안전 도어장치
KR102457911B1 (ko) * 2022-03-24 2022-10-25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180A (ja) * 1988-07-29 1990-02-09 Shinji Kanda 耐火避難用カプセル
KR100370346B1 (ko) * 1999-08-16 2003-01-29 홍기성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KR200395804Y1 (ko) * 2005-07-04 2005-09-13 장대현 안전 대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180A (ja) * 1988-07-29 1990-02-09 Shinji Kanda 耐火避難用カプセル
KR100370346B1 (ko) * 1999-08-16 2003-01-29 홍기성 도어의 양방향 개폐장치
KR200395804Y1 (ko) * 2005-07-04 2005-09-13 장대현 안전 대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3035A (zh) * 2020-12-16 2021-03-12 韩旭峰 一种地震救生系统
KR102383709B1 (ko) * 2021-08-18 2022-04-08 (주)코넥 지진재해에 대응 가능한 안전 도어장치
KR102457911B1 (ko) * 2022-03-24 2022-10-25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구조를 갖는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0934B (zh) 窗口板式报警栏的制造方法
KR101561800B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200449996Y1 (ko) 비상 대피룸
CN209422813U (zh) 远程无人灭火机器人
KR20180017008A (ko) 확장가능한 안전 룸
US20080184631A1 (en) Extendible Building Structure
CN101869744B (zh) 抗震救生舱
CN104514392A (zh) 防震仓
CN113694435A (zh) 一种基于智能传感的智慧消防服务站
JP5185449B1 (ja) 防災キャビン
CN104747049B (zh) 一种自动垂直无线防盗报警护栏的制造方法
RU2637084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капсула
CN110984689A (zh) 一种智能一体化立柱
CN107246176A (zh) 应急救生舱
JP2013086789A (ja) 津波避難シェルター
CN101956514A (zh) 具有装饰作用的活动报警护栏
CN107174774A (zh) 一种消防栓箱
CN103114755B (zh) 家庭防灾房
RU2116420C1 (ru) Передвижное укрытие букшук
CN201735086U (zh) 抗震救生舱
WO2017047026A1 (ja) 避難カプセル
RU2376431C2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модуль при пожарах и землетрясениях
WO2015118458A1 (en) Bed provided with a protecting device against falling objects
CN110130813A (zh) 一种感应式安全警示系统及感应警示装置
CN104832066B (zh) 带有物联网功能的仿古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